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562B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562B1
KR101188562B1 KR1020110006197A KR20110006197A KR101188562B1 KR 101188562 B1 KR101188562 B1 KR 101188562B1 KR 1020110006197 A KR1020110006197 A KR 1020110006197A KR 20110006197 A KR20110006197 A KR 20110006197A KR 101188562 B1 KR101188562 B1 KR 101188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edge
peripheral surface
support frame
outer periph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893A (ko
Inventor
이동현
정연태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5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8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04R7/18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for diaphragms or their outer suspen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204Material aspects of the outer suspension of loudspeaker diaphrag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피커가 개시된다. 상기 스피커는 시트형상의 재료로 에지를 성형한다. 따라서, 에지의 원료를,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TPO(Thermo Plastic Olefin), 우레탄폼 또는 PP(Polypropylene)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에지의 재질이 다양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에지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란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방사하는 음향기기이다.
스피커는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을 가지고, 진동판은 에지를 매개로 프레임에 지지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의 에지부를 보인 단면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11)는 전체적인 외형이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단면(斷面) 형상이 대략 반원형인 곡면부(11a), 곡면부(11a)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접착부(11b) 및 곡면부(11a)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제 2 접착부(11c)를 가진다. 제 1 접착부(11b)에는 콘 형상의 진동판(13)의 외주면측이 결합되고, 제 2 접착부(11c)는 프레임(15)의 플랜지부(15a)에 결합된다.
스피커의 음압은 진동판의 면적과 비례하므로, 동일 크기의 스피커라면, 진동판의 면적이 넓을수록 좋다.
그런데, 도 1의 (a)에 도시된 종래의 스피커는, 제 2 접착부(11c)가 곡면부(11a)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플랜지부(15a)에 결합되므로, 에지(11)의 전체 부위가 상대적으로 프레임(15)의 중심과 더 가까이 위치된다. 따라서, 에지(11)의 제 1 접착부(11b)에 결합되는 진동판(13)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접착부(21c)를 곡면부(21a)의 내측으로 돌출 연장한 에지(21)가 개발되었다.
그러면, 에지(21)의 전체 부위가 상대적으로 프레임(15)의 중심에서 더 멀리 위치되므로, 에지(21)의 제 1 접착부(21b)에 결합되는 진동판(13)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다.
그런데, 도 1의 (b)에 도시된 종래의 스피커는, 에지(21)와 플랜지(15a)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지(21)의 제 2 접착부(21c)를 대략 사각형상으로 돌출 형성한다. 그런데, 제 2 접착부(21c)의 형상으로 인하여, 에지(21)를 성형할 때, 고무를 녹인 물을 소정의 금형속에 주입하여 성형한다. 즉, 에지(21)의 재료로 상대적으로 고가인 고무를 사용하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에지(21)의 재질이 고무로만 제한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에지(21)를 제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동판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링형상의 수직플랜지, 상기 수직플랜지의 일단면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플랜지, 상기 수평플랜지의 내주면에서 연장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수용부측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일측은 상기 자기회로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이스코일의 타단부측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며 상기 보이스코일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 내주면측은 상기 진동판의 외주면측에 결합되고 외주면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링형상의 에지를 가지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플랜지에는 링형상의 지지테가 결합되고,
상기 에지는 시트형상의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하며, 단면(斷面)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측 단면(端面)이 상기 지지테에 결합된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내주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진동판의 외주면측에 결합되는 접착부를 가지고,
상기 에지의 곡면부의 외주면측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테에 결합된 후 상기 지지테의 일측 부위와 함께 절단되어 제거되는 보조접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시트형상의 재료로 에지를 성형한다. 따라서, 에지의 원료를,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TPO(Thermo Plastic Olefin), 우레탄폼 또는 PP(Polypropylene)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에지의 재질이 다양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에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피커의 에지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에지를 성형한 후, 접착부에 결합하는 방법을 보인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11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링형상의 수직플랜지(111), 수직플랜지(111)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플랜지(113), 수평플랜지(113)의 내주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케이스 형상을 이루며 중앙부측에 관통공(115a)이 형성된 수용부(115)를 가진다.
