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623B1 - 바이폴라 변조기 - Google Patents

바이폴라 변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623B1
KR101187623B1 KR1020117000136A KR20117000136A KR101187623B1 KR 101187623 B1 KR101187623 B1 KR 101187623B1 KR 1020117000136 A KR1020117000136 A KR 1020117000136A KR 20117000136 A KR20117000136 A KR 20117000136A KR 101187623 B1 KR101187623 B1 KR 101187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mplitude
modulated
modulated signal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0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422A (ko
Inventor
게리 존 발렌타인
아룬 자이라먼
보 선
거칸월 싱 사호타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1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2Modulation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with quadrature carriers, separately amplitude modul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03F3/2176Class E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2Amplitud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using on-off keying; Single sideband or vestigial sideband modulation
    • H04L27/04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진폭 변조기를 이용하여 쿼드러처 변조를 수행할 수 있는 바이폴라 변조기가 설명된다. 일 설계에서, 바이폴라 변조기는 제 1 진폭 변조기와 제 2 진폭 변조기 및 합산기를 포함한다. 제 1 진폭 변조기는 제 1 캐리어 신호를 제 1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제 2 진폭 변조기는 제 2 캐리어 신호를 제 2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합산기는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와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합산하고, 진폭과 위상 양자가 변조되는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각각 제 1 변조 신호 및 제 2 변조 신호의 절대값에 기초하여 제 1 입력 신호 및 제 2 입력 신호가 획득될 수도 있다. 제 1 캐리어 신호 및 제 2 캐리어 신호는 각각 제 1 변조 신호 및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갖는다. 각 진폭 변조기는 클래스-E 증폭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바이폴라 변조기{BI-POLAR MODULA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변조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기는 먼저 데이터를 디지털적으로 프로세싱하여 코딩된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송신기는 코딩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위상 (inphase: I) 변조 신호 및 쿼드러처 (quadrature: Q)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송신기는 그 후 I 변조 신호 및 Q 변조 신호로 캐리어 신호를 변조하여 통신 채널을 통한 송신에 보다 적합할 수도 있는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캐리어 신호는 통상적으로 특정 주파수의 주기적인 신호 (예를 들어, 사인곡선 신호) 이다. 쿼드러처 변조는 변조 신호들로 캐리어 신호의 진폭과 위상 양자를 변화시킨다. 정보는 그 후 캐리어 신호의 진폭과 위상의 변화에 w존재할 것이다. 양호한 성능을 갖는 변조기를 이용하여 쿼드러처 변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폭 변조기를 이용하여 쿼드러처 변조를 수행할 수 있는 바이폴라 변조기가 본원에 설명된다. 일 설계에서, 바이폴라 변조기는 제 1 진폭 변조기와 제 2 진폭 변조기 및 합산기를 포함한다. 제 1 진폭 변조기는 제 1 캐리어 신호 (예를 들어, I 캐리어 신호) 를 수신하여 제 1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제 2 진폭 변조기는 제 2 캐리어 신호 (예를 들어, Q 캐리어 신호) 를 수신하여 제 2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합산기는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와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합산하고, 진폭과 위상 양자가 변조되는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제 1 입력 신호 및 제 2 입력 신호는 제 1 (예를 들어, I) 변조 신호 및 제 2 (예를 들어, Q)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제 1 입력 신호로서 제 1 변조 신호의 절대값이 제공되며, 제 2 입력 신호로서 제 2 변조 신호의 절대값이 제공된다.
일 설계에서, 제 1 캐리어 신호는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상을 갖고, 제 2 캐리어 신호는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위상을 갖는다. 일 설계에서, 바이폴라 변조기는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제 1 스위치는 제 1 국부 발진기 (LO) 신호 및 제 2 LO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제 1 LO 신호나 제 2 LO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 1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한다. 제 2 스위치는 제 3 LO 신호 및 제 4 LO 신호를 수신하고,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제 3 LO 신호나 제 4 LO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제 2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한다. 제 1 LO 신호와 제 2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일 수도 있고, 제 3 LO 신호와 제 4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일 수도 있으며, 제 1 LO 신호와 제 3 LO 신호는 위상차가 90 도일 수도 있다.
