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649B1 -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649B1
KR101193649B1 KR1020080113823A KR20080113823A KR101193649B1 KR 101193649 B1 KR101193649 B1 KR 101193649B1 KR 1020080113823 A KR1020080113823 A KR 1020080113823A KR 20080113823 A KR20080113823 A KR 20080113823A KR 101193649 B1 KR101193649 B1 KR 101193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hase motor
line voltage
motor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4963A (ko
Inventor
변태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11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6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1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9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against wrong direction of ro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H02P29/0241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the fault being an over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3상모터가 회전된 포지션을 측정하는 위치센서; 상기 3상모터의 각 상전압 사이의 선간전압을 측정하는 선간전압측정부; 상기 3상모터에 흐르는 상전류의 크기가 소정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소정수준 이상이면 정상전류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수준 이상이 아니면 정상이하신호를 출력하는 전류판단부; 상기 3상모터의 회전방향의 변화를 감지하여 역전구간이면 역전구간신호를 출력하고 역전구간이 아니면 정상구간신호를 출력하는 역전구간판단부; 및 상기 전류판단부로부터 상기 정상전류신호를 입수하고 상기 역전구간판단부로부터 상기 정상구간신호를 입수하고 상기 포지션이 지정포지션일 때 상기 선간전압측정부로부터 입수된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면 미달누적횟수를 누적하여 증가시키고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이면 누적된 상기 미달누적횟수를 감소시켜 상기 미달누적횟수가 소정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단락으로 판정하는 단락판정부를 포함하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 및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3상모터, 단락, 포지션

Description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Interphase Short of 3-Phase Motor}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3상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3상모터 구동시 각 상들간의 전압차이의 변화를 추적하여 모터의 상들간의 단락발생을 검출하고자 하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BLAC모터(Brushless AC Motor)와 같은 3상모터(104)와 그 구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듯이 3상모터(104)는 게이트 드라이버(102)를 통하여 U, V, W 상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만일, 3상모터(104)가 두개의 상(Phase) 사이에 단락(Short)이 발생(A, B, C 중 최소 하나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것)하면 단락된 회로를 통하여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게이트 드라이버(102)와 같이 3상모터(104)를 구동하는 장치의 손상을 가져오고, 또한 단락 지점에서 열이 발생하여 나아가 화재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3상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3상모터 구동시 각 상들간의 전압차이의 변화를 추적하여 모터의 상들간의 단락발생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3상모터가 회전된 포지션을 측정하는 위치센서; 상기 3상모터의 각 상전압 사이의 선간전압을 측정하는 선간전압측정부; 상기 3상모터에 흐르는 상전류의 크기가 소정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소정수준 이상이면 정상전류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수준 이상이 아니면 정상이하신호를 출력하는 전류판단부; 상기 3상모터의 회전방향의 변화를 감지하여 역전구간이면 역전구간신호를 출력하고 역전구간이 아니면 정상구간신호를 출력하는 역전구간판단부; 및 상기 전류판단부로부터 상기 정상전류신호를 입수하고 상기 역전구간판단부로부터 상기 정상구간신호를 입수하고 상기 포지션이 지정포지션일 때 상기 선간전압측정부로부터 입수된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면 미달누적횟수를 누적하여 증가시키고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이면 누적된 상기 미달누적횟수를 감소시켜 상기 미달누적횟수가 소정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단락으로 판정하는 단락판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3상모터가 회전된 포지션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3상모터의 각 상전압 사이의 선간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3상모터에 흐르는 상전류의 크기가 소정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3상모터의 회전방향의 변화를 감지하여 역전구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포지션이 지정포지션일 때 상기 선간전압을 입수하는 단계; 및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면 미달누적횟수를 누적하여 증가시키고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이면 누적된 상기 미달누적횟수를 감소시켜 상기 미달누적횟수가 소정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단락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 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는 위치센서(202), 선간전압측정부(204), 단락판정부(206), 역전구간판단부(208), 전류판단부(210) 및 지정포지션설정부(21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정포지션설정부(212)는 생략될 수도 있다.
위치센서(202)는 3상모터가 회전된 포지션을 측정하고, 선간전압측정부(204)는 3상모터의 각 상전압 사이의 전압차를 측정한다.
도 3은 BLAC모터와 같은 3상모터의 위치센서값에 따른 상전압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하듯이 3상모터의 정상적인 구동시 위치센서의 포지션(=위치센서값)에 따른 각 상 전압의 파형은 일정주기를 가지며 각 상전압 사이의 위상차도 일정한 크기를 갖는다.
