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665B1 - 두 개의 댄실 형광체를 포함한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용액상에서의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두 개의 댄실 형광체를 포함한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용액상에서의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665B1
KR101187665B1 KR1020110071168A KR20110071168A KR101187665B1 KR 101187665 B1 KR101187665 B1 KR 101187665B1 KR 1020110071168 A KR1020110071168 A KR 1020110071168A KR 20110071168 A KR20110071168 A KR 20110071168A KR 101187665 B1 KR101187665 B1 KR 10118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ions
compound
mercury
fluoresc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하니 추다
이건형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6Chemiluminescence; Biolumin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13Specific cations in water, e.g. heavy me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은 이온(Hg2 +)을 선택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형광 아미노산 센서 및 상기 센서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형광 센서가 주로 유기 용매에서 중금속 이온을 검출할 수 있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형광 아미노산 센서는 지하수, 하천과 같은 수계 환경에서 수은 이온(Hg2 +)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형광 아미노산 센서로 활용 가능하고, 특히 생체 시료의 pH 범위에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생체 시료로부터 수은 이온(Hg2 +)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고, 나노몰 수준의 검출한계를 갖는 바, 감도가 우수한 형광 아미노산 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 개의 댄실 형광체를 포함한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용액상에서의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 방법 {Synthesis of Amino Acid Bearing two Dansyl Fluorophores for Monitoring Hg2+ in Aqueous Solution and detection method for Hg2+ ions using this compounds}
본 발명은 수은 이온(Hg2 +)을 선택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아미노산 기반의 형광 센서 및 상기 센서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 주요물질과 이온들에 대한 새로운 센서의 설계와 연구는 그 동안 활발히 진행되어져 왔다. 최근 초분자(supramolecule)화학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선택적으로 이온 혹은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게스트 화합물들과 결합할 수 있는 호스트 화합물의 설계에 큰 가능성을 보여 왔으며, 최근 이러한 초분자 화합물을 형광물질에 연결시킴으로써, 게스트 화합물과의 선택적 결합을 형광변화를 이용하여 보다 손쉽게 관찰할 수 있는 형광 화학 센서(fluorescent chemosensor)의 개발에 대한 연구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형광이란 특정한 광파장 (여기 파장)을 갖는 광자가 표지분자(indicator molecule)와 충돌하고, 그 충돌의 결과로 전자가 고에너지 준위로 여기(excitation)되면서 일어나는 광화학적 현상이다. 여러 분석 방법 중에서 형광을 이용하는 방법은 아주 뛰어난 감도로 인해 10-9 M 농도에서도 신호를 관찰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양이온, 음이온 그리고 중성 유기분자들에 대한 형광 화학 센서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된 바 있다[A. P. de Silva, Chem. Rev. 1997, 97, 1515].
최근 들어, 다양한 아미노산 기반의 형광 센서를 합성하여 여러 종류의 전이금속을 검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형광 아미노산 센서는 아래에 나와 있는 몇 가지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천연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형광 센서는 고체상 합성법을 이용하여 빠른 시간 내에 비교적 손쉽게 합성을 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아미노산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금속 이온에 대한 선택성과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생리적 조건과 유사한 수용액에 잘 녹는 점은 형광 화학 센서와 차별화된 점으로 꼽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합성된 형광 아미노산 센서를 불수용성 고체상 장치에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미래에 더 많은 응용이 가능하다. 다만, 여기서 합성된 형광 아미노산 센서는 화학적으로 매우 수용성이기 때문에 세포 내로 투과시키는 것이 다소 어렵지만, 펩타이드에 존재하는 아마이드 결합을 통해서 추가적으로 기능을 부여하면, 세포 안으로 형광 아미노산 센서를 투과시켜 더 많은 연구를 진행시킬 수가 있다.
금속이온의 생리적 조건에서의 높은 선택적 검출은 환경 및 생물학적 응용을 위한 형광 화학 센서 개발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Fluorescent Chemosensors for Ion and Molecular Recognition, Czarnik, A. W. Ed.,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993].
