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878B1 -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878B1
KR101192878B1 KR1020100139230A KR20100139230A KR101192878B1 KR 101192878 B1 KR101192878 B1 KR 101192878B1 KR 1020100139230 A KR1020100139230 A KR 1020100139230A KR 20100139230 A KR20100139230 A KR 20100139230A KR 101192878 B1 KR101192878 B1 KR 101192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e
communication mode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314A (ko
Inventor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139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8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0Routing based on monitoring resu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모듈, 유선랜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을 구비한 무선랜 접속 라우터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 유선랜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설정하여 통신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모드 설정부에 의해 현재 설정된 통신 모드에서 통신 장애가 감지된 경우, 현재의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고, 새로운 통신 모드가 설정된 후 기존의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WIRELESS LAN ACCESS ROU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방식의 통신 방식 및 경로를 제공하는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전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에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고, 특히 다양한 통신 방식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것을 그 기본 기능으로 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이 무선랜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렇게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을 통한 이동통신 대신에 무선랜을 통해 접속하는 경우에는 그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종의 접속 장치(예를 들어 무선랜 라우터)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이 경우 무선랜 접속 장치 즉, 무선랜 라우터는 일반적으로 유선망에 접속한 상태에서 각종 통신 단말기와는 무선랜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통신 단말기가 전송하는 신호를 유선망에 전달하고 유선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해당 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무선랜 라우터가 연결된 유선망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통신 단말기 역시 인터넷 등과 연결할 수 없게 된다.
즉, 무선랜 라우터가 통신 단말기에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연결하는 통신망 또는 통신 방식이 유선망과 같이 단일의 통신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통신망에서의 통신 장애 발생시 통신 단말기에 통신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무선랜 라우터가 접속할 수 있는 통신망이 다양하게 구비되고, 그 무선랜 라우터가 상황별 적절한 통신망으로의 연결을 수행하는 방안의 제시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황별 적절한 통신망으로의 연결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랜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접속 라우터는, 이동통신 모듈과; 유선랜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과; 상기 이동통신 모듈, 유선랜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설정하여 통신 접속하는 통신 모드 설정부와; 상기 통신 모드 설정부에 의해 현재 설정된 통신 모드에서 통신 장애가 감지된 경우, 현재의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가 설정되도록 하고, 새로운 통신 모드가 설정된 후 기존의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을 해제하도록 상기 통신 모드 설정부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모듈, 유선랜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을 구비한 무선랜 접속 라우터의 제어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 유선랜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설정하여 통신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모드 설정부에 의해 현재 설정된 통신 모드에서 통신 장애가 감지된 경우, 현재의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고, 새로운 통신 모드가 설정된 후 기존의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랜 라우터는 다른 통신 모드로 전환할 때는 새로운 통신 접속을 수행한 이후에 기존의 통신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통신 단말기에의 무선랜 접속 서비스의 연결성을 보장할 수 있고, 현재 설정된 통신 모드에서 통신 장애가 감지된 경우 이전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현재의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가 설정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재 연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접속 라우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랜 접속 라우터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접속 라우터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접속 라우터의 구체적인 상황별 제어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접속 라우터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망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단말기(500)에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것을 그 기본 기능으로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500)와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근거리 무선랜 통신 방식에 의해 상호 통신할 수 있는데, 이때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복수 개의 통신 단말기(500)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이처럼 통신 단말기(500)에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해주기 위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통신망(300,400)과 연결이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여러 방식의 통신망 접속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가 통신망(300,400)에 접속하는 방식으로는 예를 들어 유/무선 공유기(200)를 거쳐 인터넷망(400)에 접속할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310)을 거쳐 