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969B1 -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 Google Patents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969B1
KR101187969B1 KR1020100132530A KR20100132530A KR101187969B1 KR 101187969 B1 KR101187969 B1 KR 101187969B1 KR 1020100132530 A KR1020100132530 A KR 1020100132530A KR 20100132530 A KR20100132530 A KR 20100132530A KR 101187969 B1 KR101187969 B1 KR 101187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air flow
inlet
win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971A (ko
Inventor
문정환
김영진
이상식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3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9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5/00Catching insects in fields, gardens, or forests by movable appliances
    • A01M5/02Portable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5/00Catching insects in fields, gardens, or forests by movable appliances
    • A01M5/04Wheeled machines, with means for stripping-off or brushing-off insects
    • A01M5/08Wheeled machines, with means for stripping-off or brushing-off insects with f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자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풍압을 이용하여 작물에 붙은 해충을 제거하는 친환경 포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풍압을 제공하여 해충 포획기를 짊어지고 이동하면서 포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몸에 견착되는 송풍발생수단과, 일단이 상기 송풍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전달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바람이 유입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공기유동로, 상기 공기유동로를 통과한 바람이 분출되는 복수 개의 송풍구를 포함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포충망을 포함하며,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송풍구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분사하기 위하여 공기유동로 내부에서 와류의 발생을 줄이는 방법으로 상기 주입구와 상기 공기유동로의 결합부위에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 방향으로 만곡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가이드나, 상기 공기유동로와 상기 송풍구의 결합부위에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상기 송풍구에서의 바람의 분출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출가이드를 포함하도록 하거나, 상기 공기유동로가 상기 주입구를 마주보는 내벽이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 방향으로 만곡형성되거나 상기 공기유동로가 상기 주입구와 맞닿은 내벽이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호를 이루도록 만곡형성되도록 한다.

Description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PORTABLE INSECT TRAP USING WIND PRESSURE}
본 발명은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풍압을 이용하여 작물에 붙은 해충을 제거하는 친환경 포충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풍압을 제공하여 해충 포획기를 짊어지고 이동하면서 포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밭이나 온실에서 이루어지는 야채나 화훼 등의 작물 재배에 있어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살충제 등의 농약을 살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부착되는 해충에 대하여 유효한 농약의 수가 적은 경우가 있으며, 약제 저항성이 있는 해충의 경우에는 농약에 의한 큰 효과를 보기가 어렵다. 뿐만 아니라 최근 웰빙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가 커지면서 잔류 농약의 문제를 남길 수 있는 농약 살포 방식이 아닌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해충 퇴치 방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여 해충을 제거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일본공개특허 제2007-189988호, 일본등록특허 제3914969호에서는 풍압을 이용하여 작물에 붙은 해충을 떨어뜨리고 이를 포획하는 해충 포획장치가 제시되었다.