도 4는 도 3의 파형을 갖는 3상모터의 위치센서값에 따른 상전압간의 차이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한편, 도 4는 상전압간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만일, 3상모터(104)의 상입력단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도 4와 같은 정상적인 선간전압 파형이 산출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간전압이 정상파형인지 여부를 도 4의 Q지점에서 선간전압을 측정함으로써 파악한다. 즉, 위치센서(202)의 포지션이 5와 28일 때 U-W상 사이의 전압차는 최대가 되고, 위치센서(202)의 포지션이 12.5와 11.5일 때 V-W상 사이의 전압차는 최대가 되고, 위치센서(202)의 포지션이 20.5와 44일 때 W-U상 사이의 전압차는 최대가 된다.
위치센서(202)의 포지션에 따른 3상모터(104)의 선간전압이 도 4와 같은 경우에는 위치센서(202)의 지정포지션이 5와 28일 때 U-W 사이의 전압차를 측정하고, 위치센서(202)의 지정포지션이 12.5와 11.5일 때 V-W 사이의 전압차를 측정하고, 위치센서(202)의 지정포지션이 20.5와 44일 때 U-W 사이의 전압차를 측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지정포지션설정부(212)가 지정포지션을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3상모터의 종류, 포지션센서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의 지정포지션을 튜닝하여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전류판단부(210)는 3상모터(104)에 흐르는 상전류의 크기가 소정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소정수준 이상이면 정상전류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수준 이상이 아니면 정상이하신호를 출력한다.
전류판단부(210)는, 3상모터(104)에 인가된 상전압의 크기가 작아 전류가 적게 흐를 경우에는 단락판단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전류의 크기가 소정수준 이상이 아니면 단락판정부(206)가 단락판단을 유보하도록 만드는 기능을 한다.
역전구간판단부(208)는 3상모터(104)의 회전방향의 변화를 감지하여 역전구간이면 역전구간신호를 출력하고 역전구간이 아니면 정상구간신호를 출력한다. 즉, 회전방향이 변하면 역기전력으로 인하여 상전압에 깨짐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단락판정을 함에 있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역전구간이면 지정포지션에서의 선간전압이 낮아져도 단락판정부(206)로 하여금 3상모터의 단락으로 판정하지 않도록 한다. 역전구간이란 3상모터(104)의 회전방향의 변화한 후 3상모터의 역기전력에 의한 선간전압에 영향을 미치는 소정기간을 의미한다.
단락판정부(206)는 전류판단부(210)로부터 정상전류신호를 입수하고 역전구간판단부(208)로부터 정상구간신호를 입수하고 위치센서(202)의 포지션이 지정포지션일 때 선간전압측정부(204)로부터 입수된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면 미달누적횟수를 누적하여 증가시키고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이면 누적된 상기 미달누적횟수를 감소시켜 상기 미달누적횟수가 소정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단락으로 판정한다.
한편, 단락판정부(206)가 단락 판정을 함에 있어서, 두 번 연속 같은 지정표지션에서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인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는 같은 지정포지션에서 연속발생한 건중에서 두번째 발생한 경우에 대해서는 미달누적횟수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같은 지정포지션에서 연속적으로 측정된 경우는 무시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치센서 포지션이 5일 때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 된 후 연이어서 같은 지정포지션 5에서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 되면 두번째 발생한 경우는 무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선간전압측정부(204)로부터 입수된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더라도 직전에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으로 판정된 지정포지션과 다른 지정포지션인 경우에만 미달누적횟수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은 회전 포지션 측정단계(S502), 선간전압 측정단계(S504), 구동전류값 확인단계(S506), 역전구간 확인단계(S508), 지정포지션 선간전압 입수단계(S510) 및 미달누적횟수 누적단계(S512)를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의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모터구동여부 확인단계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모터구동여부 확인단계에서는 모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즉, 게이트 드라이버(102)를 통하여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게이트 드라이버(102)를 통하여 3상모터(104)쪽으로 흐르는 유효 상전류 혹은 유효 상 전압을 전류계(미도시) 혹은 전압계(미도시)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만일 모터가 구동되지 않고 있다면 본 발명의 일 일시예에 따른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을 수행하지 않는다.
회전 포지션 측정단계(S502)에서는 3상모터(104)가 회전된 포지션을 측정한다.
선간전압 측정단계(S504)에서는 3상모터(104)의 각 상전압 사이의 선간전압을 측정한다.