특히, 수은 이온은 인간의 건강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중금속이다. 대양과 화산에 의한 방출[Renzoni, A; Zino, F.; Franchi, E. Environ. Res. 1998, 77, 68.], 금채광[Malm, O. Environ. Res. 1998, 77, 73.], 혹은 고체 폐기물 소각에 의한 수은 오염은 면역계, 유전자, 신경계에 대한 극심한 독성 때문에 큰 이슈가 되어 왔다. 이와 같이 수은은 매우 위험한 맹독성 오염물질이지만 불행하게도 우리 주변 환경 속에 많이 존재한다. 주변 환경 속에 존재하는 수은은 먹이 사슬을 통해 축적된다. 먹이사슬의 상층에 위치할수록 축적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음식물 섭취를 통해 인간에게 축적되는 오염물질의 수준도 높아진다. 수은은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물에 잘 용해되는 이온형태(Hg2 +)로 전환되고 생선이나 다른 여러 음식물에 축적된다. 따라서 이들을 먹는 인간에게도 당연히 수은의 축적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수용액상에 존재하는 수은의 함량을 잘 모니터링 하는 것은 인류의 건강을 지키는 중요한 활동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금속 이온에 대해 충분한 선택성을 갖는 새로운 형광 화학 센서의 개발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수은 이온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많은 형광 화학 센서들이 보고되었으나, 수용액 내에서 수은 이온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며, 다른 금속이온에 간섭 받지 않는 형광 화학 센서의 예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수은 이온(Hg2 +)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화합물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특정 아미노산에 형광체인 단실(Dansyl)을 도입하는 경우 수용액 상에서 수은 이온(Hg2 +)을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은 이온 선택성과 감도가 우수한 아미노산 기반의 형광 아미노산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첫 번째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광 아미노산 센서를 이용한 수은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두 번째 과제로 한다.
상기 첫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수은 이온 검출용 형광 아미노산 센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55272838-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2, 3 또는 4이고, R은 -NH2, -OCH3 또는 -OC2H5이다.
상기 두 번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형광 아미노산 센서를 이용한 수은 이온의 검출방법으로써, 상기 검출은 수용액상 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은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미노산 기반의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는 오직 수은 이온에 대해서만 선택적인 형광 변화를 보인다. 종래의 형광 펩타이드 센서의 경우 주로 유기 용매에서 중금속 이온을 검출할 수 있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형광 아미노산 센서는 지하수, 하천과 같은 수계 환경에서도 수은 이온(Hg2 +)을 검출할 수 있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고, 특히 생체 시료의 pH 범위에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생체 시료로부터 수은 이온(Hg2 +)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나노몰 수준의 검출 한계를 갖는 바, 선택성과 감도가 우수하며, 고체상 합성을 이용하여 손쉽게 합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10 mM HEPES buffer(pH 7.4) 중에서, 금속 이온들(10 μM)과 (a) 화합물 1(10 μM), (b) 화합물 2(10 μM), (C) 화합물 3(10 μM), (d) 화합물 4(10 μM)의 형광 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a) 화합물 3(2 μM)에 대해 1당량의 Hg2 +를 첨가하기 전과 Hg2 +포함한 여러 금속이온들을 첨가한 후 형광 변화를 직접 관찰한 것이며, (b)는 (a)의 형광 