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702B1 -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702B1
KR101187702B1 KR1020090051640A KR20090051640A KR101187702B1 KR 101187702 B1 KR101187702 B1 KR 101187702B1 KR 1020090051640 A KR1020090051640 A KR 1020090051640A KR 20090051640 A KR20090051640 A KR 20090051640A KR 101187702 B1 KR101187702 B1 KR 10118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uct
air
cold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847A (ko
Inventor
이대웅
김종수
진수용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702B1/ko
Priority to US12/797,603 priority patent/US8950467B2/en
Priority to CN 201010256602 priority patent/CN101920673A/zh
Publication of KR2010013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4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의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석의 시트와 조수석의 시트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토출홀들은 차실내 공조장치의 공조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하여 상기 운전석과 조수석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으로부터 냉,온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유닛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인출덕트와; 상기 인출덕트로 인출된 냉,온기를 상기 운전석의 시트와 상기 조수석의 시트로 공급하는 시트덕트 및; 상기 시트덕트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인출덕트에 조립되는 시트용 블로어를 구비하며, 인출덕트에는, 차실내의 콘솔박스와 후석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 다에 냉,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콘솔덕트가 연결되고; 시트덕트와 콘솔덕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개방하거나 또는 모두 다 개방할 수 있도록, 시트덕트와 콘솔덕트의 분지점에 설치되는 유로전환도어를 더 구비하며; 유로전환도어는, 콘솔덕트를 차단하는 제 1위치와, 시트덕트를 차단하는 제 2위치와, 시트덕트와 콘솔덕트를 동시에 개방하는 중간의 제 3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SEAT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석과 조수석 시트의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용 공조시스템은, 차실내의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편의장치들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다. 그 일례로서, 콘솔박스를 냉,난방하기 위한 콘솔 공조장치와, 운전석과 조수석을 냉,난방하기 위한 시트 공조장치가 있다.
콘솔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박스(1)에 공조유닛(3)의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콘솔박스(1)가 냉,온장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시트 공조장치는, 운전석(5)과 조수석(7)의 시트(5a, 7a)에 다수의 공기토출홀(8)들을 형성한 다음, 이들 공기토출홀(8)들에 공조유닛(3)의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시트(5a, 7a)의 공기토출홀(8)들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토출되게 한다. 이로써, 하절기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시원하게 냉방하고, 동절기에는 운전석과 조수석을 따뜻하게 난방한다.
한편, 시트(5a, 7a)로 공급되는 공조유닛(3)의 냉,온기는, 별도의 덕트(D)들을 통해 시트(5a, 7a)의 공기토출홀(8)들로 각각 공급된다. 별도의 덕트(D)들은, 콘솔박스(1)에 냉,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콘솔덕트(1a)로부터 분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시트 공조장치는, 콘솔덕트(1a)를 따라 이송되는 냉,온기를 일부 바이패스하여 사용하므로, 냉,온기의 풍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시트(5a, 7a)의 냉,난방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감안하여, 시트(5a, 7a)에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높여 시트(5a, 7a)의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4-161061호가 있다. 이 기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유닛(3)의 공조케이스(3a)에 보조 블로어(3b)를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다.
보조 블로어(3b)는, 공조케이스(3a)에 일체로 설치되며, 콘솔덕트(1a)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과 풍압을 추가적으로 높인다. 따라서, 운전석(5)과 조수석(7)의 시트(5a, 7a)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높인다. 이로써, 시트(5a, 7a)의 냉난방 성능을 높인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풍량을 높이기 위한 보조 블로어(3b)가 공조유닛(3)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공조유닛(3)이 복잡해지고 많은 제조비용 이 소요되며 조립시에 복잡한 조립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보조 블로어(3b)를 설치하기 위한 송풍실(3c)을 공조케이스(3a)에 마련해야 하고, 송풍실(3c)과 연통되는 냉,온기 통로(3d)들을 형성해야 하며, 이들 통로(3d)상에 각종 도어(3e)들을 설치해야 하는 등,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부품의 조립시 복잡한 조립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보조 블로어(3b)가 공조유닛(3)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보조 블로어(3b)가 필요없는 공조유닛, 즉,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없어서 풍량 상승이 필요없는 공조유닛과 호환하여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점 때문에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필요없는 공조장치의 경우, 보조 블로어(3b)가 설치되지 않은 공조유닛(3)을 별도로 제작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써, 제조원가와 제조비용이 현저하게 상승되는 결점이 있다.
