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2710B1 - 인조손톱 - Google Patents

인조손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2710B1
KR101192710B1 KR1020120023761A KR20120023761A KR101192710B1 KR 101192710 B1 KR101192710 B1 KR 101192710B1 KR 1020120023761 A KR1020120023761 A KR 1020120023761A KR 20120023761 A KR20120023761 A KR 20120023761A KR 101192710 B1 KR101192710 B1 KR 101192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protrusion
attached
liquid adhesive
nai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학
Original Assignee
이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창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27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2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2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1/00Artificial nails

Landscapes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조손톱은, 자연손톱에 부착되는 인조손톱에 있어서, 자연손톱 위에 부착되며 두 개 이상의 타공홀들이 형성된 보조판; 및 바닥면에 돌기부가 돌출되며 상기 돌기부를 둘러싸도록 고립부가 형성된 손톱본체;를 포함하고, 액상 접착제가 돌기부의 돌출면에 도포되어 상기 손톱본체는 돌기부가 타공홀들의 상측에 놓이도록 보조판의 상면에 부착되되, 상기 고립부는 액상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도록 표면이 이형처리(Pating Treatment)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손톱본체가 보조판을 통하여 자연손톱에 부착되므로 상기 손톱본체의 탈부착시 자연손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액상 접착제가 돌기부에만 도포되므로 과도한 접착력을 제한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조손톱{Artificial nail}
본 발명은 인조손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손톱의 상면 위로 부착되는 손톱본체의 접착력을 제한하기 위하여 접착면적을 미리 정할 수 있으며 탈부착시에도 자연손톱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보조판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인조손톱에 관한 것이다.
네일아트 분야에서 자연손톱이 충분히 자라기 전에 매니큐어를 대신하여 인조손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인조손톱은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자연손톱 위에 부착되는 방식, 인조손톱의 바닥면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하어 자연손톱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들이 공지된 바 있으나, 이러한 방식들은 액상 접착제만큼 접착력이 좋지 않으므로 잘 사용되지 않다.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손톱(40)의 상면에 브러쉬(30)를 이용하여 액상 접착제를 도포한 후 손톱본체(1)를 부착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자연손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장하므로 자연손톱이 드러난 부분을 가리기 위해선 손톱본체의 재부착이 필수적이었다. 상기 인조손톱 부착용 액상 접착제는 매우 견고하게 손톱본체를 자연손톱에 부착시키므로 액상 리무버(remover)를 사용하여야만 손톱본체가 탈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무버 뿐만 아니라 액상 접착제는 화공약품으로서 인체에 좋지 않으므로 가급적 피부에 접촉시키지 않고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액상 접착제 및 리무버의 피부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선 액상 접착제의 도포시 도포되는 면적 및 도포 위치를 바르게 선정하여 접착력을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접착제가 너무 많이 도포되거나 잘못된 위치에 도포되는 경우 손톱본체의 탈거시 또는 외부충격에 의해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톱본체(1)의 분리와 함께 자연손톱(40)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액상 접착제의 도포량이 많은 경우 통상적으로 대략 1개월간은 착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인조손톱을 부착하고 있어야 했다.
즉, 손톱본체(1)와 자연손톱(40) 사이로 액상 리무버가 침투할 틈이 부족하여 그 틈이 증가될 때까지 대략 1개월간은 제거가 불가능하였고, 이로 인한 불편함은 착용자가 감수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브러쉬(30)를 미숙하게 사용하는 경우 액상 접착제가 손가락에 닿아 피부를 손상시키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따라서, 액상 접착제의 도포에 따른 접착력을 제한할 필요가 있었으며 액상 리무버가 침투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액상 접착제의 양과 도포될 위치를 미리 정해 놓을 수 있으며 액상 리무버가 침투가능한 인조손톱을 제공함으로서 네일아트 분야의 활성화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함이 주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손톱은, 자연손톱에 부착되는 인조손톱에 있어서, 자연손톱 위에 부착되며 두 개 이상의 타공홀들이 형성된 보조판; 및 바닥면에 돌기부가 돌출되며 상기 돌기부를 둘러싸도록 고립부가 형성된 손톱본체;를 포함하고, 액상 접착제가 돌기부의 돌출면에 도포되어 상기 손톱본체는 돌기부가 타공홀들의 상측에 놓이도록 보조판의 상면에 부착되되, 상기 고립부는 액상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도록 표면이 이형처리(Pating Treatment)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부의 돌출면은 타공홀의 면적 보다 두 배 이상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는 두 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들은 돌출면의 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립부의 이형처리는 감광성을 갖는 UV수지재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손톱본체가 보조판을 통하여 자연손톱에 부착되므로 상기 손톱본체의 탈부착시 자연손톱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액상 접착제가 돌기부에만 도포되므로 과도한 접착력을 