KR101193779B1 - 핸디형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핸디형 진공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3779B1 KR101193779B1 KR1020100063679A KR20100063679A KR101193779B1 KR 101193779 B1 KR101193779 B1 KR 101193779B1 KR 1020100063679 A KR1020100063679 A KR 1020100063679A KR 20100063679 A KR20100063679 A KR 20100063679A KR 101193779 B1 KR101193779 B1 KR 1011937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port
- dust
- ground
- main body
- extension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손잡이 및 배기그릴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마련되고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중공형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관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과 상기 흡입구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에 탈부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이에 따라서, 흡입구에서 지면과 가깝게 연장된 연장관과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을 외부와 차폐하는 방벽에 의해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흡입구에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연장관이 설치되어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연장관이 청소 중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부딪쳐도 연장관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는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내에서 발생되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계단, 책상 위, 차량의 내부 등 좁고 협소한 면적에 존재하는 먼지나 이물질을 구석구석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의 내부에 모터(2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0)는 임펠러(22)와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20)의 동력에 의해 임펠러(22)가 고속회전하여 흡입구(12)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0)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임펠러(22)의 후방에 위치하는 케이스(10)에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그릴(14)이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12)와 임펠러(22) 사이의 케이스(10) 내부에는 흡입구(12)를 통해 빨아들인 먼지와 이물질을 포집시키는 포집부(30)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16) 및 상기 모터(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버튼(40)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사용자가 손잡이(16)를 감싸쥐고 흡입구(12)를 청소 영역의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동버튼(40)을 조작하여 모터(20)를 구동시켜 임펠러(22)를 고속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임펠러(22)가 고속회전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특히 상기 임펠러(22)의 전방으로 진공압이 형성되어 흡입구(12) 외부의 공기와 함께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구(12)를 통해 빨아들이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구(12)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은 포집부(30)에 집진되고, 상기 먼지와 이물질을 포집부(30)에 떨어낸 공기는 케이스(10)에 형성된 배기그릴(14)을 통해 외부로 배기됨으로써,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2)가 주둥이와 같은 형상을 갖는 케이스(1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2)에서 일정 영역을 벗어난 먼지와 이물질은 흡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상기 임펠러(22)가 고속회전하게 됨에 따라 임펠러(22)의 전방으로 진공압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진공압(22)은 흡입구(12)에 집중되어 먼지와 이물질을 케이스의 내부로 빨아들일 수 있는 흡입력으로 발휘된다.
하지만, 상기 흡입구(12)에서 발휘되는 흡입력은 흡입구(12)에서 멀어질수록 약해지기 때문에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이 흡입구(12)와 일정거리 이상 떨어져 있는 경우 흡입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구(12)가 청소 영역의 지면과 밀착되지 않고 떨어진 상황에서는 더욱 흡입력이 약해져 먼지와 이물질이 흡입되기 어렵다.
