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240B1 - 씰장치 - Google Patents

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240B1
KR101188240B1 KR1020067021854A KR20067021854A KR101188240B1 KR 101188240 B1 KR101188240 B1 KR 101188240B1 KR 1020067021854 A KR1020067021854 A KR 1020067021854A KR 20067021854 A KR20067021854 A KR 20067021854A KR 101188240 B1 KR101188240 B1 KR 10118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eal lip
support ring
sealing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682A (ko
Inventor
마사미츠 사나다
Original Assignee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구루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5/01157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6001353A1/ja
Publication of KR2007002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04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with at least one l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16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 F16J15/3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ing surfaces with elastic sealings, e.g. O-rings
    • F16J15/3268Mounting of sealing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08Seal for use in rotating and reciprocating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ing With Elastic Sealing 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씰장치에서는, 씰립부(23)의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요부(23t)에 보강환(30)과는 독립하여 서포트링(40)을 삽입하여, 씰립부(23)를 내주측으로부터 지지하며, 이 서포트링(40)을 개재부(23u)를 거쳐 보강환(30)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르면, 씰링(20)에 회전축(S)을 삽입했을 때에, 씰부(23e)와 회전축(S)의 접촉면적을 적절히 할 수있으며, 씰립부(23)에 높은 압력이 작용했을 때에, 씰립부(23e)와 회전축(S)과의 접촉면적의 증가를 적절한 범위로 억제할 수가 있고, 또한, 회전축(S)의 편심에 대하여 추종가능하게 된다.
립형 씰, 씰립, 하우징, 회전축, 씰링, 서포트링, 탄성재료, 가터스프링, 더스트립, 보강부, 환형요부

Description

씰장치 {Sealing Device}
본 발명은 기기 등의 축과 하우징의 사이를 밀봉하는 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과 그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회전축 사이를 밀봉하는 씰장치로서, 립형 씰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3-120821호 공보 참조). 립형 씰장치에는, 높은 압력의 피밀봉유체의 누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내압성능이나, 회전축에 접촉하는 씰립의 섭동마찰에 의한 마모나 발열에 대한 내구성능이 요구된다.
한편, 립형 씰에서는 고압환경하에서도, 씰립와 회전축의 접촉면적을 적절한 크기로 유지하기 위해, 씰립를 지지하는 서포트링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 10-325470 호 공보 참조).
상기 일본 특허 공개 평 10-325470호 공보에 개시된 립형 씰장치는 오일씰이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7)의 구멍(107a)에 삽입되는 삽입부(101), 이 삽입부(101)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환형부(102) 및 환형부(102)로부터 도면 우측방의 밀봉해야할 오일측으로 연장하고 회전축(106)에 접촉하는 실린더형의 씰립부(103)를 가지는 고무제의 씰링(100)과 삽입결합부(101) 및 환형부(102)에 매설된 금속제의 보강환(104)과 씰립부(103)의 뿌리영역의 내주면에 매설된 금속제의 서포트링(105)을 구비하고 있다.
서포트링(105)은 씰립부(103)의 뿌리영역이 압력을 받아 회전축(106) 측으로 과잉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고, 씰립부(103)와 회전축(106)의 접촉면적의 증대에 따른 마모나 마찰열의 발생을 억제한다.
