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970B1 -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970B1
KR100982970B1 KR1020100026835A KR20100026835A KR100982970B1 KR 100982970 B1 KR100982970 B1 KR 100982970B1 KR 1020100026835 A KR1020100026835 A KR 1020100026835A KR 20100026835 A KR20100026835 A KR 20100026835A KR 100982970 B1 KR100982970 B1 KR 10098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wall
curved
plate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장희
권오기
김양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 및 항만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caisson)에 관한 것으로, 케이슨의 외해측 면에는 다층의 수평슬릿(水平slit)이 형성된 만곡돌출벽 및 만곡요입벽을 구성하여 평면상 태극(太極)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랑의 입사면을 확장함과 동시에 응력집중을 방지하며, 케이슨의 내부에는 다수의 격실을 구성하고 이들 격실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합함으로써 개방된 격실에 의한 소파(消波) 및 폐합된 격실의 충전재 충전을 통한 구조적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고, 케이슨의 부두측 면에는 요입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입사각 및 파장을 가지는 반사파의 소파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케이슨을 설치함에 있어서 지상에서 완성된 케이슨에 수평슬릿을 일시 폐쇄하는 차단판을 설치하여 설치 지점으로 이동한 후 침설(沈設)하고, 차단판을 분리하여 수평슬릿을 개방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통하여 케이슨의 구조적 안정성 및 소파성능을 제고하고, 방파제 및 항만의 내구성을 확보하며 항만의 정온도(靜穩度)를 향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BREAKWATER CONSTRUCTION METHOD USING WAVED SHAPE CAISSON}
본 발명은 방파제 및 항만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caisson)에 관한 것으로, 케이슨의 외해측 면에는 다층의 수평슬릿(水平slit)이 형성된 만곡돌출벽 및 만곡요입벽을 구성하여 평면상 태극(太極) 형상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파랑의 입사면을 확장함과 동시에 케이슨 구조체상 특정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케이슨의 내부에는 격벽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의 격실을 구성하고 이들 격실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합함으로써 개방된 격실에 의한 효율적인 소파(消波) 및 폐합된 격실의 충전재 충전을 통한 구조적 안정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고, 케이슨의 부두측 면에는 다층의 수평슬릿과 함께 요입부를 형성하여 다양한 입사각 및 파장을 가지는 반사파의 소파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케이슨을 설치함에 있어서 지상에서 완성된 케이슨에 형성된 수평슬릿을 일시 폐쇄하는 차단판을 케이슨 벽체 표면에 설치하되 수평슬릿을 통과하여 격벽 상단에 고정되는 지지선을 통하여 차단판을 압박 고정하여 케이슨 내부 격실의 수밀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케이슨을 진수 및 예인하여 설치 지점으로 이동한 후, 격실에 해수 또는 충전재를 투입하여 침설(沈設)하고, 지지선 해체 및 차단판 분리를 실시하여 수평슬릿을 개방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방파제 및 항만공사에 사용되는 케이슨(caisson)은 상부가 개방된 함체(函體)로서, 통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육상에서 제작된 후 진수 및 예인된 뒤 내부에 사석 또는 토사 등을 충전하여 침설(沈設)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슨을 예시한 사시도 및 설치상태 평단면도로서, 각각 장방형, 절곡형 및 호형(弧形) 단면을 가진 케이슨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1 좌단의 장방형 케이슨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나 파랑의 입사면이 상대적으로 협소하고 경사파에 의하여 발생되어 방파제의 종방향으로 진행 및 증폭되는 연파(聯波) 발생을 억제할 수단이 전무한 단점이 있다.
이에 도 1 중앙에서와 같이 외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케이슨을 적용하여, 파랑의 입사면을 확장하고 연파 발생 및 진행을 억제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를 형성하는 절곡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케이슨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고, 강도 확보를 위한 보강수단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절곡부의 응력집중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 우단에서와 같이 전면, 즉 외해측에 호형으로 돌출부를 형성한 케이슨이 개발되었으나, 이 또한 돌출부 양단부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한편, 방파제에는 파랑의 에너지를 소산하여 파랑의 처올림 및 반사율 등을 저감하는 소파수단이 구비되는데, 자연석을 포설하여 제체(堤體)를 형성하는 기초적인 방식에서, 안정성과 투수성을 겸비한 인공 소파구조체 즉, 테트라포드, 호로스케어 및 트라이바 등의 소파블럭을 포설함으로써 소요 제체 단면을 절감하는 방식에 이르는 다양한 기법이 적용된다.
