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187B1 - 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 - Google Patents

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187B1
KR101188187B1 KR1020090126796A KR20090126796A KR101188187B1 KR 101188187 B1 KR101188187 B1 KR 101188187B1 KR 1020090126796 A KR1020090126796 A KR 1020090126796A KR 20090126796 A KR20090126796 A KR 20090126796A KR 101188187 B1 KR101188187 B1 KR 101188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backrest
seat cover
gea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0103A (en
Inventor
서경배
Original Assignee
서경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배 filed Critical 서경배
Priority to KR102009012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187B1/en
Publication of KR20110070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1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47K13/105Toilet seat or toilet cov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 커버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상태에서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과,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침을 역전시키고,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침을 복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등받침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변기 커버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침을 상기 베이스와의 결합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침을 복원시킨다. 상기 구동부는 예컨대, 푸셔, 기어열(gear train), 도드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 밖에도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fixed to the toilet seat cover, the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toilet seat user in the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and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o reverse the backrest, the toilet seat cover It provides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comprising a drive unit for restoring the backrest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The backres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Preferably,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e base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the drive unit is the backrest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base Rotate an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e drive unit restores the backrest.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usher, a gear train, a pulley, or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Description

좌변기 등받이 기구{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Toilet seat back mechanism {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

본 발명은 좌변기 등받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전 및 복원이 가능한 등받침을 갖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having a backrest capable of reversing and restoring.

일상 생활에서 대다수가 매일 사용하는 좌변기(또는 양변기)는, 일반적으로 본체와 좌판과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는 일정량의 물을 보관하여 두었다가, 사용자의 배출물과 함께 생활오수로 배출하는 구성부이다. 좌판은 본체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엉덩이와 접촉되는 구성부이다. 커버는, 본체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좌판과 본체를 덮는 구성부이다. The toilet (or toilet) that most people use every day in their daily lives generally includes a body, a seat plate and a cover. The main body is a component that stores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discharges it into household sewage with the user's discharge. The seat plat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in contact with the hips of the user. The co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at plate to cover the seat plate and the main body.

전형적인 좌변기의 구조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침이 없어, 대소변시 사용자는 자신의 등을 곧추세운 자세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 면에서 미흡한 점이 지적되어 왔다. A typical toilet seat structure has no backrest that can support the user's back, so that the user should keep his back straight in case of toilet. Therefore,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 user convenience is insufficient.

최근 비데의 보급이 확대되는 등, 화장실 용구의 고급화 추세에 발맞추어, 화장실 용구의 사용자 편의성 증대에 대한 욕구는 새로운 시장 수요로 이어질 수 있는 환경적 기반이 마련되어 있다. In line with the trend of high-end toiletries, such as the recent increase in bidets, the desire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of toilet tools has an environmental basis that can lead to new market demand.

이에 발맞추어,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등받이 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등받이 기구는 통상적으로, 좌변기 커버에 고정되어 좌변기 커버의 열림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였다. In response to this, a backrest mechanism capable of supporting the back of the toilet seat user has been proposed. Such a backrest mechanism is typically fixed to the toilet seat cover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user's back in the open posi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us providing the user with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use environment.

그러나, 종래의 좌변기 등받이 기구는, 좌변기 커버의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좌변기 본체 내부를 향하게 되어, 본체 내부의 보관되는 물이나 사용자의 배출물이 묻어나는 등의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이에 따라, 좌변기 등받이 기구는 그 편의성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위생 및 청결성의 문제로 인하여, 그 보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oilet seat back mechanism, the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in the closed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toward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body, and revealed problems such as water stored in the body or the user's discharge. . Accordingly,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despite the advantages of convenience, due to the problem of hygiene and cleanliness, the situation is not being made.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 구조에 있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함과 아울러, 위생 및 청결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under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ckrest supporting a back of a user in a toilet bowl structure, which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ensure hygiene and cleanliness at the same time. The object is to provide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변기 커버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상태에서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과,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침을 역전시키고,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침을 복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fixed to the toilet seat cover, the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toilet seat user in the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and the backrest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It is reversed, and provides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comprising a drive unit for restoring the backrest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상기 등받침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backres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변기 커버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침을 상기 베이스와의 결합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침을 복원시킨다. Preferably,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e base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the drive unit is the backrest in the clockwise direction around the rotation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base Rotate an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e drive unit restores the backrest.