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화합물 3과 Hg2 + 이온 복합체의 ESI-MS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화합물 3과 Hg2 + 이온 복합체에 대한 Job's plot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Hg2 + 이온의 각각 다른 농도 조건에서의 화합물 3의 형광 스펙트럼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화합물 3의 가역성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헬라 셀의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이다(a:현미경을 이용한 헬라셀의 이미지, b: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헬라셀의 형광 이미지, c: 헬라셀에 화합물 3(5 μM)을 주입한 현미경 이미지, d: 헬라셀에 화합물 3(5 μM) 주입 후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 e: 화합물 3(5 μM)이 주입된 헬라셀에 수은(20 μM)을 주입한 현미경 이미지, f: 화합물 3(5 )이 주입된 헬라셀에 수은(20 μM)을 주입한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
본 발명은 수은 이온을 검출하기 위한 형광 아미노산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수은 이온 검출용 형광 아미노산 센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55272838-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2, 3 또는 4이고, R은 -NH2, -OCH3 또는 -OC2H5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기반의 형광 센서는 수은(Hg2 +) 이온과 반응하여 형광 변화를 나타낸다. 즉, Ag+, Al3 +, Ca2 +, Cd2 +, Co3 +, Cr3 +, Cu2 +, K+, Mg2 +, Mn2 +, Na+, Ni2 +, Zn2 +, Pb2 + 등의 다른 금속이온에 대해서는 형광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오로지 수은 이온(Hg2 +)에 대해서만 높은 선택성과 민감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형광 아미노산 센서는 나노몰 수준의 수은 이온 존재까지도 탐지가 가능하며, 최대 8 nM 수준까지 수은 이온 검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기반의 형광 센서는 환경 내 수은 이온의 검출을 센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수은 이온 검출용 형광 아미노산 센서는 고체상 합성법 등을 이용해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형광 아미노산 센서를 이용한 수은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검출은 수용액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생체 또는 환경으로부터 수득한 시료 내에서 수은 이온의 존재 유무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기반의 형광 센서를 시료와 반응시킨 후 형광 변화의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쉽게 탐지할 수 있으며, 수은 이온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형광 변화의 정도가 커지므로 시료 내 수은 이온의 정량분석 또한 가능하다.
상기 시료는 수은 이온의 존재 검출이 요구되는 생체 또는 환경으로부터 얻은 시료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시료는 수질 환경의 오염을 평가하기 위해 강이나 바다로부터 얻은 물이나, 동물 또는 사람의 수은 중독을 평가하기 위한 체액 또는 혈액일 수 있다.
상기 수은 이온 검출용 형광 아미노산 센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형광 아미노산 센서 외에 완충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용액의 종류 및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상기 수온 이온 검출용 센서의 적용 용도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수온 이온 검출용 센서를 생체 내 수은 이온의 검출을 위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완충용액은 생체 내 pH 농도에 상응하는 완충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미노산 기반 형광 센서의 합성
아미노산 기반의 형광 센서를 하기 반응식 1-1과 반응식 1-2에 따라 합성하였다. 하기 합성된 화합물 1 ~ 4 중 화합물 3만이 본원발명의 형광 아미노산 센서에 해당하며, 나머지는 화합물 1, 2 및 4는 비교예로서 사용되었다.