일 설계에서, 제 1 진폭 변조기는 제 1 캐리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되고 제 1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된 출력 진폭을 갖는 제 1 클래스-E 증폭기를 포함한다. 제 2 진폭 변조기는 제 2 캐리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되고 제 2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된 출력 진폭을 갖는 제 2 클래스-E 증폭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 및 특징들이 이하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바이폴라 변조기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클래스-E 증폭기로 구현된 진폭 변조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바이폴라 변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본원에 설명된 바이폴라 변조기는 무선 통신, 유선 통신 및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바이폴라 변조기는 또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셀룰러 전화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핸드헬드 디바이스, 무선 모뎀, 랩탑 컴퓨터, 코드리스 전화기, 블루투스 디바이스, 기지국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명료성을 위해, 셀룰러 전화기 또는 일부 다른 디바이스일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바이폴라 변조기의 이용이 이하 설명된다.
도 1 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0) 의 설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설계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0) 는 데이터 프로세서 (110), 트랜시버 (120), 제어기/프로세서 (180) 및 메모리 (182) 를 포함한다. 트랜시버 (120) 는 양방향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기 (130) 와 수신기 (150) 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0) 는 임의의 수의 통신 시스템 및 주파수 대역을 위해 임의의 수의 송신기 및 임의의 수의 수신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송신기 또는 수신기는 수퍼헤테로다인 아키텍처 (super-heterodyne architecture) 또는 직접-변환 (direct-conversion) 아키텍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퍼헤테로다인 아키텍쳐에서, 신호가 다수의 스테이지에서 무선 주파수 (RF) 와 기저대역 사이에서 주파수 변환되며, 예를 들어, 일 스테이지에서 RF 로부터 중간 주파수 (IF) 로, 수신기를 위한 타 스테이지에서 IF 로부터 기저대역으로 주파수 변환된다. 제로-IF 아키텍쳐라고도 지칭되는 직접-변환 아키텍쳐에서, 신호가 일 스테이지에서 RF 와 기저대역 사이에서 주파수 변환된다. 수퍼헤테로다인 아키텍쳐 및 직접-변환 아키텍쳐는 상이한 회로 블록을 이용할 수도 있고/있거나 상이한 요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설계에서, 송신기 (130) 및 수신기 (150) 는 직접-변환 아키텍쳐로 구현된다.
송신 경로에서, 데이터 프로세서 (110) 가 송신될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I 아날로그 출력 신호 및 Q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송신기 (130) 에 제공한다. 송신기 (130) 내에서, I 아날로그 출력 신호 및 Q 아날로그 출력 신호는 증폭기 (Amp) (132) 에 의해 증폭되고, 디지털-투-아날로그 (digital-to-analog) 변환에 의해 야기된 이미지를 제거하기 위해 저역통과 필터 (134) 에 의해 필터링되며, I 변조 신호 및 Q 변조 신호 (SI(t) 및 SQ(t) 로 나타냄) 를 획득하기 위해 가변 이득 증폭기 (VGA) (136) 에 의해 증폭된다.
바이폴라 변조기 (140) 는 VGA (136) 로부터 I 변조 신호 및 Q 변조 신호를, 그리고 LO 생성기 (170) 로부터 송신 LO (TX LO) 신호를 수신한다. "LO 신호", "캐리어 신호" 및 "캐리어" 란 용어들은 동의어이며 종종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된다. 바이폴라 변조기 (140) 는 TX LO 신호를 I 변조 신호 및 Q 변조 신호로 변조하고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 (Y(t) 로 나타냄) 를 생성한다.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는 그 진폭과 그 위상 양자를 변조 또는 변화시킨 신호이다. 바이폴라 변조기 (140) 는 또한 위상 한정 (phase-only) 변조된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이것은 이하 논의되지 않는다.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는 주파수 상향변환에 의해 야기된 이미지를 제거하기 위해 필터 (142) 에 의해 필터링되고, RF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 (PA) (144) 에 의해 증폭된다. RF 출력 신호는 듀플렉서 (146) 를 통하여 라우팅되고, 안테나 (148) 를 통해 송신된다.