제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판에는 타공홀이 형성되어 액상 리무버가 손톱본체와 보조판 사이에 더 효과적으로 침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돌기부 주변에 이형처리된 고립부가 형성되어 돌기부에 도포된 액상접착제가 보조판과 손톱본체의 접착면에서 누출되거나 착용자의 실수로 액상접착제가 잘못 도포되더라도 손톱본체와 보조판 사이의 접착력을 적정 범위 내에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돌기부는 두 개 이상 형성되어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일부 돌기부에만 도포함으로서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같는 본 발명은, 손톱본체를 자연손톱에서 탈거할 때, 종래의 방식에서는 액상 리무버가 손톱본체를 (화학적으로) 훼손 또는 파손시켜 손톱본체를 일회용으로 밖에 사용하지 못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액상 접착제가 제한된 면적에서만 도포되며 액상 리무버가 효과적으로 침투가능하므로 손톱본체의 용이한 탈거가 가능하며 반복적으로 탈부착될 수 있으므로 여러 차례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1 은 종래의 방식으로 손톱본체를 부착하는 모습 및 자연손톱이 손상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손톱본체와 보조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보조판과 손톱본체가 자연손톱 위에 순차적으로 부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들,
도 4 는 자연손톱 위에 부착된 상기 보조판과 손톱본체의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접착이란 두 물질간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친화력에 의해 결합되는 현상으로서 분리된 두 재질 간의 접착력은 접착제가 충분히 흡착될 수 있는 표면에너지가 높은 재질일수록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손톱본체는 액상 접착제가 적정량으로 도포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를 둘러싸도록 고립부가 형성되되, (돌기부를 제외한) 상기 고립부의 표면은 이형제(Parting Agent)의 도포를 통해서; 또는 감광성을 갖는 UV수지재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UV코팅(ultraviolet coating)을 통해서; 표면에너지가 더 낮아지거나 제거되도록 이형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조손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톱본체(10)는 자연손톱(40)의 형상과 유사하게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모양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톱본체(10)는 상면이 다양한 문양 및 색깔을 갖도록 디자인되되 바닥면에는 돌기부(11: 11a, 11b))가 돌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1)는 손톱본체(10)의 바닥면에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되 액상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소정의 넓이로 돌출면(돌기부의 바닥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부(11)는 두 개가 형성된다. 즉, 후방측에 형성된 제1돌기부(11a)와 전방측에 형성된 제2돌기부(11b)로 구성되며, 제1돌기부(11a)는 제2돌기부(11b) 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돌기부(11a) 및 제2돌기부(11b)가 둘러쌓여 고립되도록 고립부(12)가 형성된다. 상기 고립부(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상 접착제의 접착력을 억제시키기 위해 표면에너지가 낮아지도록 손톱본체(10)의 바닥면 표면에서 이형처리된 구역으로서 바닥면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판(20)의 크기만큼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인조손톱은 자연손톱(40) 위에 부착되되 다수 개의 타공홀들(21)이 형성된 보조판(20)이 제공된다. 상기 보조판(20)은 손톱본체(10)의 탈부착 시 자연손톱(4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상기 타공홀들(21)은 열(列)을 이뤄 형성되되 액상 접착제의 침투에 따른 접착력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각각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공홀들(21)은 돌기부들(11a, 11b) 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되 상기 돌기부(11a)의 돌출면이 맞닿게 됐을 때 액상 리무버가 침투가능한 공간을 어려방향에서 제공하도록 가급적 촘촘하게 배치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조손톱은 자연손톱(40) 위로 보조판(20)이 부착된 상태(또는 타공홀의 크기 또는 액상접착제의 도포량에 따라 부착되지 않고 올려놓은 상태)에서 그 위로 액상 접착제가 도포된 손톱본체(10)가 부착되어 고정된다. 액상 접착제는 돌기부들(11a, 11b)의 돌출면 표면에만 도포된 상태에서 보조판(20) 위로 부착된다.
이때, 손톱본체(10)와 보조판(20) 사이에서 옆으로 누출된 액상 접착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립부(12)에 도포되기도 하나 고립부(12)에 도포된 액상 접착제는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돌기부들(11a, 11b)이 접촉한 부분에서만 접착력이 발생되어 손톱본체(10)와 자연손톱(40) 사이에 일정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인조손톱은 손톱본체(10) 부착시 보조판(20)이 추가적으로 부착됨에 따라 자연손톱(40)과 손톱본체(10) 바닥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타공홀(21)은 돌기부(11)의 돌출면과 자연손톱(40) 사이에서 액상 리무버가 침투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인조손톱은 종래의 방식과 대비하여 더욱 용이하게 손톱본체(10)를 탈거시킬 수 있다.
따라서,본 발명의 인조손톱은 보조판(20)이 자연손톱(40) 위에 계속 부착된 상태에서 손톱본체(10)만을 여러번 탈부착하도 자연손톱(40)의 손상을 방지하며 액상 접착제 또는 액상 리무버의 침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착탈시 사용자의 고통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손톱본체(10)는 공지의 손톱본체와 같이 비교적 높은 표면에너지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와 같은 합성수재로 사출성형되어 제조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11)는 사출성형 시 일체로 사출되고 고립부(12)는 사출성형 이후 추가적은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손톱본체
20 : 보조판
30 : 브러쉬
40 : 자연손톱

