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830B1 - 농업용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830B1
KR101188830B1 KR1020090088285A KR20090088285A KR101188830B1 KR 101188830 B1 KR101188830 B1 KR 101188830B1 KR 1020090088285 A KR1020090088285 A KR 1020090088285A KR 20090088285 A KR20090088285 A KR 20090088285A KR 101188830 B1 KR101188830 B1 KR 10118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agricultural water
water
farmland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727A (ko
Inventor
장성훈
Original Assignee
장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훈 filed Critical 장성훈
Priority to KR1020090088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8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5Cyclic operations, timing systems, timing valves, impulse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 Flow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는 지대에 구애받지 않고 농업용수를 농경지에 공급할 수 있는 농업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농업용수가 저수되는 저수지의 수위가 농업용수를 공급받는 다수의 농경지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상기 저수지의 농업용수를 농경지로 이송을 도모하는 농업용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와 다수의 농경지 부근을 연결하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의 일측에서 농경지로 각각 연장구성되어 메인관 내의 농업용수를 농경지로 배출을 도모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단부를 밀폐 또는 개방하여 개폐 여부에 따라 농업용수를 농경지로 공급할 수 있는 밸브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저수지와 농경지의 수위 차이로 저수지의 농업용수가 메인관 및 배출관을 통해 농경지로 공급되기 때문에, 고, 저지대를 반복하는 다수의 농경지에 농업용수가 공급되어 농경지의 고, 저에 구애받지 않고 농업용수가 일괄적으로 공급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농업용수.