이 밖에도 종래의 기술은, 시트(5a, 7a)로 공급되는 냉,온기가 콘솔덕트(1a)로부터 일부 바이패스되는 구조이므로, 시트(5a, 7a)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단점 때문에 운전석(5)과 조수석(7)의 냉,난방 성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많은 제조비용이 소요되지 않고, 복잡한 조립작업 없이 간단한 조립만으로 설치가능한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종류의 공조유닛으로도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와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 모두 다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종류의 공조유닛으로도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와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 모두 다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키고,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킴에 따라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충분한 풍량의 냉,온기가 시트에 공급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시트의 냉,난방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는, 운전석의 시트와 조수석의 시트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토출홀들은 차실내 공조장치의 공조유닛으로부터 공급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하여 상기 운전석과 조수석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으로부터 냉,온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유닛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인출덕트와; 상기 인출덕트로 인출된 냉,온기를 상기 운전석의 시트 와 상기 조수석의 시트로 공급하는 시트덕트 및; 상기 시트덕트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인출덕트에 조립되는 시트용 블로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에 의하면, 공조케이스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인출덕트를 통해 공조유닛의 냉,온기를 인출하고, 인출된 냉,온기를 이용하여 시트를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보다 간단한 조립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보다 저렴한 비용과 보다 간단한 조립만으로 시트 공조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조케이스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인출덕트를 통해 시트를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기술과 같이, 공조유닛의 내부에 시트의 냉,난방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을 일체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과,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을 동일한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과,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키고,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킴에 따라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덕트에 장착되는 시트용 블로어를 통해 시트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높이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기술과 같이, 공조유닛의 내부에 냉,온기의 풍량을 높이기 위한 보조 블로어를 일체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과,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을 동일한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과, 시트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키고,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킴에 따라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유닛의 냉,온기를 운전석과 조수석에 직접 제공하는 구조이므로, 충분한 풍량의 냉,온기가 운전석과 조수석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의 냉,난방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 제 1실시예 ]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를 살펴보기에 앞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공조시스템은, 공조유닛(3)을 구비하며, 공조유닛(3)은 공조케이스(11)를 갖추고 있다.
공조케이스(11)는 내부통로(11a)를 구비하며, 내부통로(11a)에는 히터코어(12)와 증발기(14)가 설치된다.
히터코어(12)는 공조케이스(11)의 내부통로(11a)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가 열하여 온기를 발생시킨다. 증발기(14)는 공조케이스(11)의 내부통로(11a)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냉각시켜 냉기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콘솔 공조장치를 구비한다. 콘솔 공조장치는 콘솔박스(1)와 연결되는 콘솔덕트(1a)를 구비한다.
콘솔덕트(1a)는, 공조케이스(11)의 냉,온기를 콘솔박스(1)에 공급한다. 따라서, 콘솔박스(1)의 내부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이로써, 콘솔박스(1)가 냉,온장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콘솔덕트(1a)는, 차실내의 후석측에 냉,온기를 송풍하기도 한다. 따라서, 차실내의 후석측을 냉,난방하기도 한다. 이로써, 후석측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공조시스템은, 시트 공조장치를 구비한다. 시트 공조장치는, 운전석(5)과 조수석(7)의 시트(5a, 7a)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홀(8)들을 포함한다.
이들 공기토출홀(8)들은 공조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한다. 따라서, 운전석(5)과 조수석(7)을 냉방하거나 난방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의 특징부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1)의 일측부분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20)를 구비한다.
