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083B1 -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90083B1 KR101190083B1 KR1020110026469A KR20110026469A KR101190083B1 KR 101190083 B1 KR101190083 B1 KR 101190083B1 KR 1020110026469 A KR1020110026469 A KR 1020110026469A KR 20110026469 A KR20110026469 A KR 20110026469A KR 101190083 B1 KR101190083 B1 KR 1011900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cement
- plunger
- piezoelectric element
- expanding unit
- upp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34—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conducting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mall quantities, e.g. drops, of coating material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을 제어하는 플런저의 승강 방향과 직교변위 하도록 압전소자를 구성하며, 다양한 변위확대기구를 통하여 압전소자의 변위를 확대하여 플런저에 전달하고, 커팅 분사 방식을 적용하여 노즐부의 충격을 방지하게 되는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압전소자를 이용해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디스펜싱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변위확대기구를 이용한 직교변위 압전소자를 통해 디스펜싱 용량을 증대시켜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적 분사를 위한 플런저와 노즐이 비충격식으로 구성되어 디스펜서의 내구성 증대 및 액적의 균일한 분사가 보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압전소자를 이용해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디스펜싱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변위확대기구를 이용한 직교변위 압전소자를 통해 디스펜싱 용량을 증대시켜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적 분사를 위한 플런저와 노즐이 비충격식으로 구성되어 디스펜서의 내구성 증대 및 액적의 균일한 분사가 보장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을 제어하는 플런저의 승강 방향과 직교변위 하도록 압전소자를 구성하며, 다양한 변위확대기구를 통하여 압전소자의 변위를 확대하여 플런저에 전달하고, 커팅 분사 방식을 적용하여 노즐부의 충격을 방지하게 되는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자제품이나 통신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반도체 칩의 제조를 위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디스펜싱 작업을 제공하되, 직교변위형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밸브 니들의 확대시켜 디스펜싱의 유량도 확대시키는 변위확대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디스펜싱의 적용사례는 국내 주요 수출 분야인 반도체와 통신 분야에서부터 컴퓨터, 자동차, 의료, 바이오분야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최근의 반도체 산업의 경우 기판과 칩을 일체화시키는 CoB나 국내 주력 수출 산업인 디스플레이 분야 등 접착제의 정량투입은 정확성을 요하는 분야다.
특히 PCB의 경우, 소형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어 반도체 칩이 보다 조밀해지며 정밀한 액적(droplet)토출이 필요하다. 또한 제품 생산업체의 경우, 디스펜서의 정확성과 함께 생산속도 면에서도 보다 빠른 속도를 제공하는 장비를 요구하고 있어 디스펜서 장비 업체들의 기술진보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종래에도 압전소자를 이용한 디스펜서 (한국공개특허 : 10-2006-0092440호)가 공개된 바 있지만, 종래의 압전소자를 이용한 디스펜서는 전계 신호에 따라 변위를 발생하는 적층형PZT가 발생력은 크지만 그 변위의 폭이 수십㎛(micro meter)에 불과하므로, 다이어프램의 변위의 폭을 크게 가져갈 수 없어 유체의 디스펜싱 유량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층형 압전소자의 변위를 확대하기위한 수단으로 지렛대원리를 이용한다든지, 단면적의 차이를 이용해 변위를 증폭시키는 기존 실시 예(한국등록특허 : 10-0873195호, 한국등록특허 : 10-0704286호, 한국등록특허 : 10-0680601호)가 공지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디스펜서(한국등록특허 : 10-0704286호)를 도시한 도면으로 적층형 압전소자(20)의 변위를 제1 피스톤(15)에 전달하고 제1 피스톤(15)과 다이어프램(27)의 면적 차를 이용하여 밸브니들(25)의 변위를 확대하여 디스펜싱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디스펜서는 적층형 압전소자의 작은 변위를 이용하기 때문에 변위를 확대해도 큰 변위를 기대하기 어려워 디스펜싱 유량이 작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밸브니들(25) 승강 시 밸브노즐(12)과의 충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밸브니들(25) 및 노즐(12)의 마모로 인해 액적의 크기가 불균일하고 심할 경우 교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형 압전소자를 플런저의 승강 방향과 직교변위 하도록 구성하고, 변위확대기구를 통해 확대된 변위를 플런저에 전달하여 확대된 플런저 변위를 갖는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플런저의 끝단이 노즐에 충격되지 않도록 비충격식 노즐부를 구성하여 플런저 또는 노즐의 마모가 감소되는 디스펜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되, 실린지용기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흡입유로(21)와, 상기 흡입유로(21)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타단으로 토출하는 노즐(22)을 포함하는 분사부(2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는 변위확대부(30); 상기 변위확대부(30)에 전계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변위확대부(30)의 변위를 제어하는 제어부(40); 일단이 상기 변위확대부(3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변위확대부(30)의 변위에 의해 상기 노즐(22)을 따라 승강하는 플런저(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변위확대부(30)는, 상부프레임(31a)과, 상기 