[반응식 1-1]
Figure 112011055272838-pat00003
상기 1 ~ 3 화합물(compound)의 합성방법으로, 먼저 3 개의 리브라 튜브(Ribra tube)에 Rink amide MBHA resin(200 mg, 0.1 mmol)을 3 ml 무수 DMF에 각각 넣고 약 30 분간 미리 팽윤시킨다. 상기의 수지에 25 % 피페리딘/DMF 용액 3 ml를 첨가하여 15 분간 반응시켜 아미노 말단의 Fmoc 그룹을 제거한 후, 1.5 ml 무수 DMF 용매 안에 하나의 튜브(tube)에는 0.3 mmol Fmoc-Lys(BOC)-OH(140.58 mg), DIC(47 μL), HOBt(40 mg)를 첨가하고, 또 다른 하나의 튜브(tube)에는 Boc-Lys(Fmoc)-OH(140.58 mg), DIC(47 μL), HOBt(40 mg), 마지막 하나의 튜브(tube)에는 Fmoc-Lys(Fmoc)-OH(177.24 mg), DIC(47 μL), HOBt(40 mg)을 첨가한 후, 미리 15 분간 활성화시킨 용액과 약 4 시간 정도 반응시킨다. 반응 후 용액을 걸러내고, 수지를 DMF와 메탄올로 수차례 세척한 후, 카이저(kaiser) 테스트를 실행한다. 카이저(kaiser) 테스트가 양성으로 나오면 상기의 활성화 용액을 다시 만들어 첨가하고, 음성으로 나올 경우 50 % 피페리딘/DMF를 이용해 아미노 말단의 Fmoc 그룹을 제거하고, 무수 DMF 용매 안에 단실 클로라이드(Dansyl Chloride)(0.3 mmol),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0.6 mmol)가 든 용액을 상기의 수지와 혼합한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적절한 속도로 교반시킨다. 수지에 붙어 있는 형광 아미노산은 제거 용액(Trifluoroacetic acid 95부피%, Triisopropylsilane 2.5부피%, water 2.5부피%)과 상온에서 2 시간 반응시켜 수지로부터 형광 아미노산을 떼어낸 후 여과를 통해 수지와 용액에 녹아있는 형광 아미노산을 분리하고, 여과된 형광 아미노산 분리 용액 내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은 질소 기체를 통과시켜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3 개의 형광 아미노산은 역상 HPLC(C-18 칼럼 delta pak C18-300A, 1.9 * 30 cm)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78 % 수율)(Eluent: water/acetonitrile in 0.1% TFA(gradient): Flow Rate 3.0 mL/min). 정제된 형광 아미노산의 분자량은 ESI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Compound 1: 1H NMR (DMSO-d6) δ 8.44 (d, 1H, J= 8.4 Hz), 8.28 (d, 1H, J= 8.4 Hz), 8.07 (d, 1H, J= 7.2 Hz), 7.98 (b, 2H), 7.88-7.85 (t, 1H, J= 6 Hz), 7.77 (s,1H), 7.63-7.55 (m, 2), 7.51 (s, 1H), 7.25 ( d, 1H, J= 7.6 Hz), 3.61 (d, 1H, J= 5.6 Hz), 2.82 (s, 6H), 2.77-2.70 (br s, 2H), 1.60-1.56 (m, 2H), 1.37-1.34 (m, 2H), 1.26-1.22 (m, 2H); 13C NMR (DMSO-d6) 170.31, 151.24, 135.97, 129.31, 129.07, 129.01, 128.14, 127.82, 124.81, 123.59, 119.14, 115.16, 45.07, 42.20, 30.39, 28.81, 21.30 mp 211-213 ºC; ESI-MS: calcd 379.17, obsd 379.09 [M+H+]+. Anal.Calcd. for C18H26N4O3S: C, 57.12; H, 6.92; N, 14.80; S, 8.47. Found: C, 57.23; H, 6.97; N, 14.87; S, 8.41.
Compound 2: 1H NMR (DMSO-d6) δ 8.60 (1H, J= 8.4 Hz), 8.48 (1H, J=8 Hz), 8.30-8.26 (m,2H), 7.83 (brs, 2H), 7.77-7.72 (m, 2H), 7.39 (d, 1H, J=7.8 Hz), 7.35 (s, 1H), 7.09 (s, 1H), 3.74 (m, 1H), 3.0 (s, 6H), 2.66-2.59 (m, 2H), 1.63-1.54 (m, 2H), 1.44-1.39 (m, 2H), 1.26-1.24 (m, 1H), 1.12-1.11(m, 1H); 13C NMR (DMSO-d6) 170.36, 151.29, 136.02, 129.36, 129.13, 129.07, 128.20, 127.87, 123.65, 119.19, 115.22, 45.12, 42.25, 30.44, 28.86, 21.35; mp 213-215 ºC ESI-MS: calcd 379.17, obsd 379.09 [M+H+]+. Anal.Calcd. for C18H26N4O3S: C, 57.12; H, 6.92; N, 14.80; S, 8.47. Found: C, 57.26; H, 6.87; N, 14.76; S, 8.38.