이동통신망(3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무선 공유기(200)는 일종의 AP(Access Point)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와 유선 또는 무선랜 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여러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통신하고, 통신 중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다른 통신방식을 선택하여 재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기존 접속을 해제하기 전에 다른 통신 방식의 접속을 수행함으로써 그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접속을 위한 통신 방식을 선택함에 있어서 이전의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 상태를 참조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통신망 재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의 기능블록도를 참조하여 이러한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의 기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유선랜 통신 모듈(110), 무선랜 통신 모듈(120), 이동통신 모듈(130), 통신 모드 설정부(140), 동작 상태 저장부(170), 통신 제어부(150), 무선랜 접속 제공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무선랜 접속 제공부(160)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단말기(500)에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기(5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은 물론이고, 팩스, 컴퓨터, 스마트 TV 등 무선랜 통신이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무선랜 접속 제공부(160)는 공유기 모드와 릴레이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는데, 여기서 공유기 모드는 자체 구비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에 의해 통신 단말기(500)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것을 의미하고, 릴레이 모드는 자체 DHCP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소정 장치의 DHCP 기능을 릴레이해주는 즉, 외부 장치에 의해 각 통신 단말기(500)에 네트워크 주소가 할당되도록 하는 일종의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한편, 무선랜 접속 제공부(160)는 릴레이 모드에서 공유기 모드로 전환할 때 통신 단말기(500)에 기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릴레이 모드에서 공유기 모드로 전환할 때 자체 DHCP 기능을 이용하여 각 각 통신 단말기(500)에 새롭게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릴레이 모드에서 외부의 소정 장치에 의해 각 통신 단말기(500)에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유선랜 통신 모듈(110)은 예를 들어 랜 케이블과 같은 유선 케이블이 접속할 수 있는 접속 포트를 구비하고서 접속 포트에 연결되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 모듈이고, 무선랜 통신 모듈(120)은 예를 들어 무선 공유기와 Wi-Fi와 같은 근거리 무선랜 통신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 모듈이고, 이동통신 모듈(130)은 기지국(310)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이동통신망(300)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신 모듈이다.
통신 모드 설정부(140)는 이동통신 모듈(130), 유선랜 통신 모듈(110), 무선랜 통신 모듈(120)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설정하여 통신 접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신 모드 설정부(140)는 앞서 설명한 세 개의 통신 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모드 즉, 이동통신 모듈(130)에 대응되는 이동통신 모드, 유선랜 통신 모듈(110)에 대응되는 유선랜 통신 모드, 무선랜 통신 모듈(120)에 대응되는 무선랜 통신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것은 게이트웨이의 주소를 설정하는 것을 물론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방식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유선랜 통신 모드인 경우에는 유선랜 통신 모듈(110)에 연결된 외부 장치를 게이트웨이(default gateway)로 설정하여 통신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그 설정된 유선랜 통신 모듈(110)에 연결된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다른 예로써 이동통신 모드인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30)이 통신하는 이동통신망(300)의 소정 장치를 게이트웨이로 설정하여 통신 단말기(5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그 설정된 이동통신망(300)의 소정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다.
동작 상태 저장부(170)는 통신 모드 설정부(140)에서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른 동작 상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유선랜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통신하는 경우에는 동작 상태 저장부(170)는 그 설정된 유선랜 통신 모드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러한 통신 모드 상태 정보는 누적 저장할 수 있다.
즉, 현재의 통신 모드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통신 상태 정보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랜 통신 모드로 동작하던 중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여 유선랜 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하게 되는 경우 동작 상태 저장부(170)는 그 이전의 통신 모드(무선랜 통신 모드)와 해당 통신 모드에서의 장애 발생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50)는 통신 모드 설정부(140)에 의해 현재 설정된 통신 모드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통신 장애가 감지된 경우 현재의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가 설정되도록 통신 모드 설정부(140)를 제어한다. 이때 통신 제어부(150)는 새로운 통신 모드가 설정된 후 기존의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을 해제하도록 통신 모드 설정부(140)를 제어한다.
즉, 통신 제어부(150)는 통신 장애가 발생한다고 하여 현재의 통신 모드에 따른 접속을 먼저 해제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이 이루어진 후에 기존의 통신 모드에 따른 접속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접속이 이루어지는 통신망(예를 들어 이동통신망(300))과 기존의 접속이 이루어진 통신망(예를 들어 유선 인터넷망(400)) 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한 경우 그 연결성이 유지될 수 있다.
만일 기존의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의 해제가 새로운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 이전에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미 기존의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에 대한 정보가 삭제된 상태이므로, 새로운 접속이 이루어지는 통신망(예를 들어 이동통신망(300))과 기존의 접속이 이루어진 통신망(예를 들어 유선 인터넷망(400)) 간의 정보 교환이 가능한 경우라 하더라도 그 통신 연결성 유지가 용이하지 않다.