이와 함께,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2)가 케이스(10)와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12)를 지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이동하는 중 흡입구(12)가 가구의 표면, 차량 내부의 대쉬보드 표면 등과 같은 청소 영역의 지면을 긁어 흠집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이는 흡입구에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관이 마련되어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연장관이 탄성재 재질의 관형태 형성되고, 흡입구가 마련된 본체에 손잡이가 마련되며, 흡입구의 반대편에 흡입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그릴이 마련된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연장관이 탄성재 재질의 관형태 형성되고, 흡입구가 마련된 본체에 손잡이가 마련되며, 흡입구의 반대편에 흡입공기를 배기하는 배기그릴이 마련된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이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연장관이 청소 영역의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부딪쳐도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이 본체의 흡입구와 탈부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청소 영역의 지면 상황에 따라 적합한 상태로 연장관을 본체의 흡입구에 부착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으로 빨아들일 때 회전류가 생성되도록 하여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또한, 틈새나 구석 등과 같은 협소한 부분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마련되고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중공형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관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과 상기 흡입구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에 탈부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흡입구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발생기가 내설됨에 따라 진공압 발생기의 진공압을 통해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빨아들여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흡입구로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그릴이 상기 흡입구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사상으로는,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된 인출부; 상기 인출부의 흡입구에 마련되고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중공형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관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과 상기 흡입구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에 탈부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흡입구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발생기가 내설됨에 따라 진공압 발생기의 진공압을 통해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빨아들여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흡입구로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그릴이 상기 흡입구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흡입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 및 상기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고 연장관의 상단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돌기와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흡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내경이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가 끝나는 위치에서 단면적이 일정해지는 내경이 형성된 직선부를 갖는 벨 마우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는 상기 관통공의 일측 및 타측에 제각기 상이한 경사를 제공하고,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타측 보다 급한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경사가 급하게 형성된 급한 경사면 및 상기 관통공의 타측에 일측 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는 완만 경사면을 제각기 제공하며, 상기 급한 경사면 및 상기 완만 경사면에 의해 상기 관통공의 일측 및 타측에 상기 급한 경사면 및 상기 완만 경사면이 상기 직선부와 만나는 절곡지점을 제공하되, 상기 급한 경사면과 상기 직선부가 만나는 절곡지점이 상기 완만 경사면과 상기 직선부가 만나는 절곡지점 보다 상기 흡입구와 가깝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핸디형 진공청소기는, 흡입구에서 지면과 가깝게 연장된 연장관과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을 외부와 차폐하는 방벽에 의해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과 방벽이 고무와 같은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청소 중 청소 영역의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연장관 또는 방벽이 부딪쳐도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특히, 상기 연장관이 관형태로 형성되어 흡입구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의 진공압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배기그릴이 형성되어 흡입구로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손잡이를 잡아서 상기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장관이 관형태로 형성되어 흡입구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흡입구의 진공압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본체에 배기그릴이 형성되어 흡입구로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으며, 상기 본체의 손잡이를 잡아서 상기 본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과 흡입구는 패스너에 의해 탈부착되기 때문에 청소 영역의 지면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연장관을 흡입구에서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관으로 먼지와 이물질이 빨려들어갈 때 관통공으로 흡입된 공기가 회전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더욱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의 흡입구에 상기 연장관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몸체가 접근하기 힘든 틈새나 구석 등과 협소한 부분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몸체로부터 인출된 인출부의 연장관을 통해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어 편리하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에서 연장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에서 연장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에서 연장관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100)는 크게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20)가 형성된 본체(110) 및 상기 본체(110)의 흡입구(120)에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120)로부터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관(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는 그 내부에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통상의 진공압 발생기(미도시)가 내설되는데, 상기 진공압 발생기는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를 회전 에너지로 변환하는 통상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축으로 연결된 통상의 임펠러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임펠러가 고속회전하여 임펠러의 전방으로 진공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진공압은 임펠러의 전방에 형성된 흡입구(120)를 통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일 수 있는 흡입력으로 발휘된다. 이러한 진공압 발생기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통상의 내용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먼지와 이물질을 포집하는 먼지통(미도시)이 마련되고, 상기 먼지통의 일측에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먼지통은 본체(110)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필요에 따라 먼지통을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 먼지통에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한 뒤에 먼지통을 본체(110)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진공압 발생기의 후방으로 흡입구(120)를 통해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그릴(150)이 본체(110)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160)가 본체(11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60)를 감싸 쥔 사용자의 손가락 중 엄지손가락이 닿을 수 있는 범위 내의 본체(110)에 상기 진공압 발생기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140)이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한 곳으로 쓸어 모을 수 있는 브러시(130)가 형성된다.
특히,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기 흡입구(120)에는 연장관(200)이 마련되는 바, 상기 연장관(200)은 흡입구(120)로부터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흡입구(120)에 마련된 연장관(200)의 끝단이 청소 영역의 지면과 가까워져 더욱 향상된 흡입력으로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연장관(200)은 상기 본체(110)에 형성된 흡입구(12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20)와 연통되는 관통공(2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관(200)은 고무와 같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그 외형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소산시키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 즉 고무와 같은 탄성재로 이루어져서 연장관(200)이 청소 영역의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부딪쳐도 연장관(200)의 외형이 변형되었다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기 때문에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킬 염려가 없다. 이러한 연장관(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0)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중공형의 관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장관(200)은 상기 흡입구(120)의 진공압을 지면에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의 흡입구(120)와 상기 연장관(200)에는 청소 영역의 지면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연장관(200)을 흡입구(120)에 탈부착할 수 있는 패스너(180)가 마련된다.