상기 구동부는 예컨대, 푸셔, 기어열(gear train), 도드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이 밖에도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usher, a gear train, a pulley, or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함과 아울러, 위생 및 청결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that can increase the user convenience and at the same time ensure hygiene and cleanliness.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도 1은 좌변기 커버(C)의 열림 상태를, 도 2는 좌변기 커버(C)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and 2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shows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Figure 2 shows a closed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Drawing.

본 발명의 좌변기는, 통상의 좌변기와 같이, 본체(미도시), 좌판(미도시) 및 좌변기 커버(C)를 포함하는 외에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left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toilet (not shown), a seat plate (not shown), and a toilet seat cover (C) as well as a normal toilet.

좌변기 등받이 기구는 베이스(110)와, 등받침(120)과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includes a base 110, a backrest 120, and a driving unit 130.

베이스(110)는 좌변기 커버(C)에 고정된다. 따라서, 좌변기 커버(C)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 상태(열림 상태)에 있을 때는 베이스(110) 또한 직립 상태에 있게 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눕힘 상태(닫힘 상태)에 있을 때는 베이스(110) 또한 눕힘 상태에 있게 된다. Base 110 is fixed to the toilet seat cover (C). Therefore, when the toilet seat cover C is in an upright state (open state), as shown in FIG. 1, the base 110 is also in an upright state, and as shown in FIG. 2, in a down state (closed state). When in the base 110 is also in a lying down state.

베이스(11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그 기본적인 기능은 좌변기 커버(C)에 고정되어, 좌변기 등받이 기구의 고정 구조물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110)는 좌변기 커버(C) 제작 당시부터 좌변기 커버(C)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좌변기 커버(C)가 베이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base 110 may have various shapes, but its basic function is to be fixed to the toilet seat cover C to serve as a fixing structure of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Accordingly, the base 110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C since the toilet seat cover C is manufactured. In this case, the toilet seat cover C performs a base function.

등받침(120)은 좌변기 커버(C)의 열림 상태에서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등받침(120)은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에서, 등받침(120)은 지점 P3에서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backrest 120 supports the back of the toilet seat user in the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Preferably, the backrest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10. In FIG. 1, the backrest 1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10 at point P3.

구동부는 좌변기 커버(C)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등받침(120)을 역전시키고(도 2의 상태), 좌변기 커버(C)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등받침(120)을 복원시킨다(도 1의 상태). 구체적으로는, 좌변기 커버(C)가 닫히면, 베이스(110)는 좌변기 커버(C)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된다. (여기서, 반시계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으로 도 1 및 2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반대편에서 좌변기 커버(C)를 바라보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된다.) 베이스(110)가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구동부는 등받침(120)을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다. (도 1 -> 도 2) 반대로, 좌변기 커버(C)가 열리면, 구동부는 등받침(120)을 복원시킨다. 즉, 좌변기 커버(C)가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하면, 구동부는 등받침(120)을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복원시킨다. (도 2 -> 도 1) The driving unit reverses the backrest 120 in associa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state of FIG. 2), and restores the backrest 120 in associa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FIG. 1). State). Specifically, when the toilet seat cover C is closed, the base 110 is rotated 90 degrees counterclockwise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C. (In this case, since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based on Figs. 1 and 2 in a relative direction, when the toilet cover C is viewed from the opposite side,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rotates clockwise.) The base 110 is rotated 90 degrees counterclockwise. When rotated,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backrest 120 180 degrees clockwise. On the contrary, when the toilet seat cover C is opened, the driving unit restores the backrest 120. That is, when the toilet seat cover C rotates 90 degre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driving unit restores the backrest 120 by rotating 180 degre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igure 2-> Figure 1)

