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624B1 -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 Google Patents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624B1
KR101188624B1 KR1020090062044A KR20090062044A KR101188624B1 KR 101188624 B1 KR101188624 B1 KR 101188624B1 KR 1020090062044 A KR1020090062044 A KR 1020090062044A KR 20090062044 A KR20090062044 A KR 20090062044A KR 101188624 B1 KR101188624 B1 KR 101188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frared
rice
infrared lamp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4561A (ko
Inventor
하 중 김
Original Assignee
하 중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 중 김 filed Critical 하 중 김
Priority to KR1020090062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624B1/ko
Publication of KR2011000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47J36/2488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having infrared radi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으며 쌀, 물, 인삼 등의 식재료를 담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용기(1); 상기 용기(1)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대(9); 케이싱(1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1)를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게 되는 적외선램프(15);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취사모드, 약달임 모드, 보온모드 등 각 기능에 알맞은 상기 용기(1)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적외선램프(1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을 개시한다.
적외선, 밥솥, 유리, 용기, 적외선램프, 렌즈, 인삼, 사포닌, 영양밥

Description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Cooker using Infrared Ray}
본 발명은 가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취사기능과 약탕기능 을 동시에 가지는 적외선램프를 이용한 밥솥에 관한 것이다.
근래 전기밥솥은 극히 대중화되어 있는 가정용 전기용품이다. 예전에는 전열선을 이용한 가열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근래는 인덕션(induction) 가열방식이 널리 사용되기도 한다. 전기밥솥으로는 쌀을 가지고 밥을 짓는 용도 이외에도 찜요리를 하는 등의 기능상의 향상이 있어 왔다.
한편, 밥을 짓는 것에 있어서 쌀 이외의 다양한 소재를 첨가하기도 하는데 그 소재로 인삼, 대추, 밤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형식의 밥을 보통 "영양밥"이라 해서 많이 보급되고 있다.
통상의 전기밥솥 또는 압력밥솥은 가열온도가 100 ~ 120℃를 넘는다. 특히 압력밥솥은 고압에 의해 그 내부의 온도가 더 높게 된다. 쌀만을 갖고 밥을 짓거나 팥, 콩, 수수 등 일반적인 잡곡만을 섞어서 밥을 짓는 경우 그러한 고온환경은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인삼 등의 약재를 포함하는 영양밥을 짓는 경우에는 사정이 다르다. 특히 인삼에는 사포닌(saponin)이라는 성분이 다량으로 들어있는데 이 사포닌은 온도가 대략 90℃ 이상이 되는 경우 그의 특유한 성질이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조리기법 내지 조리수단을 이용할 경우 인삼에 포함되어 있는 사포닌 성분이 파괴되어 영양밥으로서의 제역할을 못하게 된다. 이는 영양밥에 대해 치명적이어서 실로 영양밥이라 일컬을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자가 홍삼, 인삼 등 영양소 공급을 위한 자연식품을 쌀과 함께 넣고 종래의 압력밥솥으로 취사를 해보았다. 그러나 엑기스 등으로 인한 밥물과 혼합된 거품이 많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압력밥솥의 경우 공기배출구를 통해 분출되는 걸죽한 진액이 압력밥솥 외표면에 끈적하게 점착되는 것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미세한 공기배출공이 진액에 의해 폐색될 우려가 농후하여 고장 및 사고의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종래 시중에 제공되고 있는 밥솥으로는 갖가지 영양소를 포함하고 있는 영양밥을 짓기에는 부적절하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홍삼, 인삼, 대추 등을 포함하는 영양밥을 짓기 위한 밥솥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의 기본적 과제는 영양밥 또는 일반적인 밥에 포함되어 있는 인체에 유익한 영양소를 파괴시키지 않는 온도 내지 환경에서 밥을 지을 수 있게 하는 밥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밥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밥솥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으며 식재료를 담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용기; 상기 용기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를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게 되는 적외선램프;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상기 용기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적외선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가열기구, 특히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적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확산시키거나 집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외선램프와 상기 용기 사이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용기를 덮을 수 있는 뚜껑체가 더 마련되되 상기 뚜껑체는; 용기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증기유입구를 마련하기 위해 하부 중간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증기유입관; 취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수용하는 완충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뚜껑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방돌출부;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으며 증기분출공을 가지는 루프(roof)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특히 인삼 등을 포함하는 영양밥을 짓는데 있어서, 인삼에 많이 함유된 사포닌이라는 성분을 파괴시키지 않고 나아가 기타 영양밥에 포함되는 인체에 유익한 약재의 유효성분을 파괴시키지 않도록 하면서 밥을 지 을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뚜껑체의 특유한 구성에 의해 취사과정에서 영양소가 증기를 통해 손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이 제공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밥솥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뚜껑체의 종단면도이다.