상부프레임(31a)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는 하부프레임(31b)과, 상기 상부프레임(31a)의 둘레와 상기 하부프레임(31b)의 둘레를 연결하는 측면프레임(31c)으로 구성되는 변위확대유닛(31); 및 상기 변위확대유닛(31)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플런저(6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여 변위하도록 적층되는 압전소자(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31a)은 중심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1b)은 중심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상부프레임(31a)은 중심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1b)은 중심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료, 상기 변위확대부(30)는, 상부프레임(34a)과, 상기 상부프레임(34a)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는 하부프레임(34b)과, 상기 상부프레임(34a)과 하부프레임(34b)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플런저(6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여 변위하도록 적층되는 압전소자(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변위확대부(30)는, 복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흡입유로(21)의 타단은, 상기 플런저(60)의 상승 시 상기 플런저(60)의 끝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런저(60)의 하강 시 상기 플런저(60)의 끝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노즐(22)의 측면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런저(60)는, 타단면 둘레에 블레이드(61)가 형성되도록 타단면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며, 플런저(60) 하강 시 상기 블레이드(61)를 통해 상기 노즐(22)로 유입되는 액체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압전소자를 이용해 정밀하고 신뢰성 있는 디스펜싱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변위확대기구를 이용한 직교변위 압전소자를 통해 디스펜싱 용량을 증대시켜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적 분사를 위한 플런저와 노즐이 비충격식으로 구성되어 디스펜서의 내구성 증대 및 액적의 균일한 분사가 보장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펜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디스펜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압전소자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디스펜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디스펜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압전소자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플런저 부분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 작동상태 단면도(액체 충전 시)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 작동상태 단면도(액적 토출 시)
도 12는 도 6의 복수 개의 변위확대부를 갖는 디스펜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디스펜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압전소자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디스펜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디스펜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압전소자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플런저 부분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 작동상태 단면도(액체 충전 시)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펜서 작동상태 단면도(액적 토출 시)
도 12는 도 6의 복수 개의 변위확대부를 갖는 디스펜서 단면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스펜서는 하우징(10), 분사부(20), 변위확대부(30), 제어부(40) 및 플런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10) 상의 분사부(20)로 실린지용기 내부에 충전되어 있는 액체를 공급하여, 하부의 노즐(22)을 통해 토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내부에는 제어부(40)에 의해 변위하는 변위확대부(30), 상기 변위확대부(30)의 변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플런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가 중공되는 통상의 디스펜서의 몸체구성이 적용되는 바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분사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 액체가 유동되는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분사부(20)는 흡입유로(21)와 노즐(22)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유로(21)의 일단은 실린지용기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노즐(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유로(21)를 통해 상기 실린지용기에서 공급되는 액체를 노즐(22)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흡입유로(21)의 타단은 상기 노즐(22)의 측면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노즐(22)은 상기 흡입유로(21)로부터 유입되는 액체를 타단으로 토출하기 위한 공간이며, 내부에 상기 플런저(60)가 삽입되어 플런저(60)의 승강에 의해 액적을 토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유로(21)의 타단은 상기 플런저(60)의 상승 시 상기 플런저(60)의 끝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런저(60)의 하강 시 상기 플런저(60)의 끝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플런저(60)와 노즐(22)은 충격 없이 상기 플런저(60)가 개방된 노즐(22)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하는 승강만으로 상기 흡입유로(21)에서 유입되는 액체를 충전하고 토출하게 된다.