구동부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도 1 및 도 2에서는 등받침(120)을 밀어 회전시키는 푸셔(pusher)(131) 구조의 구동부를 예시한다. 푸셔는 좌변기 커버의 기준 상태인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의 변화에 착안하여 명명된 것이고, 반대로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의 변화에 착안하면, 등받침을 당겨 회전시키는 드로워(drawer)로 명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driving unit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nd FIGS. 1 and 2 illustrate a driving unit having a pusher 131 structure that pushes and rotates the backrest 120. The pusher is named with a focus on the change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which is the reference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and on the contrary, when the change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is noticed, the pusher is called a drawer that pulls the backrest and rotates it. Could be

푸셔(131)의 일단은 지점 P1에서 베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푸셔(131)의 타단은 지점 P2에서 등받침(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좌변기 커 버(C)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베이스(110)는 좌변기 커버(C)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되고, 푸셔(131)는 지점 P1을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타단을 통하여 등받침(120)을 밀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는 반대로, 좌변기 커버(C)의 열림 동작 시에는, 베이스(110), 푸셔(131) 및 등받침(120)은 복원된다. One end of the pusher 1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110 at point P1. The other end of the pusher 1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ckrest 120 at point P2.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bowl C, the base 110 is rotated 90 degrees counterclockwise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C, and the pusher 131 rotates 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point P1. Then, the backrest 120 is pushed through the other end to rotate clockwise. On the contrary, in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base 110, the pusher 131, and the backrest 120 are restored.

푸셔(131)의 무게 중심은, 베이스(110)의 반시계 방향 회전시 푸셔(131)가 시계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되고, 베이스(110)의 시계 방향 회전시 푸셔(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주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대체하여, 또는 이와 병행하여, 푸셔(131)에 고정되는 무게추(133)를 두어, 푸셔(131)의 무게 중심을 주는 것이 간이한 방법일 수 있다. 이때, 무게추(133)는 그 중량의 힘으로, 좌변기 커버(C)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푸셔(131)를 지점 P1을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좌변기 커버(C)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푸셔(131)를 복원시킨다.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usher 131 is that the pusher 131 is automatically rotated clockwise when the base 110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the pusher 131 is rotated counterclockwise when the base 110 is rotated clockwise. To be rotated automatically, it needs to be given. Alternatively, or in parallel therewith, it may be a simple method to give the weight 133 fixed to the pusher 131 to giv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usher 131. At this time, the weight 133 by the force of the weight,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o rotate the pusher 131 clockwise around the point P1 rotational center,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In conjunction with the restoring the pusher 131.

위에서는, 푸셔(131)가 등받침(120)을 지점 P3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조에서,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즉 좌변기 커버(C)의 열림 상태를 기준으로, 등받침(120)이 베이스(110)와 결합되는 부위보다 더 하측에서 푸셔(131)가 결합되는 것이, 등받침(120)의 회전 공간을 마련하는데 더 적합한 구조임은 도면을 통하여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pusher 131 rotates the backrest 120 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point P3 as the rotation center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owever,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S. 1 and 2, the backrest 120 is coupled to the base 110 based on a state of supporting the back of the toilet seat user, that is, on the basis of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It will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drawings that the pusher 131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than the portion, which is a more suitable structure for providing a rotation space of the backrest 120.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좌변기 커버(C)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좌변기는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데, 그 구조에 따라서는 좌변기 커버(C)가 90도를 넘어 예컨대, 115도까지 열림되는 구조의 좌변기도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따라서, 좌변기 등받이 기구가 이러한 구조의 좌변기에도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12.5도 쐐기각을 갖는 인서트(140)를 좌변기 커버(C)와 베이스(110) 사이에 2개 삽입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한 쐐기각 및 인서트(140)의 개수는 어디까지나 예시를 위한 것임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oilet has a variety of structures, and depending on the structure, the toilet seat of the structure in which the toilet seat cover C is opened beyond 90 degrees, for example, up to 115 degrees, is also in circulation. Therefore, it would be natural that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would be compatible with the toilet seat of this structure. Accordingly,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 two inserts 140 having a wedge angle of 12.5 degrees may be inserted between the toilet seat cover C and the base 110 to correspond thereto. Of cours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number of the illustrated wedge angle and the insert 140 is for illustration only.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도 4는 좌변기 커버(C)의 열림 상태를, 도 5는 좌변기 커버(C)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 and 5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Figure 5 shows a closed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Drawing.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 베이스(210)는 고정판(211), 제1지지로드(214), 제2지지로드(216) 및 제3지지로드(217)을 구비한다. 등받침(220)은 몸체(221) 및 제4로드(225)를 구비한다. 구동부(230)는 제1기어(232), 무게추(233), 아이들기어(234) 및 제2기어(235)를 구비한다. 제1기어(232)는 지점 P4에서 베이스(210)의 제3지지로드(2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아이들기어(234)는 지점 P5에서 베이스(210)의 제2지지로드(2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기어(235)는 지점 P6에서 베이스(210)의 제1지지로드(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등받침(220)은 제2 기어(235)에 고정되어, 제2기어(235)와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 4 and 5, the base 210 includes a fixing plate 211, a first support rod 214, a second support rod 216, and a third support rod 217. The backrest 220 includes a body 221 and a fourth rod 225. The driving unit 230 includes a first gear 232, a weight 233, an idle gear 234, and a second gear 235. The first gear 2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hird support rod 217 of the base 210 at point P4, and the idle gear 234 is the second support rod 216 of the base 210 at point P5.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gear 23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214 of the base 210 at point P6. The backrest 220 is fixed to the second gear 235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gear 235.