상기 패스너(180)는 상기 흡입구(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턱(122)과 제 2 걸림턱(124) 및 상기 제 1 걸림턱(122)과 제 2 걸림턱(124)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연장관(200)의 상단 일측면과 타측면의 외측에 제각기 돌출형성되는 제 1 걸림돌기(212)와 제 2 걸림돌기(2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장관(200)의 상단 타측면에 형성된 제 2 걸림돌기(214)는, 상하로 형성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흡입구(12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 2 걸림턱(124)이 제 2 걸림돌기(214) 사이에 개재되었을 때 제 2 걸림돌기(214)가 제 2 걸림턱(124)을 상하에서 밀착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서, 상기 연장관(200)을 상기 흡입구(120)에 부착시킬 때 도 3의 확대된 요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관(200)의 타측을 상향시켜 기울인 상태로 흡입구(120)의 타측에 밀어 넣어 연장관(200)의 타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 2 걸림돌기(214) 사이에 흡입구(120)의 제 2 걸림턱(124)을 개재시킨다.
이렇게, 상기 연장관(200)의 타측이 흡입구(120)의 타측에 밀착되면 연장관(200)의 일측을 흡입구(120)의 일측으로 밀어 넣어 상기 연장관(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212)를 흡입구(120)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22)에 끼워 고정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연장관(200)을 본체(110)에 형성된 흡입구(120)에 쉽게 부착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을 분리시킬 때에는 연장관(200)의 일측을 사용자가 잡아당겨 흡입구(120)의 제 1 걸림턱(122)에 끼워진 연장관(200)의 제 1 걸림돌기(212)를 이탈시켜 연장관(200)의 일측을 하향된 상태로 기울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관(200)의 타측을 사용자가 잡아당겨 상기 흡입구(120)의 제 2 걸림턱(124)을 연장관(200)의 제 2 걸림돌기(214)에서 이탈시켜 연장관(200)을 흡입구(120)에서 완전히 분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본체(110)의 흡입구(120)에서 연장관(200)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관(200)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212)는 후크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입구(120)의 일측으로 연장관(200)의 일측을 끼워 넣을 때 상기 후크 형상을 갖는 제 1 걸림돌기(212)가 흡입구(120)의 제 1 걸림턱(122)에 쉽게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연장관(200)의 일측이 흡입구(120)의 일측에서 임의적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걸림돌기(212)와 제 2 걸림돌기(214)는 상기 연장관(200)이 탄성재로 이루어져서 탄성변형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120)에 삽입된 후 원형복원되는 상기 연장관(200)에 의해 상기 흡입구(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돌출형성된 제 1 걸림턱(122)과 제 2 걸림턱(124)에 걸린다. 따라서, 상기 연장관(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0)에 걸려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 1 걸림돌기(212)와 제 2 걸림돌기(214)는 상기 연장관(200)이 탄성재로 이루어져서 탄성변형됨에 따라 상기 흡입구(120)에 삽입된 후 원형복원되는 상기 연장관(200)에 의해 상기 흡입구(12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돌출형성된 제 1 걸림턱(122)과 제 2 걸림턱(124)에 걸린다. 따라서, 상기 연장관(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20)에 걸려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연장관(200)이 부착된 흡입구(120)의 둘레에는 방벽(170)이 마련되어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부연하자면, 상기 방벽(170)은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브러시(130)와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방벽(170)의 높이는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연장관(200)의 높이보다 지면과 가깝도록 형성되며, 또한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방벽(170)은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처럼 고무와 같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그 외형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소산시키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과 동일한 높이를 갖거나 또는 상기 연장관(200)의 높이보다 다소 지면과 가깝게 형성되고 고무와 같은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방벽(170)이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이중 차폐구조를 갖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100)의 흡입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본체의 내부로 빨아들이기 위해 상기 흡입구(120)에 부착된 연장관(200)의 끝단을 지면과 최대한 가깝도록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2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또는 연장관(200)의 높이보다 지면과 가깝도록 형성된 방벽(170)이 연장관(200)의 둘레에서 지면과 밀착되어 상기 방벽(170) 내부에 위치하는 지면을 차폐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방벽(170) 내부에 위치하는 지면이 차폐된 상태에서 흡입구(120)에 흡입력이 발휘되면 지면과 가깝게 연장된 연장관(200)을 통해 방벽(17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때, 상기 방벽(170)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고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과 가깝게 위치하는 연장관(200)으로 흡입력이 집중되어 강력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200)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빨아들일 수 있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청소 영역의 지면과 가깝게 위치하도록 상기 흡입구(120)로부터 연장 형성된 연장관(200)이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일 때 회전류를 발생시켜 보다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장관(200)에 형성된 관통공(220)은 그 내경이 본체(110)의 흡입구(120)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관통공(220) 내경이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222)와, 상기 경사부(222)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20)와 연통되는 직선부(224)를 포함한다.