수신 경로에서, 안테나 (148) 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RF 수신된 신호를 제공하며, 이 RF 수신된 신호는 듀플렉서 (146) 를 통하여 라우팅되고 수신기 (150) 에 제공된다. 수신기 (150) 내에서, RF 수신된 신호는 저잡음 증폭기 (LNA) (152) 에 의해 증폭되고, RF 입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대역통과 필터 (154) 에 의해 필터링된다. 복조기 (156) 는 대역통과 필터 (154) 로부터 RF 입력 신호를, 그리고 LO 생성기 (170) 로부터 수신 LO (RX LO) 신호를 수신한다. 복조기 (156) 는 RF 입력 신호를 RX LO 신호로 복조하고 I 기저대역 신호 및 Q 기저대역 신호를 제공한다. I 기저대역 신호 및 Q 기저대역 신호는 VGA (158) 에 의해 증폭되고, 저역통과 필터 (160) 에 의해 필터링되며, I 아날로그 입력 신호 및 Q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증폭기 (162) 에 의해 증폭되며, I 아날로그 입력 신호 및 Q 아날로그 입력 신호는 데이터 프로세서 (110) 에 제공된다.
LO 생성기 (170) 는 주파수 상향변환을 위해 이용되는 TX LO 신호 및 주파수 하향변환을 위해 이용되는 RX LO 신호를 생성한다. 각 LO 신호는 특정 기본 주파수를 가진 주기적인 신호이며, 임의의 파형 타입, 예를 들어, 사인곡선, 직사각파, 톱니파 (sawtooth) 등의 것일 수도 있다. TX LO 신호 및 RX LO 신호는 상이한 주파수를 가질 수도 있다. LO 생성기 (170) 는 하나 이상의 전압 제어 발진기 (VCO), 기준 발진기 (reference oscillator), 디바이더, 버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상 고정 루프 (PLL) (172) 는 데이터 프로세서 (110) 로부터 타이밍 정보를, 그리고 LO 생성기 (170) 로부터 피드백을 수신한다. PLL (172) 은 LO 생성기 (170) 로부터의 LO 신호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을 조정하는데 이용된 제어를 생성한다.
도 1 은 일 예시적인 트랜시버 설계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송신기 (130) 및 수신기 (150) 에서의 신호의 컨디셔닝은 증폭기, 필터, 변조기, 복조기 등의 하나 이상의 스테이지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회로 블록은 도 1 에 도시된 구성과 다르게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 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회로 블록이 또한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의 신호를 컨디셔닝하기 위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 의 일부 회로 블록은 또한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142) 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바이폴라 변조기 (140) 의 출력이 전력 증폭기 (144) 에 직접 커플링될 수도 있다. 트랜시버 (120) 전부 또는 일부가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집적 회로 (IC), RF IC (RFIC), 혼합된-신호 IC 등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110) 는 데이터 송신과 수신 및 다른 기능을 위해 다양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프로세서 (180)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0) 에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메모리 (182) 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0) 용 데이터 및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110), 제어기/프로세서 (180) 및/또는 메모리 (182) 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바이폴라 변조기 (140) 는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이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는 :
Figure 112011000437370-pct00001
로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SI(t) 는 I 변조 신호이고, SQ(t) 는 Q 변조 신호이며,
cos(ω0t) 는 I LO 신호이고, sin(ω0t) 는 Q LO 신호이며,
Y(t) 는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이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02
는 LO 주파수 (라디안 단위) 이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03
는 LO 주파수 (헤르쯔 단위) 이다.
cos(ω0t) 신호 및 sin(ω0t) 신호는 TX LO 신호로부터 생성될 수도 있다.