도 4 및 도 5의 좌변기 등받이 기구도,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등받침(220)이 지점 P6에서 베이스(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침(220)의 제4로드(225)는 제2기어(235)와 일체로 지점 P6에서 베이스(210)의 제1지지로드(2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좌변기 커버(C)의 닫힘 동작과 연동되어, 베이스(210)는 좌변기 커버(C)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230)는 등받침(220)을 베이스(210)와의 결합 부위인 지점 P6를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좌변기 커버(C)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구동부(230)는 등받침(220)을 복원시킨다. 4 and 5, like the embodiment of FIGS. 1-3, the backrest 2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210 at point P6. Specifically, the fourth rod 225 of the backrest 2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rod 214 of the base 210 at point P6 integrally with the second gear 235.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base 210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C), the driving unit 230 is the backrest 220 with the base 210 The point P6, which is a coupling site,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o the center of rotation, an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driving unit 230 restores the backrest 220.

제1기어(232)와 제2기어(235)는 치합된다. 이때, 회전 방향 변환을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기어(234)가 제1기어(232)와 제2기어(235) 사이에 매개될 수 있다. 아이들기어(234)가 홀수 개가 사용되는 경우, 제1기어(232)의 회전 방향과 제2기어(235)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고, 짝수 개가 사용되는 경우, 제1기어(232)의 회전 방향과 제2기어(235)의 회전 방향은 반대가 된다. The first gear 232 and the second gear 235 are meshed.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for converting the rotation direction, at least one idle gear 234 may be mediated between the first gear 232 and the second gear 235. When the odd gear 234 is use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gear 232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econd gear 235 are the same, and when the even gear is use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gear 232 is used.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econd gear 235 is reversed.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아이들기어(234)는 홀수 개가 구비되고, 좌변기 커버(C)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베이스(210)는 좌변기 커버(C)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기어(232) 및 제2기어(23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등받침(2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좌변기 커버(C)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베이스(210), 제1기어(232), 제2기어(235) 및 등받침(220)은 복원된다. 4 and 5, the idle gear 234 is provided with an odd number, and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base 210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C)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Rotating, the first gear 232 and the second gear 235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o rotate the backrest 220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base 210 The first gear 232, the second gear 235, and the backrest 220 are restored.

제1기어(232)는 제2기어(235)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비는 2:1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기어(232) 90도 회전 시, 제2기어(235)가 180 회전되어, 결과적으로 등받침(220)이 역전되게 된다. The first gear 23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gear 235. Preferably the diameter ratio may be 2: 1. In this case, when the first gear 232 is rotated 90 degrees, the second gear 235 is rotated 180, so that the backrest 220 is reversed.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는 제1기어(232)에 고정되는 무게추(233)를 구비할 수 있다. 무게추(233)는 그 중량의 힘으로, 좌변기 커버(C)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제1기어(23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좌변기 커버(C)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제1기어(232)를 복원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무게추는 제1기어(232) 이외의 구성부, 예컨대, 아이들기어(234), 제2기어(235), 등에 고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weight 233 fixed to the first gear 232. The weight 233 rotates the first gear 232 in a clockwis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by the force of the weight, an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first weight It serves to restore the gear 232. In some embodiments, the weight may be fixed to components other than the first gear 232, such as the idle gear 234, the second gear 235, and the like.