Compound 3: 1H NMR (DMSO-d6) δ 8.46 (d, 1H, J = 8.4Hz), 8.35 (d, 1H, J = 8.8 Hz), 8.28-8.23 (m, 2H), 8.08-8.00 (m, 3H), 7.71 (s, 1H), 7.63 (s, 1H), 7.57-7.48 (m, 3H), 7.27(d, 1H, J = 7.6 Hz), 7.12 (d, 2H, J= 6.0 Hz), 6.88 (s, 1H), 3.5 (m, 1H), 2.9 (s, 6H), 2.7 (s, 6H), 2.4 (m, 2H), 1.2 (m, 2H), 1.0 (m, 1H), 0.9 (br s, 2H), 0.6 (m, 1H); 13C NMR (DMSO-d6) 173.00, 158.52, 158.18, 150.20, 150.08, 136.19, 136.09, 129.12,128.98, 128.73, 128.61, 128.44, 128.24, 127.71, 127.54, 123.81, 123.59, 120.09, 119.80, 115.52, 1155.32, 55.02, 45.18, 45.08, 41.81, 31.012, 28.10, 21.76; mp 183-184 ºC; ESI-MS: calcd. 612.22, obsd 612.55 [M+H+]+. Anal.Calcd. for C30H37N5O5S2: C, 58.90; H, 6.10; N, 11.45; S, 10.48. Found: C, 58.81; H, 6.16; N, 11.39; S, 10.54.
[반응식 1-2]
Figure 112011055272838-pat00004
화합물(compound) 4의 합성방법은, 먼저 리브라 튜브(Ribra tube)에 2-chlorotrityl chloride resin(200 mg, 0.1 mmol)을 3 ml 무수 DCM에 각각 넣고, 약 1 시간 동안 미리 팽윤시킨다. 1.5 ml 무수 DCM 용매 안에 0.3 mmol Fmoc-L-Lys(Fmoc)-OH(177.24 mg), DIPEA(51 μL), 15 분간 활성화시켜 상기의 수지와 약 4 시간 정도 반응시킨다. 반응 후 용액을 걸러내고, 수지를 DCM/MeOH/DIPEA(17:2:1 V/V/V)로 수차례 세척한 후, 카이저(kaiser) 테스트를 실행한다. 카이저(kaiser) 테스트가 양성으로 나오면 상기의 활성화 용액을 다시 만들어 첨가하고, 음성으로 나올 경우 25 % 피페리딘/DMF를 이용해 아미노 말단의 Fmoc 그룹을 제거하고, 무수 DMF 용매 안에 단실 클로라이드(Dansyl Chloride)(0.3 mmol),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0.6 mmol)가 든 용액을 상기의 수지와 혼합한 후, 상온에서 3 시간 동안 적절한 속도로 교반시킨다. 수지에 붙어 있는 형광 아미노산은 제거 용액(Trifluoroacetic acid 95 부피%, Triisopropylsilane 2.5 부피%, water 2.5 부피%)과 상온에서 2 시간 반응시켜 수지로부터 형광 아미노산을 떼어낸 후 여과를 통해 수지와 용액에 녹아있는 형광 아미노산을 분리하고, 여과된 형광 아미노산 분리 용액 내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은 질소 기체를 통과시켜 제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형광 아미노산은 역상 HPLC(C-18 칼럼 delta pak C18-300A, 1.9 * 30 cm)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78% 수율)(Eluent: water/acetonitrile in 0.1% TFA(gradient): Flow Rate 3.0 mL/min). 정제된 형광 아미노산의 분자량은 ESI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Compound 4: 1H NMR (DMSO-d6) 8.46(d, 1H, J= 8.8 Hz), 8.37-8.34 (m, 2H), 8.32-8.27 (m, 2H), 8.07(d, 1H, J= 7.2 Hz), 8.03 (d, 1H, J=3.6 Hz), 7.3 (t, 1H, J=2.8), 7.66-7.49 (m, 4H), 7.32 (d, 1H, J= 7.6 Hz), 7.18 (d, 1H, J= 7.6 Hz), 7.18 (d, 1H, J= 7.6 Hz), 3.41(q, 1H, J= 7.6 Hz), 2.80 (s, 6H), 2.75 (s, 6H), 2.32-2.24 (m, 2H), 1.32-1.26 (m, 2H), 1.21 (s, 1H), 0.92-0.85 (m, 3H); 13C NMR (DMSO-d6) 173.06, 158.06, 158.23, 150.25, 150.13, 136.25, 136.15, 129.18, 129.04, 128.79, 128.67, 128.49, 128.29, 127.76, 127.59, 123.86, 123.64, 120.15, 119.86, 115.57, 115.38, 55.08, 45.24, 45.14, 41.86, 31.06, 28.16,21.81; mp 186-187 ºC; ESI-MS: calcd 612.22, obsd. 612.55 [M+H+]+. Anal.Calcd. for C30H36N4O6S2: C, 58.80; H, 5.92; N, 9.14; S, 10.47. Found: C, 58.88; H, 5.83; N, 9.22; S, 10.38.