그러나, 이렇듯 소파구조체를 방파제 사면에 포설하는 방식은 방파제의 전체 체적을 확장하는 결과를 야기하여 장기간의 공사기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케이슨의 외해측 벽체 및 내부에 각각 통수구(通水口) 및 유수실(遊水室)을 형성하여, 통수구를 통하여 유수실로 유입된 파랑이 유수실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소파 및 감세(減勢)될 수 있도록 한 소파형 케이슨이 개발되었고, 이로써 별도의 소파시설 포설 없이 직립식 소파형 케이슨 만으로도 소기의 소파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그에 따라 전체 방파제의 소요 규모 및 공기 또한 단축될 수 있었다.
이러한 소파형 케이슨에 형성된 통수구는 장주기파에 의한 수위변화는 물론 다양한 파장의 파랑에 대처가 가능하도록 통상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외해와 유수실을 연통하며, 유수실로 유입된 파랑은 유수실의 벽면에 반복 반사되면서 입사파와 반사파간 또는 반사파와 재반사파간 간섭현상에 의하여 소파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통수구는 반사파의 유수실 이탈을 방치하므로 반복 반사 및 그에 따른 간섭현상 저감을 야기하며, 결과적으로 케이슨의 충분한 소파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파형 케이슨은 부두측에서 방파제 배면으로 입사하는 반사파에 대한 소파수단이 전무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소파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은 육상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케이슨을 완성한 후, 진수하여 예인선으로 설치 지점 까지 예인하고, 케이슨 내부에 사석, 토사 등의 충전재를 투입하여 침설하는 방식으로 실시되는데, 소파형 케이슨의 경우 케이슨의 벽체에 통수구가 형성된 바, 해상 운반을 위한 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수구를 폐쇄한 후 진수하고, 침설이 완료되면 수중작업을 통하여 통수구를 재개방하는 과정으로 시공이 진행된다.
따라서, 통수구의 폐쇄를 위한 차수수단을 부착하는 과정에서 케이슨 표면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예인간 수밀성 유지가 어려우며, 통수구의 재개방 과정에서 수중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여 공기가 연장되고 사고 위험이 높아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외해측 벽체에 케이슨 내, 외부를 연결하는 통수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격벽(15)으로 분할된 다수의 격실(16)이 형성되며, 외해측 벽체 일부가 돌출된 소파형 케이슨에 있어서, 케이슨의 외해측 면에는 만곡돌출벽(11) 및 만곡돌출벽(11)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만곡요입벽(12)이 구성되되, 만곡돌출벽(11)을 중심으로 만곡요입벽(12)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평단면상 만곡요입벽(12)과 측벽(13)은 직교하며, 만곡돌출벽(11)과 만곡요입벽(12)을 관통하는 수평슬릿(17)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만곡돌출벽(11) 및 만곡요입벽(12) 배후의 격실(16)과 케이슨 외부가 서로 연결되고, 케이슨 부두측 면의 배벽(14)을 관통하는 수평슬릿(17)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배벽(14) 내측의 격실(16)과 케이슨 외부가 서로 연결되며, 케이슨의 배벽(14)에는 배벽(14) 일부가 제거된 요입부(18)가 형성되고, 요입부(18)를 포위하는 격벽(15)에는 수평슬릿(17)이 다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 요철형 케이슨이다.