공기배출구(20)는, 페이스 벤트(Face Vent)(16)의 하류측부분에 형성되며, 페이스 벤트(16)를 따라 흐르는 냉,온기를 바이패스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트 공조장치는, 공기배출구(20)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공조케이스(11)의 후측부분으로 인출하는 인출덕트(30)를 구비한다.
인출덕트(30)는, 공조케이스(11)의 외면 일부분을 덮는 일종의 커버(Cover)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인출덕트(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1)의 외면부분과 협동하여 내부유로(32)를 형성한다.
내부유로(32)는, 하나의 입구(34)와 두 개의 출구(35, 36)를 구비한다. 입구(34)는 공기배출구(20)와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배출구(20)로부터 배출된 냉,온기를 내부유로(32)로 도입한다.
출구(35, 36)들은 내부유로(32)를 따라 이송되는 냉,온기를 분할하여 배출하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출구(35)(이하, "제 1출구(35)"로 칭함)는 상기 콘솔덕트(1a)와 연결된다. 따라서, 내부유로(32)의 냉,온기를 콘솔덕트(1a)로 공급한다. 이로써, 콘솔덕트(1a)로 공급된 냉,온기가 콘솔박스(1)에 도입될 수 있게 한다.
다른 하나의 출구(36)(이하, "제 2출구(36)"로 칭함)는, 시트덕트(40)와 연결된다. 따라서, 내부유로(32)의 냉,온기를 상기 시트덕트(40)로 공급한다.
시트덕트(4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5)과 조수석(7)의 사이부분을 향해 배열되며, 이렇게 배열된 시트덕트(40)는, 인출덕트(30)로부터 이송된 냉,온기를 운전석(5)과 조수석(7) 사이의 부분으로 이송시킨다.
한편, 시트덕트(40)의 말단부분에는 한 쌍의 분지덕트(50)들이 설치된다. 한 쌍의 분지덕트(50)는, 도 3과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덕트(40)로부터 분지되어 운전석(5)의 시트(5a)와 조수석(7)의 시트(7a)에 각각 연결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5a, 7a)에 형성된 공기토출홀(8)과 연결된다.
이러한 분지덕트(50)들은, 시트덕트(40)의 내부통로(40a)를 따라 이송된 냉,온기를 운전석(5)과 조수석(7)의 시트(5a, 7a)에 형성된 공기토출홀(8)로 각각 공급한다.
따라서, 각 시트(5a, 7a)의 공기토출홀(8)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토출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운전석(5)과 조수석(7)을 냉방하거나 또는 난방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트 공조장치는, 인출덕트(30)의 제 1출구(35)와 제 2출구(36)의 분지점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유로전환도어(60)를 구비한다.
유로전환도어(60)는, 액츄에이터(62)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제 1출구(35)를 차단하는 제 1위치(A)와, 제 2출구(36)를 차단하는 제 2위치(B) 및, 제 1출구(35)와 제 2출구(36)를 동시에 개방하는 중간의 제 3위치(C) 사이에서 회전운동한다.
이러한 유로전환도어(60)는, 제 1위치(A)에서 제 1출구(35)를 차단하므로, 인출덕트(30)의 냉,온기가 제 2출구(36)로 유입되면서 시트덕트(40)로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운전석(5)과 조수석(7)의 시트(5a, 7a)로 냉,온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시트 공조장치만 작동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유로전환도어(60)는, 제 2위치(B)에서 제 2출구(36)를 차단하므로, 인출덕트(30)의 냉,온기가 제 1출구(35)로 유입되면서 콘솔덕트(1a)로만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콘솔박스(1)로 냉,온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콘솔 공조장치만 작동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유로전환도어(60)는, 제 3위치(C)에서 제 1출구(35)와 제 2출구(36)를 동시에 개방하므로, 인출덕트(30)의 냉,온기가 콘솔덕트(1a)와 시트덕트(40)에 동시에 공급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운전석(5)과 조수석(7)과 콘솔박스(1)로 동시에 냉,온기가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콘솔 공조장치와 시트 공조장치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트 공조장치는, 인출덕트(30)의 제 2출구(36)에 설치되는 시트용 블로어(70)를 구비한다.