Description

농업용수 공급장치{Device of controling the flow of agricultural water}
본 발명은 저수지에 저수된 농업용수를 농경지로 공급하는 농업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수지와 농경지의 수위 차이로 인하여 저수지의 농업용수가 농경지로 공급됨으로써, 농경지의 고, 저에 관계없이 농업용수의 공급이 용이하고 농업용수 공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농업용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경지에 공급되는 농업용수는 농작물의 생육에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로서, 예전에는 자연의 의한 강수에 의존하여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하였으나, 그 해에 폭우가 내리거나 가뭄이 지속되는 등의 강수량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되면 농업에 큰 피해를 입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피해를 해소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진 ∪자 형태의 농수로(200)를 저수지(100)에서 농경지까지 연결하여 저수지(100)에 저수된 농업용수를 농경지로 공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농수로(200)를 통한 농업용수의 공급은 저수지(100)와 농경지의 수위 차이에 의해 농경지로 이동되나 상기 농경지는 항상 같은 지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고,저지대에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저지대의 농경지에 이 동된 농업용수는 고지대의 농경지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농수로(200)를 통한 농업용수의 공급은, 저지대에 형성된 농경지(300)에 먼저 농업용수를 일괄적으로 공급하고 양수시설(700)을 통해 하천(600)의 농업용수를 저수지(100)로 다시 퍼올려 저수지에서 고지대의 농경지(400)로 농업용수를 일괄 공급하거나 양수시설(700)에서 바로 고지대의 농경지(400)에 농업용수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고지대 및 저지대의 농경지(400, 300)로 농업용수를 공급하여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저수지의 농업용수의 관리를 위한 시설은 공공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농업용수의 공급작업이 농경지의 지대가 높고 낮음에 따라 농업용수의 공급이 차별되면 고지대, 저지대에 농경지를 둔 농민들 간의 분쟁이 발생되기도 하고, 또한 저수지에 형성된 수자원의 효율적인 분배가 되지않아 수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농경지 주변의 콘크리트 재질의 농수로를 통해 농업용수의 낙차에 의해 농업용수가 공급되면, 용수로 내에 토사 및 나무 잡초가 유입되어 유지관리가 곤란하고, 용수로가 노후되어 균열이 발생되면 농업용수의 손실이 일어나 수자원이 낭비되며, 지반이 연약한 농경지는 상기 농수로에서 배수되는 농업용 용수의 위치에너지에 의해 침하되어 지반을 유실하는 등의 폐해가 발생되어 농경지에 재배되는 작물의 원활한 성장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 로서, 저수지와 농경지의 수위 차이로 인하여 저수지의 농업용수가 농경지로 공급됨으로써, 농경지의 고, 저에 관계없이 농업용수의 공급이 용이하고 농업용수 공급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농업용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는, 농업용수가 저수되는 저수지의 수위가 농업용수를 공급받는 다수의 농경지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상기 저수지의 농업용수를 농경지로 이송을 도모하는 농업용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의 지하에서 고, 저지대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농경지 지하 부근에 개별적으로 연장되며 O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메인관과, 상기 농경지의 지하에 매설된 메인관의 일측에서 농경지로 각각 연장구성되며 O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의 내부를 밀폐 또는 개방함으로서 개폐 여부에 따라 농업용수를 농경지로 공급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의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단부측으로 유량계를 설치하여 배출관을 통해 농경지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는, 농업용수가 저수되는 저수지와 상기 저수지의 농업용수 수위보다 낮은 곳에 위치한 다수의 농경지를 각각 메인관 및 배출관으로 연결하여 상기 저수지와 농경지의 수위 차이로 인해 저수지의 농업용수가 메인관 및 배출관을 통해 농경지로 공급되기 때문에, 농경지의 고, 저에 관계없이 농업용수를 농경지에 공급할 수 있어 저수지에 저수된 농 업용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하천의 수자원을 저수지로 끌어올리는 양수시설의 사용이 최소화되어 전기세 및 유지관리비와 같은 양수장시설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에 유량계가 설치되기 때문에, 농경지에 공급되는 농업용수를 측정하여 체계적으로 농업용수를 사용할 수 있어 농업용수의 손실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나타내는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농업용수 공급장치는 농업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지(10)의 수위는 농경지(20)보다 높게 저수하여 수위 차이로 저수지(10)의 농업용수가 메인관(1)과 배출관(3)을 통해 농경지(2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저수지(10)는 농업용수를 농경지에 공급하기 위해 농업용수를 저수하는 시설이며, 양수시설(30)은 하천(40)에 방류된 용수를 저수지(10)로 퍼 올리기 위해 양수기를 시설한 곳이며, 농경지(20)는 작물이 생육하도록 농업용수를 공급받는 공간이며, 상기 농 경지(20)의 옆으로 공급된 농업용수를 하천(40)으로 방류하는 배수로(5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수의 공급은 농경지(20)로 한정하여 기재하였으나 이는 원예시설 또는 과수지 등과 같이 작물이 생육되는 곳에 농업용수가 공급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본 발명의 농업용수 공급장치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메인관(1)과, 농경지와 상기 메인관(1)에 연결되는 배출관(3)과, 상기 배출관(3)을 밀폐하는 밸브(5)로 대분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관(1)은 저수지(10)에 저수된 농업용수를 일괄적으로 농경지(20) 부근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관의 형태로 이루어져 저수지(10)의 지하측에서 고, 저지대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농경지(20) 지하 부근에 개별적으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관(3)은 메인관(1)에 의해 유입된 농업용수를 농경지(20)에 개별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농경지(20)의 지하에 매설된 메인관(1)의 일측에서 농경지(20)로 연장구성되는 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지(10)와 농경지(20)를 연결하는 메인관(1)과 배출관(3)은 수밀성이 뛰어난 O형 관으로 구성하며 관의 내부로 토사 및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밸브(5)는 배출관(3)을 통해 이송되는 농업용수를 농경지(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배출관(3)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3)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 또는 개방되어 밸브(5)의 개폐 여부에 따라 농업용수를 농경지(2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여기서 배출관(3)의 단부측으로 유량계를 설치하여 배출관(3)을 통해 농경지(20)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농업용수 공급량을 계량화함으로써 저수지(10)에 저수된 농업용수를 효율적으로 농경지(20)에 제공하여 체계적으로 농업용수를 사용하여 농업용수의 손실률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우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농업용수가 공급되는 저수지(10)의 수위는 농경지(20)보다 높게 형성하여 저수지(10)와 농경지(20)에 대한 수위 차이가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지(10)와 농경지(20)의 수위 차이로 인해 저수지(10)의 농업용수는 지하에 매설된 메인관(1)으로 흘러 유입된다.
상기 메인관(1)으로 유입된 농업용수는 농경지(20)에 각각 연장되는 배출관(3)으로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관(3)에 유입된 농업용수는 밸브(5)가 배출관(3)을 밀폐함에 따라 배출되지 않다가 밸브(5)가 배출관(3)을 개방하면 농업용수는 배출관(3)으로 배출되어 농경지(20)로 농업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관(3)에서 배출되는 농업용수는 유량계에 의해 농업용수의 배출량 이 측정되어 추후 농업용수의 공급 시에 기측정된 유량을 참고하여 농작물 생육에 필요한 양만큼 농업용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농경지(20)로 공급된 농업용수는 농경지(20)에 사용되고 남은 용수는 농경지(20) 옆에 형성된 배수로(50)를 통해 하천(40)으로 방류되어 추후 양수시설(30)을 통해 저수지(10)로 다시 저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농업용수 공급장치를 통해 농경지(20)의 고, 저와 관계없이 농업용수가 농경지(20)에 공급되어 농업용수공급비용이 절감되면서도 농업용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장치가 적용되는 농업용수 공급체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용수로를 통해 농업용수가 농경지로 공급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관 3 : 배출관
5 : 밸브 10 : 저수지
20 : 농경지

Claims (2)