해충 포획 작업은 작업자가 송풍발생수단을 포함하는 포획장치를 짊어지고 이동하면서 해충이 붙은 작물마다 풍압을 가해 해충을 떨어뜨리는 이동식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해충 포획장치의 효율은 해충을 잘 떨어뜨릴 수 있도록 얼마나 센 풍압을 가할 수 있느냐에 좌우된다. 종래 제시된 풍압을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의 경우 센 풍압을 얻기 위해서는 높은 송풍 용량을 갖는 송풍발생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는 송풍발생수단의 무게가 무거워져 작업자가 짊어지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동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장치의 특성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는 송풍발생수단의 송풍 용량을 늘리지 않고도,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송풍구까지 효과적으로 수송 및 분사함으로써 풍압의 효율을 극대화하여 사용할 수 있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는 작업자의 몸에 견착되는 송풍발생수단과, 일단이 상기 송풍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전달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바람이 유입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공기유동로, 상기 공기유동로를 통과한 바람이 분출되는 복수 개의 송풍구를 포함하는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포충망을 포함한다. 여기서,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송풍구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분사하기 위하여 공기유동로 내부에서 와류의 발생을 줄이는 방법으로 상기 주입구와 상기 공기유동로의 결합부위에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 방향으로 만곡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가이드나, 상기 공기유동로와 상기 송풍구의 결합부위에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상기 송풍구에서의 바람의 분출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출가이드를 포함하도록 하거나, 상기 공기유동로가 상기 주입구를 마주보는 내벽이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 방향으로 만곡형성되거나 상기 공기유동로가 상기 주입구와 맞닿은 내벽이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호를 이루도록 만곡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의 경량화를 위하여 상기 송풍발생수단은 전기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분배관의 위치와 각도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덕트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분배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구마다 일정한 풍압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입구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같은 길이만큼 연장형성되고 상기 송풍관은 상기 주입구를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과 수직이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작물의 작황 형태에 맞추어 작물에 집중적으로 바람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분배관은 인접한 상기 송풍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에 따르면 송풍발생수단의 용량 증대 없이도,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다수의 송풍구로 분산시키는 과정에서 와류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바람의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풍압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어 풍압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충 포획기는 송풍발생수단의 경량화를 가능케 하므로 작업자가 본 해충 포획기를 짊어지거나 손에 들고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주입구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같은 길이만큼 연장형성되고 상기 송풍관은 상기 주입구를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거나,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과 수직이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송풍구마다 일정한 풍압이 배출되어 포충 작업이 특징 작물에 집중되지 않고 송풍이 가해지는 모든 작물에서 고른 효과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함으로써 송풍구가 주입구로부터 먼거리에 위치할수록 풍압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덕트가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관은 상기 주입구를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과 수직이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분배관의 무게가 핸들을 중심으로 좌우로 분산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분배관의 조작 및 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길이조절부의 조작으로 분배관의 길이를 신축하여 작물의 재배 형태에 따라 배열된 작물의 위치에 맞게 송풍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작황 형태에 맞도록 본 발명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충기의 분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배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도 2의 분배관 내부에서의 유체 흐름을 분석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영역에서의 유체 흐름을 분석한 도면이다.
도 7은 작업자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를 장착한 채로 포충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100)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의 분배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분배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100)는 작업자가 몸에 지닐 수 있도록 마련되는 송풍발생수단(200)과, 송풍발생수단(200)에서 발생된 바람을 전달하는 덕트(300)와, 덕트(300)를 통해 전달된 바람을 분산시켜 다수의 작물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분배관(400) 및 풍압에 의해 작물로부터 떨어진 해충들을 포획하는 포충망(500)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발생수단(200)은 작업자의 몸에 견착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포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발생수단에 어깨끈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등에 짊어질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이외에도 조끼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등이 아닌 허리나 가슴 부위에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송풍발생수단(200)은 작물에 붙은 해충을 떨어뜨리기에 충분한 풍압을 제공하는 것을 사용한다. 다만 송풍발생수단(200)을 지닌 채 이동식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작업자의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는 송풍발생수단(200)의 경량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송풍발생수단(200)으로 전기모터를 사용한다. 전기모터는 경량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작물에 직접 풍압을 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동식으로 구성해야 하는 풍압식 해충 포획기의 특성에 적합하며, 비록 엔진을 사용하는 기존의 방식과 비교하여 송풍용량이 작지만 후술할 분배관 내의 공기유동로의 구조 개선에 의하여 풍압의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포충 작업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풍압을 얻어낼 수 있다.
상기 덕트(300)는 일단이 상기 송풍발생수단(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할 분배관(400)의 주입구(410)에 결합되어 송풍발생수단(200)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분배관(400)으로 전달한다. 덕트(300)는 유연한 재질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분배관(400)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송풍발생수단(200)에서 생성된 바람을 분배관(400)까지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덕트(300)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들(310)을 포함한다. 작업자가 핸들(310)을 잡고 덕트(300)의 타단에 연결된 분배관(400)의 위치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분배관(400)은 덕트(300)의 타단에 연결되어 바람이 유입되는 주입구(410), 주입구(410)로부터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주입구(410)로부터 유입된 바람이 분산되는 공기유동로(420), 공기유동로(420)를 통과한 바람이 분출되는 복수 개의 송풍구(430)를 포함한다.