즉, 상기 관통공(220)의 내경 중 경사부(222)는 본체의 흡입구로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다 직선부(224)에 이르게 되면 그 단면적이 일정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장관(200)의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경사부(222)에서 가압되고, 상기 직선부(224)를 통과하며 가압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경사부(222)는 비대칭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부(222)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그 내경이 소정의 기울기를 갖되, 그 기울기는 내경의 내주연을 따라 변하도록 한다.
즉, 상기 경사부(222)는 길이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내경의 내주연의 부분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기울기가 다른 경사부(222)를 형성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연장관(200)의 관통공(220)에 형성된 직선부(224)는 어느 위치를 평단면으로 절개하여 살펴보더라도 대칭의 형상을 갖는 원형 단면이 형성되는 반면, 상기 경사부(222)는 어느 위치를 평단면으로 절개하여 살펴보더라도 비대칭의 형상을 갖는 타원형 단면이 형성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경사부(222)는 비대칭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20)의 일측 및 타측에 제각기 상이한 경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경사부(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220)의 일측에 타측 보다 급한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222)의 일측에 경사가 급하게 형성된 급한 경사면 및 상기 관통공(222)의 타측에 일측 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는 완만 경사면을 제각기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한 경사면 및 상기 완만 경사면에 의해 상기 관통공(222)의 일측 및 타측에 상기 급한 경사면 및 상기 완만 경사면이 상기 직선부(224)와 만나는 절곡지점(A, B)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경사부(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한 경사면과 상기 직선부(224)가 만나는 절곡지점(A)이 상기 완만 경사면과 상기 직선부(224)가 만나는 절곡지점(B) 보다 상기 흡입구(120)와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사부(222)는 상기 관통공(222)의 일측 및 타측에 제각기 형성되는 상기 절곡지점(A, B)에 높이차를 갖는다. 따라서, 연장관(200)은 상기 절곡지점(A, B)의 높이차에 의해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갖는 관통공(22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높이차를 갖는 상기 절곡지점(A, B)에 의해 상기 관통공(220)의 하부에 비대칭형의 경사부(222)를 형성함으로써, 연장관(200)의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의 흐름에 차이가 발생하여 자연적인 회전류(swirling flow)를 생성하게 된다.
즉, 상기 관통공(220) 하부의 경사부(222)에서 직선부(224)로 공기가 이동할 때, 상기 경사부(222)의 서로 다른 기울기에 따라 공기 흐름의 속도에 차이가 생기므로 자연스럽게 회전류가 생성하면서 가압되고, 이렇게 가압된 공기는 직선부(224)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본체(110)의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관통공(220)에 회전류가 생성되면, 상기 관통공(220)의 회전류 중심에 진공압이 발생되어 보다 향상된 흡입력으로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200)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빨아들여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관통공(220)의 경사부(222)에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도 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 중 연장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장관(200)의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의 회전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사부(222)의 내경에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226)이 형성된다.
