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641B1 - Crops harverster - Google Patents
Crops harvers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3641B1 KR101193641B1 KR1020100037040A KR20100037040A KR101193641B1 KR 101193641 B1 KR101193641 B1 KR 101193641B1 KR 1020100037040 A KR1020100037040 A KR 1020100037040A KR 20100037040 A KR20100037040 A KR 20100037040A KR 101193641 B1 KR101193641 B1 KR 1011936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member
- ground
- harvesting
- support
- cro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For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1/00—Other hand implements
- A01D11/04—Other hand implements for handling root crops, e.g. shovels, fork-like shov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00—Hand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된 자루부재와, 자루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며,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지면에 삽입되는 수확부와, 수확부가 회동되어 상기 농작물을 지면으로부터 수확하기 위해 자루부재가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자루부재를 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게 자루부재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채취기는 전력이나 유압과 같은 외부동력이 요구되지 않아 별도의 유지비가 소요되지 않으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농작물을 채취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er, a sack member provided with a handle so that the worker can grip, and fixed to the end of the sack member, the harvest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ground to harvest the crop, and the harvesting unit is rotated the crop And 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bag member so as to support the bag memb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bag member can be rotated up and down by an operator to harvest the ground from the ground.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external power such as electric power or hydraulic pressur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aintenance cost,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easily harvesting crops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작물 채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수확날을 구비한 자루부재를 회동시켜 뿌리채소인 마늘, 양파, 감자, 고구마 등을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는 농작물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op harvester, which relates to a crop harvester capable of easily harvesting garlic, onions, potatoes, sweet potatoes and the like as root vegetables from the ground by rotating a bag member having a harvest blade.
일반적으로 지면하(地面下)에 열매(실과)를 맺는 마늘, 양파, 감자, 고구마, 인삼, 도라지, 약초류와 같은 구근(球根), 괴근(塊根), 괴경(塊莖)의 경우 수확작업은, 상기 작물을 1개씩 손으로 뽑아낸다라는 인위작업으로 처리하고 있다.In the case of garlic, onion, potato, sweet potato, ginseng, bellflower, herbaceous bulbs, tubers, tubers, which bear fruits under ground, The crops are processed by man-made work, one by on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력을 사용하여 뿌리작물을 수확함으로, 노동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수확작업이 번잡하고 까다로운 작업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And, by harvesting the root crops using manpow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abor efficiency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harvesting work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work.
또한, 일부 농가에서는 작업 인력이 모자라는 관계상 농업용 관리기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채취하고 있으나 로터리 회전날이나 쟁기에 의해 이들 농작물이 손상을 입게 되므로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거나 상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ome farms are harvesting crops using agricultural managers due to lack of work force, but these crops are damaged by rotary rotary blades or plows, resulting in a loss or loss of value as a commodity.
더욱 최근에는 무공해, 무농약의 유기농 작물 재비가 장려되는 실정인데, 이러한 유기농 작물은 사용하기 편리하고, 작업효율이 좋은 소형 농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More recently, pollution-free, pesticide-free organic crops are encouraged, and these organic crops are required to use small farm equipment that is easy to use and has good work efficiency.
한국등록특허 제10-0928648호에는 "전동식 다용도 농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No. 10-0928648 discloses an "electric utility farm equipment."
상기 전동식 다용도 농기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연결되는 일정길이의 축대와, 상기 축대의 일측에 설치되어서 진동모터의 구동으로 진동을 일으키는 진동부와, 상기 축대의 끝단에 설치되는 작동부를 구비한다. The electric utility farming apparatus has a handle portion which is held by the user by hand, a shaft of a predetermined length connected from the handle portion, a vibration portio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haft and causing vibration by driving the vibration motor, and the shaft It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part installed at the end.
그러나 전동식 다용도 농기구는 진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전력, 또는 유압과 같은 동력을 공급이 요구되므로 수확작업을 하는 데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며, 진동모터를 통해 발생된 진동이 축대 및 작동부를 통해 지면에 전달되므로 상기 진동에 의해 축대 및 작동부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However, electric multi-purpose farming equipment requires extra power or hydraulic power to drive the vibrating motor, so it is expensive to maintain the harvesting work.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ng motor is grounded through the shaft and the operating part. Sin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defect may occur in the shaft and the operating unit by the vib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이나 유압과 같은 외부동력이 소요되지 않으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농작물 채취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does not require external power such as electric power or hydraulic pressure, to provide a crop harvester forme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harvest the crop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There is thi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채취기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된 자루부재와, 상기 자루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며,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지면에 삽입되는 수확부와,상기 수확부가 회동되어 상기 농작물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수확하기 위해 상기 자루부재가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자루부재를 상기 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자루부재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andle member is provided with a handle for holding by the worker, the harvesting portion is fixed to the end of the bag member, inserted into the ground to harvest the crop; The harvesting unit is rotated to support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bag member to support the bag member against the ground so that the bag member can be rotated up and down by the worker to harvest the crop from the ground Equipped.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수확부 사이의 상기 자루부재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재의 단부에 형성된 접촉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pport portion preferably includes a protruding member protruding downwardly into the bag member between the handle and the harvesting portion, and a contact member formed at an end of the protruding member so as to contact the ground.