한편, 통신 제어부(150)는 통신 모드 설정부(140)에 의해 현재 설정된 통신 모드에서 통신 장애가 감지된 경우, 동작 상태 저장부(170)에 의해 저장된 이전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현재의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가 설정되도록 통신 모드 설정부(1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이전의 통신 모드가 무선랜 통신 모드이고 그 무선랜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 장애에 따라 현재 유선랜 통신 모드가 설정된 경우, 그 현재의 유선랜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 장애가 다시 발생하면 무선랜 통신 모드와 이동통신 모드 중에서 이전에 통신 장애가 발생하였던 무선랜 통신 모드를 제외한 이동통신 모드로 먼저 통신 채널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무선랜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장애가 해소되었다고 판단되기 전에는 그 통신 장애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고 가정하여, 다른 통신 모드 즉, 이동통신 모드로 우선 설정하여 통신을 시도함으로써 신속한 통신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이전의 통신 모드가 무선랜 통신 모드이고 그 무선랜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 장애에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유선랜이 연결됨으로써 기 설정된 접속 우선순위에 따라 현재의 유선랜 통신 모드로 설정된 경우, 그 현재의 유선랜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 장애가 다시 발생하면 무선랜 통신 모드와 이동통신 모드 중에서 이전에 정상적으로 이용하였던 무선랜 통신 모드로 먼저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의 제어방법을 하나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가 무선랜 통신 모드로 설정되어 있고, 정상 동작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단계 S1).
이 상태에서 유선랜의 새로운 접속이 감지되면(단계 S3)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기 설정된 연결 우선순위에 따라 유선랜 통신 모드로 설정 전환한다(단계 S5). 물론 유선랜 통신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무선랜 통신 모드에 따른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유선랜 통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통신 장애(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 에러)가 감지된 경우(단계 S7)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이전 동작 상태를 확인 하는데(단계 S9), 이전 동작 상태가 무선랜 통신 모드에서의 정상 동작 상태였기 때문에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무선랜 통신 모드로 설정 전환하고(단계 S11), 유선랜 통신 모드에 따른 접속을 해제한다(단계 S13).
한편, 무선랜 통신 장애를 감지한 경우(단계 S15)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유선랜 통신 모드로 설정 전환하는데(단계 S17), 이때도 설정 전환한 이후에 무선랜 통신 모드에 따른 접속을 해제할 수 있다.
유선랜 통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통신 장애(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 에러)가 감지된 경우(단계 S19)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이전 동작 상태를 확인 하는데(단계 S21), 이전 동작 상태가 무선랜 통신 모드에서의 통신 장애 발생 상태였기 때문에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이동통신 모드로 설정 전환하고(단계 S23), 유선랜 통신 모드에 따른 접속을 해제한다(단계 S13). 여기서 이동통신 모드로 설정전환됨에 따라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통신 단말기(500)에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릴레이 모드에서 공유기 모드로 전환될 수 있고, 이때 릴레이 모드에서 기 할당된 통신 단말기(500)들에 대한 네트워크 주소는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통신 모드가 변경되는 과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이하 설명에 이용되는 용어를 정의하면,
1. 이동통신과 관련해서는
(1) OFF : 이동통신 모듈(130)의 전원 OFF 상태
(2) Dormant/Preservation : 이동통신망(300)의 Connection을 유지하지만 무선구간 자원 반환 상태
(3) Connected : 이동통신망(300)과 Traffic Connection 된 상태를 의미하고,
2. 무선랜 통신과 관련해서는
(1) Sleep : HardWare OFF, WoW(Wakeup on Wlan) 또는 subnet 만 유지한 상태
(2) Scan/Connected : 주변의 AP(Access Point)와 연결된 사태로 주변에 더 적합한 AP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상태
3. Searching/Connecting : AP와 연결된 상태가 아니며, 주변에 적합한 AP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상태이고,
3. 유선랜 통신과 관련해서는
(1) Connected : 유선망 연결 후 DHCP 할당 및 사용이 가능한 상태
(2) Disconnected : 논리적으로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 및 물리적으로 LAN 여결이 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13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은 "3G/4G"(3세대 이동통신/4세대 이동통신을 의미)라 표시하고, 무선랜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은 "Wi-Fi"로 표시하며, 유선랜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은 "LAN"으로 표시한다.
우선, 도 4에는 유선랜 통신 모드 에서 무선랜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A 상태는 이전에 무선랜 통신 모드(즉, "Wi-Fi")로 동작했다가 LAN이 연결됨으로써 유선랜 통신 모드(즉, "LAN")로 전환한 상태를 의미한다. 현 시점에서 유선랜을 통한 접속 장애가 발생한 경우(예를 들어 유선랜의 접속 종료나 인터넷 사용 불가 등),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그 이전에 정상 연결되었던 무선랜 접속 모드로 전환한다. 이때,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가 이동할 경우를 대비하여 이동통신망(300)(즉, 3G/4G)에 접속한 후 Dormant/Preservation 상태로 천이한다.