시트용 블로어(70)는, 블로어팬(72)과 블로어모터(74)로 구성되며, 인출덕트(30)의 하측부분에 수직하게 설치된다. 특히, 차실내 바닥면에 대응하는 인출덕트(30)의 하측부분에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시트용 블로어(70)는 차실내측에서 조립 및 보수 작업하기가 용이하다.
이러한 시트용 블로어(70)는 제 2출구(36)의 냉,온기를 흡입한 다음, 시트덕트(40)로 송풍한다. 따라서, 시트덕트(40)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추가적으로 높인다. 이로써, 운전석(5)과 조수석(7)의 시트(5a, 7a)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대폭적으로 높인다.
그 결과, 운전석(5)과 조수석(7)의 각 시트(5a, 7a)로부터 토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높은 풍량과 풍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5a, 7a)의 냉,난방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한편, 이러한 시트용 블로어(70)는, 유로전환도어(60)가 제 2출구(36)를 개 방하였을 경우에만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트 공조장치는, 양쪽의 분지덕트(50)에 각각 설치되는 개도량 조절도어(80)들을 구비한다.
개도량 조절도어(80)들은, 각 분지덕트(50)의 내부통로(50a)에 각각 설치되며, 액츄에이터(82)의 의해 회전되면서 각 내부통로(50a)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운전석(5)의 시트(5a)와 조수석(7)의 시트(7a)에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이로써, 운전석(5)과 조수석(7)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다.
특히, 운전석(5)과 조수석(7)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곳만 선택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수석(7)의 탑승객이 없을 경우, 조수석(7)으로 공급되는 냉,온기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불필요한 냉,온기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의 냉,난방 성능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케이스(11)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인출덕트(30)를 통해 공조유닛(3)의 냉,온기를 인출하고, 인출된 냉,온기를 이용하여 시트(5a, 7a)를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보다 간단한 조립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보다 저렴한 비용과 보다 간단한 조립만으로 시트 공조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케이스(11)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인출덕트(30)를 통해 시트(5a, 7a)를 냉,난방하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기술(도 2참조)과 같이, 공조케이스(3a)의 내부에 형성된 시트용 냉,온기 통로(3d)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시 트(5a, 7a)를 냉,난방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유닛(3)의 내부에 시트용 냉,온기 통로(3d)를 일체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3)과,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3)을 동일한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3)과,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3)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키고,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킴에 따라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트 공조장치는, 인출덕트(30)에 설치되는 시트용 블로어(70)를 통해 시트(5a, 7a)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높이는 구조이므로, 종래의 기술(도 2참조)과 같이, 공조케이스(3a)의 내부에 일체로 설치된 보조 블로어(3b)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냉,온기의 풍량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공조유닛(3)의 내부에 보조 블로어(3b)를 일체로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3)과,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3)을 동일한 구조로 제조할 수 있다.
그 결과,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3)과,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의 공조유닛(3)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키고, 부품의 공용화율을 제고시킴에 따라 비용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시트 공조장치는, 공조유닛(3)의 냉,온기를 운전석(5)과 조수석(7)에 직접 제공하는 구조이므로, 충분한 풍량의 냉,온기가 운전석(5)과 조수석(7)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5a, 7a)의 냉,난방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 제 2실시예 ]
다음으로,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2실시예의 시트 공조장치는, 공조케이스(11)의 냉,온기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덕트(30)를 구비하되, 상기 인출덕트(30)의 제 2출구(36)가 막혀진 구성을 갖는다.
제 2출구(36)가 막혀진 인출덕트(30)는, 제 2출구(36)로 냉,온기를 배출할 필요가 없는 공조장치, 즉,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에 사용된다.