위에서는, 제2기어(235)가 제1기어(232)보다 더 상측에 위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와 같은 구조에서,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즉 좌변기 커버(C)의 열림 상태를 기준으로, 제2기어(235)가 제1기어(232)보다 더 상측에 위치되는 것이, 등받침(220)의 회전 공간을 마련하는데 더 적합한 구조임은 도면을 통하여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gear 235 is located above the first gear 232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owever,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S. 4 and 5, the second gear 235 is configured as the first gear 232 based on a state of supporting the back of the toilet seat user, that is, based on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It will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drawings that the upper side is a more suitable structure for providing a rotation space of the backrest 220.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도 6은 좌변기 커버(C)의 열림 상태를, 도 7은 좌변기 커버(C)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6 and 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Figure 7 shows a closed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Drawing.

도 6 및 도 7의 좌변기 등받이 기구도,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등받침(320)이 베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는 등받침(320)이 도르래(335)와 일체로 지점 P9에서 베이스(310)의 제5지지로드(3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310)는 고정판(311)과 제5지지로드(314)를 구비한다. 구동부(330)는 레버(338)와, 줄(339)과 도르래(335)를 구비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도르래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고정판(311)과 레버(338) 사이에는 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등받침(320)은 도르래(335)에 고정된다. 6 and 7, the backrest mechanism of the left back,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 to 5, the backrest 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310). Specifically, the backrest 32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fth support rod 314 of the base 310 at the point P9 integrally with the pulley 33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310 includes a fixing plate 311 and a fifth support rod 314. The drive unit 330 includes a lever 338, a string 339 and a pulley 335.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riving unit may additionally include at least one idle pulley. A spring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late 311 and the lever 338. The backrest 320 is fixed to the pulley 335.

좌변기 커버(C)의 닫힘 동작과 연동되어, 베이스(310)는 좌변기 커버(C)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부(330)는 등받침(320)을 베이스(310)와의 결합 부위인 지점 P9를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좌변기 커버(C)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구동부(330)는 등받침(320)을 복원시킨다.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base 310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C), the driving unit 330 is the backrest 320, the engaging portion of the base 310 The phosphorus point P9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rotation center an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driving unit 330 restores the backrest 320.

전술한 바와 같이, 도르래(335)는 지점 P9에서 베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레버(338)는 일단이 지점 P7에서 베이스(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줄(339)은 일단은 상기 도르래(335)에 권취되고, 타단은 지점 P8에서 레버(338)의 타단에 결합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pulley 33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310 at point P9. The lever 338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310 at one end at point P7. One end of the string 339 is wound on the pulley 335,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338 at the point P8.

좌변기 커버(C)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베이스(310)는 좌변기 커버(C)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레버(338)는 좌변기 좌판(미도시)에 접촉되어 그 움직임이 제한되어, 베이스(310)와의 상대 관계에서 베이스(310) 쪽으로 접히게 된다. 즉, 레버(338)는 지점 P7을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르래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등받침(3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좌변기 커버(C)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베이스(310), 레버(338), 도르래(335) 및 등받침(320)은 복원된다.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base 310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C. At this time, the lever 338 is in contact with the toilet seat plate (not shown) so that the movement thereof is prevented. It is constrained to fold toward the base 310 in a relative relationship with the base 310. That is, the lever 338 is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point P7. When the pulley is rotated clockwise, the backrest 320 is rotated clockwise. On the other han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the base 310, the lever 338, the pulley 335 and the backrest 320 is restored.

위와 같은 등받침(320)의 회전을 위하여, 구동부(330)는 무게추(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도드래, 등에 무게추를 두고, 무게추는 그 중량의 힘으로, 좌변기 커버(C)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도르래(335)를 반시계 방향으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order to rotate the backrest 320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330 may be provided with a weight (not shown). For example, by placing a weight on the back of the pulley, the weight can act to restore the pulley 335 counterclockwis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 by the force of the weight.