또한 상기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에 있어서, 다층의 수평슬릿(17)이 형성된 케이슨 벽체 배후의 격벽(15) 상단에, 결속장치(30)를 결합하되, 이 결속장치(30)는 역U자형(逆U字形)으로 구성된 프레임(31)과 프레임(31) 전방측 하단에 힌지결합된 한쌍의 결속부(32) 및 압박나사(34)에 의하여 이동하는 압박판(33)으로 구성되어, 압박나사(34)를 회전하여 압박판(33)을 격벽(15) 표면에 밀착시킴으로써 결속장치(30)를 격벽(15)에 고정하는 단계와, 수평슬릿(17)이 형성된 케이슨 벽체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의 판체(21), 판체(21) 표면에 부착된 압착층(22) 및 압착층(22)을 관통하여 판체(21)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결선고리(23)로 구성된 차단판(20)을 압착층(22)이 케이슨 벽체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하되, 수평슬릿(17)을 통과하는 지지선(41)으로 차단판(20) 상부 및 하부의 결선고리(23)와 결속장치(30)의 결속부(32)를 각각 연결하여 구속하는 단계와, 차단판(20)에 의하여 수밀처리된 케이슨을 진수 및 예인하여 설치 지점으로 이동하고 케이슨 내부에 충전재(19) 및 해수를 주입하여 침설(沈設)하는 단계와, 지지선(41) 및 결속장치(30)를 해체하고 차단판(20)을 케이슨 벽체에서 이탈시켜 수평슬릿(17)을 개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케이슨의 구조적 안정성 및 소파성능을 제고함으로써, 방파제 및 항만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항만의 정온도(靜穩度)를 향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슨 및 방파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방파제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슨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케이슨 부분절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방파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방파제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과정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차단판 설치상태 부분절단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케이슨의 진수상태 대표단면도
도 11은 차단판이 설치된 본 발명 케이슨의 요부 발췌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방파제를 예시한 것으로 동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케이슨 다수가 조합됨으로써, 방파제 외해측 전면에 걸쳐 일체의 절곡부가 형성되지 않고도 돌출과 요입이 부드럽게 반복되는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방파제의 평단면도인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 케이슨이 조합된 방파제의 외해측 면에는 돌출과 요입이 반복되는 태극(太極) 형상의 부드러운 곡선이 형성되어 파랑의 입사면을 확장하고 연파(聯波)의 진행 및 증폭을 억제하게 되는데, 평면상 돌출 및 요입이 전환되는 지점을 급격한 절곡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완만하게 변곡처리함으로써 케이슨 벽체의 특정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하였다.
특히, 도 3 내지 도 6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평면상 케이슨의 외해측 면 양단의 곡선은 케이슨 양 측면선과 직교하도록 즉, 케이슨 외해측 면 양단에서의 접선이 서로 일치하는 동시에 측면선과 직교하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케이슨을 횡으로 배치함에 따라 방파제 외해측 면에 일정하게 반복되는 부드러운 곡선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케이슨의 외형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격벽(15)으로 구획 분할된 다수의 격실(16)이 형성된 본 발명 케이슨은 외해측 면에 만곡돌출벽(11) 및 만곡돌출벽(11)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만곡요입벽(12)이 구성되되, 만곡돌출벽(11)을 중심으로 만곡요입벽(12)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평단면상 만곡요입벽(12)과 측벽(13)은 직교하도록 구성된다.
만곡돌출벽(11)과 만곡요입벽(12)에는 이들을 관통하는 수평슬릿(17)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만곡돌출벽(11) 및 만곡요입벽(12) 배후의 격실(16)과 케이슨 외부가 서로 연결되고, 케이슨 부두측 면의 배벽(14)에도 수평슬릿(17)이 다층으로 관통 형성되어, 배벽(14) 내측의 격실(16)과 케이슨 외부가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 케이슨 내부에 형성된 격실(16)은 수평슬릿(17) 또는 기타 통수구를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 개방형 격실(16)과, 사방이 격벽(15)으로 모두 폐쇄된 폐합형 격실(16)로 분류될 수 있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만곡돌출벽(11)기준 제3열의 격실(16) 및 제4열의 격실(16) 일부가 폐합형 격실(16)로서, 이들 폐합형 격실(16)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사석 또는 토사 등의 충전재(19)가 충전되어 케이슨의 침설을 유도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수평슬릿(17) 등으로 외부와 연결된 개방형 격실(16)은 소파(消波)용 유수실(遊水室)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들 개방형 격실(16)의 외벽 또는 격벽(15)에는 수평슬릿(17)을 상하 다층으로 형성하여 장주기파에 의한 수위변화는 물론 다양한 파장의 파랑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평슬릿(17)을 통하여 개방형 격실(16) 내부로 유입된 파랑은 도 6의 하부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격실(16)을 포위한 격벽(15)에 반복 반사되면서 입사파와 반사파간 또는 반사파와 재반사파간 간섭현상에 의하여 소파된다.