식 (1)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는 (i) I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I LO 신호를 I 변조 신호로 변조시키고, (ii) Q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Q LO 신호를 Q 변조 신호로 변조시키며, (iii)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I 변조된 신호와 Q 변조된 신호를 합산함으로써 생성될 수도 있다. 각 LO 신호를 그 변조 신호로 변조하여 대응하는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는데 믹서가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믹서는 차선 성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진폭 변조기는 쿼드러처 변조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진폭 변조기는 믹서보다 더 높은 전력 및 더 낮은 잡음을 가질 수도 있으며, 더 높은 전력과 더 낮은 잡음 양자는 바람직할 수도 있다. 진폭 변조기는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LO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며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진폭 변조된 신호는 단지 그 진폭만을 변조시킨 (위상은 아님) 신호이다. I 변조 신호 및 Q 변조 신호가 포지티브 값과 네거티브 값 양자를 갖기 때문에, I LO 신호 및 Q LO 신호는 직접 진폭 변조될 수 없다. 이런 제한은 I 변조 신호와 Q 변조 신호의 부호가 바뀔 때 LO 신호의 위상을 바꿈으로써 피해질 수도 있다.
진폭 변조기로 생성된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는 :
Figure 112011000437370-pct00004
로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Figure 112011000437370-pct00005
는 SI(t) 의 부호 (+1 또는 -1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이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06
는 SQ(t) 의 부호 (+1 또는 -1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이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07
는 절대 I 변조 신호이며,
Figure 112011000437370-pct00008
는 절대 Q 변조 신호이다.
식 (2) 에 나타난 설계에서, cos(ω0t) 신호는 SI(t) 의 부호가 포지티브일 때
Figure 112011000437370-pct00009
신호에 의해 진폭 변조된다. cos(ω0t - π) 신호는 SI(t) 의 부호가 네거티브일 때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0
신호에 의해 진폭 변조된다.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1
이기 때문에, SI(t) 의 부호는, 그 부호가 네거티브인 경우라도 보존된다. 유사하게, sin(ω0t) 신호는 SQ(t) 의 부호가 포지티브일 때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2
신호에 의해 진폭 변조된다. sin(ω0t - π) 신호는 SQ(t) 의 부호가 네거티브일 때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3
신호에 의해 진폭 변조된다.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4
이기 때문에, SQ(t) 의 부호는, 그 부호가 네거티브인 경우라도 보존된다.
식 (2) 에 나타난 설계에서, I LO 신호의 위상은 SI(t)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180°만큼 스위칭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Q LO 신호의 위상은 SQ(t)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180°만큼 스위칭될 수도 있다. I LO 신호와 Q LO 신호의 위상의 고속 스위칭 (fast switching) 이 광대역 PLL 또는 일부 다른 회로로 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설계에서, cos(ω0t) 신호 및 cos(ω0t + π) 신호가 이용가능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5
), 이들 신호 중 하나가 SI(t) 의 부호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sin(ω0t) 신호 및 sin(ω0t + π) 신호가 이용가능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6
), 이들 신호 중 하나가 SQ(t) 의 부호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도 있다. 그 후,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는 :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7
로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8
이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19
이며,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0
는 I 진폭 변조된 신호이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1
는 Q 진폭 변조된 신호이다.
식 세트 (3) 에서, CI(t) 는 I 진폭 변조기용 I 캐리어 신호이고, CQ(t) 는 Q 진폭 변조기용 Q 캐리어 신호이다. 각 캐리어 신호는 식 (3b) 및 식 (3c)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2 개의 가능한 LO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획득될 수도 있다.