실시예 2: 금속 이온 용액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형광변화 분석
화합물 3(30 μM)의 금속 이온 결합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Ag+, Al3 +, Ca2 +, Cd2 +, Co3 +, Cr3 +, Cu2 +, K+, Hg2 +, Mg2 +, Mn2 +, Na+, Ni2 +, Zn2 +, Pb2 + 이온들을 사용하였다. 상기 금속 이온들을 포함하는 용액을 먼저 제조하였다. 수용액 상의 Ag+, Al3 +, Ca2 +, Cd2 +, Co3 +, Cr3 +, Cu2 +, K+, Hg2 +, Mg2 +, Mn2 +, Na+, Ni2+, Zn2 +, Pb2 + 이온들의 퍼클로레이트 염 스톡 솔루션(10 mM)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화합물 3의 스톡 솔루션(1 mM)도 물로 제조하였다. 화합물 3의 스톡 솔루션을 테스트 튜브로 옮기고, 각 금속 이온의 스톡 솔루션의 적당 분취량을 가한 후, 20 mM HEPES buffer(pH 7.4)와 물로 이 용액을 2 mL로 희석하여 테스트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테스트 용액들에 대해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형광 스펙트럼의 측정 시 일반적으로 여기 파장은 380 nm, 여기와 방출 슬릿 폭은 10 nm 와 7 nm였다. Hg2 +의 저농도 적정시에는 Hg2+의 첨가 후 5 분 뒤에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1은 10 mM HEPES buffer(pH 7.4) 중에서, 금속이온들(10 μM)과 화합물 1 ~ 4(10 μM)의 형광 스펙트럼 측정 결과를 보여준다. (c)의 결과에서 시험된 다양한 금속 이온들(1 당량) 가운데 오직 Hg2+에 대해서만 화합물 3이 큰 형광 상승을 보였다. 즉, Hg2 + 첨가에 의하여 6 배 큰“off-on" 타입의 형광 상승이 관찰되었다.
도 2는 화합물 3(2 μM)에 대해 1 당량의 다양한 금속 이온들을 첨가하기 전과 첨가한 후의 형광 변화를 보여준다.
실시예 3: 화합물 3 - 수은 복합체의 제조
화합물 3과 수은 이온 간의 결합 상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화합물 3 - 수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도 3은 화합물 3 - 수은 복합체의 ESI-MS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M + Hg2 +-H+]+ 에 상응하는 m/z 812.29에서 피크를 명확히 관찰할 수 있다.