특히, 본 발명의 케이슨에서는 만곡돌출벽(11) 배후의 격실(16)을 2열로 구성하고, 이들 2열의 격실(16)간 격벽(15)에도 다층의 수평슬릿(17)을 형성함으로써, 소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수평슬릿(17)을 통하여 만곡돌출벽(11)을 투과한 파랑은 1차적으로 만곡돌출벽(11) 배후 제1열의 격벽(15)에 반사된 파와 간섭을 일으키게 될 뿐 아니라, 제1열의 격벽(15)을 투과한 파랑의 반사파와 2차적으로 재 간섭을 일키게 되어 소파효과가 배가되는 것이다.
이러한 격실(16)의 2열 배치 및 격벽(15)내 다층 수평슬릿(17) 형성은 단순히 간섭현상의 촉진에 그 효과가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파랑의 진행경로상 다수의 격실(16)을 배치함으로써 파장이 상이한 다수의 파랑을 동시에 소파하는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 케이슨 부두측 면의 배벽(14)에는 배벽(14) 일부가 제거된 요입부(18)가 형성되고, 요입부(18)를 포위하는 격벽(15)에는 수평슬릿(17)이 다층으로 형성되는데, 이로써 도 6의 상부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일종의 광폭 유수실을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입사각과 파장의 반사파를 소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케이슨은 육상에서 제작된 후 진수 및 예인된 뒤 내부에 사석 또는 토사 등을 충전하여 침설(沈設)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는데, 외벽에 다수의 수평슬릿(17)이 형성되어 케이슨 내부 격실(16) 중 상당수가 외부에 개방된 본 발명 케이슨의 특성상, 진수 및 예인간 부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층 수평슬릿(17)을 일시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8에서와 같이, 케이슨의 완성 후 진수전 수평슬릿(17)을 폐쇄하는 차단판(20)을 설치하고, 차단판(20)이 설치된 상태로 케이슨을 진수 및 예인하여 설치 지점으로 이동한 후 격실(16) 내부에 해수 및 충전재(19)를 투입 충전하여 침설하고, 침설이 완료되면 차단판(20)을 해체하여 수평슬릿(17)을 개방하는 방식으로 방파제를 시공한다.
이러한 차단판(20) 설치 및 해체에 있어서의 주안점은 진수 및 예인간 케이슨의 수밀성 확보를 통한 부력의 유지와, 케이슨의 침설 후 차단판(20) 해체의 편의성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에서와 같은 차단판(20) 및 결속장치(30)를 적용하여 전술한 수밀성 및 해체 편의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수평슬릿(17)이 형성된 케이슨 벽체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의 판체(21)와, 판체(21) 표면에 부착된 압착층(22)으로 차단판(20)을 구성하고, 이 차단판(20)을 수평슬릿(17)이 형성된 케이슨 벽체 배후의 격벽(15) 상단에 탈부착되는 결속장치(30)와 지지선(41)을 통하여 결선 고정함으로써 견고한 고정 및 신속하고 간편한 해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단판(20)은 도 9에서와 같이, 케이슨 벽체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 즉, 만곡돌출벽(11)의 경우 그 곡면과 일치하는 곡면이 형성된 판체(21)와, 판체(21) 표면에 부착된 고무 또는 합성수지제 압착층(22) 및 압착층(22)을 관통하여 판체(21)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결선고리(23)로 구성되며, 도 10에서와 같이 결선고리(23)에 결선된 지지선(41)이 수평슬릿(17)을 통과하여 배후 격벽(15) 상단에 고정된 결속장치(30)에 체결됨으로써 케이슨의 벽체 표면에 밀착 고정된다.
한편, 압착층(22)의 표면에는 수평슬릿(17)과 일치하는 형태의 정치돌부(25)를 형성하여, 도 11에서와 같이 차단판(20)의 설치시 정확한 위치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차단판(20)의 판체(21) 상단에는 견인고리(24)를 형성하여 케이슨의 침설 후 차단판(20)의 분리시 예인선에 의한 차단판(20)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였다.