도 2 는 식 세트 (3) 을 구현하는, 바이폴라 변조기 (140) 의 설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바이폴라 변조기 (140) 는 SI(t) 변조 신호와 SQ(t) 변조 신호 및 TX LO 신호를 수신하고 Y(t)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I 경로에서, 크기 유닛 (210a) 이 SI(t) 신호를 수신하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2
신호를 진폭 변조기 (220a) 에 제공한다. 부호 유닛 (212a) 이 또한 SI(t) 신호를 수신하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3
신호를 제공하며, 이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4
신호는 SI(t) ≥ 0 일 때 +1 과 같고, SI(t) < 0 일 때 -1 과 같다. 스위치 (214a) 는 진폭 변조기 (220a) 에 커플링된 공통 노드, cos(ω0t)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스로 (throw), cos(ω0t + π)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스로, 및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5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입력을 갖는다. 스위치 (214a) 는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6
= +1 일 때 cos(ω0t) 신호를 CI(t) 로서 제공하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7
= -1 일 때 cos(ω0t + π) 신호를 CI(t) 로서 제공한다. 진폭 변조기 (220a) 는 스위치 (214a) 로부터의 신호 CI(t) 를 크기 유닛 (210a) 으로부터의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8
신호로 변조하고, AI(t)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Q 경로에서, 크기 유닛 (210b) 이 SQ(t) 신호를 수신하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29
신호를 진폭 변조기 (220b) 에 제공한다. 또한, 부호 유닛 (212b) 이 SQ(t) 신호를 수신하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0
신호를 제공하며, 이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1
신호는 SQ(t) ≥ 0 일 때 +1 과 같고, SQ(t) < 0 일 때 -1 과 같다. 스위치 (214b) 는 진폭 변조기 (220b) 에 커플링된 공통 노드, sin(ω0t)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스로, sin(ω0t + π)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스로, 및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2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입력을 갖는다. 스위치 (214b) 는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3
= +1 일 때 sin(ω0t) 신호를 CQ(t) 신호로서 제공하고,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4
= - 1 일 때 sin(ω0t + π) 신호를 CQ(t) 신호로서 제공한다. 진폭 변조기 (220b) 는 스위치 (214b) 로부터의 CQ(t) 신호를 크기 유닛 (210b) 으로부터의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5
신호로 변조하고, AQ(t)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합산기 (230) 가 각각 진폭 변조기 (220a 및 220b) 로부터의 AI(t) 신호와 AQ(t) 신호를 합산하고, Y(t)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제공한다. 진폭 변조기들 (220a 및 220b) 의 출력이 전류 신호이면, 합산기 (230) 는 합산 노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위상 스플리터 (240) 가 TX LO 신호를 수신하고, cos(ω0t) 신호, sin(ω0t) 신호, cos(ω0t + π) 신호 및 sin(ω0t + π) 신호를 생성하며, 이들 신호들은 각각 0°, 90°, 180°및 270°의 위상을 갖는다. 따라서 위상 스플리터 (240) 로부터의 4 개의 LO 신호들은 서로 90°(또는 쿼드러처) 시프트된 버전들이다. 도 2 는 바이폴라 변조기 (140) 의 일부인 위상 스플리터 (240) 를 도시한다. 위상 스플리터 (240) 는 또한 도 1 에서는 LO 생성기 (170) 의 일부일 수도 있다.
도 2 는 SI(t) 신호 및 SQ(t)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6
신호 및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7
신호를 제공하는 크기 유닛들 (210a 및 210b) 을 도시한다. 도 2 는 또한 SI(t) 신호 및 SQ(t) 신호를 수신하고 각각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8
신호 및
Figure 112011000437370-pct00039
신호를 제공하는 부호 유닛들 (212a 및 212b) 을 도시한다. 유닛들 (210a, 210b, 212a 및 212b) 은 도 2 에 제안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유닛들 (210a, 210b, 212a 및 212b) 은 또한 디지털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프로세서 (110) 는 유닛들 (210a 및 210b) 의 기능을 수행하고 절대 I 아날로그 출력 신호 및 절대 Q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송신기 (13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 (110) 는 또한 유닛들 (212a 및 212b) 의 기능을 수행하고 I 부호 신호 및 Q 부호 신호를 바이폴라 변조기 (140) 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 은 도 2 의 진폭 변조기 (220a) 의 설계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이 설계에서, 진폭 변조기 (220a) 는 클래스-B 증폭기 및 클래스-C 증폭기와 같은 일부 다른 증폭기들보다 더 높은 효율을 갖는 클래스-E 증폭기로 구현된다. 진폭 변조기 (220a) 내에서, N-채널 금속 산화물 반도체 (NMOS) 트랜지스터 (310) 는 노드 A 에 커플링된 드레인, CI(t) 신호를 수신하는 게이트, 및 회로 접지에 커플링된 소스를 갖는다. 인덕터 (312) 는 노드 A 에 커플링된 일단 및
Figure 112011000437370-pct00040
신호를 수신하는 타단을 갖는다. 커패시터 (314) 는 노드 A 와 회로 접지 사이에 커플링된다. 인덕터 (316) 및 커패시터 (318) 는 직렬로 커플링되며, 직렬 접속은 노드 A 와 노드 B 사이에 커플링된다. 노드 B 는 진폭 변조기 (220a) 의 출력이다. 노드 B 와 회로 접지 사이에는 외부 부하 (320) 가 커플링된다. 단순화를 위해, NMOS 트랜지스터 (310) 에 대한 바이어싱 회로가 도 3 에는 도시되지 않는다.