이러한 제 2실시예의 시트 공조장치는, 제 2출구(36)가 막혀진 인출덕트(30)만으로도,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대폭적인 설계변경 및 부품변경 없이도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와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원가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인출덕트(30)의 제 2출구(36)는, 별도의 차단부재(90)에 의해 차단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인출덕트(30)의 제조시에 막혀진 상태로 성형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차단부재(90)에 의해 차단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차단부재(90)만 구비하면, 제 2출구(36)의 차단여부를 손쉽게 결정할 수 있고, 이로써, 제 2출구(36)가 차단된 인출덕트(30)와 제 2출구(36)가 개방된 인출덕트(30)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있는 공조장치용 인출덕트(30)와, 시트(5a, 7a)의 냉,난방 기능이 없는 공조장치용 인출덕트(30)를 별도로 제조하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부품의 제조원가 및 제조비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 제 3실시예 ]
다음으로, 도 8과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3실시예의 시트 공조장치는, 인출덕트(30)의 제 2출구(36)가 상측부분에 형성되고, 제 2출구(36)에 시트용 블로어(70)가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제 3실시예의 시트 공조장치는, 제 2출구(36)가 인출덕트(30)의 상측부분에 형성되므로, 주변공간이 비교적 넓은 공조케이스(11)의 상측면부분에 시트용 블로어(70)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케이스(11) 하측부분의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는 제 1실시예의 시트용 블로어(70)와 달리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하다. 이로써, 부품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고, A/S 성능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기로는, 시트용 블로어(70)가 공조케이스(11)의 상측면부분에 설치되어 있되, 차실내측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는, 차실내측에서 시트용 블로어(70)를 조립 및 분해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며, 이로써, 유지보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 제 4실시예 ]
다음으로, 도 10과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조장치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제 4실시예의 시트 공조장치는, 인출덕트(30)의 내부유로(32)에 분리판(30a)을 설치하여 좌측유로부(32a)와 우측유로부(32b)로 나눈 다음, 좌측유로부(32a)에는 제 2출구(36)를 형성하고, 우측유로부(32b)에는 제 3출구(37)를 형성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좌측유로부(32a)의 제 2출구(36)에는 운전석용 시트덕트(42)가 연결되고, 우측유로부(32b)의 제 3출구(37)에는 조수석용 시트덕트(44)가 연결된다.
운전석용 시트덕트(42)는, 제 2출구(36)로부터 배출되는 냉,온기를 운전석(5)의 시트(5a)로 압송한다. 특히, 시트(5a)에 형성된 공기토출홀(8)로 압송한다. 따라서, 시트(5a)의 공기토출홀(8)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토출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운전석(5)을 냉방하거나 또는 난방한다.
조수석용 시트덕트(44)는, 제 3출구(37)로부터 배출되는 냉,온기를 조수석(7)의 시트(7a)로 압송한다. 특히, 시트(7a)에 형성된 공기토출홀(8)로 압송한다. 따라서, 시트(7a)의 공기토출홀(8)로부터 냉기 또는 온기가 토출될 수 있게 한 다. 이로써, 조수석(7)을 냉방하거나 또는 난방한다.
그리고 제 4실시예의 시트 공조장치는, 제 2출구(36)에 설치되는 운전석 시트용 블로어(70a)와, 제 3출구(37)에 설치되는 조수석 시트용 블로어(70b)를 구비한다.
운전석 시트용 블로어(70a)는, 제 2출구(36)의 냉,온기를 흡입한 다음, 운전석용 시트덕트(42)로 송풍한다. 따라서, 운전석용 시트덕트(42)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추가적으로 높인다. 이로써, 운전석(5)의 시트(5a)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대폭적으로 높인다. 그 결과, 운전석(5)의 시트(5a)로부터 토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높은 풍량과 풍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석(5)의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킨다.