Claims (4)

  1. 자연손톱에 부착되는 인조손톱에 있어서,
    자연손톱 위에 부착되며 두 개 이상의 타공홀들이 형성된 보조판; 및
    바닥면에 돌기부가 돌출되며 상기 돌기부를 둘러싸도록 고립부가 형성된 손톱본체;를 포함하고,
    액상 접착제가 돌기부의 돌출면에 도포되어 상기 손톱본체는 돌기부가 타공홀들의 상측에 놓이도록 보조판의 상면에 부착되되, 상기 고립부는 액상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도록 표면이 이형처리(Pating Treatment)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손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두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손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들은 돌출면의 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손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립부의 이형처리는 감광성을 갖는 UV수지재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照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손톱.
KR1020120023761A 2012-03-08 2012-03-08 인조손톱 KR101192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61A KR101192710B1 (ko) 2012-03-08 2012-03-08 인조손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61A KR101192710B1 (ko) 2012-03-08 2012-03-08 인조손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2710B1 true KR101192710B1 (ko) 2012-10-19

Family

ID=4728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761A KR101192710B1 (ko) 2012-03-08 2012-03-08 인조손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27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867A (ko) 2016-12-02 2018-06-12 이승익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이 가능한 인조손톱
KR20190007134A (ko) 2017-07-11 2019-01-22 주식회사 제논 인조 손톱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10068738A (ko) * 2019-12-02 2021-06-10 이광권 네일 아트용 보호 패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231Y1 (ko) 2007-03-12 2008-02-01 이창기업 주식회사 인조손톱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231Y1 (ko) 2007-03-12 2008-02-01 이창기업 주식회사 인조손톱 부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867A (ko) 2016-12-02 2018-06-12 이승익 사용자가 원하는 색상으로 착색이 가능한 인조손톱
KR20190007134A (ko) 2017-07-11 2019-01-22 주식회사 제논 인조 손톱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210068738A (ko) * 2019-12-02 2021-06-10 이광권 네일 아트용 보호 패치
KR102358443B1 (ko) * 2019-12-02 2022-02-03 이광권 네일 아트용 보호 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8397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substance from fingernails
KR101192710B1 (ko) 인조손톱
BR102014012034A2 (pt) autocolante de unha
US20140208488A1 (en) Goggle with Removable Noseguard
WO2007111927A3 (en) Odor neutraliz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90204048A1 (en) Easy removable bandage
JP6025184B1 (ja) 人工爪及び人工爪セット
PE20031015A1 (es) Unidad coherente de sistemas terapeuticos transdermicos separables
KR20200040743A (ko) 인조 속눈썹을 포함하는 미용 물품
US20200237566A1 (en) Bandage for applying arterial pressure
KR101553742B1 (ko) 경피 투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64672Y1 (ko) 여드름 패치 공급기
KR20150040062A (ko) 패치형 접착 테이프
KR102358443B1 (ko) 네일 아트용 보호 패치
KR20140139863A (ko) 손발톱 밴드
KR101609177B1 (ko) 네일젤 제거용 필름
KR20160002714U (ko) 인조손톱
US10130556B2 (en) Skin stretching tape and method of alleviating pain
KR101831790B1 (ko) 부착이 용이한 간편 인조손톱
JP6310977B2 (ja) 爪用シール及びシールシート
KR101100086B1 (ko) 네일아트기구
KR20180002064U (ko) 연고 내장형 밴드
KR20170102689A (ko) 네일용 스티커 및 이를 이용한 젤 도료 도포 방법
US2709443A (en) Finger-tip shield
US20180021179A1 (en) Protective Film For Application to An Individual's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