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668B1 -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668B1
KR101191668B1 KR1020120028838A KR20120028838A KR101191668B1 KR 101191668 B1 KR101191668 B1 KR 101191668B1 KR 1020120028838 A KR1020120028838 A KR 1020120028838A KR 20120028838 A KR20120028838 A KR 20120028838A KR 101191668 B1 KR101191668 B1 KR 101191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
amount
cash flow
item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근
김민옥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에서의 현금 흐름 예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현금 흐름 예측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인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원가의 각 비목들의 보할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계획 공정률과 기성 지급 기간(Billing time lag)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계획 공정률을 이용하여 현금 유입(Cash-in)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각 비목들의 보할이 적용된 원가에 대하여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으면, 상기 비목별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상기 현금 유입 일정 및 금액과 현금 유출 일정 및 금액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현금 흐름(Cash flow)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프로젝트 계획단계에서 자금계획을 미리 세워 실제 건설 프로젝트 수행시 최대한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차질없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현금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ash flow fore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project in planning stage}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현금흐름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설 프로젝트의 계획 단계에서 현금흐름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설업의 경우 하나의 기업이 여러 프로젝트를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동시다발적으로 수행하는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자금운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건설업의 특성상 프로젝트 1개의 수익성 악화가 회사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현금흐름의 예측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금흐름 예측이란 현재시점에서 미래의 특정시점의 현금보유 상태를 예측하는 것이다. 현금흐름의 예측을 통하여 현금흐름 추이의 분석이 가능하고 현장단위 및 회사 전체의 현금 수급 조절 시기의 예측이 가능하다.
대형화, 전문화, 고도화되고 있는 건설 프로젝트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현금흐름 예측은 선행되어야 한다. 국내외 많은 자료에서 현금흐름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지만, 실제 현금흐름 예측 시스템(모델)을 제시한 사례는 많지 않다.
종래 초기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계획단계에서 현금흐름 예측의 접근 방법은 수식화된 방법 또는 통계적 기법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를 건설 현장에서 관리자가 실무적으로 현금흐름 예측에 적용하기에는 활용도와 정확도면에서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실제 현금의 유입과 유출을 고려한 것이 아니라 기성의 흐름 및 원가의 흐름을 기준으로 한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실제 현금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성과 원가 발생의 시점과 실제 현금 유입 및 유출의 시점이 다르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기성의 흐름과 원가의 흐름으로 한 현금흐름의 예측은 정확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금흐름 예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변수인 지급기간을 고려하여 현금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건설실무자가 별도의 재무지식 없이 미리 프로젝트 계획단계에서 자금계획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현금 예측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현금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1개의 건설 프로젝트 계획단계에서 전 사업기간 동안 현금의 과부족없이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현금유입 및 현금유출을 고려하여 최적의 기성금 수령기간 및 현금 유입 금액과 각종 비용에 해당하는 지급기간 및 현금 유출 금액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현금흐름을 예측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의 현금 흐름 예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현금 흐름 예측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인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원가의 각 비목들의 보할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계획 공정률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계획 공정률에 의해서 현금 유입(Cash-in)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각 비목들의 보할이 적용된 원가에 대하여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으면, 상기 비목별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상기 현금 유입 금액과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현금 흐름(Cash flow)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현금 유입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계획 공정률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계획 공정률을 이용하여 기성금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상기 기성금 산출에 따라 기성 지급 기간(Billing Time Lag)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상기 기성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입(Cash-in)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현금 유입 금액과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현금 흐름(Cash flow)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현금 유입 금액과 상기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여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보다 크면, 현금 흐름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현금 유입 액이 현금 유출 액보다 작으면, 프로젝트의 정보를 수정 반복하여 최적의 현금 흐름 조건을 출력한다.