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유리로 성형된 용기(1)는 쌀, 물, 인삼, 홍삼 기타 식재료를 담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상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용기(1)의 측벽에는 손잡이(3)가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용기(1)의 외측벽에는 부피계량을 위한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뚜껑체(5)가 용기(1)의 상부에 안착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뚜껑체(5) 또한 유리로 성형함이 추천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뚜껑체(5)를 유리로 하는 경우에는 유리간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용기(1)의 테두리 부위에 패킹(7)이 더 결합될 수 있다. 패킹(7)은 실리콘 또는 천연고무로 된 것이 위생상 바람직하다. 뚜껑체(5)는 선택적 요소일 수 있다.
용기(1)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대(9)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대(9)는 후술되는 케이싱(11)과 일체를 이룬다. 케이 싱(11)의 상단 양측에는 용기(1)를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13)가 난간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적외선램프(15)가 용기의 내부를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게끔 케이싱(11) 내부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적외선램프(15)가 중간에 하나 설치되지만 복수개가 원을 그리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적외선램프(15)의 외곽에는 보호관체(17)가 설치된다. 보호관체(17)는 적외선램프(15)의 빛을 반사함으로써 외부로의 열전달을 감소시키는 차열기능을 위한 것이다. 보호관체(17)는 적외선램프(15)의 외형과 유사한 형태로 상부가 확개되어 있는데 이는 알루미늄관을 회전시켜가며 성형롤러를 이용하여 연신시킴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보호관체(17)의 내벽은 빛반사를 위해 매끄럽게 가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관체(17) 상부에는 적외선램프(15)를 보호하기 위한 투광판(19)이 고정 설치된다. 투광판(19)은 5 ~ 20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강화유리가 적당하다. 투광판(19)은 적외선램프(15)를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그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필요에 따라 확산시키거나 집중시키기 위한 1개 이상의 오목렌즈(21) 또는 볼록렌즈가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큰 특징중 하나인 용기(1) 상부에 덮이게 되는 뚜껑체(5)에 대해 설명한다. 뚜껑체(5)는 유리를 성형함으로써 제작된다.
뚜껑체(5)는 방사대칭 형태이며 하부 중간에는 증기유입구(23)를 마련하기 위한 증기유입관(25)이 하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증기유입관(25)의 상단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측방돌출부(31)가 돌출됨으로써 완충공간(33)이 제공된다. 측방돌출부(31)는 상벽(31a)과 하벽(31b)으로 구성된다. 하벽(31b)은 증기유입관(25)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벽(31a)은 루프(35)와 연결된다. 측방돌출부의 하벽(31b)에 패킹(7)의 상면이 맞닿게 되는데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주름진 형태로 되어 있다. 측방돌출부(31)에 의해 만들어지는 완충공간(33)과루프(35)의 가장자리에 의해 증기체류공간(37)이 자연스럽게 마련된다. 완충공간(33)과 증기체류공간(37)의 엄격한 경계는 없다. 다만 측방돌출부(31)에 의해 마련되는 완충공간(33)은 열원(적외선램프)으로부터 더 멀리 있기 때문에 증기를 더 빠르게 냉각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냉각되는 증기는 액적으로 되어 다시금 용기 내부로 떨어지게 될 것이다.
한편 루프(35)의 밑면은 중심에서부터 반경방향을 향해 경사져 있는데 이는 루프(35)의 저면에 부착된 증기가 응결하여 액적으로 된 후 벽면을 따라 미끄러져 용기(1)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뚜껑체(5)는 취사시 용기의 내부압력을 어느 정도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무겁게(0.8 ~ 3.0kg) 되어 있다. 루프(35)의 중간지점에는 어느 정도 압력 이상이 된 증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증기분출공(39)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증기분출공(39)은 중간에 하나가 마련되며 그 직경은 3 ~ 10mm의 범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루프(35)의 중심으로부터 테두리부분까지의 중간 지점에는 환형상의 골(41)이 마련되는데, 이는 뚜껑체(5)를 잡고 들어올리기 편리하도록 고안된 것이며, 나아가 증기의 대류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뚜껑체(5)는 취사시 발생되는 많은 량의 증기를 소화시키고자 뚜껑체는 완충공간(33)과 증기체류공간(37)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
이렇게 취사시 발생하는 증기를 최대한 포집하고 다시금 용기(1) 내부로 떨어뜨리거나 그 밖으로 못나가게 저지하는 것은 증기 내부에 다량의 유익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방식으로 영양성분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발생된 증기는 뚜껑체 내부에서 대류순환하며 신속히 냉각시킴으로써 액적화하여 용기 내부로 귀화시키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미도시됨)가 받침대(9) 또는 용기(1)에 설치된다. 제어부에는 취사기능에 알맞은 상기 용기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정보에 따라 적외선램프(15)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싱(11) 정면에 마련되는 콘트롤패널(43)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일반 취사과정에 있어서 뜸 들이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러 차례의 손쉬운 시험을 통해 적절한 설정모드(mode)를 결정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콘트롤패널(43)에는 온도, 시간 설정, 모드설정버튼, 온오프 버튼 및 작동상태를 알리는 표시램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취사기능 이외에 홍삼, 인삼 기타 한약재를 달이거나 고온보관하기 위한 용도도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드를 제어부에 입력시키고 이를 콘트롤패널(43)을 통해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의 사시도이며, 도 2는 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뚜껑체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용기 5 ; 뚜껑체
7 ; 패킹 11 ; 케이싱
13 ; 가이드 15 ; 적외선램프
17 ; 보호관체 19 ; 투광판
21 ; 렌즈 23 ; 증기유입구
25 ; 증기유입관 31 ; 측방돌출부
33 ; 완충공간 35 ; 루프
37 ; 증기체류공간 39 ; 증기분출공
43 ; 콘트롤패널