위에서는, 도르래(335)가 등받침(320)의 상측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도 6 및 도 7과 같은 구조에서,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즉 좌변기 커버(C)의 열림 상태를 기준으로, 도르래(335)가 등받침(320)의 상측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등받침(320)의 회전 공간을 마련하는데 더 적합한 구조임은 도면을 통하여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an embodiment in which the pulley 335 is fixed to the upper eccentric position of the backrest 320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6 and 7, however, the pulley 335 is eccentric to the upper support 320 of the backrest 320 based on the state of supporting the back of the toilet seat user, that is, the opening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 It will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drawings that the fixed position is a more suitable structure for providing a rotation space of the backrest 320.

지금까지는 등받침이 기구적 구조에 기인하여 역전 및 복원되는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동식 구동부도 가능하다. 그러나, 원가의 상승, 배선 및 설치의 어려움, 유지 보수의 어려움, 등을 고려할 때, 전자의 구조가 더 바람직할 수 있다. Until now, the embodiments in which the backrest is reversed and restored due to the mechanical structure have been described,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n electric drive part is also possible. However, in consideration of rising costs, difficulty in wiring and installation, difficulty in maintenance, and the like, the former structure may be more preferabl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도 1은 좌변기 커버의 열림 상태를, 도 2는 좌변기 커버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and 2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좌변기 커버의 열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도 4는 좌변기 커버의 열림 상태를, 도 5는 좌변기 커버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 and 5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좌변기 등받이 기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로서, 도 6은 좌변기 커버의 열림 상태를, 도 7은 좌변기 커버의 닫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6 and 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oilet seat back mechanis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Claims (17)

삭제delete 좌변기 커버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A base fixed to the toilet seat cover,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상태에서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침과, A backres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toilet seat user in the open state of the toilet seat cover,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침을 역전시키고,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등받침을 복원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Including the driving unit for reversing the backrest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restoring the backrest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상기 등받침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And the backres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변기 커버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침을 상기 베이스와의 결합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e base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the drive unit rotates the backrest clockwise arou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oupling portion with the base,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구동부는 상기 등받침을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in response to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e drive unit to restore the backrest.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부는 푸셔(pusher)를 구비하고, The drive unit has a pusher (pusher), 상기 푸셔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푸셔의 타단은 상기 등받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One end of the push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and the other end of the push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ckrest, characterized in that the toilet seat.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변기 커버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푸셔는 상기 일단을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타단을 통하여 상기 등받침을 밀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e base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and the pusher is rotated clockwise about the rotation center to push the backrest through the other end. Direction of rotation,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상기 푸셔 및 상기 등받침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And the base, the pusher, and the backrest are restored in linkage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푸셔에 고정되는 무게추를 구비하고, The driving unit has a weight that is fixed to the pusher, 상기 무게추는 그 중량의 힘으로,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상기 푸셔를 상기 일단을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푸셔를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The weight is a force of the weight,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o rotate the pusher clockwise around the one end rotational center,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o restore the pusher. Toilet seat back mechanism.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등받침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부위보다 더 하측에서 상기 푸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Based on a state of supporting the back of the toilet seat user, the backrest is coupled to the pusher at a lower side than the portion that is engaged with the base,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기어 및 제2기어를 구비하고, The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gear and a second gear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상기 등받침은 상기 제2기어에 고정되고,The backrest is fixed to the second gear,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는 치합되되,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제2기어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Wherein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is meshed, the first gear backrest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larger diameter than the second gear. 제8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등받침이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제1기어보다 더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And the second gear is located above the first gear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supports the back of the user of the left toilet. 제8항에 있어서, 9.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아이들기어를 추가적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The driving unit, the toilet seat back mechanism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idle gear between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제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아이들기어는 홀수 개가 구비되고, The idle gear is provided with an odd number,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변기 커버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1기어 및 제2기어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등받침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e base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is rotated clockwise to rotate the backrest clockwise,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상기 제1기어, 상기 제2기어 및 상기 등받침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And the base, the first gear, the second gear, and the backrest in associa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제11항에 있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기어에 고정되는 무게추를 구비하고, The driving unit has a weight that is fixed to the first gear, 상기 무게추는 그 중량의 힘으로,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상기 제1기어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제1기어를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The weight is a force of the weight,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o rotate the first gear clockwise,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o restore the first gear. Toilet seat back mechanism. 제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부는, 도르래, 레버 및 줄을 구비하고, The drive unit has a pulley, a lever and a string, 상기 도드래는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버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줄은 일단은 상기 도드래에 권취되고 타단은 상기 레버의 타단에 결합되고, The pulley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the le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at one end, the cord is wound at the end of the pulley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ever, 상기 등받침은 상기 도드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And the backrest is fixed to the pulley. 제13항에 있어서, 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좌변기 커버의 닫힘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변기 커버와 일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레버는 그 일단을 회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도드래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등받침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In conjunction with the closing ac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the base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toilet seat cover, the lever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a rotation center thereof, and the pulley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Rotate the backrest clockwise, 상기 좌변기 커버의 열림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베이스, 상기 레버, 상기 도르래 및 상기 등받침은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And the base, the lever, the pulley, and the backrest are re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cover. 제13항에 있어서, 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등받침이 좌변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도르래는 상기 등받침의 상측 편심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And the pulley is fixed to an upper eccentric position of the backrest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supports the back of the user of the left toilet.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베이스는 상기 좌변기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And the bas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ilet seat cover. 제2항에 있어서, 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좌변기 커버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 삽입되는 인서트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 등받이 기구. And a toilet seat further inserted between the toilet seat cover and the base.
KR1020090126796A 2009-12-18 2009-12-18 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 KR101188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796A KR101188187B1 (en) 2009-12-18 2009-12-18 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796A KR101188187B1 (en) 2009-12-18 2009-12-18 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103A KR20110070103A (en) 2011-06-24
KR101188187B1 true KR101188187B1 (en) 2012-10-10