차단판(20)과 연결된 지지선(41)이 고정되는 결속장치(30)는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U자형(逆U字形)으로 구성된 프레임(31)과 프레임(31) 전방측 하단에 힌지결합된 한쌍의 결속부(32) 및 압박나사(34)에 의하여 이동하는 압박판(33)으로 구성되어, 압박나사(34)를 회전하여 압박판(33)을 격벽(15) 표면에 밀착시킴으로써 고정되는데, 추후 차단판(20) 및 지지선(41)의 해체시 압박나사(34)를 푸는 간단한 조치만으로 신속한 탈거가 가능하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결속부(32)로서 일단이 프레임(31) 하단부에 힌지결합된 턴버클(turnbuckle)을 적용하여 차단판(20)과 결속장치(30)간 지지선(41)의 결선 후 턴버클을 회전하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지지선(41)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층 신속하고 견고한 차단판(20)의 밀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차단판(20)의 결선고리(23)에 결선된 지지선(41)은 수평슬릿(17)을 통과하여 결속부(32)에 체결되는데 도 9 및 도 10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격벽(15)에 지지브래킷(42)을 설치하고 차단판(20) 하부 결선고리(23)에 결선된 지지선(41)이 지지브래킷(42)을 경유하여 결속장치(3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층 안정적이고 견고한 차단판(20)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은 차단판(20) 및 결속장치(3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케이슨을 침설 시공하는 과정을 약술하면 다음과 같다.
육상에서 완성된 케이슨에 차단판(20)을 설치함에 있어서 우선 다층의 수평슬릿(17)이 형성된 케이슨 벽체 배후의 격벽(15) 상단에, 결속장치(30)를 결합하고 압박나사(34)를 조여 고정한 후, 차단판(20)에 형성된 결선고리(23)와 상기 결속장치(30)의 결속부(32)를 결속하여 고정한다.
이후, 차단판(20)에 의하여 수밀처리된 케이슨을 진수 및 예인하여 설치 지점으로 이동하고 케이슨 내부에 충전재(19) 및 해수를 주입하여 침설(沈設)한다.
침설이 완료되면 지지선(41)을 해체하고 결속장치(30)의 압박나사(34)를 풀어 결속장치(30)를 격벽(15)에서 분리한 후, 차단판(20)을 케이슨 벽체에서 이탈시켜 수평슬릿(17)을 개방함으로써 본 발명 케이슨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렇듯 격벽(15) 상단에 탈부착 가능한 결속장치(30) 및 수평슬릿(17)을 통과하는 지지선(41) 등의 구성을 통하여, 케이슨의 진수 및 예인시에는 케이슨 표면의 훼손 없이 차단판(20)의 견고한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차단판(20)의 탈거시에는 잠수부를 동원하는 수중작업 없이도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다.
11 : 만곡돌출벽
12 : 만곡요입벽
13 : 측벽
14 : 배벽
15 : 격벽
16 : 격실
17 : 수평슬릿
18 : 요입부
19 : 충전재
20 : 차단판
21 : 판체
22 : 압착층
23 : 결선고리
24 : 견인고리
25 : 정치돌부
30 : 결속장치
31 : 프레임
32 : 결속부
33 : 압박판
34 : 압박나사
41 : 지지선
42 : 지지브래킷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외해측 벽체에 케이슨 내, 외부를 연결하는 통수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격벽(15)으로 분할된 다수의 격실(16)이 형성되며, 외해측 벽체 일부가 돌출된 소파형 케이슨으로서, 케이슨의 외해측 면에는 만곡돌출벽(11) 및 만곡돌출벽(11) 양단에 각각 연결된 한쌍의 만곡요입벽(12)이 구성되되, 만곡돌출벽(11)을 중심으로 만곡요입벽(12)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평단면상 만곡요입벽(12)과 측벽(13)은 직교하며, 만곡돌출벽(11)과 만곡요입벽(12)을 관통하는 수평슬릿(17)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만곡돌출벽(11) 및 만곡요입벽(12) 배후의 격실(16)과 케이슨 외부가 서로 연결되고, 케이슨 부두측 면의 배벽(14)을 관통하는 수평슬릿(17)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배벽(14) 내측의 격실(16)과 케이슨 외부가 서로 연결되는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에 있어서,
    다층의 수평슬릿(17)이 형성된 케이슨 벽체 배후의 격벽(15) 상단에, 결속장치(30)를 결합하되, 이 결속장치(30)는 역U자형(逆U字形)으로 구성된 프레임(31)과 프레임(31) 전방측 하단에 힌지결합된 한쌍의 결속부(32) 및 압박나사(34)에 의하여 이동하는 압박판(33)으로 구성되어, 압박나사(34)를 회전하여 압박판(33)을 격벽(15) 표면에 밀착시킴으로써 결속장치(30)를 격벽(15)에 고정하는 단계와;
    수평슬릿(17)이 형성된 케이슨 벽체 표면과 일치하는 형상의 판체(21), 판체(21) 표면에 부착된 압착층(22) 및 압착층(22)을 관통하여 판체(21)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결선고리(23)로 구성된 차단판(20)을 압착층(22)이 케이슨 벽체 표면에 접하도록 설치하되, 수평슬릿(17)을 통과하는 지지선(41)으로 차단판(20) 상부 및 하부의 결선고리(23)와 결속장치(30)의 결속부(32)를 각각 연결하여 구속하는 단계와;