상기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226)은, 상기 연장관(200)의 외부에서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의 이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 각도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20) 하부의 경사부(222)에서 좀더 강한 회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부(222)의 내경에 형성된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226)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형 경사부(222)에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칭형 경사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100)의 사용을 설명하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핸디형 진공청소기(100)로 청소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110)의 후방으로 연장된 손잡이(160)를 감싸 쥔 상태에서 작동버튼(140)을 조작하여 진공압 발생기를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진공압 발생기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본체(110) 내부 특히, 진공압 발생기의 전방으로 진공압이 형성되어 본체(110)에 형성된 흡입구(120)와 상기 흡입구(120)에 마련된 연장관(200)에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이 발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핸디형 진공청소기(100)를 청소 영역의 지면에 가깝게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브러시(130)로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빗질하듯이 쓸어 한 곳으로 모으게 된다.
이와 같이, 한 곳으로 먼지와 이물질이 모이게 되면 상기 흡입구(12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방벽(170)의 내부에 먼지와 이물질이 위치할 수 있도록 방벽(170)을 지면과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킨다.
이렇게, 상기 방벽(170)이 지면과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면,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과 방벽(170)이 밀착되면서 상기 방벽(170) 내부에 위치하는 지면이 외부와 차폐된 상태를 갖게 되고, 상기 흡입구(120)에서 지면과 가깝게 연장된 연장관(200)을 통해 방벽(170) 내부의 지면에 모인 먼지와 이물질이 연장관(200)을 통해 본체의 내부로 빨려들어가 청소 영역의 지면에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은 흡입구(120)에서 지면과 가깝게 연장된 연장관(200)과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을 외부와 차폐하는 방벽(170)에 의해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본체(110)의 내부로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장관(200)으로 먼지와 이물질이 빨려들어갈 때 관통공(220)으로 흡입된 공기가 회전류를 생성하기 때문에 더욱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관(200)과 방벽(170)이 고무와 같은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청소 중 청소 영역의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과 연장관(200) 또는 방벽(170)이 부딪쳐도 지면 내지 지면에 위치한 물품에 흠집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흡입구(120)와 연장관(200)을 탈부착하는 패스너(180)가 흡입구(120)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22) 및 제 2 걸림턱(124)과 연장관(200)에 형성된 제 1 걸림돌기(212)와 제 2 걸림돌기(214)로 한정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흡입구(120)와 연장관(200)에 제각기 자석이 마련되어 상기 자석에서 발휘되는 인력에 의해 흡입구(120)와 연장관(200)을 탈부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에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에 연장관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핸디형 진공청소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본체(110)에 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인출부(190)가 설치되며, 상기 인출부(190)에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9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92)에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연장관(200)이 마련된다.
상기 인출부(19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본체(110)에 매립된 상태로 위치하다가 청소 영역의 지면 상황에 따라 상기 인출부(190)를 본체(110)에서 인출시켜 틈새나 구석 등과 같은 본체(110)가 접근하기 힘든 부분으로 진입시켜 흡입구(192)에 마련된 연장관(200)을 통해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인다.