구동전류값 확인단계(S506)에서는 3상모터(104)에 흐르는 상전류의 크기가 소정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전류판단부(210)가 전류계(미도시)로 측정된 유효전류를 수신하여 3상모터(104)쪽으로 흐르는 유효전류가 소정 임계값(예를 들어, 3V)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상모터(104)쪽으로 흐르는 유효전류가 소정 임계값 이하이면 단락판단 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각 상으로 흐르는 유효전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만 단락판정을 계속 진행한다.
역전구간 확인단계(S508)에서는 3상모터(104)의 회전방향의 변화를 감지하여 역전구간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3상모터(104)의 회전방향이 갑자기 바뀐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3상모터(104)의 회전방향이 바뀌면 일정시간동안(=역전구간)은 3상전압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그 시간동안은 단락판정을 유보한다.
3상모터(104)의 회전방향이 바뀌는지 여부는 역전구간판단부(208)에서 수행한다. 역전구간판단부(208)는 위치센서(202)로부터 3상보터(104)의 포지션 데이터를 입수하여 포지션이 변하는 비율, 즉, 각속도를 계산한다. 만일 각속도의 기호가 (+)에서 (-)로 바뀌거나 (-)에서 (+)로 바뀌는 경우가 회전방향이 바뀐 경우이다.
만일, 3상모터(104)의 회전방향이 바뀌었으면 상 전압에 영향을 주는 역전구간 동안은 단락판정을 유보하며, 역전구간의 크기는 3상모터(104)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정포지션 선간전압 입수단계(S510)는 위치센서(202)의 포지션이 지정포지션일 때 선간전압을 입수한다.
미달누적횟수 누적단계(S512)는 입수된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면 미달누적횟수를 누적하여 증가시키고 입수된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이면 누적된 미달누적횟수를 감소시켜 미달누적횟수가 소정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단락으로 판정한다.
미달누적횟수 누적단계(S512)에서 단락판정부(206)는 위치센서(202)의 지정포지션에서 선간전압이 정상 전압차보다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 차이가 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 차이가 나면 미달누적횟수를 누적하여 증가시킨다. 만일,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 차이가 나지 않으면 정상인 상태이므로 미달누적횟수를 감소시킨다. 이때 미달누적횟수가 0이 된 후에 소정 전압차마진이 정상인 경우에는 더 이상 미달누적횟수를 감소시키지는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두 번 연속 같은 지정표지션에서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인 경우가 발생한 때에는 나중에 발생한 경우에 대해서는 미달누적횟수를 증가시키지 않을 수 있다.
즉, 선간전압이 확인된 해당 지정포지션을 현재 지정포지션으로 저장하고 기 저장되었던 이전 지정포지션과 비교하여 현재 지정포지션과 이전 지정포지션이 같은지 여부를 확인하고, 만일 둘이 같으면 같은 한번 판단한 지정포지션에서 두 번 연속 단락여부를 판단하지 않기 위해 이 데이터는 무시한다. 만일 현재 지정포지션과 이전 지정포지션이 같지 않다면 미달누적횟수를 증가시킨다.
미달누적횟수는 최초에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가 구동될 때에는 0이었다가 선간전압이 오류로 판정된 횟수만큼 1씩 증가한다. 한편, 지정포지션에서 선간전압이 정상 전압차보다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 차이가 나면 단락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상태이므로 판단카운터 횟수를 1씩 감소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3상모터의 회전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3상모터 구동시 각 상들간의 전압차이의 변화를 추적하여 모터의 3상 입력단 사이의 단락발생을 검출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3상모터가 두개의 상(Phase) 사이에 단락(Short)이 발생함으로써 단락된 회로를 통하여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미연에 감지하여, 3상모터를 구동하는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단락 지점에서 열이 발생하여 나아가 화재가 발생하여 큰 피해를 야기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이와 명시적으로 상반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BLAC모터(Brushless AC Motor)와 같은 3상모터(104)와 그 구동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BLAC모터와 같은 3상모터의 위치센서값에 따른 상전압을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3의 파형을 갖는 3상모터의 위치센서값에 따른 상전압간의 차이를 예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2: 게이트 드라이버 104: 3상모터
202: 위치센서 204: 선간전압측정부
206: 단락판정부 208: 역전구간판단부
210: 전류판단부 212: 지정포지션설정부

Claims (5)

  1.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3상모터가 회전된 포지션을 측정하는 위치센서;
    상기 3상모터의 각 상전압 사이의 선간전압을 측정하는 선간전압측정부;
    상기 3상모터에 흐르는 상전류의 크기가 소정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여 소정수준 이상이면 정상전류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수준 이상이 아니면 정상이하신호를 출력하는 전류판단부;
    상기 3상모터의 회전방향의 변화를 감지하여 역전구간이면 역전구간신호를 출력하고 역전구간이 아니면 정상구간신호를 출력하는 역전구간판단부; 및
    상기 전류판단부로부터 상기 정상전류신호를 입수하고 상기 역전구간판단부로부터 상기 정상구간신호를 입수하고 상기 포지션이 지정포지션일 때 상기 선간전압측정부로부터 입수된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면 미달누적횟수를 누적하여 증가시키고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이면 누적된 상기 미달누적횟수를 감소시켜 상기 미달누적횟수가 소정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단락으로 판정하는 단락판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판정부는,
    두 번 연속 같은 지정표지션에서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인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두번째에 발생한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인 경우에 대해서는 상기 미달누적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는,
    상기 지정포지션을 설정하는 지정포지션설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장치.