    차단판(20)에 의하여 수밀처리된 케이슨을 진수 및 예인하여 설치 지점으로 이동하고 케이슨 내부에 충전재(19) 및 해수를 주입하여 침설(沈設)하는 단계와;
    지지선(41) 및 결속장치(30)를 해체하고 차단판(20)을 케이슨 벽체에서 이탈시켜 수평슬릿(17)을 개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KR1020100026835A 2010-03-25 2010-03-25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KR10098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35A KR100982970B1 (ko) 2010-03-25 2010-03-25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35A KR100982970B1 (ko) 2010-03-25 2010-03-25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970B1 true KR100982970B1 (ko) 2010-09-17

Family

ID=4301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835A KR100982970B1 (ko) 2010-03-25 2010-03-25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97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1663A (zh) * 2010-12-23 2011-05-25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组合混凝土矩形沉井港池及其施工方法
KR101127401B1 (ko) * 2011-08-10 2012-03-2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상부유수실을 갖춘 상치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101188624B1 (ko) 2009-07-08 2012-10-08 하 중 김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KR101245370B1 (ko) * 2011-06-14 2013-03-19 심규택 가변식 소파부재가 구비된 해양 구조물
KR101290148B1 (ko) 2010-08-12 2013-07-26 고양종합건설 주식회사 소파기능이 부가된 방파제의 캡콘크리트
KR101357639B1 (ko) 2013-07-11 2014-02-06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다층 3차원 슬릿형 파력저감 케이슨,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366814B1 (ko) 2013-11-18 2014-02-25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해수 교환 케이슨
KR101386626B1 (ko) * 2012-04-25 2014-04-17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CN107724331A (zh) * 2017-10-26 2018-02-23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沉箱重力式码头结构
KR101849210B1 (ko) * 2017-05-19 2018-04-1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항만 방파제용 태극 요철형 케이슨
CN109338988A (zh) * 2018-11-21 2019-02-15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单侧翼墙式生态型丁坝
CN112160284A (zh) * 2020-09-24 2021-01-0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笼体式系泊消波堤
KR20210088253A (ko) 2020-01-06 2021-07-14 현대건설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케이슨의 해상 설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케이슨 결합체
KR102509216B1 (ko) 2023-01-11 2023-03-10 지성배 다중 슬릿이 형성된 분리 가능한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856A (ja) * 1996-08-20 1998-03-03 Daiho Constr Co Ltd 消波型ケーソン
KR200238762Y1 (ko) * 2001-04-04 2001-10-11 원 회 양 방파제 및 방파호안용 소파블럭
KR100461584B1 (ko) * 2001-08-28 2004-12-10 원 회 양 연약층이 깊은 심도의 부력을 이용한 방파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856A (ja) * 1996-08-20 1998-03-03 Daiho Constr Co Ltd 消波型ケーソン
KR200238762Y1 (ko) * 2001-04-04 2001-10-11 원 회 양 방파제 및 방파호안용 소파블럭
KR100461584B1 (ko) * 2001-08-28 2004-12-10 원 회 양 연약층이 깊은 심도의 부력을 이용한 방파제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624B1 (ko) 2009-07-08 2012-10-08 하 중 김 적외선을 이용한 밥솥