상기 변위확대부(30)는 다양한 실시 예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변위확대부(30)의 상세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 예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변위확대부(30)는 변위확대유닛(31)과 압전소자(32)로 구성된다. 상기 변위확대유닛(31)은 내부에 압전소자(32)가 내설되며 압전소자(32)의 변위를 확대하여 상기 플런저(60)로 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변위확대유닛(31)은 상기 압전소자(32)의 변위에 의해 중심이 승강될 수 있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위확대유닛(31)은 상부프레임(31a), 하부프레임(31b) 및 측면프레임(31c)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1a)의 상면에는 제1 고정부(31d)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31d)는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1a)의 하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부프레임(31b)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1b)의 하면에는 제2 고정부(31e)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31e)는 상기 플런저(60)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측면프레임(31c)은 상기 상부프레임(31a)의 하면 둘레와 상기 하부프레임(31b)의 상부 둘레를 연결하도록 링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31c)의 내측면에는 상기 압전소자(32)의 끝단 둘레가 연결되며 이를 위해 제3 고정부(31f)가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압전소자(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면을 갖는 압전소자를 수 백층 적층 결합된 적층형 압전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전소자(32)의 변위 방향은 상기 플런저(6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전소자(32)는 복수 개가 연결블록(33)을 중심으로 대칭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프레임(31a)은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중심이 둘레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31d)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1b)은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중심이 둘레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 고정부(31e)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압전소자(32)가 변위하면 상부프레임(31a)과 하부프레임(31b)에 동시에 변형을 가하게 되어 확대된 변위를 플런저에 전달하게 된다. 상세 작동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실시 예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변위확대부(30)는 변위확대유닛(31)과 압전소자(32)로 구성된다. 상기 변위확대유닛(31)은 내부에 압전소자(32)가 내설되며 압전소자(32)의 변위를 확대하여 상기 플런저(60)로 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변위확대유닛(31)은 상기 압전소자(32)의 변위에 의해 중심이 승강될 수 있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변위확대유닛(31)은 상부프레임(31a), 하부프레임(31b) 및 측면프레임(31c)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1a)의 상면에는 제1 고정부(31d)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부(31d)는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1a)의 하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부프레임(31b)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1b)의 하면에는 제2 고정부(31e)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31e)는 상기 플런저(60)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측면프레임(31c)은 상기 상부프레임(31a)의 하면 둘레와 상기 하부프레임(31b)의 상부 둘레를 연결하도록 링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프레임(31c)의 내측면에는 상기 압전소자(32)의 끝단 둘레가 연결되며 이를 위해 제3 고정부(31f)가 내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압전소자(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단면을 갖는 압전소자를 수 백층 적층 결합된 적층형 압전 액추에이터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전소자(32)의 변위 방향은 상기 플런저(6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전소자(32)는 복수 개가 연결블록(33)을 중심으로 대칭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부프레임(31a)은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중심이 둘레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고정부(31d)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1b)은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성되며, 중심이 둘레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 고정부(31e)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압전소자(32)가 변위하면 상부프레임(31a)과 하부프레임(31b)에 동시에 변형을 가하게 되어 확대된 변위를 플런저에 전달하게 된다. 상세 작동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위확대부는 제1 실시예의 구성보다 변위확대공간을 적게 차지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공간확보 측면에서 유리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압전소자(32)가 변위하면 상부프레임(31a)과 하부프레임(31b)에 동시에 변형을 가하게 되어 확대된 변위를 플런저에 전달하게 된다. 상세 작동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 실시 예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변위확대부(30)는 상부프레임(34a), 하부프레임(34b) 및 압전소자(35)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4a)과 하부프레임(34b)사이에는 압전소자(35)가 설치되며 압전소자(35)의 변위를 확대하여 상기 플런저(60)로 전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상부프레임(34a)과 하부프레임(34b)은 상기 압전소자(35)의 변위에 의해 중심이 승강될 수 있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34a)은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구성되며, 중심이 둘레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4a)의 상면 중심은 상기 하우징(10)의 상측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프레임(34a)의 하측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하부프레임(34b)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4b)은 둘레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구성되며, 중심이 둘레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34b)의 하면 중심에는 상기 플런저(60)의 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압전소자(35)는 상기 상부프레임(34a)의 하면 둘레와 상기 하부프레임(34b)의 상면 둘레에 고정된다. 상기 압전소자(3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형 압전소자로 원형 디스크 압전세라믹을 다수로 적층하여 반경방향으로 인장하는 변위를 이용해 상기 상부프레임(34a)과 하부프레임(34b)의 변위를 확대한다. 이때 상기 압전소자(35)의 변위 방향은 상기 플런저(6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전소자(35)는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이 원형으로 구성되거나,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위확대부는 변위확대효과를 간단한 구성을 통해 구현할 수 있어 제작비용과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위확대부(30)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하 적층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변위를 추가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압전소자(35)가 변위하면 상부프레임(34a)과 하부프레임(34b)에 동시에 변형을 가하여 확대된 변위를 플런저에 전달하게 된다. 상세 작동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압전소자(32, 35)에 연결되며, 상기 압전소자에 전계 신호를 인가하여 압전소자의 변위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4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변위확대부(30)의 변위 폭을 줄이거나 늘리게 된다.