NMOS 트랜지스터 (310) 는 CI(t) 신호에 의해 턴 온 및 턴 오프되는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인덕터 (316) 및 커패시터 (318) 는 LO 주파수
Figure 112011000437370-pct00041
에서 공진하고 주파수
Figure 112011000437370-pct00042
에서의 전류를 외부 부하 (320) 로 전달하는 직렬 LC 회로를 형성한다. 인덕터 (312) 및 커패시터 (314) 는 노드 A 와 회로 접지 사이에 커플링되는 병렬 LC 회로를 형성한다. 클래스-E 증폭기에 대해 원하는 스위칭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인덕터 (312) 와 커패시터 (314) 의 값이 선택될 수도 있다. 클래스-E 증폭기의 동작은 공개적으로 이용가능한 H. Krauss 등에 의한 "Solid State Radio Engineering" Wiley, 1980 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진폭 변조기 (220b) 는 또한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래스-E 증폭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진폭 변조기 (220a 및 220b) 는 또한 다른 설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 는 바이폴라 변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400) 의 설계를 도시한다. 제 1 변조 신호 (예를 들어, I 변조 신호) 의 절대값을 제 1 입력 신호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블록 412). 제 2 변조 신호 (예를 들어, Q 변조 신호) 의 절대값을 제 2 입력 신호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블록 414).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갖는 제 1 캐리어 신호 (예를 들어, I 캐리어 신호) 를 획득할 수도 있다 (블록 416).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갖는 제 2 캐리어 신호 (예를 들어, Q 캐리어 신호) 를 획득할 수도 있다 (블록 418).
제 1 캐리어 신호를 제 1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여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블록 420). 제 2 캐리어 신호를 제 2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여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블록 422).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와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합산하여 진폭과 위상 양자가 변조되는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획득할 수도 있다 (블록 424).
블록 416 의 경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제 1 LO 신호나 제 2 LO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제 1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블록 418 의 경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제 3 LO 신호나 제 4 LO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제 2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LO 신호와 제 2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일 수도 있고, 제 3 LO 신호와 제 4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일 수도 있으며, 제 1 LO 신호와 제 3 LO 신호는 위상차가 90 도일 수도 있다. 제 1 캐리어 신호 및 제 2 캐리어 신호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블록 420 의 경우, 제 1 캐리어 신호의 진폭 변조는 제 1 캐리어 신호로 제 1 클래스-E 증폭기를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하고 제 1 입력 신호로 제 1 클래스-E 증폭기의 출력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블록 422 의 경우, 제 2 캐리어 신호의 진폭 변조는 제 2 캐리어 신호로 제 2 클래스-E 증폭기를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하고 제 2 입력 신호로 제 2 클래스-E 증폭기의 출력 진폭을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도 있다. 진폭 변조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 달성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바이폴라 변조기는 소정의 이점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바이폴라 변조기용으로 이용된 진폭 변조기는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효율적인 스위칭 증폭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바이폴라 변조기는 데카르트-투-극성 (Cartesian-to-polar) 변환 및 광대역 위상 변조를 요구하는 극성 변조기 (polar modulator) 보다 덜 복잡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바이폴라 변조기는 2 위상 시프트 키잉 (bi-phase shift keying; BPSK), 쿼드러처 위상 시프트 키잉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M-진 위상 시프트 키잉 (M-ary phase shift keying; MPSK), 쿼드러처 진폭 변조 (QAM),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 단일-캐리어 (single-carrier) 주파수 분할 다중화 (SC-FDM), 가우시안 최소 시프트 키잉 (GMSK) 등을 포함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 하는 다양한 단일-캐리어 및 멀티-캐리어 변조 방식들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들 다양한 변조 방식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바이폴라 변조기는 다양한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바이폴라 변조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 유선 통신 시스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등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CDMA) 시스템, 시분할 다중 액세스 (TDMA) 시스템,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 (FDMA) 시스템, 직교 FDMA (OFDMA) 시스템, 단일-캐리어 FDMA (SC-FDMA) 시스템 등일 수도 있다. CDMA 시스템은 UTRA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테크놀로지를 구현할 수도 있다. UTRA 는 광대역 CDMA (WCDMA) 및 CDMA 의 다른 변형을 포함한다. cdma2000 은 IS-2000, IS-95 및 IS-856 표준을 커버한다. TDMA 시스템은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과 같은 무선 테크놀로지를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시스템은 E-UTRA (Evolved UTRA), UMB (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Flash-OFDM® 등과 같은 무선 테크놀로지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이들 다양한 무선 테크놀로지들 및 표준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바이폴라 변조기는 IC, 아날로그 IC, RFIC, 혼합된-신호 IC, ASIC, 인쇄 회로 기판 (PCB), 전자 디바이스 등 상에 구현될 수도 있다. 