상기 수확부는 상기 자루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기 자루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에서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수확날을 구비한다. The harvesting portion is a body fixed to the end of the bag member, the plurality of harvesting protruding from each other along the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member on the body, the thickness formed to become thinner toward the end from the body Equipped with blades.
상기 수확날은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절곡부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arvesting blade is preferably further provided with a bent portion formed so that the end is bent upward.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채취기는 전력이나 유압과 같은 외부동력이 요구되지 않아 별도의 유지비가 소요되지 않으며,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농작물을 채취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external power such as electric power or hydraulic pressur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aintenance cost, there is an advantage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by easily harvesting crops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채취기는 지면에 삽입되는 수확부를 사용하여 대형 농기계가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면적의 자투리 땅을 용이하게 개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leared a small area of small land area difficult to enter large agricultural machinery using a harvesting unit inserted into the grou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채취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농작물 채취기의 삽입부가 지면에 삽입된 작업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농작물 채취기가 회동하여 농작물을 채취하는 작업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rop harve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working state in which an insertion unit of the crop harvester of FIG. 1 is inserted into the ground;
3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working state of harvesting crops by rotating the crop harvester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채취기(1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rop harves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채취기(1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there is shown a
도면을 참조하면, 농작물 채취기(10)는 지면에 심겨져 있는 채취대상 농작물(11)을 뿌리채 뽑을 수 있는 농기구로서, 체자루부재(20)와, 자루부재(20)의 단부에 고정되며, 지면에 삽입되는 수확부(30)와, 자루부재(20)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자루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부(4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상기 언급된 채취대상 농작물(11)은 마늘, 양파, 감자, 고구마, 인삼, 도라지, 약초류와 같은 구근, 괴근, 괴경이고, 뿌리채 뽑아야 하는 묘목도 포함된다. The above-mentioned
자루부재(20)는 소정의 두께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환봉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자루부재(20)는 일정강도를 갖고, 가공하기 용이한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자루부재(20)의 일단부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손잡이(21)가 마련되어 있다. 손잡이(21)는 자루부재(20)의 일단에 고정된 베이스부재(22)와, 베이스부재(22)의 단부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은 상호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두 개의 연장바(23)와, 연장바(23)의 타단에 두 개의 연장바(23)를 상호 연결하는 메인파지부재(24)를 포함한다. One end of the
또한, 자루부재(20)는 길이방향에 대해 중앙부분에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된 보조파지부재(25)를 더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보조파지부재(25)는 자루부재(20)의 연장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반경을 갖는 환봉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작업자는 상기 언급된 손잡이(21) 및 보조파지부재(25)를 선택적으로 파지하여 농작물(11)의 수확작업을 수행한다. The worker selectively grasps the
수확부(30)는 자루부재(20)의 타단에 고정되며, 농작물(11)을 수확할 수 있도록 지면에 삽입된다. 수확부(30)는 자루부재(20)에 고정되는 몸체(31)와, 몸체(31)에 돌출형성된 수확날(32)을 구비한다.