보강환(104)은 씰립(100)의 삽입부(101) 및 환형부(102)를 보강하며, 축방향에서 서포트링(105)과 접촉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오일씰은 고무제의 씰립(100)을 성형할 때, 금속제의 보강환(104) 및 서포트링(105)과 함께 일체성형하므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씰링(100)을 보강환(104) 및 서포트링(105)과 함께 일체적으로 성형하면, 씰링(100)을 회전축(106)에 삽입장착할 때의 씰립부(103)와 회전축(106)의 접촉상태는 씰립부(103)의 성형정밀도의 편차에 따라서 변화한다. 예를 들면, 씰립부(103)가 회전축(106)에 과도하게 접촉하는 경우에는, 씰립부(103)가 뿌리영역으로부터 변형하여 서포트링(105)으로부터 벗겨져서, 양자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일이 있다. 서포트링(105)과 씰립부(103)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면, 서포트링(105)은 씰립부(103)의 뿌리영역을 지지하는 역활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종래의 오일씰의 씰립부(103)는 서포트링(10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축(106)의 편심에 대하여 추종할 수 없게 되어, 높은 압력의 작용하에서 마모가 현저하게 진행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압피밀봉유체에 이용되는 씰립부를 구비한 씰장치에서, 씰립부가 회전축의 편심에 추종할 수 있으며 내압성, 내구성이 우수한 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씰장치는 피밀봉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축 사이를 밀봉하는 씰장치에 있어서, 하우징의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 삽입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환형부, 환형부로부터 피밀봉유체측으로 연장하는 실린더형의 씰립부, 씰립부의 내주에서 환형부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설치된 환형요부 및 씰부를 가지며 고무형 탄성재료로 형성된 씰링과 환형부에 매설된 환형보강부를 가지는 보강환과, 씰립부의 환형요부에 삽입되어 씰립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링을 가지고, 보강환의 환형보강부는 씰립부를 형성하는 고무형 탄성재료의 개재부를 거쳐서 축방향으로 서포트링을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씰립부는 피밀봉유체의 압력을 받아서 축을 향하여 근접하도록 변형되려고 하지만, 씰립부가 내주측으로부터 서포트링으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과잉의 변형이 저지되어 씰립부와 축의 접촉면적의 증대가 방지된다.
또한, 보강환과 서포트링 사이에, 씰링을 형성하는 고무형 탄성재료의 개재부를 개재시키므로써, 이 고무형 탄성재료의 개재부가 축의 편심에 따라서 변형하므로, 씰립부가 축의 편심에 대해서도 추종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씰링을 서포트링과 별도로 성형하고, 서포트링을 씰링의 내주면에 형성한 환형요부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므로, 씰립부의 위치를 서포트링에 의해 규정할 수 있고, 씰립부에 성형오차가 있다고 해도 씰립부와 축의 접촉면적이 과잉으로 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링만을 교환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 재료, 강도, 치수 등의 사양이 다른 서포트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서, 서포트링은 씰링의 내경을 눌러 확장시키도록 씰립부의 환형요부에 삽입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서포트링을 씰립부의 내주면의 환형요부에 삽입하면, 서포트링은 씰립부의 탄성변형에 따른 힘에 항거하여 씰립부를 지지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씰립부가 변형했다고 해도, 서포트링과 환형요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서포트링에 씰립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씰립부와 축의 접촉상태를 안정화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씰립부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링의 지지면은 씰립부의 선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서서히 감소하는 만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씰립부의 내주면은 이 서포트링의 지지면에 대응하도록 만곡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씰립부의 내주면 및 서포트링의 지지면의 쌍방을 만곡면으로 하므로써, 씰립부의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씰립부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씰장치에 따르면, 최적으로 설계된 서포트링에 의해 씰립부를 지지하고, 서포트링과 이것을 지지하는 보강환의 사이에 씰립부를 형성하는 고무형 탄성재료의 일부(개재부)를 개재시키므로써, 씰립부의 고압환경 하에서의 과잉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씰립부의 축의 편심에 추종할 수 있다. 그 결과, 축과의 사이에 섭동에 따른 마모나 발열을 억제할 수 있고, 우수한 내압성, 내구성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씰장치에 따르면, 보강환과 서포트링을 분리하고, 서포트링을 씰링에 삽입하는 구성이므로, 씰립부의 축에 대한 위치를 안정화할 수 있고, 서포트링을 씰링에 안정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고, 씰의 신뢰성을 높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씰장치의 구조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한 씰장치를 컴프레서의 하우징 및 회전축 사이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관한 씰장치의 미장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서포트링을 씰링에 장착하기 전의 씰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서포트링과 씰링이 일체성형된 씰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서포트링과 씰링이 일체성형된 씰장치를 회전축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서포트링과 씰링이 일체성형된 씰장치를 컴프레서의 하우징 및 회전축 사이에 장착하고, 씰립부가 압력을 받아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씰립부의 회전축에의 접촉폭과 피밀봉유체의 압력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씰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최적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씰장치가 자동차 등에 탑재되는 공조시스템의 컴프레서에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씰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며, 도 2는 장착상태에서의 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미장착상태에서 씰장치의 단면도이다.