  1. 농업용수가 저수되는 저수지의 수위가 농업용수를 공급받는 다수의 농경지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상기 저수지의 농업용수를 농경지로 이송을 도모하는 농업용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지(10)의 지하에서 고, 저지대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농경지(20) 지하 부근에 개별적으로 연장되며 O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메인관(1)과,
    상기 농경지(20)의 지하에 매설된 메인관(1)의 일측에서 농경지(20)로 각각 연장구성되며 O형 관으로 이루어지는 배출관(3)과,
    상기 배출관(3)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출관(3)의 내부를 밀폐 또는 개방함으로서 개폐 여부에 따라 농업용수를 농경지(20)로 공급하는 밸브(5)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3)의 농업용수가 배출되는 단부측으로 유량계를 설치하여 배출관(3)을 통해 농경지(20)로 공급되는 농업용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 공급장치.
  2. 삭제
KR1020090088285A 2009-09-18 2009-09-18 농업용수 공급장치 KR10118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285A KR101188830B1 (ko) 2009-09-18 2009-09-18 농업용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285A KR101188830B1 (ko) 2009-09-18 2009-09-18 농업용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727A KR20110030727A (ko) 2011-03-24
KR101188830B1 true KR101188830B1 (ko) 2012-10-09

Family

ID=4393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285A KR101188830B1 (ko) 2009-09-18 2009-09-18 농업용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8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55B1 (ko) 2019-09-16 2020-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랙터 부착형 농업용수 공급용 작업기
KR20230067183A (ko) 2021-11-09 2023-05-16 박행제 농업용수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324A (ko) 2020-05-22 2021-11-30 (유)엠탑코리아 농업용 저수지 내 가뭄대비 물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252A (ja) 1998-01-23 1999-08-03 Sasaki Corporation:Kk 給水栓自動開閉装置
JP2000166402A (ja) * 1998-12-04 2000-06-2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傾斜地水田における用水管理システム
KR100449442B1 (ko) 2002-06-11 2004-10-01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농업용수 관리시스템
JP2006081436A (ja) 2004-09-15 2006-03-30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耕作区の水位調節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252A (ja) 1998-01-23 1999-08-03 Sasaki Corporation:Kk 給水栓自動開閉装置
JP2000166402A (ja) * 1998-12-04 2000-06-2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傾斜地水田における用水管理システム
KR100449442B1 (ko) 2002-06-11 2004-10-01 주식회사 한성전자산업개발 농업용수 관리시스템
JP2006081436A (ja) 2004-09-15 2006-03-30 National Institute For Rural Engineering 耕作区の水位調節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55B1 (ko) 2019-09-16 2020-04-0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트랙터 부착형 농업용수 공급용 작업기
KR20230067183A (ko) 2021-11-09 2023-05-16 박행제 농업용수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727A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50678B (zh) 干旱缺水地区铁路防沙造林地下渗灌系统及其灌溉方法
CN106576561A (zh) 一种自动化农业节水灌溉系统
KR101188830B1 (ko) 농업용수 공급장치
Siderius et al. Climate-smart tank irrigation: A multi-year analysis of improved conjunctive water use under high rainfall variability
Payero et al. EC05-776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subsurface drip irrigation
AU2008100216A4 (en) Root-Irrigation Pipe and Root-Irrigation System
Bos Using the depleted fraction to manage the groundwater table in irrigated areas
CN203120609U (zh) 渗灌式地下灌水排水系统
CN206433376U (zh) 一种自动化农业节水灌溉系统
CN205727440U (zh) 一种干旱缺水地区铁路防沙造林地下渗灌系统
CN104878822A (zh) 一种超量雨水蓄排系统和蓄排方法
KR102234480B1 (ko) 지중 점적 관개 제어 시스템
CN114250827A (zh) 一种将山泉水流入村庄修建水利设施进行利害互转的结构
KR200465670Y1 (ko) 논 수위계측 및 토사 유출 저감용 논물꼬
KR20160100463A (ko) 농업용 수급장치
CN208783192U (zh) 一种物联网梯田保水土系统
CN102493412A (zh) 平坝条田空心排水田埂
KR101044356B1 (ko) 친환경 밭작물용 빗물 자원 저장 및 분배 시스템
CN204811319U (zh) 水稻田输水预埋灌溉装置
CN210827688U (zh) 一种用于山林的抽水蓄水系统
CN206525276U (zh) 一种环状管网灌溉系统
Zotarelli et al. Subsurface drip irrigation (SDI) for enhanced water distribution: SDI-Seepage Hybrid System
CN212588924U (zh) 一种水肥一体化滴灌系统
CN203769037U (zh) 一种超量雨水蓄排系统
CN113512994B (zh) 一种基于水资源高效利用的可储水式空心淤地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