몸체(31)는 삽입부재(33)와, 삽입부재(33)의 단부에 형성된 날지지부재(34)와, 상기 날지지부재(34)를 보강할 수 있도록 일단이 날지지부재(34)에 고정되고 타단은 삽입부재(33)에 고정된 복수개의 보강부재(35)를 구비한다. The
삽입부재(33)는 원형단면을 갖고 자루부재(20)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일단면에 자루부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삽입공에 삽입된 자루부재(20)에 삽입부재(33)를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The
날지지부재(34)는 삽입부재(33)의 타단에 용접고정되며, 사각단면을 갖고 자루부재(20)의 길이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The
보강부재(35)는 사각단면을 가지며, 일단은 각각 삽입부재(33)의 양단부에 용접고정되며, 타단은 삽입부재(33)의 외주면에 용접고정된다. 이때, 날지지부재(34)의 양단부는 삽입부재(33)의 외주면에 대해 이격되어 있으므로 보강부재(35)는 삽입부재(33)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inforcing
수확날(32)은 자루부재(20)의 길이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보강부재(35)의 단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수확날(32)의 이격거리는 수확하고자하는 농작물(1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수확날(32)은 자루부재(20)의 길이방향에 대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몸체(31)에서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arvesting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수확날(32)이 몸체(31)에 2개가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수확날(32)의 설치개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3개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example has been described a structure in which two
또한, 수확날(32)은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절곡된 수확날(32)의 단부에 의해 수확날(32)이 지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부(40)의 회동작업에 의해 지면을 갈아엎어지도록 하여 용이하게 농작물(11)을 채취할 수 있도록 한다. Moreover, the
상기 언급된 수확부(30)는 지면에 삽입된 상태에 회동될 수 있도록 소정 강도를 갖는 철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4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지지부(40)는 수확부(30)가 회동되어 농작물(11)을 지면으로부터 수확하기 위해 자루부재(20)가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자루부재(2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게 자루부재(20)에 돌출형성된다. 지지부(40)는 돌출부재(41)와, 돌출부재(41)의 단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접촉되는 접촉부재(42)를 구비한다. The
돌출부재(41)는 지면에 대향되는 자루부재(20)의 하측 외주면 돌출형성되며, 제1 및 제2지지암(43,44)을 구비한다.The protruding
제1지지암(43)은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손잡이(21)와 수확부(30) 사이의 자루부재(20)에 용접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제1지지암(43)의 타단은 접촉부재(42)의 상면에 용접고정된다. 이때, 제1지지암(43)은 일단이 타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2지지암(44)은 환봉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몸체(31)에 용접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지지암(44)의 타단은 접촉부재(42)의 상면에 용접고정된다. 이때, 제2지지암(44)은 일단이 타단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때, 돌출부재(41)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용이하게 지면으로부터 농작물(11)을 채취할 수 있도록 수확날(32)로부터 돌출부재(41)까지의 거리가 손잡이(21)로부터 돌출부재(41)까지의 거리보다 짧도록 돌출부재(41)는 자루부재(20)의 전방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rotruding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지지암(43,44)이 접촉부재(42)에 대해 소정각도를 갖고 경사지게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루부재(20)의 회동시 자루부재(20)를 지지하는 지지력에 대응하여 돌출부재(41)에 인가되는 반력을 분산시켜 돌출부재(41)가 견고하게 자루부재(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first and
접촉부재(42)는 상면에 제1 및 제2지지암(43,44)의 타단이 용접고정되며,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확장할 수 있도록 소정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촉부재(42)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자루부재(2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접촉부재(42)는 지면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면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농작물 채취기(1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작업자는 손잡이(21) 또는 보조파지부재(25)를 파지한 후, 농작물 채취기(10)를 채취대상 농작물(11)이 심어져 있는 지면으로 운반한다. 채취대상 농작물(11)에 인접된 위치의 지면에 수확부(30)을 삽입한다. After the worker grips the
다음으로, 작업자는 손잡이(21)의 메인파지부재(24)를 파지한 후 자루부재(20)의 일단부를 하방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자루부재(20)에 형성된 지지부(40)에 의해 자루부재(20)는 지면으로부터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40)가 중심이 되어 수확부(30)가 상방으로 회동한다. 회동하는 수확부(30)의 수확날(32)에 의해 농작물(11)은 지면으로부터 채취된다. Next, the operator grips the main gripping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채취기(10)는 전력이나 유압과 같은 외부동력이 요구되지 않아 별도의 유지비가 소요되지 않으며, 자루부재(20)와 지지부(40)를 통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농작물(11)을 채취하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채취기(10)는 수확부(30)의 수확날(32)을 사용하여 대형 농기계가 진입하기 어려운 좁은 면적의 자투리 땅을 용이하게 개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0: 농작물 채취기
20: 자루부재
21: 손잡이
30: 수확부
31: 몸체
32: 수확날
33: 삽입부재
34: 날지지부재
35: 보강부재
40: 지지부
41: 돌출부재
42: 접촉부재
43: 제1지지암
44: 제2지지암10: Crop Harvester
20: bag member
21: handle
30: harvester
31: Body
32: Harvest Day
33: insertion member
34: blade support member
35: reinforcing member
40: support
41: protruding member
42: contact member
43: first support arm
44: second support arm
Claims (4)
상기 자루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며,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도록 지면에 삽입되는 수확부와;
상기 수확부가 회동되어 상기 농작물을 상기 지면으로부터 수확하기 위해 상기 자루부재가 상기 작업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자루부재를 상기 지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게 상기 자루부재에 돌출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와 상기 수확부 사이의 상기 자루부재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서, 일단이 상기 자루부재에 고정되며, 타단은 일단보다 상기 손잡이에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제1지지암과, 일단이 상기 제1지지암에 대해 상기 손잡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자루부재에 고정되며, 타단이 일단보다 상기 수확부 방향으로 인접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 제2지지암이 마련된 돌출부재와,