조수석 시트용 블로어(70b)는, 제 3출구(37)의 냉,온기를 흡입한 다음, 조수석용 시트덕트(44)로 송풍한다. 따라서, 조수석용 시트덕트(44)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추가적으로 높인다. 이로써, 조수석(7)의 시트(7a)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대폭적으로 높인다. 그 결과, 조수석(7)의 시트(7a)로부터 토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가 높은 풍량과 풍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수석(7)의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제 4실시예의 시트 공조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시트덕트(42)와 조수석용 시트덕트(44)에 각각 설치되는 개도량 조절도어(100)들을 구비한다.
개도량 조절도어(100)들은, 운전석용 시트덕트(42)와 조수석용 시트덕 트(44)의 내부통로(42a, 44a)에 각각 설치되며, 액츄에이터(102)의 의해 회전되면서 각 내부통로(42a, 44a)의 개도량을 조절한다.
따라서, 운전석(5)의 시트(5a)와 조수석(7)의 시트(7a)에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한다. 이로써, 운전석(5)과 조수석(7)을 독립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제 4실시예의 본 발명에 의하면, 공조유닛(3)으로부터 운전석(5)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이송경로와, 공조유닛(3)으로부터 조수석(7)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이송경로를 서로 구분하는 구조이므로, 운전석(5)과 조수석(7)을 독립적으로 냉, 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5)과 조수석(7)의 냉,난방 성능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운전석(5)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과, 조수석(7)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추가적으로 더 높이는 구조이므로, 운전석(5)과 조수석(7)으로 공급되는 냉,온기가 충분한 풍량을 가질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운전석(5)과 조수석(7)이 풍량부족없이 쾌적하게 냉, 난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운전석(5)과 조수석(7)으로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각기 구분하여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필요한 곳만 선택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냉,온기의 소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 10과 도 11은, 스티어링휠이 왼쪽에 설치된 LHD(Left Hand Drive)타입의 차량을 기준으로하여 도시하였다. 따라서, 도면 왼쪽부분을 운전석부분으로 오른쪽 부분을 조수석 부분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각각의 부재명 칭도 구분하였다.
예를 들면, 도면 왼쪽의 부재부호(5)를 운전석으로, 오른쪽의 (7)을 조수석으로, 도면 왼쪽의 (42)를 운전석용 시트덕트로, 오른쪽의 (44)를 조수석용 시트덕트로, 도면 왼쪽의 (70a)를 운전석 시트용 블로어(70a)로, 오른쪽의 (70b)를 조수석 시트용 블로어로 각각 구분하였다.
그러나 스티어링휠이 오른쪽에 설치된 RHD(Right Hand Drive)타입의 차량의 경우에는, 도면 왼쪽부분이 조수석부분으로 오른쪽 부분을 운전석 부분으로 구분될 것이며,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부재명칭도 변경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차량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 4의 Ⅲ-Ⅲ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도 4의 Ⅳ-Ⅳ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와 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콘솔박스(Console Box) 1a: 콘솔덕트(Console Duct)
3: 공조유닛(Unit) 5: 운전석
5a: 운전석의 시트 7: 조수석
7a: 조수석의 시트 8: 공기토출홀
11: 공조케이스 11a: 내부통로
12: 히터코어(Heater Core) 14: 증발기
20: 공기배출구 30: 인출덕트(Duct)
32: 내부유로 32a: 좌측유로부
32b: 우측유로부 35: 제 1출구
36: 제 2출구 37: 제 3출구
40: 시트덕트(Seat Duct) 42: 운전석용 시트덕트
44: 조수석용 시트덕트 50: 분지덕트
60: 유로전환도어 70: 시트용 블로어(Blower)
70a: 운전석 시트용 블로어 70b: 조수석 시트용 블로어
80: 개도량 조절도어 90: 차단부재
100: 개도량 조절도어

Claims (6)

  1. 운전석(5)의 시트(5a)와 조수석(7)의 시트(7a)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토출홀(8)들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토출홀(8)들은 차실내 공조장치의 공조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하여 상기 운전석(5)과 조수석(7)을 냉방 또는 난방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조유닛(3)으로부터 냉,온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조유닛(3)에 추가적으로 장착되는 인출덕트(30)와, 상기 인출덕트(30)로 인출된 냉,온기를 상기 운전석(5)의 시트(5a)와 상기 조수석(7)의 시트(7a)로 공급하는 시트덕트(40) 및, 상기 시트덕트(40)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상기 인출덕트(30)에 조립되는 시트용 블로어(70)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덕트(30)에는, 차실내의 콘솔박스(1)와 후석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모두 다에 냉,온기를 공급하기 위한 콘솔덕트(1a)가 연결되고;