상기 현금 흐름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현금 흐름의 수치를 나타낸 표(Table)와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현금 유출 일정과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매월 발생할 원가를 입력받으면, 기성금 대비 입력된 원가에 대한 원가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각 비목들의 보할이 적용된 원가에 대하여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으면, 상기 비목별 보할과 상기 비목별 지급 기간을 이용하여 비목별 원가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상기 비목별 원가와 비목별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에서, 사용자로부터 현금 흐름 예측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인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금 흐름을 예측하고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현금 흐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현금 흐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금 유입(Cash-in) 일정 및 금액과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고, 현금 유입 금액과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현금 흐름(Cash flow)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를 통해 사업비, 실행예산, 선수금, 사내 이자율, 매월 발생할 원가, 계획 공정률, 원가에 대한 비목별 보할,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가에 대하여 비목별 보할을 적용하고, 상기 계획 공정률과 기성 지급 기간(Billing time lag)을 이용하여 현금 유입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비목별 보할이 적용된 원가에 대하여 설정된 상기 비목별 지급 기간을 이용하여 현금 유출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금 유입 금액과 상기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여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보다 크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현금 흐름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금 유입 금액과 상기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여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보다 작으면, 상기 제어부를 통해 현금흐름예측을 다시 수행한다.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금 흐름을 표(Table) 또는 그래프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함에 있어 데이터를 입력하면서 용이하게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는 방식으로 현금 흐름을 예측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건설 프로젝트 계획단계에서 자금계획을 미리 세워 실제 건설 프로젝트 수행시 최대한 리스크를 감소시키고 차질없이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현금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시한 현금흐름 예측 시스템을 통하여 건설공사의 계획단계에서 최적의 현금 보유안을 찾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현금 흐름 예측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통해 건설 프로젝트 수행 시 현금부족이 발생하지 않고, 이로 인한 기회비용 손실을 초래하지 않도록 최고 의사결정권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의 현금 흐름 예측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의 전체 화면을 도시한 화면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의 건설 프로젝트 정보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의 건설 프로젝트 정보 입력화면과 현금 흐름 시뮬레이션의 출력 화면이 함께 디스플레이된 화면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시뮬레이션의 그래프를 도시한 화면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현금 흐름 예측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인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사업비, 실행예산, 선수금, 사내 이자율, 매월 발생할 원가, 계획 공정률, 비목별 보할 및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프로젝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금 흐름을 예측하고 산출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20)는 입력된 프로젝트 정보를 이용하여 매월 현금 유입(Cash-in) 일정 및 금액과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고, 현금 유입 금액과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현금 흐름(Cash flow)을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현금 흐름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30)는 데이터베이스(DB)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현금 흐름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출력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현금 흐름을 표(Table) 및 그래프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계획 공정률을 이용하여 현금 유입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한다. 또한, 매월 발생할 원가에 대하여 비목별 보할을 적용하고 비목별 지급 기간을 이용하여 현금 유출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한다. 여기서, 지급기간은 기성 및 원가 발생 후 실제 현금 집행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20)는 현금 유입과 현금 유출을 비교하여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보다 크면, 출력부(140)를 통해 현금 흐름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 제어부(120)는 현금 유입과 현금 유출을 비교하여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보다 작으면, 정보 입력부(110)에서의 정보를 수정 반복하여 계속적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최적의 현금 흐름 조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제 이러한 구성을 갖는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에서 현금 흐름 예측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의 현금 흐름 예측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현금 흐름 예측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인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다(S201). 예를 들어, 프로젝트 정보는 사업비, 실행 예산, 공사기간, 선수금, 사내 이자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원가의 각 비목들의 보할을 적용한다(S203). 본 발명에서 보할이란 실행 예산에서 각 비목들이 차지하는 구성비를 의미한다.
다음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계획 공정률을 입력받는다(S205).
계획 공정률이 입력되면,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계획 공정률을 이용하여 기성금을 산출한다(S207).
그리고, 기성금 산출에 따라 기성 지급 기간(Billing Time Lag)을 설정한다(S209).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기성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입(Cash-in) 일정과 금액을 결정한다(S211).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매월 발생할 원가를 입력받으면, 기성금 대비 입력된 원가에 대한 원가율을 산출한다.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각 비목들의 보할이 적용된 원가에 대하여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는다(S213, S215). 예를 들어, 각 원가 비목들은 재료비, 노무비, 외주비, 경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비목별 원가와 비목별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한다(S217).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현금 유입 일정 및 금액과 현금 유출 일정 및 금액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현금 흐름(Cash flow)을 출력하는데, 먼저 현금 유입과 현금 유출을 비교한다(S219).