관통공(115a) 외측의 수용부(115) 저면에는 링형상으로 마련된 플레이트(121)가 결합되고, 플레이트(121)의 저면에는 마그네트(123)가 결합되며, 마그네트(123)의 저면에는 요크(125)가 결합된다. 요크(125)는 마그네트(123)의 저면에 결합된 받침판(125a)과 받침판(125a)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마그네트(123)와 플레이트(121)를 관통하는 돌출부(125b)를 가진다.
돌출부(125b)의 외주면과 마그네트(123)의 내주면 사이 및 돌출부(125b)의 외주면과 플레이트(121)의 내주면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121), 마그네트(123) 및 요크(125)가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120)를 이룬다.
자기회로부(120)의 상측에는 보이스코일(131), 진동판(135) 및 에지(141)를 가지는 음향발생부가 결합된다.
보이스코일(131)은 하부측이 자기회로부(120)의 갭(G)에 위치되고, 상부측은 자기회로부(120)의 상측에 위치된다. 진동판(135)은 콘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측이 보이스코일(131)의 상부측 외주면에 결합된다. 에지(14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주면측은 진동판(135)의 외주면측에 결합되고, 외주면측은 수직 및 수평플랜지(111,113)측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외부의 전원이 보이스코일(131)에 공급되면, 보이스코일(131)과 자기회로부(120) 사이에 생성되는 전자기력에 의하여 보이스코일(131)이 상하로 진동하고, 보이스코일(131)에 의하여 진동판(135)이 상하로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진동판(135)의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에지(141)를 경제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를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에지를 성형한 후, 접착부에 결합하는 방법을 보인 도이다.
도 3a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형상의 재료(145)를 금형 또는 가열과 진공에 의한 진공성형 등과 같은 방법으로 성형하여 곡면부(141a)와 접착부(141b)를 가지는 링형상의 에지(141)로 성형한다.
즉, 에지(141)는 단면(斷面)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된 곡면부(141a)와 곡면부(141a)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접착부(141b)를 가진다. 그런데, 프레임(110) 및 진동판(135)에 결합되기 전의 에지(141)는 곡면부(141a)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보조접착부(141c)를 가진다.
그리고, 링형상의 지지테(150)를 형성한다. 최초의 지지테(150)의 외경은 보조접착부(141c)의 외경과 대략 대응되고, 최초의 지지테(150)의 내경은 보조접착부(141c)의 내경 보다 짧게 형성된다.
그후, 지지테(150)와 보조접착부(141c)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지지테(150)의 외주면과 보조접착부(141c)의 외주면을 대응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도 3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접착부(141c)를 눌러서 지지테(150)에 접착 결합한다. 보조접착부(141c)를 지지테(150)측으로 눌러서 보조접착부(141c)를 지지테(150)에 접착 결합하므로, 보조접착부(141c)는 지지테(150)에 견고하게 접착 결합된다.
그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접착부(141c)와 보조접착부(141c)가 결합된 지지테(150)의 부위를 절단하여 제거한다. 그러면, 에지(141)의 곡면부(141a)의 외주면측 단면(端面)이 지지테(150)의 외주면측 상면에 결합된 형태가 되고, 지지테(150)의 내주면측은 곡면부(141a)의 내부에 위치된 형태가 된다.
이후, 지지테(150)를 수평플랜지(113)에 결합하고 곡면부(141a)의 외주면측을 수직플랜지(111)에 결합하면, 에지(141)의 전체 부위가 상대적으로 프레임(110)의 중심측에서 더 멀리 위치된다. 그러면, 에지(141)의 접착부(141b)에 결합되는 진동판(135)의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할 수 있다.