이러한 전환이 이루어진 후 게이트웨이는 Wi-Fi를 통한 AP 접속으로 설정된다.
도 5는 Wi-Fi에서 3G/4G로 전환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동 도면은 예를 들어 Wi-Fi를 통한 AP 접속 중에 AP의 신호가 소정의 시간 동안 기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해당 AP와의 접속이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3G/4G로 전환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3G/4G로 설정된 경우에도 AP를 찾기 위한 시도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새로운 AP가 검색된 경우에는 다시 Wi-Fi로 접속할 수 있다.
도 6은 3G/4G 설정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 트래픽이 없는 경우 Sleep 모드로 진입하는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Sleep 모드는 일종의 대기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즉,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이동통신 모드(3G/4G), 무선랜 통신 모드(Wi-Fi), 유선랜 통신 모드(LAN) 이외에 데이터 트래픽이 없는 경우 전력 소모 등을 위해 대기 모드 상태로 진입할 수도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데이터 사용이 발생하지 않으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Dormant/Preservation로 상태 천이를 하고, 이때 Wi-Fi 역시 Sleep 또는 Off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subnet 의 데이터가 발생하면 이동통신 모드(3G/4G)는 connected 상태로 천이한다.
도 7은 Wi-Fi에서 일정시간 데이터 접속이 없는 경우의 천이 과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무선랜 통신 모드로 설정된 상태(즉, Wi-Fi AP에 접속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동안 데이터 사용이 발생하지 않으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3G/4G는 Dormant/Preservation 으로 상태 천이를 하고, Wi-Fi도 sleep 또는 Off 상태에 진입시킨다. 이 상태에서 subnet의 데이터가 발생하면 3G/4G는 connected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도 8은 데이터 접속이 없는 상태에서 데이터 발생시의 천이 과정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데이터 트래픽이 없어서 Sleep 모드로 진입한 경우, 다시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하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우선 3G/4G 접속을 시도하고, Wi-Fi는 깨어나 주기적인 검색과 접속 시도를 수행한다.
도 9에는 3G/4G에서 Wi-Fi로 변경되는 과정이 도시되었다.
3G/4G 연결 상태에서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주기적으로 Wi-Fi AP 검색 및 접속시도를 하고, 이때 Wi-Fi AP를 검색하는데 성공하여 접속하면, 실제 인터넷에 정상적으로 연결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정상적 인터넷이 가능한 경우에 게이트웨이를 Wi-Fi로 변경하고 3G/4G는 Dormant/Preservation로 진입시킨다.
도 10은 Wi-Fi 연결 상태에서 LAN으로 천이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Wi-Fi 연결 상태에서 유선랜이 연결되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LAN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면 게이트웨이를 LAN으로 변경하고 Wi-Fi는 기존 접속 정보를 유지한 상태로 Sleep 상태로 진입한다. 이때 3G/4G는 Off 상태가 된다.
도 11은 3G/4G 연결 상태에서 LAN으로 천이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3G/4G 연결 상태에서 유선랜이 연결되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LAN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확인결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면 게이트웨이를 LAN으로 변경하고 3G/4G는 Dormant/Preservation 상태로 천이한다. 이때 Wi-Fi는 Off 상태나 Sleep 상태로 천이한다.
도 12는 데이터 사용이 없는 상태에서 LAN으로 천이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사용이 없는 상태에서 유선랜이 연결되면,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LAN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면 게이트웨이를 LAN으로 변경시키고, Wi-Fi는 Off 또는 Sleep 에 진입시키며, 3G/4G는 Dormant/Preservation 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도 13은 LAN에서 3G/4G로 천이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A상태 이전에 Wi-Fi에 연결이 불가능했다고 가정한다.