공기유동로(420)가 주입구(410)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과 수직이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같은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며, 송풍구(430)는 주입구(410)를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복수 개의 송풍구(430)에서 동일한 풍압의 바람이 분사되어 포충 작업시 풍압이 특정 작물에 집중되지 않고 모든 작물에서 고른 포충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작업자가 핸들(310)을 조작하여 분배관의 위치나 각도를 변경할 때 핸들(310)을 중심으로 무게가 균등하게 분배되므로 보다 수월한 조작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바람이 복수 개의 송풍구(430)로 분산되는 공기유동로(420) 내에서는 주입구(410)에서 멀어질수록 풍압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공기유동로(420)의 단면적이 주입구(410)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아지는 형태를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송풍구(430)의 위치에 관계없이 동일한 송풍압을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주입구(4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공기유동로(420)에서 다수의 송풍구(430)를 통해 분사되도록 분산되는 과정에서 풍압이 감소하게 되는 주요지점은 바람의 방향이 바뀌게 되는 지점인 주입구(410)와 공기유동로(420)의 연결지점과 공기유동로(420)와 송풍구(430)의 연결지점이다. 이러한 지점에서 바람의 방향은 유입 방향이 맞은 편에 있는 내벽과 충돌하면서 변경되는데, 이 과정에서 와류가 형성되며, 이러한 와류가 일정한 흐름을 이루던 바람의 흐름을 분산시켜 풍압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입구(410)와 상기 공기유동로(420)의 결합부위에 상기 주입구(410)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기유동로(420)의 연장 방향으로 만곡형성된 유입가이드(421)와, 상기 공기유동로(420)와 상기 송풍구(430)의 결합부위에 상기 공기유동로(420)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상기 송풍구(430)에서의 바람의 분출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유출가이드(422)를 형성한다. 유입가이드(421)는 서로 이격되도록 세 개가 형성되었으며, 본 실시예에서 각각 곡률반경이 27 mm, 44 mm, 71 mm 인 호를 이룬다. 유출가이드(422)는 2.7 mm 의 곡률반경을 갖는 호를 형성한다.
또한, 공기유동로(420)의 상기 주입구(410)를 마주보는 내벽(423)이 상기 주입구(410)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기유동로(420)의 연장 방향으로 만곡형성되도록 하며 이 때의 곡률반경은 114 mm 이다. 아울러, 상기 공기유동로(420)의 상기 주입구(410)와 맞닿은 내벽(424)이 상기 주입구(410)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호를 이루도록 만곡형성되며 그 곡률반경은 166 mm 이다.
송풍구(430)는 상기 공기유동로(420)로부터 상기 공기유동로(42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데, 이를 통해 송풍구(430)를 통한 바람의 분사 방향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풍압이 일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배관(400)에는 길이조절부(440)가 설치되어 있다. 길이조절부(440)는 인접한 송풍구(4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로(420)의 연장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관(400)이 하나씩의 송풍구(430)를 갖는 다수의 분배관절로 나누어 형성되도록 하고, 분배관절과 길이조절부(400)가 나사결합을 이루어 길이조절부(400)를 회전시킴으로써 나사결합의 조여짐과 풀어짐에 따라 분배관절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을 택한다. 이외에도 분배관절끼리 억지끼움결합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하여 인입길이에 따라 분배관(40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을 택할 수도 있다.