에지(141)의 재료는 면포의 일면에 우레탄을 코팅한 것,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TPO(Thermo Plastic Olefin), 우레탄폼 또는 PP(Polypropylene)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테(150)의 재료는 종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는 시트형상의 재료로 에지(141)를 성형한다. 따라서, 에지(141)를 고무 보다 저렴한 면포의 일면에 우레탄을 코팅한 것, TPU, TPO, 우레탄폼 또는 PP시트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원가가 절감되고, 다양한 종류의 에지(141)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10 : 프레임 111 : 수직플랜지
113 : 수평플랜지 115 : 수용부
141 : 에지 141a : 곡면부
141b : 접착부 150 : 지지테

Claims (3)

  1. 링형상의 수직플랜지, 상기 수직플랜지의 일단면에서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링형상의 지지테가 결합된 수평플랜지, 상기 수평플랜지의 내주면에서 연장 형성된 수용부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수용부측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며 자기력을 발생하는 자기회로부; 일측은 상기 자기회로부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며 상기 자기회로부와 작용하여 진동하는 보이스코일, 상기 보이스코일의 타단부측 외주면에 내주면이 결합되며 상기 보이스코일에 의하여 진동하면서 음향을 재생하는 진동판, 내주면측은 상기 진동판의 외주면측에 결합되고 외주면측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링형상의 에지를 가지는 음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지는 시트형상의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하고, 단면(斷面) 형상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측 단면(端面)이 상기 지지테에 결합된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내주면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진동판의 외주면측에 결합되는 접착부를 가지며,
    상기 에지의 곡면부의 외주면측에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지지테에 결합된 후 상기 지지테의 일측 부위와 함께 절단되어 제거되는 보조접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에지의 재료는 면포의 일면에 우레탄을 코팅한 것,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TPO(Thermo Plastic Olefin), 우레탄폼 또는 PP(Polypropylene)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상기 지지테의 재료는 종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삭제
  3. 삭제
KR1020110006197A 2011-01-21 2011-01-21 스피커 KR10118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97A KR101188562B1 (ko) 2011-01-21 2011-01-21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197A KR101188562B1 (ko) 2011-01-21 2011-01-21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93A KR20120084893A (ko) 2012-07-31
KR101188562B1 true KR101188562B1 (ko) 2012-10-05

Family

ID=4671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197A KR101188562B1 (ko) 2011-01-21 2011-01-21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5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8708B1 (ko) * 2022-07-20 2024-09-23 에스텍 주식회사 스피커의 진동판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893A (ko) 2012-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97904B (zh) 一种双振膜扬声器模组
KR101889315B1 (ko) 스피커 진동 시스템
CN203301728U (zh) 一种双振膜扬声器模组
CN103209377B (zh) 多功能扬声器
KR101559304B1 (ko) 방수 구조를 가지는 마이크로스피커
KR101760754B1 (ko) 방수 기능 사이드 진동판 및 이를 구비하는 마이크로스피커
CN214627352U (zh) 一种扬声器
KR101622156B1 (ko) 진동판 중앙부의 강성을 향상시킨 리시버
KR101188562B1 (ko) 스피커
US20170339492A1 (en) Miniature loudspeaker
KR101538635B1 (ko) 방수 마이크로스피커
KR101468629B1 (ko) 마이크로 스피커용 진동판 모듈
KR101061284B1 (ko) 슬림형 스피커
KR101564216B1 (ko) 보이스코일 및 이를 사용한 스피커
CN205179356U (zh) 一种改进支撑结构的扬声器
KR101086950B1 (ko) 스피커 시스템
CN207884880U (zh) 扬声器
KR101046786B1 (ko) 스피커
KR20110085102A (ko) 스피커
KR101722527B1 (ko) 박형 스피커
KR101345335B1 (ko) 스피커
CN204090137U (zh) 高音喇叭的改良结构
KR100962596B1 (ko) 스피커
CN221728514U (zh) 一种稳固型低频增强的压电喇叭结构
CN203748003U (zh) 扬声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