KR101290148B1 (ko) 2010-08-12 2013-07-26 고양종합건설 주식회사 소파기능이 부가된 방파제의 캡콘크리트
CN102071663A (zh) * 2010-12-23 2011-05-25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组合混凝土矩形沉井港池及其施工方法
CN102071663B (zh) * 2010-12-23 2012-01-25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组合混凝土矩形沉井港池及其施工方法
KR101245370B1 (ko) * 2011-06-14 2013-03-19 심규택 가변식 소파부재가 구비된 해양 구조물
KR101127401B1 (ko) * 2011-08-10 2012-03-2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상부유수실을 갖춘 상치구조물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KR101386626B1 (ko) * 2012-04-25 2014-04-17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소파구조물의 케이슨 및 이를 이용한 안벽, 방파제, 호안
KR101357639B1 (ko) 2013-07-11 2014-02-06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다층 3차원 슬릿형 파력저감 케이슨, 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366814B1 (ko) 2013-11-18 2014-02-25 주식회사 대양컨설턴트 해수 교환 케이슨
KR101849210B1 (ko) * 2017-05-19 2018-04-16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항만 방파제용 태극 요철형 케이슨
CN107724331A (zh) * 2017-10-26 2018-02-23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沉箱重力式码头结构
CN109338988A (zh) * 2018-11-21 2019-02-15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单侧翼墙式生态型丁坝
CN109338988B (zh) * 2018-11-21 2024-01-23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单侧翼墙式生态型丁坝
KR20210088253A (ko) 2020-01-06 2021-07-14 현대건설주식회사 부력을 이용한 케이슨의 해상 설치 방법 및 이를 위한 케이슨 결합체
CN112160284A (zh) * 2020-09-24 2021-01-0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笼体式系泊消波堤
CN112160284B (zh) * 2020-09-24 2021-10-12 哈尔滨工程大学 一种笼体式系泊消波堤
KR102509216B1 (ko) 2023-01-11 2023-03-10 지성배 다중 슬릿이 형성된 분리 가능한 케이슨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70B1 (ko)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US20020104469A1 (en) Precast modular concrete shape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o form shoreline stabilization, marine and terrestrial structures
US4242010A (en) Method and means for protecting a sea bottom surface and an installation on same
KR101694382B1 (ko) 케이슨과 부유식구조물을 구비한 방파제
US10718095B2 (en) Beach erosion inhibitor
CN103243704A (zh) 一种浅层淤泥地基处理方法
RU175001U1 (ru) Подпричальный волногаситель
JP5646978B2 (ja) 透過式海域制御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366814B1 (ko) 해수 교환 케이슨
JPH0921141A (ja) 海底または河底に建設するトンネル工法
JP2008111315A (ja) 長周期波低減対策構造物
FR2693216A1 (fr) Barrière de protection contre la houle.
JP6923282B2 (ja) 捨石構造物及びその築造方法
RU2079599C1 (ru) Водопропускное сооружение под насыпью
KR100320071B1 (ko) 인공어초가 구비된 조립식 직립 방파제
US1768309A (en) Revetment
JPS5941528A (ja) ケ−ソン
CN105648985B (zh) 岛礁开发建设方法
KR101326773B1 (ko) 부등침하에 대응이 용이한 항만구조물
US10954641B2 (en) Beach erosion inhibitor
KR100619574B1 (ko) 직립제 및 혼성제 혼용 방파제 구조
KR100700261B1 (ko) 해안선 침식방지 및 친수시설을 겸한 호안용 블록체 및이를 이용한 호안의 시공방법
US4252460A (en)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forming said wall
KR20100104028A (ko) 스폰지 구조체 내장형 슬릿케이슨,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안벽
JPS59106611A (ja) 遮水シ−トの敷設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