상기 포충망(500)은 분배관(400)에 고정되며, 송풍구(430)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송풍구(430)와 포충망(500) 사이에 작물이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포충망(500)은 공기유동로(420)의 길이만큼 연장되고, 공기유동로(420)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송풍구(430)를 통해 분사된 바람에 의해 떨어진 곤충이 포충망(500) 내부로 잘 포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100)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도 2의 분배관 내부에서의 유체 흐름을 분석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의 A영역에서의 유체 흐름을 분석한 도면이며, 도 7은 작업자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를 장착한 채로 포충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송풍발생수단(200)을 등에 짊어지고 이동하며 포충 작업을 수행한다. 작물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재배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일렬을 이루는 작물을 대상으로 동시에 포충작업을 수행하고, 이어서 다음 열에 심어진 작물에 대한 포충작업을 수행하기를 반복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 때, 분배관(400)의 길이조절부(440)를 조작하여 작황 형태에 따라 작물 간의 거리에 맞게 송풍구(430)가 위치하도록 분배관(400)의 길이를 조절하며, 이를 통해 작물의 재배 형태에 맞게 본 발명에 따른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100)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덕트(300)의 핸들(310)을 붙잡고 분배관(400)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포충 작업의 대상인 작물이 송풍구(430)와 포충망(5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위치하도록 한다. 송풍발생수단(200)을 작동시켜 송풍구(430)를 통해 바람을 분사하면 풍압에 의해 작물에 붙은 해충이 떨어지고 포충망(500)에 밀려들어오는 원리를 이용하여 해충 포획 작업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송풍발생수단(200)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은 덕트(300)를 타고 분배관(400)에 전달된다. 주입구(410)로부터 유입된 바람은 유입가이드(421) 및 주입구(410)를 마주보는 내벽(423)의 곡선형상과 주입구(410)와 맞닿은 내벽(424)의 돌출형상에 의하여 그 흐름이 공기유동로(420)의 연장방향을 따르도록 부드럽게 경로 변경되므로 공기유입로(420)의 내벽과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와류를 줄일 수 있어 바람의 흐름을 분산시키지 않고 풍압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역시 공기유동로(4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유동하던 바람은 유출가이드(422)에 의하여 그 경로가 부드럽게 변경되어 송풍구(430)의 돌출방향으로 그 흐름이 변경되므로 와류를 생성하지 않아 분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풍압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분배관 내부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도면이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주입구(420)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유입가이드(421) 및 공기유동로(420)의 곡선 내벽(423, 424)과 부딪히면서 그 경로가 점차적으로 변하여 공기유동로(420)의 연장방향으로 흐름이 변경되며, 이 과정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공기유동로(420)를 통해 흐르던 공기는 통풍구(430)를 만나게 되면 통풍구(430)의 돌출방향으로 그 경로가 변경되는데, 역시 유출가이드(422)에 의해 와류의 형성 없이 그 경로가 부드럽게 변경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발생수단(200)의 용량 증대 없이도, 송풍발생수단(200)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다수의 송풍구(430)로 분산시키는 과정에서 와류의 발생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바람의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풍압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풍압의 효율을 극대화한다. 즉, 송풍발생수단(200)의 경량화가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100 :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200 : 송풍발생수단 300 : 덕트
310 : 핸들 400 : 분배관
410 : 주입구 420 : 공기유동로
421 : 유입가이드 422 : 유출가이드
423 : 주입구를 마주보는 내벽 424 : 주입구와 맞닿은 내벽
430 : 송풍구 500 : 포충망

Claims (11)

  1. 작업자의 몸에 견착되는 송풍발생수단;
    일단이 상기 송풍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전달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바람이 유입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공기유동로, 상기 공기유동로를 통과한 바람이 분출되는 복수 개의 송풍구, 상기 주입구와 상기 공기유동로의 결합부위에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 방향으로 만곡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입가이드를 포함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포충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2. 작업자의 몸에 견착되는 송풍발생수단;
    일단이 상기 송풍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전달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바람이 유입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공기유동로, 상기 공기유동로를 통과한 바람이 분출되는 복수 개의 송풍구, 상기 공기유동로와 상기 송풍구의 결합부위에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 방향으로부터 상기 송풍구에서의 바람의 분출 방향으로 만곡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출가이드를 포함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포충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3. 작업자의 몸에 견착되는 송풍발생수단;