이를 위해, 상기 인출부(19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그 내부에 관로(194)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192)와 연통되며, 상기 흡입구(192)에는 앞서 설명한 연장관(20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부(190)에 형성된 흡입구(192)의 둘레로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한 곳으로 쓸어 모을 수 있는 브러시(130)가 형성되고, 상기 브러시(130)와 상기 연장관(200) 사이에 완충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방벽(17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190)가 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될 때 상기 몸체(110)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인출부(190)의 기단 외측면과 상기 인출부(190)의 기단 외측면에 대응하는 몸체(110)에 제각기 스토퍼(196)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190)와 몸체(110)가 기밀하게 접촉한 상태로 미끄러져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인출부(190)의 기단에 삽입 슬릿(197)이 형성되어 상기 인출부(190)의 기단이 양갈래로 분할 형성되며, 상기 삽입 슬릿(197)에 상기 몸체(110)의 외벽(112)이 삽입되는 이중 차폐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외벽(112)과 삽입 슬릿(197)에 제각기 반구 형상을 갖는 홈(114)과 돌기(198)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0)의 외벽에 형성된 홈(114)은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됨으로써, 상기 몸체(110)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19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인출부(190)에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192)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92)에 연장관(200)이 마련됨으로써, 틈새나 구석 등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상기 몸체(110)로부터 인출된 인출부(190)의 브러시(130)로 쓸어 한 곳으로 모으고, 이렇게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에 상기 인출부(190)의 연장관(200)을 가깝게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먼지와 이물질이 모인 지면과 상기 인출부(190)의 연장관(200)이 가깝게 위치하게 되면, 상기 방벽(170)이 지면과 밀착되어 상기 방벽(170) 내부에 위치하는 지면을 차폐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먼지와 이물질과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연장관(200)으로 흡입력이 집중되어 청소 영역의 지면에 존재하는 먼지와 이물질을 남김없이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인출부(190)의 연장관(200)에 앞서 설명한 패스너(180)와 벨 마우스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장관(200)이 인출부(190)에 형성된 흡입구(192)와 탈부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연장관(200)에 회전류가 생성되어 더욱 향상된 흡입력으로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다.
110 : 본체 120 : 흡입구
122 : 제 1 걸림턱 124 : 제 2 걸림턱
130 : 브러시 140 : 작동버튼
150 : 배기그릴 160 : 손잡이
170 : 방벽 180 : 패스너
190 : 인출부 194 : 관로
196 : 스토퍼 197 : 삽입 슬릿
200 : 연장관 210 : 몸체
220 : 관통공 212 : 제 1 걸림돌기
214 : 제 2 걸림돌기 222 : 경사부
224 : 직선부 A, B : 절곡지점
226 :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
122 : 제 1 걸림턱 124 : 제 2 걸림턱
130 : 브러시 140 : 작동버튼
150 : 배기그릴 160 : 손잡이
170 : 방벽 180 : 패스너
190 : 인출부 194 : 관로
196 : 스토퍼 197 : 삽입 슬릿
200 : 연장관 210 : 몸체
220 : 관통공 212 : 제 1 걸림돌기
214 : 제 2 걸림돌기 222 : 경사부
224 : 직선부 A, B : 절곡지점
226 : 나선형의 홈 또는 계단
Claims (6)
-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흡입구에 마련되고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중공형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관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과 상기 흡입구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에 탈부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흡입구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발생기가 내설됨에 따라 진공압 발생기의 진공압을 통해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빨아들여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흡입구로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그릴이 상기 흡입구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인출되고 먼지와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흡입구가 형성된 인출부;
상기 인출부의 흡입구에 마련되고 청소 영역의 지면을 향해 연장되며 중공형의 탄성재로 이루어진 관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관통공을 갖는 연장관; 및
상기 연장관과 상기 흡입구에 제각기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을 흡입구에 탈부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흡입구에 진공압을 제공하는 진공압 발생기가 내설됨에 따라 진공압 발생기의 진공압을 통해 상기 흡입구로 공기를 빨아들여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하고, 상기 흡입구로 빨아들인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그릴이 상기 흡입구의 반대편에 마련되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는,
상기 흡입구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제각기 형성되는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 및