상기 변위확대부(30)의 하면에는 상기 플런저(60)가 결합된다. 따라서 변위확대부(30)의 상방 변위 시에는 상기 플런저(60)가 상승하며, 하방 변위 시에는 상기 플런저(60)가 하강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플런저(60)는 흡입유로(21)에서 유입되는 액체를 일정량으로 정확하게 커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 플런저(60)의 타단면에는 블레이드(61)가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61)는 상기 플런저(60)의 타단 둘레에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플런저(60)의 타단면은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때 함몰 형성되는 형상은 반구상일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60) 하강 시 상기 블레이드(61)를 통해 상기 노즐(22)로 유입되는 액체가 정확하게 커팅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여 실시 예1의 디스펜서 액체의 충전 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40)에 의해 압전소자(32)가 늘어나게 되면, 측면프레임(31c)의 지름이 늘어나게 되고, 상부프레임(31a)의 중심이 하방으로 하부프레임(31b)의 중심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부프레임(31a)의 상단은 하우징에 고정되기 때문에 하부프레임(31b)에 고정되는 플런저는 확대된 변위 폭으로 상승하게 된다. 플런저(60)를 상승시키면, 흡입유로(21)의 타단이 개방되고 압력이 낮아진 노즐(22)로 액체가 충전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실시 예1의 디스펜서 액적의 토출 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40)에 의해 압전소자(32)가 줄어들게 되면, 측면프레임(31c)의 지름이 줄어들게 되고, 상부프레임(31a)의 중심이 상방으로 하부프레임(31b)의 중심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부프레임(31a)의 상단은 하우징에 고정되기 때문에 하부프레임(31b)에 고정되는 플런저(60)는 확대된 변위 폭으로 하강하게 된다.
플런저(60)를 하강시키면, 상기 플런저(60)의 블레이드(61)를 통해 흡입유로(21)의 액체가 정확하게 커팅됨과 동시에 상기 흡입유로(21)의 타단 밀폐된다. 또한, 노즐(22)에 충전되었던 액적이 상기 플런저(60)의 타단을 통해 토출된다.
실시 예2와 실시 예3의 디스펜서 작동과정은 상기 실시 예1의 작동과정과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 예2의 경우 압전소자가 복귀할 때 충전과정이 이루어지며, 압전소자가 인장할 때 토출과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에 실시 예1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하우징
20 : 분사부 21 : 흡입유로
22 : 노즐
30 : 변위확대부 31 : 변위확대유닛
32, 35 : 압전소자 33 : 연결블록
34a : 상부프레임 34b : 하부프레임
40 : 제어부 60 : 플런저
20 : 분사부 21 : 흡입유로
22 : 노즐
30 : 변위확대부 31 : 변위확대유닛
32, 35 : 압전소자 33 : 연결블록
34a : 상부프레임 34b : 하부프레임
40 : 제어부 60 : 플런저
Claims (8)
-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형성되되, 실린지용기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흡입유로(21)와, 상기 흡입유로(21)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타단으로 토출하는 노즐(22)을 포함하는 분사부(20);
상기 하우징(10) 내부에 구비되는 변위확대부(30);
상기 변위확대부(30)에 전계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변위확대부(30)의 변위를 제어하는 제어부(40);
일단이 상기 변위확대부(3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변위확대부(30)의 변위에 의해 상기 노즐(22)을 따라 승강하는 플런저(60); 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유로(21)의 타단은, 상기 플런저(60)의 상승 시 상기 플런저(60)의 끝단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런저(60)의 하강 시 상기 플런저(60)의 끝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노즐(22)의 측면에 연통되고,
상기 플런저(60)는, 타단면 둘레에 블레이드(61)가 형성되도록 타단면이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되, 중심으로 갈수록 함몰 깊이가 깊어지며, 플런저(60) 하강 시 상기 블레이드(61)를 통해 상기 노즐(22)로 유입되는 액체를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확대부(30)는,
상부프레임(31a)과, 상기 상부프레임(31a)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는 하부프레임(31b)과, 상기 상부프레임(31a)의 둘레와 상기 하부프레임(31b)의 둘레를 연결하는 측면프레임(31c)으로 구성되는 변위확대유닛(31); 및