화합물 3 - 수은 복합체에서의 화합물 3과 수은의 결합 비율을 다시 한번 검증하기 위하여 Job's plot을 수행하였다. 도 4는 화합물 3 - 수은 복합체에 대한 Job's plot의 결과를 나타낸다. 10 mM HEPES buffer(pH 7.4) 에서 화합물 3과 수은의 전체 농도를 30 μM로 일정하게 유지하여 실험한 결과, 화합물 3과 수은의 결합 비율이 1 : 1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수은 이온의 농도에 따른 검출능 평가
Hg2 +의 농도에 따른 본 발명의 아미노산 기반의 형광 센서의 검출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 Hg2+의 농도 조건에서의 화합물 3의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5는 10 mM HEPES buffer(pH 7.4) 중에서, 화합물 3(8 μM)과 Hg2 +의 각각 다른 농도(0, 0.1, 0.2, 0.3, 0.4, 0.5, 0.6, 0.7, 0.8, 0.9 및 1.0 equiv) 조건에서의 화합물 3의 형광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Hg2 +의 농도 증가에 따라 화합물 3이 나타내는 형광 강도는 강해짐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화합물 3과 Hg2 + 이온과의 결합이 가역적인지를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조건 하에서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6은 10 mM HEPES buffer(pH 7.4) 중에서 화합물 3(30 μM)과 Hg2 + 이온 (20 μM) 복합체를 형성시켜 EDTA의 각각 다른 농도(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10 equiv) 조건에서의 화합물 3과 Hg2 + 이온 복합체의 형광 스펙트럼을 보여준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EDTA의 농도 증가에 따라 화합물 3과 Hg2 + 이온 복합체의 형광 강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를 통해 화합물 3과 Hg2 + 이온간의 결합이 가역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센서(화합물 3)를 이용한 세포 내 수은 검출 형광 이미지
수은 이온 화학 센서인 화합물 3의 in vivo 세포 내 수은 검출에 대한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헬라셀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헬라셀은 사람의 자궁경부암 조직에서 얻어낸 세포계(cell line)로써 HeLa는 환자 이름의 약칭이다. 사람의 파필로마바이러스의 암유전자를 DNA 속에 갖고 암세포로서의 성질을 나타낸다. 바이러스학, 암 연구, 분자생물학 등의 연구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어 인체 내에서의 독성을 시험함에 있어 이상적인 생물체로 여겨진다).
본 실험에서, 배양된 헬라셀에 화합물 3을 5 주입하고, 37 ℃의 인큐베이터에서 15 분간 인큐베이션 시킨다. 그 후 PBS 버퍼로 헬라셀을 세척해준다. 이렇게 셀 안으로 삽입된 화합물 3은 약한 형광 이미지만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여기에 수은 20 을 첨가하자 강한 형광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하였다.
도 7은 헬라 셀의 공초점 레이저 주사 현미경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이다. HgCl2에 노출되지 않은 헬라 셀들은 화합물 3과 배양하였을 때, 약한 형광을 나타냈다. 그러나 헬라 셀들을 화합물 3과 Hg(II)에 노출 시킨 후 함께 배양하였을 때에는 강한 형광이 셀 전체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수은 이온(II)이 헬라 셀 안으로 침투함을 암시한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발명의 댄실 유도체가 생체 내에서 수은 이온(II)을 센싱하는데에 매우 적합함을 보여준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수은 이온 검출용 형광 아미노산 센서:
    [화학식 1]
    Figure 112011055272838-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 2, 3 또는 4이고, R은 -NH2, -OCH3 또는 -OC2H5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은 이온 검출은 수용액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아미노산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검출한계가 8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아미노산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고체상 합성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 아미노산 센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형광 아미노산 센서를 이용한 수은 이온의 검출방법으로써, 상기 검출은 수용액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은 이온 검출방법.