상기 연장관의 상단 일측면과 타측면의 외측에 제각기 돌출형성되고, 탄성재로 이루어져서 탄성변형되는 상기 연장관에 의해 상기 흡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걸림턱과 제 2 걸림턱에 걸리는 제 1 걸림돌기와 제 2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흡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내경이 형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가 끝나는 위치에서 단면적이 일정해지는 내경이 형성된 직선부를 갖는 벨 마우스;를 더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관통공의 일측 및 타측에 제각기 상이한 경사를 제공하고,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타측 보다 급한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의 일측에 경사가 급하게 형성된 급한 경사면 및 상기 관통공의 타측에 일측 보다 완만한 경사를 갖는 완만 경사면을 제각기 제공하며, 상기 급한 경사면 및 상기 완만 경사면에 의해 상기 관통공의 일측 및 타측에 상기 급한 경사면 및 상기 완만 경사면이 상기 직선부(224)와 만나는 절곡지점(A, B)을 제공하되, 상기 급한 경사면과 상기 직선부(224)가 만나는 절곡지점(A)이 상기 완만 경사면과 상기 직선부(224)가 만나는 절곡지점(B) 보다 상기 흡입구(120)와 가깝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방벽;을 더 포함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3679A KR101193779B1 (ko) | 2010-07-02 | 2010-07-02 | 핸디형 진공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3679A KR101193779B1 (ko) | 2010-07-02 | 2010-07-02 | 핸디형 진공청소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054A KR20120003054A (ko) | 2012-01-10 |
KR101193779B1 true KR101193779B1 (ko) | 2012-10-23 |
Family
ID=4561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3679A KR101193779B1 (ko) | 2010-07-02 | 2010-07-02 | 핸디형 진공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377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147421B2 (en) | 2017-08-09 | 2021-10-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
US11540688B2 (en) | 2017-01-03 | 2023-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3076636C (en) * | 2017-09-22 | 2021-10-12 | Sharkninja Operating Llc |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
WO2019209877A1 (en) | 2018-04-23 | 2019-10-31 | Sharkninja Operating Llc | Techniques for bounding cleaning operations of a robotic surface cleaning device within a region of interest |
DE102019126020A1 (de) * | 2019-09-26 | 2021-04-01 |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 Endaufsatz zur Verbindung mit einem Saugkanalendbereich, System aus einem Saugkanal eines Saugreinigungsgerätes und einem Endaufsatz sowie Saugreinigungsgerä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73237A (en) | 1984-04-10 | 1986-03-04 | The Scott & Fetzer Company | Hand vacuum with tilting intake |
JPS63175554U (ko) * | 1987-04-30 | 1988-11-15 |
-
2010
- 2010-07-02 KR KR1020100063679A patent/KR10119377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73237A (en) | 1984-04-10 | 1986-03-04 | The Scott & Fetzer Company | Hand vacuum with tilting intake |
JPS63175554U (ko) * | 1987-04-30 | 1988-11-15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40688B2 (en) | 2017-01-03 | 2023-01-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
US11147421B2 (en) | 2017-08-09 | 2021-10-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andy-stick type vacuum clea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3054A (ko) | 2012-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64530B2 (en) | Handheld vacuum cleaner | |
KR101193779B1 (ko) | 핸디형 진공청소기 | |
CN107072453B (zh) | 手持式真空吸尘器 | |
KR102350782B1 (ko) | 청소기 | |
EP3209184A2 (en) | Vacuum cleaner having cyclonic separator | |
EP2522266A3 (en) | Vacuum cleaner having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 |
RU2003132292A (ru) | Пылесос циклонного типа и труба для манипулирования для такого пылесоса | |
KR20180010725A (ko) | 청소기 | |
JP6349557B2 (ja) | 集塵装置 | |
AU2006201518B2 (en) | Brush assembly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employing the same | |
CN101496705A (zh) | 具有螺旋形导气装置的真空吸尘器 | |
JP2012235867A (ja) | 電気掃除機用吸込具 | |
CN110234259A (zh) | 表面清洁装置 | |
JP7013038B2 (ja) | 袋付き電気掃除機 | |
KR101090118B1 (ko) | 핸디형 진공 청소기 | |
CN110248582A (zh) | 旋风分离装置 | |
CN109770788B (zh) | 集尘装置 | |
CN107743370A (zh) | 真空吸尘器吸嘴与包括真空吸尘器吸嘴的真空吸尘器 | |
CN103961032A (zh) | 立式真空吸尘器的吸嘴手柄 | |
KR200466328Y1 (ko) | 삽입형 먼지 제거기 | |
KR200228561Y1 (ko) | 사이클론 진공청소기용 먼지수거통의 정전기 제거장치 | |
KR100232561B1 (ko) | 진공청소기 | |
KR100517601B1 (ko) | 청소기 | |
KR100783144B1 (ko) | 진공청소기의 먼지통 | |
US20120222223A1 (en) | Auxiliary cleaning tool assembly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