비교 결과,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보다 크면, 현금 흐름을 출력한다(S221). 반면,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보다 작으면, S201 내지 S219 단계를 반복하여 현금 유입이 현금 유출보다 큰 경우가 될 때까지 각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S221 단계에서 현금 흐름을 수치로 나타낸 표와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화면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의 전체 화면을 도시한 화면예이며,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한 현금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며 간단하게 접근할 수 있는 현금흐름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금의 전체적인 흐름을 수치로 나타낸 표와 그래프로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전체화면의 구성을 한 화면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화면에는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하는 창, 결과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및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컨트롤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수치로 표현하여 나타내는 창과 그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나는 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제 도 3의 전체 화면에서 각 창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의 건설 프로젝트 정보 입력 화면을 보여주는 화면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는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한다. 즉, 사용자는 프로젝트 코드 및 프로젝트 명을 입력하고 'select date'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젝트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기간을 설정하고 나면 공사기간이 자동으로 계산된다.
도 4의 화면은 사업비, 실행예산, 선수금, 사내이자율 및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과 각 비목의 보할을 입력하는 화면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보할별 금액은 다음과 같이 산정될 수 있다.
보할별 금액 = 실행예산 × 각 비목별 보할
이제 본 발명에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도 4의 각 항목의 용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업비는 개개의 사업에 소요되는 모든 경비를 의미한다. 보통 총사업비 관리대상 사업은 대부분 고속도로, 국도, 지하철, 공항, 철도, 댐, 상수도 및 항만 등 대규모 토목사업, 건축분야 및 플랜트 등에 집중되어 있다.
실행예산은 당해 공사의 계약체결 후에 공사현장의 제반조건, 공사시공의 제반조건 등에 대한 조사결과를 면밀하게 검토 분석한 후에, 공사의 계약 내역과는 별도로 공사를 시공하는 회사의 제반 경영 방침 등에 입각하여 편성한 당해 공사의 완공까지에 필요한 실제 소요공사비를 말한다.
선수금은 발주처로부터 공사를 완성하기 이전에 그 대가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취한 금액을 말하는데, 수주공사 또는 수주품의 거래에서 발생한 대금의 선수액을 말한다.
사내이자율은 이자 산출의 기초가 되는 일정의 비율로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내이자율은 회사 내에 이자 산출의 기초가 되는 일정의 비율을 뜻한다.
지급기간(Time Lag)은 기성 및 원가 발생 후 실제 현금 집행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기간을 의미한다.
보할은 실행예산의 각 비목들이 차지하고 있는 구성비를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의 건설 프로젝트 정보 입력화면과 현금 흐름 시뮬레이션의 출력 화면이 함께 디스플레이된 화면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 입력부 화면(1, 2)과 출력부 화면(3, 4)이 함께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입력부(1)의 계획 공정률을 입력받게 되면, 출력부 화면(3)과 같이 계획 공정률에 따른 기성금과 기성금 누계가 산출된 결과 값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정보 입력부(2)의 원가를 입력받게 되면, 출력부 화면(3)과 같이 기성금 대비 원가인 원가율이 산출된 결과 값이 디스플레이된다. 출력부 화면(4)는 원가에 대한 원가 누계, 각 비목별 즉, 재료비, 노무비, 외주비, 경비에 대한 원가, 현금유입금액, 현금유출금액, 현금유입금액과 현금유출금액에 대한 차액, 차액에 대한 차액누계, 차액누계에 따라 발생되는 금액에 사내 이자율을 적용한 금융비용이 산출된 결과 값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입력한 프로젝트 기간에 해당하는 각 달이 년도와 월로 표현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프로젝트의 계획공정률과 원가를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계획 공정률에 따른 각 달의 기성금이 산출되며, 원가를 입력하게 되면 기성금 대비 원가금액이 계산되어 원가율이 자동으로 산출된다.