컴프레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윤곽을 한정하는 하우징(H), 하우징(H) 내에 수용된 압축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외부로부터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S)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축(S)(의 외주면)과 하우징(H)(의 구멍(Ha)의 내벽면)의 사이를 밀봉하도록, 본 발명에 관한 씰장치(sealing device : 10)가 장착되어, 내부공간에 수용된 피밀봉유체(F)가 외부로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냉매인 피밀봉유체(F)는 0.1 ~ 7 MPa 정도의 높은 압력으로 가압된다(오일씰에서는 통상 0.1 MPa 미만).
씰장치(10)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링(seal ring : 20), 이 씰링(20)에 매설된 보강환(30), 및 씰링(20)의 내주에 삽입된 서포트링(support ring : 40)에 의해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가터스프링(garter spring : 50)을 구비하고 있다.
씰링(20)은, 고무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부(21), 환형부(22), 씰립부(seal lip part : 23), 더스트립부(dust lip part : 2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씰링(20)에서는 고압환경 하에서 적당한 탄성변형이 얻어지는 재료라면, 고무재료에 한하지 않고, 수지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삽입부(21)는 실린더형으로 형성되고, 하우징(H)의 구멍(Ha)에 삽입된다.
환형부(22)는 삽입부(21)로부터 직경방향내측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고, 삽입부(21)와 씰립부(23)를 연결한다.
더스트립부(24)는 환형부(22)의 내주부로부터 축선방향(S1)의 하우징(H)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하고, 선단부가 회전축(S)에 접촉한다. 이 더스트립부(24)는 하우징(H)의 내부에 더스트(dust)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씰립부(23)는 환형부(22)의 피밀봉유체(F) 측에서의 측면(22f)으로부터 하우징(H)의 내부(피밀봉유체(F) 측)로 연장하고, 실린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씰립부(23)는 선단측의 내주에서, 회전축(S)를 향하여 돌출하는 산형의 단면을 한정하는 원추면(3c, 23d)을 가지고, 이들의 원추면(23c, 23d)에 의해 한정되는 능선영역에서 회전축(S)에 접촉하는 씰부(seal part : 23e)를 가진다. 씰부(23e)가 회전축(S)의 주위에 접촉하므로써, 회전축(S)의 외주가 밀봉된다.
씰립부(23)는 선단측의 외주에 환형의 홈(23h)을 가지고 있고, 이 홈(23h)에 환형의 가터스프링(50)이 삽입된다. 또한, 가터스프링(50)은 씰립부(23)의 선단부를 회전축(S)을 향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씰립부(23)는 환형부(22)의 측면(22f)으로부터 연장하는 뿌리영역(23a)의 내주에, 서포트링(40)이 삽입되는 환형요부(23t)를 가진다. 이 환형요부(23t)의 내주면은 서포트링(40)의 지지면의 형상에 상응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씰립부(23)는 보강환(30)의 후술하는 환형보강부(32)와 서포트링(40) 사이에 개재하는 개재부(23u)를 가진다.
보강환(30)은 씰링(20)의 삽입부(21) 및 환형부(22)에 각각 매설된 실린더형 보강부(31) 및 환형보강부(32)를 가지고 있고, 고무재료로 형성되는 씰링(20)을 보강하고 있다. 또한, 보강환(30)은 씰링(20)을 형성하는 재료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보강환(30)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씰링(20)을 형성하는 고무재료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므로, 금속을 부식시키는 유체를 피밀봉유체(F)에 사용한 경우에도 스틸 등의 녹슬기 쉬운 염가의 강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보강환(30)은 씰링(20)의 성형시에 성형형틀 내에 놓여져서 씰링(20)과 일체로 성형된다.