    상기 시트덕트(40)와 상기 콘솔덕트(1a)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개방하거나 또는 모두 다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덕트(40)와 콘솔덕트(1a)의 분지점에 설치되는 유로전환도어(6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유로전환도어(60)는, 상기 콘솔덕트(1a)를 차단하는 제 1위치(A)와, 상기 시트덕트(40)를 차단하는 제 2위치(B)와, 상기 시트덕트(40)와 콘솔덕트(1a)를 동시에 개방하는 중간의 제 3위치(C) 사이에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용 블로어(70)는,
    차실내 바닥면에 대응하는 상기 인출덕트(30)의 하측부분에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용 블로어(70)는,
    차실내측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인출덕트(30)의 상측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5.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덕트(30)는, 좌측유로부(32a)와 우측유로부(32b)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덕트(40)는, 상기 좌측유로부(32a)를 따라 흐르는 냉,온기를 상기 운전석(5)의 시트(5a)에 공급하는 운전석용 시트덕트(42)와, 상기 우측유로부(32b)를 따라 흐르는 냉,온기를 상기 조수석(7)의 시트(7a)에 공급하는 조수석용 시트덕트(44)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용 블로어(70)는, 상기 운전석용 시트덕트(42)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더 높이는 운전석 시트용 블로어(70a)와, 상기 조수석용 시트덕트(44)로 송풍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더 높이는 조수석 시트용 블로어(7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석(5)의 시트(5a)와 상기 조수석(7)의 시트(7a)에 공급되는 냉,온기의 풍량을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운전석용 시트덕트(42)와 상기 조수석용 시트덕트(44)의 개도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개도량 조절도어(100)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KR1020090051640A 2009-06-10 2009-06-10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KR10118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640A KR101187702B1 (ko) 2009-06-10 2009-06-10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US12/797,603 US8950467B2 (en) 2009-06-10 2010-06-09 Seat-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N 201010256602 CN101920673A (zh) 2009-06-10 2010-06-10 用于机动车辆的座椅空调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640A KR101187702B1 (ko) 2009-06-10 2009-06-10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847A KR20100132847A (ko) 2010-12-20
KR101187702B1 true KR101187702B1 (ko) 2012-10-04

Family

ID=4350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640A KR101187702B1 (ko) 2009-06-10 2009-06-10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70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4938A (ja) 1998-03-12 1999-09-21 Denso Corp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4938A (ja) 1998-03-12 1999-09-21 Denso Corp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847A (ko) 2010-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US8950467B2 (en) Seat-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US6595276B2 (en) Vehicula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unit including plural air-mixing spaces
EP1574369B1 (en) Rea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080032617A1 (en) Modular Motor Vehicle Air-Conditioning Unit
CN104781094A (zh) 车辆空气调节器
JP2014180985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3002035A (ja) 自動車の空調装置
WO2012077670A1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20130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JP2010023640A (ja) 車両用空調装置
US11465465B2 (en) Air ventilation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50279489A1 (en) HVAC center plate scoop for improved temperature distribution
KR101187702B1 (ko)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JP5062523B2 (ja) 自動車用シート空調装置
WO2008050985A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01299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187699B1 (ko) 차량의 시트 공조장치
KR101492152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KR101200755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40343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79074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72569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KR101151934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CN111483290B (zh) 车辆用空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