이와 같이 입력이 완료된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plication control에 있는 simulation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기성 지급 기간(Billing Time Lag)과 각 비목별 지급기간(Time Lag)이 적용된 현금유입과 현금유출의 값이 계산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현금유입과 현금유출의 차액을 통해서 매달의 현금흐름의 상태가 어떠한지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계산된 차액누계를 통하여 사내이자율을 적용시켜 금융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은 입력 수치 값을 변화시켜 입력하여 현금흐름 상태를 다양하게 시뮬레이션하여 현금흐름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여러 대안을 예측해 볼 수 있다.
도 5의 화면예에서는 한 화면에 볼 수 있는 표를 12개월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년 단위로 보기 쉽게 구성한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금 흐름 시뮬레이션의 그래프를 도시한 화면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금흐름 시뮬레이션에 대한 그래프 출력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6은 도 5에 나타난 현금 흐름 예측 결과값을 통해서 현금흐름의 상태를 한 눈에 파악하기 쉽게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는 창을 도시한 화면예이다.
도 6의 그래프 상에는 기성금 누계 및 원가 누계와 차액 및 차액누계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 현금유입과 현금유출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한 화면을 구성하는 기간을 12개월로 설정하여 년 단위로 그래프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사용자가 보기 쉽도록 구현한 실시예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의 현금 흐름 예측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출력부

Claims (10)

  1.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이 수행하는 현금 흐름 예측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현금 흐름 예측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인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원가의 각 비목들의 보할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계획 공정률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계획 공정률을 이용하여 현금 유입(Cash-in) 일정과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각 비목들의 보할이 적용된 원가에 대하여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으면, 상기 비목별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은 상기 현금 유입 일정 및 금액과 현금 유출 일정 및 금액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현금 흐름(Cash flow)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현금 유입 일정과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계획 공정률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계획 공정률을 이용하여 기성금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성금 산출에 따라 기성 지급 기간(Billing Time Lag)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성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입(Cash-in)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현금 유출 일정과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매월 발생할 원가를 입력받으면, 기성금 대비 입력된 원가에 대한 원가율을 산출하는 단계, 각 비목들의 보할이 적용된 원가에 대하여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으면, 상기 비목별 보할과 상기 비목별 지급 기간을 이용하여 비목별 원가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목별 원가와 비목별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흐름 예측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 유입 일정 및 금액과 현금 유출 일정 및 금액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현금 흐름(Cash flow)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현금 유입 금액과 상기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여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 이상이면, 현금 흐름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현금 유입 금액과 상기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여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보다 작으면,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수정하고,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내지 상기 현금 흐름을 출력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현금 흐름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흐름 예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금 흐름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현금 흐름의 수치를 표와 그래프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흐름 예측 방법.
  5. 삭제
  6.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을 예측하기 위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에서,
    사용자로부터 현금 흐름 예측에 필요한 기본적인 데이터인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금 흐름을 예측하고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현금 흐름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현금 흐름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로젝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금 유입(Cash-in) 일정 및 금액과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고, 현금 유입 일정 및 금액과 현금 유출 일정 및 금액을 비교하고 판단하여 현금 흐름(Cash flow)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를 통해 계획 공정률을 입력받으면, 입력된 계획 공정률을 이용하여 기성금을 산출하고, 상기 기성금 산출에 따라 기성 지급 기간(Billing Time Lag)을 설정하고, 상기 기성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입(Cash-in)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며, 상기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매월 발생할 원가를 입력받으면, 기성금 대비 입력된 원가에 대한 원가율을 산출하고, 각 비목들의 보할이 적용된 원가에 대하여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사용자로부터 설정받으면, 상기 비목별 보할과 상기 비목별 지급 기간을 이용하여 비목별 원가를 산출하고, 상기 비목별 원가와 비목별 지급 기간을 고려하여 현금 유출(Cash-out)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를 통해 사업비, 실행예산, 선수금, 사내 이자율, 