서포트링(40)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씰립부(23)의 뿌리영역(23a)의 내주에 형성된 환형요부(23t)에 삽입되어, 이 뿌리영역(23a)을 내주측으로부터 지지하므로써, 피밀봉유체(F)의 압력을 받아 씰립부(23)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한다.
서포트링(40)은 금속으로 형성되지만, 피밀봉유체(F)에 금속을 부식시키는 유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텐레스 등의 내부식성의 금속 혹은 표면이 내부식성의 재료가 도금 등에 의해 피복된 금속을 이용한다.
서포트링(40)은 단면형상이 원호형을 가지고 있고, 외주에 환형요부(23t)를 지지하는 지지면(40t)을 가진다. 이 지지면(40t)는 씰립부(23)의 선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서서히 감소하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씰립부(23)의 환형요부(23t)의 내주면도 지지면(40t)에 상응하는 만곡면으로 되어 있다. 지지면(40t) 및 씰립부(23) 의 환형요부(23t)의 내주면을 만곡면으로 하므로써, 씰립부(23)가 압력을 받아 변형했을 때, 서포트링(40)의 엣지에 의해 씰립부(23)에 응력이 집중하여 균열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링(40)은 보강환(30)의 환형보강부(32)의 내측면과 축선방향(S1)에서 씰링(20)을 형성하는 고무재료의 일부인 개재부(23u)를 거쳐서 대향하고 있다. 서포트링(40)과 보강환(30)의 환형보강부(32) 사이에 씰링(20)을 형성하는 고무재료의 개재부(23u)를 개재시키므로써, 이 고무재료의 개재부(23u)가 회전축(s)의 편심에 따라서 탄성변형가능하게 되므로, 씰립부(23)가 회전축(S)의 편심에 대해서도 추종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포트링(40)은 보강환(30)의 환형보강부(32)와 접촉하지 않지만, 축선방향(S1)에서 대향하고 있으므로, 서포트링(40)이 피밀봉유체(F)로부터 축선방향(S1)의 힘을 받는다고 해도, 서포트링(40)은 보강환(30)의 환형보강부(32)에 의해 지지된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링(40)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 씰링(20)의 환형요부(23t)의 내경(D2)은 서포트링(40)의 외경(D1) 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즉, 서포트링(40)을 환형요부(23t)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씰링(20)의 씰립부(23)에 탄성변형을 발생시키면서, 씰립부(23)를 직경방향 외측으로 눌러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씰립부(23)를 직경방향 외측으로 눌러 확장시켜서 환형요부(23t)로 서포트링(40)을 삽입하면, 씰립부(23)의 뿌리영역(23a)은,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여 탄성변형한다. 이 상태에서, 서포트링(40)은 씰립부(23)의 뿌리영역(23a)으로부터 복원력을 받기 때문에, 지지면(40t)과 환형요부(23t)의 내부면은 상시 밀착한다.
또한,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링(40)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인 씰링(20)은 씰부(23e)의 내경이 회전축(S)의 외경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씰부(23e)의 위치는 서포트링(40)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성형정밀도의 편차에 따라서 변화한다. 특히, 씰립부(23)의 뿌리영역(23a)에 성형오차가 있으면 씰부(23e)의 위치는 크게 변한다.
한편,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링(40)이 환형요부(23t)에 삽입되면, 뿌리영역(23a)이 탄성변형을 받아, 씰부(23e)는 서포트링(40)의 외경(D1)에 따른 위치로 이동한다. 즉, 씰립부(23)에 성형오차가 존재한다고 해도, 서포트링(40)에 의해 뿌리영역(23a)의 내주를 탄성변형에 따른 힘에 항거하여 지지하므로써, 씰부(23e)의 위치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 서포트링(40)에 의해 규정되는 씰부(23e)의 위치를 회전축(S)에 적절히 접촉하는 위치가 되도록 설계하면, 씰링(20)에 회전축(S)을 삽입했을 때에, 씰부(23e)와 회전축(S)의 접촉면적이 안정화된다.