상기 지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지지암의 타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자루부재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되, 작업자가 용이하게 상기 자루부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면에 대해 볼록하게 형성된 접촉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수확부는
상기 자루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상기 자루부재의 길이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몸체에서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 복수의 수확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채취기. A bag member provided with a handle so that a worker can grip it;
A harvesting unit fixed to an end of the bag member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to harvest crops;
A support part protruding from the bag member so as to support the bag memb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bag member can be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worker to rotate the harvesting unit to harvest the crop from the ground; And
The support
A first support arm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ag member between the handle and the harvesting part,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bag member, the other end of which is inclined to be closer to the handle than one end, and one end of the first support arm; A protruding member which is fixed to the bag member at a position spaced in the handl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rm, and has a second support arm which is inclined so that the other end thereof is adjacent to the harvesting portion than one end;
It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arms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member, with respect to the ground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rotate the bag member Having a convex contact member,
The harvesting unit
A body fixed to an end of the bag member;
The crop harv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arvesting blades protruding from each other in the norm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g member, the thickness is formed thinner toward the end portion from the body.
상기 수확날은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채취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arvesting blade is cropp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is formed to be bent upward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7040A KR101193641B1 (en) | 2010-04-21 | 2010-04-21 | Crops harvers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7040A KR101193641B1 (en) | 2010-04-21 | 2010-04-21 | Crops harvers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7530A KR20110117530A (en) | 2011-10-27 |
KR101193641B1 true KR101193641B1 (en) | 2012-10-25 |
Family
ID=45031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7040A KR101193641B1 (en) | 2010-04-21 | 2010-04-21 | Crops harvers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364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824Y1 (en) | 2018-11-29 | 2019-03-22 | 정동환 | Tuber harvester |
KR20200005850A (en) | 2018-07-09 | 2020-01-17 | 조항석 | Farm equipment for Crop harvest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2635A (en) | 2020-01-16 | 2021-07-26 | 정동환 | Tuber harvester |
-
2010
- 2010-04-21 KR KR1020100037040A patent/KR101193641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5850A (en) | 2018-07-09 | 2020-01-17 | 조항석 | Farm equipment for Crop harvesting |
KR200488824Y1 (en) | 2018-11-29 | 2019-03-22 | 정동환 | Tuber harves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17530A (en) | 2011-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8455B1 (en) | Harvester for cryptophyte | |
KR101193641B1 (en) | Crops harverster | |
KR100652515B1 (en) | Harvisting equipment of sweet potato | |
EP2615903A2 (en) | Lawn mower working head for garden work | |
KR200448815Y1 (en) | Harvisting equipment of sweet potato | |
KR101282927B1 (en) | Forward type agricultural products for tractor | |
KR20160100458A (en) | Crop harvesting farm equipment | |
CN103392452B (en) | A kind of groundnut picker | |
KR100929970B1 (en) | Farm equipment with many functions | |
KR20170000202A (en) | Double vibration type leaf and root vegetable and bulls such harvester | |
Olander | A review of berry harvest machine development in Sweden | |
CN203814211U (en) | Capsicum picker | |
JP4781250B2 (en) | Cutting blade of bean cutting device | |
CN207201322U (en) | A kind of cassava pulling machine | |
RU2202157C2 (en) | Hand-held tool for digging out of ground and harvesting of roots, preferably, potato | |
KR100718656B1 (en) | Crops harvester for a cultivator | |
KR200212531Y1 (en) | Harvester for edible roots | |
KR20160100441A (en) | Farm equipment with a highly versatile function | |
CN221812700U (en) | Portable manual peanut thresher | |
CN216820771U (en) | Manual peanut picking device | |
CN209930931U (en) | Seed melon harvester pricks melon roller rear portion and removes climing device and pickup attachment and seed melon harvester | |
JP2005110512A (en) | Manual seeding tool | |
JP3132699U (en) | Vegetable harvesting support device using agricultural tractor | |
JP2002176819A (en) | Root vegetable harvester | |
CN211881065U (en) | Sweet potato is collected and is used device of digg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