Family

ID=4440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796A KR101188187B1 (en) 2009-12-18 2009-12-18 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18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998A (en) 1997-03-19 1998-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oilet stool
JP2002000507A (en) 2000-06-26 2002-01-08 Inax Corp Toilet bowl device with backrest
JP2006271560A (en) 2005-03-28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oilet bowl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998A (en) 1997-03-19 1998-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oilet stool
JP2002000507A (en) 2000-06-26 2002-01-08 Inax Corp Toilet bowl device with backrest
JP2006271560A (en) 2005-03-28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Toilet bow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103A (en)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00784B (en) Lavatory lid automatic cover-turn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966674B2 (en) Toilet seat saver
WO2010130175A1 (en) Dewatering mechanism for mop
JP2014190131A (en) Operation device of flush tank
KR101188187B1 (en) 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
CN205062955U (en) Machinery portable flush toilet device
WO2007025470A1 (en) Mechanism for toilet seat
US8495768B2 (en) Foot actuated toilet seat lifting and self-lowering mechanism
CN110403510B (en) Closestool structure and bed
CN204781239U (en) Dual purpose toilet bowl of squatting
JP2003321863A (en) Low-tank drain valve and auxiliary operation device therefor
CN2604470Y (en) Domestic automatic flushing water closet bowl
KR20070064215A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toilet stool by using hydraulic force
JP6582222B1 (en) Convenient stool lid lifter
CN202235127U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pedal type toilet cover
CN100543903C (en) Swinging arm operating mechanism of breaker
KR200419441Y1 (en) A seat of commode opening/closing apparatus
CN105220746B (en) A kind of mechanical portable flushing toilet device
JP3124193U (en) Retractable sanitary equipment
CN109707901A (en) A kind of Household water tap exempts from manual control mechanism
US20150250365A1 (en) Device comprising actuating mechanisms driven by hydraulic force for lowering the lid and the seat of a toilet,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CN217610711U (en) Integral structure of folding bathtub
JP2651698B2 (en) Automatic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oilet seat, toilet lid, etc., bearing device used for the device, and Western toilet device
CN112982600A (en) Suction type toilet bowl
US11910968B2 (en) Self-lifting toilet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