여기서, 씰링(20)을 서포트링(40)과는 별도로 성형하고, 서포트링(40)을 뒤로부터 씰링(20)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따른 장점을 더욱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비교례로서, 도 4A, 도 4B 및 도 5에서 씰링(20)과 서포트링(40)을 일체적으로 성형한 씰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A, 도 4B,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장치(200)의 서포트링(40)은 보강환(30)의 환형보강부(32)에 접촉하고 있다.
씰링(20)과 서포트링(40)을 일체적으로 성형한 경우에는, 씰부(23e)의 위치는 성형정밀도의 편차에 따라서 변화하고,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부(23e)의 위치가 회전축(S) 측으로 크게 먹어들어가는 상태로 성형되는 것도 있다.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된 씰장치(200)에,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S)이 삽입되면, 씰립부(23)의 뿌리영역(23a)은 직경방향 외측으로 크게 변형하고, 서포트링(40)으로부터 씰립부(23)가 벗겨질 가능성이 있다. 이 상태에서는, 서포트링(40)은 씰립부(23)를 지지하지 않고, 서포트링(40)에 따른 씰립부(23)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상태의 씰장치(200)를 이용하여, 회전축(S)과 하우징(H) 사이의 밀봉을 행하면, 피밀봉유체(F)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립부(23)는 회전축(S)을 향하여 크게 변형하고, 씰부(23e)와 회전축(S)의 축선방향(S1)에서의 접촉폭(W)은 극단적으로 증대한다. 즉, 씰장치(200)에서는, 서포트링(40)은 씰립부(23)를 충분히 지지하고 있지 않으며, 서포트링(40)에 따른 씰립부(23)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상술하는 도 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씰링(20)의 환형요부(23t)에 서포트링(40)을 삽입한 상태에서, 서포트링(40)은 씰립부(23)의 내주측을 확실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씰립부(23)가 피밀봉유체(F)로부터 압 력을 받았을 때에, 서포트링(40)에 따른 씰립부(3)의 변형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 피밀봉유체(F)의 압력의 상승에 대한 씰립부(23)와 회전축(S)의 접촉폭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한다. 또한, 비교를 위해, 서포트링(40)을 구비하지 않은 씰장치에 대하여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포트링(40)에 의해 씰립부(23)를 지지한 경우에는, 접촉폭은 압력의 상승에 비례하여 서서히 증가하지만, 서포트링(40)에 의해 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촉폭은 압력의 상승에 비례하지 않고, 급격히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씰링(20)의 내주에 보강환(30)과는 독립하여 서포트링(40)을 삽입하여 씰립부(23)의 뿌리영역(23a)의 내주를 탄성변형에 따른 힘에 저항하여 지지하므로써, 씰링(20)의 씰부(23e)의 위치를 대략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씰링(20)에 회전축(S)을 삽입한 때에, 씰부(23e)와 회전축(S)의 접촉면적을 적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씰립부(23)에 높은 압력이 작용 할 때에, 서포트링(40)은 씰립부(23)를 확실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씰립부(23)의 과잉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씰부(23e)와 회전축(S)의 접촉면적의 증가를 적절한 범위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강환(30)의 환형보강부(32)와 서포트링(40) 사이에 씰링(20)의 형성재료인 고무재료의 개재부(23u)를 개재시키고 있으므로, 씰립부(23)를 회전축(S)의 편심에 대하여 추종시킬 수 있고, 씰립부(23)가 회전축(S) 의 편심에 의해 마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서포트링(40)은 보강환(30)과는 분리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보강환(30)에 따른 제약을 받지 않고, 서포트링(40)의 배치, 치수, 강도, 재료 등을 씰장치가 사용되는 환경 등에 따라서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씰립부(23)의 외주에 가터스프링(50)을 설치한 씰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씰립부(23a)에 가터스프링(50)을 설치하지 않은 씰장치(150)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더스트립부(24)를 구비하는 씰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더스트립부(24)를 갖지 않는 씰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서포트링(40)에 의해 씰립부(23)의 뿌리영역(23a)을 지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밀봉해야할 냉매의 압력에 따라서 서포트링(40)을 씰립부(23)의 선단측으로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서포트링(40)을 전체적으로 씰립부(23)의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씰장치는 서포트링이 확실하게 기능하므로써, 소망의 실성능이 확보되면서 마모나 섭동마찰에 의한 발열이 경감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특히, 고압환경하에 노출되는 영역에 장착되는 것에 적합하고, 회전축만이 아니라, 왕복동하는 축의 외주를 밀봉할 필요가 있는 기계, 전 기기기 등에서도 유용하다.