  4.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3상모터가 회전된 포지션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3상모터의 각 상전압 사이의 선간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3상모터에 흐르는 상전류의 크기가 소정수준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3상모터의 회전방향의 변화를 감지하여 역전구간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포지션이 지정포지션일 때 상기 선간전압을 입수하는 단계; 및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이면 미달누적횟수를 누적하여 증가시키고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이상이면 누적된 상기 미달누적횟수를 감소시켜 상기 미달누적횟수가 소정 판단횟수에 도달하면 단락으로 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두 번 연속 같은 지정표지션에서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인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두번째에 발생한 상기 선간전압이 소정 전압차마진 미만인 경우에 대해서는 상기 미달누적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KR1020080113823A 2008-11-17 2008-11-17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KR101193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823A KR101193649B1 (ko) 2008-11-17 2008-11-17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823A KR101193649B1 (ko) 2008-11-17 2008-11-17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963A KR20100054963A (ko) 2010-05-26
KR101193649B1 true KR101193649B1 (ko) 2012-10-26

Family

ID=4227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823A KR101193649B1 (ko) 2008-11-17 2008-11-17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6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4996B1 (ko) 2020-05-06 2022-04-11 (주)아이티공간 불평형 전압·전류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KR102384998B1 (ko) 2020-05-06 2022-04-11 (주)아이티공간 불평형 전압·전류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KR102384997B1 (ko) 2020-05-06 2022-04-11 (주)아이티공간 불평형 전압·전류를 통한 기기의 예지 보전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023B1 (ko) 1996-07-06 1999-06-01 김형벽 굴삭기 스테핑 모타 구동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
JP2008271760A (ja) 2007-04-25 2008-11-06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89023B1 (ko) 1996-07-06 1999-06-01 김형벽 굴삭기 스테핑 모타 구동장치의 과전류 보호회로
JP2008271760A (ja) 2007-04-25 2008-11-06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963A (ko)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1370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脱調状態検出方法
JP6126081B2 (ja) サイリスタ起動装置
US98574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type of capacitive loads
KR20200130405A (ko) 전동기의 진단 장치
KR101193649B1 (ko) 3상모터의 상간단락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US89816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zero crossing of a phase current of an electronically commutated electrical machine, in particular for determining a rotor position of the electrical machine
US20150280625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rotor position of an electric motor and related method
KR101790380B1 (ko) Pm 모터의 모터 상수 산출 방법 및 모터 상수 산출 장치
US10374537B2 (en) Rotor position detection system
KR101875555B1 (ko) 인버터의 과전류 감지 장치 및 방법
JP5141404B2 (ja) Pmモータの磁極位置推定方式
US112622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measuring offset of a rotor position sensor
KR102246044B1 (ko) 모터 감자 에러 감지 장치 및 방법
EP347784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measuring offset of a rotor position sensor, controller unit for an electric machine and electric machine for a vehicle
KR101330453B1 (ko) 삼상 모터전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CN106992725B (zh) 电机的位置检测电路和方法
EP3244528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ower conversion device
EP3599716B1 (en) Fault isolation for pulse width modulated three phase motor systems
KR20140079312A (ko) 신호 레벨들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8809198B (zh) 用于控制中压逆变器的方法和包括中压逆变器的系统
KR101260552B1 (ko) 인터락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84190B1 (ko) 3상 모터 이상 감지 장치
KR100956488B1 (ko) 인버터를 지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87574A (ko) 서보 모터 제어 시스템
CN115811251A (zh) 确定无刷直流电机的转子的转角位置的方法和手持式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