    일단이 상기 송풍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전달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바람이 유입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공기유동로, 상기 공기유동로를 통과한 바람이 분출되는 복수 개의 송풍구를 포함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포충망;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를 마주보는 내벽이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으로부터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 방향으로 만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4. 작업자의 몸에 견착되는 송풍발생수단;
    일단이 상기 송풍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된 바람을 전달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타단에 연결되어 바람이 유입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공기유동로, 상기 공기유동로를 통과한 바람이 분출되는 복수 개의 송풍구를 포함하는 분배관;
    상기 분배관에 고정되며, 상기 송풍구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포충망;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와 맞닿은 내벽이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측으로 돌출형성되어 호를 이루도록 만곡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발생수단은 전기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같은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며, 상기 송풍구는 상기 주입구를 중심으로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에서의 바람의 유입 방향과 수직이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로는 상기 주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구는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분배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은 인접한 상기 송풍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로의 연장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KR1020100132530A 2010-12-22 2010-12-22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KR101187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30A KR101187969B1 (ko) 2010-12-22 2010-12-22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30A KR101187969B1 (ko) 2010-12-22 2010-12-22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71A KR20120070971A (ko) 2012-07-02
KR101187969B1 true KR101187969B1 (ko) 2012-10-05

Family

ID=4670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530A KR101187969B1 (ko) 2010-12-22 2010-12-22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94B1 (ko) 2013-01-03 2014-05-27 경기도 이동수단을 갖는 개량된 해충예찰 트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1305A (zh) * 2013-09-26 2013-12-25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一种气流式捕虫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077A (ja) 2002-05-31 2004-01-08 Fukuoka Prefecture 害虫防除用捕集機
JP2004283146A (ja) 2003-01-30 2004-10-14 Minoru Industrial Co Ltd 害虫防除用捕集機
JP2004329085A (ja) 2003-05-06 2004-11-25 Minoru Industrial Co Ltd 捕虫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077A (ja) 2002-05-31 2004-01-08 Fukuoka Prefecture 害虫防除用捕集機
JP2004283146A (ja) 2003-01-30 2004-10-14 Minoru Industrial Co Ltd 害虫防除用捕集機
JP2004329085A (ja) 2003-05-06 2004-11-25 Minoru Industrial Co Ltd 捕虫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94B1 (ko) 2013-01-03 2014-05-27 경기도 이동수단을 갖는 개량된 해충예찰 트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71A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7243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raying trees, plants and bushes
US20180317474A1 (en) Device for controlling pests in plant cultivation room
JP3208348U (ja) 液体散布機
KR101187969B1 (ko) 풍압을 이용한 이동식 해충 포획기
KR101118777B1 (ko) 스피드 스프레이어(100)의 분무유도장치(200)
JP2023065596A (ja) 車両用散布装置
KR20170004078U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KR20160136836A (ko)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US9259755B2 (en) Spray hood
KR101710112B1 (ko) 농약 살포기의 분사장치
CA3092599C (en) Seed inductor apparatus
TW200938302A (en) Spray lance as well as adapter and nozzle set for backpack sprayers
KR101626204B1 (ko) 약액 분무장치
JP2004135600A (ja) 送風式捕虫方法および送風式捕虫装置
US20200367485A1 (en) Modular spraying leg
EP3315026B1 (en) Air distribution apparatus for agricultural sprayer machines
JP2007020490A (ja) 乗用管理機用潅水装置及び乗用管理機
CN105214870A (zh) 一种棉花专用风筒及其喷雾器
KR20170081545A (ko) 양방향으로 살포되는 더블형 방제기
JP5256469B2 (ja) 茶園管理機における送風式薬液散布装置
KR20150045232A (ko) 방제용 약품 살포 장치
US20230200368A1 (en) Liquid spreader
US20160095304A1 (en) Magnetically Attachable Spray Apparatus
JP3914823B2 (ja) 害虫防除用捕集機
KR101136657B1 (ko) 이동식 포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