KR1020110071168A 2011-07-18 2011-07-18 두 개의 댄실 형광체를 포함한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용액상에서의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 방법 KR101187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168A KR101187665B1 (ko) 2011-07-18 2011-07-18 두 개의 댄실 형광체를 포함한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용액상에서의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168A KR101187665B1 (ko) 2011-07-18 2011-07-18 두 개의 댄실 형광체를 포함한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용액상에서의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665B1 true KR101187665B1 (ko) 2012-10-08

Family

ID=4728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168A KR101187665B1 (ko) 2011-07-18 2011-07-18 두 개의 댄실 형광체를 포함한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용액상에서의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0579A (zh) * 2012-12-07 2013-04-10 华南师范大学 双丹酰基化合物及制备方法及作为汞离子荧光探针的应用及汞离子浓度的检测方法
KR101765543B1 (ko) 2013-01-31 2017-08-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은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보론산을 포함하는 턴-온형 형광 감응 화학센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
KR20170141465A (ko) * 2016-06-15 2017-12-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리소이딘 g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 검출용 비색 센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0579A (zh) * 2012-12-07 2013-04-10 华南师范大学 双丹酰基化合物及制备方法及作为汞离子荧光探针的应用及汞离子浓度的检测方法
KR101765543B1 (ko) 2013-01-31 2017-08-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은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보론산을 포함하는 턴-온형 형광 감응 화학센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
KR20170141465A (ko) * 2016-06-15 2017-12-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리소이딘 g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 검출용 비색 센서
KR102115850B1 (ko) 2016-06-15 2020-05-2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크리소이딘 g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발트 이온 검출용 비색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l et al. PET modulated fluorescent sensing from the BF 2 chelated azadipyrromethene platform
KR101523311B1 (ko) 다이펩타이드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화학센서 및 이를 이용한 은 이온(Ag+), 수은 이온(Hg2+), 구리 이온(I)(Cu+) 및 은나노 입자를 검출하는 방법
Maity et al. A metal-free fluorescence turn-on molecular probe for detection of nucleoside triphosphates
Meng et al. A reversible fluorescence chemosensor for sequentially quantitative monitoring copper and sulfide in living cells
Zhao et al. A facile intracellular fluorescent probe for detection of hydrazine and its application
Kim et al. Ratiometric fluorescence detection of Hg (II) in aqueous solutions at physiological pH and live cells with a chemosensor based on tyrosine
CN111807993B (zh) 一种用于特异性检测肼的近红外荧光化合物及制备方法
Guo et al. An “OFF–ON” fluorescent chemosensor for highly selective and sensitive detection of Al (III) in aqueous solution
Zhu et al. A reversible CHEF-based NIR fluorescent probe for sensing Hg2+ and its multiple application in environmental media and biological systems
KR101179513B1 (ko)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eong et al. TURN-ON fluorescence detection of cyanide using an ensemble system consisting of a dansyl-based cationic probe and dicyanovinyl derivative
Sangeetha et al. Structurally modified 1, 10-phenanthroline based fluorophores for specific sensing of Ni 2+ and Cu 2+ ions
CN108398409A (zh) 一种荧光比率检测次氯酸根的方法
KR101375564B1 (ko) 아미노산에서 유래되는 수은 이온 선택적, 비례적 형광 감응 화학센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
KR101187665B1 (ko) 두 개의 댄실 형광체를 포함한 아미노산을 기반으로 한 수용액상에서의 수은 이온 검출용 센서 합성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 방법
Thirupathi et al. A new peptidyl fluorescent chemosensors for the selective detection of mercury ions based on tetrapeptide
KR101665046B1 (ko) 수은 이온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보론산을 포함하는 비례 형광 감응 화학센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
Zheng et al. A robust, water-soluble and low cytotoxic fluorescent probe for sulfide anion achieved through incorporation of betaine
CN108003173A (zh) 一种特异性识别水合肼的荧光探针
Neupane et al. Selective red-emission detection for mercuric ions in aqueous solution and cells using a fluorescent probe based on an unnatural peptide receptor
CN108863961B (zh) 一种三氮唑类蒽醌衍生物银离子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和应用
Naik et al. A coumarin coupled tetraphenylethylene based multi-targeted AIEgen for cyanide ion and nitro explosive detection, and cellular imaging
KR101466800B1 (ko) 방향족을 포함하는 아미노산에서 유래되는 수은 이온 선택적, 비례적 형광 감응 화학센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 검출방법
CN110092773A (zh) 一种氧杂蒽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689962A (zh) 一种检测水合肼的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