Claims (4)

  1. 피밀봉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과 축 사이를 밀봉하는 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구멍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하는 환형부, 상기 환형부로부터 상기 피밀봉유체측으로 연장하는 실린더형의 씰립부, 상기 씰립부의 내주에서 상기 환형부로부터 선단을 향하여 설치된 환형요부 및 씰부를 가지며 고무형 탄성재료로 형성된 씰링과,
    상기 환형부에 매설된 환형보강부를 가지는 보강환과,
    상기 씰립부의 환형요부에 삽입되어 상기 씰립부를 지지하는 서포트링을 가지고,
    상기 보강환의 환형보강부는 상기 씰립부를 형성하는 고무형 탄성재료의 개재부를 거쳐서 축방향으로 상기 서포트링을 지지하고 있고,
    상기 서포트링은, 상기 씰링의 성형 후에, 상기 씰링의 내경을 눌러 확장시켜서 상기 씰립부의 내주면의 환형요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립부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상기 서포트링의 지지면은 상기 씰립부의 선단측을 향하여 외경이 서서히 감소하는 만곡면으로 이루어지 고, 상기 씰립부의 내주면은 상기 지지면에 대응하여 만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장치.
  4. 삭제
KR1020067021854A 2004-06-25 2005-06-17 씰장치 KR101188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7980 2004-06-25
PCT/JP2005/011572 WO2006001353A1 (ja) 2004-06-25 2005-06-17 シー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682A KR20070023682A (ko) 2007-02-28
KR101188240B1 true KR101188240B1 (ko) 2012-10-05

Family

ID=43654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854A KR101188240B1 (ko) 2004-06-25 2005-06-17 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050B1 (ko) 2020-11-04 2022-04-15 주식회사 비엠티 초저온 및 고압용 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8131A1 (de) * 2009-07-30 2011-02-03 Trelleborg Sealing Solutions Germany Gmbh Dichtung und Dichtungsanordnung
KR102096490B1 (ko) * 2019-11-12 2020-04-02 지원호 밀폐기능이 향상된 밸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750A (ja) 2000-08-07 2002-02-20 Nok Corp 密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750A (ja) 2000-08-07 2002-02-20 Nok Corp 密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050B1 (ko) 2020-11-04 2022-04-15 주식회사 비엠티 초저온 및 고압용 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682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5936B2 (ja) シール装置
US3980309A (en) Two-part scraper-type shaft-seal
KR101396834B1 (ko) 독립적인 시일 립들을 갖춘 샤프트 시일
US20040036228A1 (en) Mechanical seal device
US6886834B2 (en) Shaft sealing assembly
KR101085159B1 (ko) 리프형 실
CN104105909A (zh) 径向轴密封件
KR101188240B1 (ko) 씰장치
CN110741189B (zh) 机械密封件
US4911454A (en) Radial shaft sealing ring
JP2795818B2 (ja) センタリングスリーブを製造する方法及びセンタリングスリーブ
CN111492161B (zh) 密封装置
US20170313292A1 (en) Guide Ring of a Piston Pump for a Vehicle Brake System
KR20060020612A (ko) 두 샤프트 단부의 상호 센터링을 위한 센터링 장치
US2565190A (en) Fluid seal
US6997461B2 (en) High speed high pressure rotary
JP4396820B2 (ja) オイルシール
CN111527334A (zh) 密封装置
JP2961687B2 (ja) リップ型シール
JPH0247311Y2 (ko)
JPH0446137Y2 (ko)
JP2008019900A (ja) オイルシール
EP3985287B1 (en) Sealing device
CN210739237U (zh) 密封装置
JP3760327B2 (ja)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