매월 발생할 원가, 계획 공정률, 비목별 보할 및 각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포함하는 프로젝트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가에 대하여 비목별 보할을 적용하고, 상기 계획 공정률을 이용하여 현금 유입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고, 상기 비목별 보할이 적용된 원가에 대하여 설정된 상기 비목별 지급 기간(Time lag)을 이용하여 현금 유출 일정 및 금액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금 유입 금액과 상기 현금 유출 금액을 비교하여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 이상이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현금 흐름을 출력하고, 현금 유입 금액이 현금 유출 금액보다 작으면 상기 프로젝트 정보 입력부를 통해 프로젝트 정보를 수정하고, 수정된 프로젝트 정보를 이용하여 현금 흐름을 예측하고 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현금 흐름을 표 및 그래프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KR1020120028838A 2012-03-21 2012-03-21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KR101191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838A KR101191668B1 (ko) 2012-03-21 2012-03-21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838A KR101191668B1 (ko) 2012-03-21 2012-03-21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668B1 true KR101191668B1 (ko) 2012-10-17

Family

ID=4728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838A KR101191668B1 (ko) 2012-03-21 2012-03-21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6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03B1 (ko) * 2012-12-05 2014-12-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정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현금흐름 예측 방법
CN112785271A (zh) * 2021-01-26 2021-05-11 宝钢工程技术集团有限公司 工程项目全周期的现金流管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50B1 (ko) * 2006-04-25 2007-05-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현금흐름의 분석에 의한 건설공사용 리스크 관리방법 및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의 분석에 의한건설공사용 리스크 관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50B1 (ko) * 2006-04-25 2007-05-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현금흐름의 분석에 의한 건설공사용 리스크 관리방법 및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의 분석에 의한건설공사용 리스크 관리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형근. 건설회사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구축 방법에 대한 사레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9권 제3D호. 391-397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703B1 (ko) * 2012-12-05 2014-12-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정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현금흐름 예측 방법
CN112785271A (zh) * 2021-01-26 2021-05-11 宝钢工程技术集团有限公司 工程项目全周期的现金流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 et al. A financial decision making framework for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5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sari Dynamic simulation model for project change-management policies: Engineering project case
Xie et al. Quantitative method for updating cost contingency throughout project execution
Gelisen et al. Automated productivity-based schedule animation: Simulation-based approach to time-cost trade-off analysis
KR100712050B1 (ko) 현금흐름의 분석에 의한 건설공사용 리스크 관리방법 및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의 분석에 의한건설공사용 리스크 관리방법 및 장치
Lee et al. Stochastic project financing analysis system for construction
Shafieezadeh et al. A system dynamics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project planning policies
Aziz Optimizing strategy for repetitive construction projects within multi-mode resources
Alavipour et al. Impact of contractor's optimized financing cost on project bid price
Tavakolan et al. Developing an optimization financing cost-scheduling trade-off model in construction project
Lucko Supporting financial decision-making based on time value of money with singularity functions in cash flow models
Abeysekara et al. Improving the capital deployment efficiency: An infrastructure investment planning process in transportation project
Afra et al.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integrated project scheduling and material ordering problem: Formulations and solution methods
Su et al. Synthetic cash flow model with singularity functions for unbalanced bidding scenarios
KR101191668B1 (ko) 건설 프로젝트 계획 단계에서 현금 흐름 예측 시스템 및 방법
Lee et al. Delay analysis considering production rate
Iyer et al. Impact of delay and escalation on cash flow and profitability in a real estate project
JP2016033704A (ja) 損益予測装置及び損益予測プログラム
Liu et al. Two‐stage profit optimization model for linear scheduling problems considering cash flow
Jiang Negotiating construction contracts through practical cash flow planning and analysis model
Ock et al. A study on the algorithm of cash flow forecasting model in the planning stage of a construction project
Boskers et al. Modeling scheduling uncertainty in capital construction projects
AbdulRazaq et al. Investigating the Practice of Cash flow forecasting by Contractors in Nigeria
Chitongo et al. Unintended negative effects of client project cost controls: A system dynamics approach
de Valence Project init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