Claims (4)

  1.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으며 식재료를 담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용기(1); 상기 용기(1)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는 받침대(9); 케이싱(1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1)를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게 되는 적외선램프(15);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상기 용기(1)의 가열온도와 가열시간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적외선램프(1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용기를 덮을 수 있는 뚜껑체(5)를 포함하되;
    상기 뚜껑체(5)는; 상기 용기(1)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증기유입구(23)를 마련하기 위해 하부 중간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증기유입관(25); 취사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수용하는 완충공간(33)과 증기체류공간(37)을 마련하기 위해 상기 뚜껑체(5)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방돌출부(31); 상기 측방돌출부의 상벽(31a)에 연결되며 증기분출공(39)을 가지는 루프(roo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램프(15)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확산시키거나 집중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외선램프(15)와 상기 용기 사이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21)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35)는 중심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으며; 중심으로부터 테두리부분까지의 중간 지점에는 환형상의 골(41)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KR1020090062044A 2009-07-08 2009-07-08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KR101188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44A KR101188624B1 (ko) 2009-07-08 2009-07-08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044A KR101188624B1 (ko) 2009-07-08 2009-07-08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61A KR20110004561A (ko) 2011-01-14
KR101188624B1 true KR101188624B1 (ko) 2012-10-08

Family

ID=4361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044A KR101188624B1 (ko) 2009-07-08 2009-07-08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00A (ko) * 2017-02-21 2018-08-29 (주)쿠첸 조리기의 비접촉 온도센서 조립체
KR20200002204U (ko) * 2019-03-25 2020-10-07 허베이 싼샤 키친웨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기능 전기밥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91Y1 (ko) * 2006-01-20 2006-04-13 장봉열 원적외선 전기조리기
KR100982970B1 (ko) 2010-03-25 2010-09-17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991Y1 (ko) * 2006-01-20 2006-04-13 장봉열 원적외선 전기조리기
KR100982970B1 (ko) 2010-03-25 2010-09-17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300A (ko) * 2017-02-21 2018-08-29 (주)쿠첸 조리기의 비접촉 온도센서 조립체
KR101896033B1 (ko) * 2017-02-21 2018-09-06 (주)쿠첸 조리기의 비접촉 온도센서 조립체
KR20200002204U (ko) * 2019-03-25 2020-10-07 허베이 싼샤 키친웨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기능 전기밥솥
KR200493108Y1 (ko) 2019-03-25 2021-02-01 허베이 싼샤 키친웨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다기능 전기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4561A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69368B (zh) 烹调锅用蒸锅及使用蒸锅的电饭锅
ES2564929T3 (es) Aparato de cocción con calentamiento bidireccional mejorado
US20160007644A1 (en) Automatic Pressure Steam Canning Appliance
KR101643391B1 (ko) 적외선의 가열모듈을 갖춘 조리기구
KR101539900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AU2011278149B2 (en) Cooking appliance having two areas
US20130233181A1 (en) Combination Food Steamer and Food Processor
JP4572253B2 (ja) 調理容器蓋の臭い排出装置
KR101188624B1 (ko)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US5658128A (en) Boiling pot overflow prevention apparatus
KR100848866B1 (ko)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US7326895B1 (en) Splatter lid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US2016010070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crispy rice
KR102204586B1 (ko)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
KR101776838B1 (ko) 직화 구이팬
US7997188B2 (en) Portable multipurpose cooking utensil
US20070231195A1 (en) Apparatus For Steam Sterilizing Baby Bottles
KR20180080079A (ko) 에너지집중장치를 구비한 요리기기
KR20039116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0893326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101232617B1 (ko) 직화 가열용 조리기구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101467530B1 (ko) 비금속조리용기를 이용한 화상, 화재방지용 자동 라면조리기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