무선랜 접속 라우터(100)는 LAN의 접속 종료나 인터넷 사용 불능 상태를 감지하면, 그 이전에 Wi-Fi 연결에 장애 등이 발생했었다는 정보를 참조하여 게이트웨이를 3G/4G로 설정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무선랜 접속 라우터 200 : 유/무선 공유기
300 : 이동통신망 310 : 기지국
400 : 인터넷망 500 : 통신 단말기
110 : 유선랜 통신 모듈 120 : 무선랜 통신 모듈
130 : 이동통신 모듈 140 : 통신 모드 설정부
150 : 통신 제어부 160 : 무선랜 접속 제공부
170 : 동작 상태 저장부

Claims (8)

  1. 이동통신 모듈, 유선랜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을 구비한 무선랜 접속 라우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모듈, 유선랜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설정하여 통신 접속하는 단계와;
    (a2)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른 동작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통신 모드에서 통신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a2) 단계에서 저장된 이전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현재의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한 후 기존의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접속 라우터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d)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유선랜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유선랜 통신 모드와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무선랜 통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해당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을 통한 릴레이 기능에 의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이동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이동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자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에 의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접속 라우터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공유기 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통신 단말기에 기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접속 라우터의 제어방법.
  5. 이동통신 모듈과;
    유선랜 통신 모듈과;
    무선랜 통신 모듈과;
    상기 이동통신 모듈, 유선랜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라 게이트웨이를 설정하여 통신 접속하는 통신 모드 설정부와;
    상기 통신 모드 설정부에 의해 현재 설정된 통신 모드에서 통신 장애가 감지된 경우, 현재의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가 설정되도록 하고, 새로운 통신 모드가 설정된 후 기존의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 접속을 해제하도록 상기 통신 모드 설정부를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통신 모드 설정부에서 설정된 통신 모드에 따른 동작 상태를 저장하는 동작 상태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드 설정부에 의해 현재 설정된 통신 모드에서 통신 장애가 감지된 경우, 상기 동작 상태 저장부에 의해 저장된 이전 통신 모드에서의 동작 상태를 기초로 현재의 통신 모드에 대응되는 통신 모듈을 제외한 나머지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통신 모드가 설정되도록 상기 통신 모드 설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접속 라우터.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신 단말기에 무선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랜 접속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랜 접속 제공부는 상기 유선랜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유선랜 통신 모드와 상기 무선랜 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무선랜 통신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해당 통신 모드에 따른 통신을 통한 릴레이 기능에 의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릴레이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이동통신 모듈에 대응되는 이동통신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자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기능에 의해 상기 통신 단말기에 네트워크 주소를 할당하는 공유기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접속 라우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랜 접속 제공부는 상기 릴레이 모드에서 공유기 모드로 전환할 때 상기 통신 단말기에 기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랜 접속 라우터.
KR1020100139230A 2010-12-30 2010-12-30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 KR101192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230A KR101192878B1 (ko) 2010-12-30 2010-12-30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230A KR101192878B1 (ko) 2010-12-30 2010-12-30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314A KR20120077314A (ko) 2012-07-10
KR101192878B1 true KR101192878B1 (ko) 2012-10-18

Family

ID=4671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230A KR101192878B1 (ko) 2010-12-30 2010-12-30 무선랜 접속 라우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8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314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85690A (ja) セッション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端末
EP2432270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point
US840620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structing network thereby
US2009028518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8830971B1 (en) Control of maximum number of concurrent local device connections for a mobile hotspot
US20120099572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communication device
EP2765821A1 (en) Multi-mode terminal service switchover method and device
CN102083136B (zh) 无线网络的控制方法及无线控制器
JP5068431B2 (ja) ワイヤレスlanシステム、中継端末装置および中継方法
WO2012046391A1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処理回路
CN102217373B (zh) 用于减少移动通信中的中断时间的系统和方法
JP5409326B2 (ja) 上層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20052092A (ko) 네트워크 중계 방법,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무선 통신 그룹
JP201251945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の不連続動作を支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の制御システム
CN103260150B (zh) 无线接入控制方法、无线接入点和无线接入控制器
EP3024277B1 (en) Control device, and base station
WO2010080392A2 (en) Adaptive networking for power savings
JP2009188680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の構築方法
CN102833605A (zh) 带路由功能的网络电视机系统
KR100612151B1 (ko) 통신모드를 자동 전환하는 단말장치, 이를 포함한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557327A (zh) 利用近程通信技术可直接与用户终端联动的独立型IoT网关
JP2012169971A (ja) 通信経路選択装置、通信経路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581954A (zh) 一种网络业务流程优化的方法及智能终端
CN107409350B (zh) 自动切换接入点的方法和无线路由设备
CN114449601A (zh) 一种组网下的流量共享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