상기 변위확대유닛(31)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플런저(6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여 변위하도록 적층되는 압전소자(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31a)은 중심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1b)은 중심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31a)은 중심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31b)은 중심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확대부(30)는,
상부프레임(34a)과, 상기 상부프레임(34a)에서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격 형성되는 하부프레임(34b)과, 상기 상부프레임(34a)과 하부프레임(34b)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플런저(6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여 변위하도록 적층되는 압전소자(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확대부(30)는,
복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6469A KR101190083B1 (ko) | 2011-03-24 | 2011-03-24 |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6469A KR101190083B1 (ko) | 2011-03-24 | 2011-03-24 |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8511A KR20120108511A (ko) | 2012-10-05 |
KR101190083B1 true KR101190083B1 (ko) | 2012-10-12 |
Family
ID=4728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6469A KR101190083B1 (ko) | 2011-03-24 | 2011-03-24 |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9008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57577B (zh) * | 2013-04-03 | 2015-03-18 | 哈尔滨工业大学(威海) | 一种基于压电驱动的喷射式点胶装置 |
CN105983506B (zh) * | 2015-01-29 | 2018-05-18 | 北京派和科技股份有限公司 | 压电喷射阀及喷射装置 |
CN106583166A (zh) * | 2017-01-22 | 2017-04-26 | 山东大学 | 一种压电驱动的喷射式点胶装置 |
-
2011
- 2011-03-24 KR KR1020110026469A patent/KR10119008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8511A (ko) | 2012-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1224B1 (ko) | 액적 토출 장치 및 액적 토출 방법 | |
KR101190083B1 (ko) | 커팅 분사 방식의 직교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
KR101187991B1 (ko) | 잉크젯 프린트 헤드 및 잉크젯 프린트 헤드 제조방법 | |
JP2009113025A (ja) | 高粘度液体用液滴吐出装置 | |
KR101190119B1 (ko) | 커팅 분사 방식의 가압 면적 변위 확대형 디스펜서 | |
CN106103101A (zh) | 液体喷出头以及记录装置 | |
KR101059746B1 (ko) | 커팅 분사 방식의 힌지 레버형 디스펜서 | |
EP2990207B1 (en) | Flow path component, liquid discharge head, and liquid discharge apparatus | |
TWI294789B (en) | Droplet ejecting head | |
KR20170053619A (ko) | 디스펜서용 밸브 시트 | |
US10272463B2 (en) | Non-impact jetting dispensing module and method | |
KR101190080B1 (ko) | 커팅 분사 방식의 바이몰프 압전소자 구동형 디스펜서 | |
US20110109702A1 (en) | Inkjet head | |
US20110250403A1 (en) | Bonding on silicon substrate | |
JP2015221442A (ja) | 液滴吐出装置および方法 | |
KR20110069360A (ko) | 잉크젯 프린트 헤드, 잉크젯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 및 잉크젯 프린트 헤드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 |
EP2332169B1 (en) | Bonding on silicon substrate having a groove | |
JP4379128B2 (ja) |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 |
KR20160150005A (ko) | 노즐 영역이 고점도 재료로 재충전되도록 구성되는 프린트헤드 | |
JP2013139745A (ja) | 粘性非接触噴射方法および装置 | |
US11225070B2 (en) | Fluidic dies with beveled edges underneath electrical leads | |
KR101026551B1 (ko) | 압전구동 액적 디스펜싱 헤드 | |
CN210816010U (zh) | 压电式点胶喷射阀 | |
JP2010131820A (ja) |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吐出方法 | |
JP2021074946A (ja) |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塗布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