바이폴라 변조기는 또한 상보성 금속 산화물 반도체 (CMOS), N-채널 MOS (NMOS), P-채널 MOS (PMOS),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 (BJT), 바이폴라-CMOS (BiCMOS), 실리콘 게르마늄 (SiGe), 갈륨 비소 (GaAs), 헤테로 정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HBT) 등과 같은 다양한 IC 프로세스 테크놀로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바이폴라 변조기는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용 MEMS (micro-electro-mechanical)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설명된 바이폴라 변조기를 구현하는 장치는 독립형 (stand-alone)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또는 대형의 디바이스의 부분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i) 독립형 IC, (ii)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IC 를 포함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IC 세트, (iii) RF 수신기 (RFR) 또는 RF 송신기/수신기 (RTR) 와 같은 RFIC, (iv) 이동국 모뎀 (MSM) 과 같은 ASIC, (v) 다른 디바이스 내에 내장될 수도 있는 모듈, (vi) 수신기, 셀룰러 전화기, 무선 디바이스, 핸드셋 또는 모바일 유닛, (vii) 등등일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의 이전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개시물을 제작 또는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물에 대한 다양한 변경이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며,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는 본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변형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은 본 개시물에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의 특징들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따르게 될 것이다.

Claims (28)

  1. 제 1 캐리어 신호를 제 1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는 제 1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1 진폭 변조기;
    제 2 캐리어 신호를 제 2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는 제 2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2 진폭 변조기; 및
    상기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와 상기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합산하고,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합산기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1 유닛; 및
    상기 제 2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2 유닛을 더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갖고,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갖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국부 발진기 (local oscillator; LO) 신호 및 제 2 LO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LO 신호나 상기 제 2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1 스위치; 및
    제 3 LO 신호 및 제 4 LO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LO 신호나 상기 제 4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상기 부호에 기초하여 제 1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제 1 유닛; 및
    상기 제 2 변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상기 부호에 기초하여 제 2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동작하는 제 2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제 1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LO 신호나 상기 제 2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제 2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LO 신호나 상기 제 4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입력 LO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LO 신호, 상기 제 2 LO 신호, 상기 제 3 LO 신호 및 상기 제 4 LO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위상 스플리터를 더 포함하는,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LO 신호와 상기 제 2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이고, 상기 제 3 LO 신호와 상기 제 4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이며, 상기 제 1 LO 신호와 상기 제 3 LO 신호는 위상차가 90 도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폭 변조기 및 상기 제 2 진폭 변조기 각각은 클래스-E 증폭기를 포함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폭 변조기는,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되고 상기 제 1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된 출력 진폭을 갖는 제 1 클래스-E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진폭 변조기는,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된 출력 진폭을 갖는 제 2 클래스-E 증폭기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는 CDMA 신호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 1 캐리어 신호를 제 1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는 제 1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1 진폭 변조기;
    제 2 캐리어 신호를 제 2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는 제 2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2 진폭 변조기; 및
    상기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와 상기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합산하고,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합산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갖는, 집적 회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제 1 국부 발진기 (local oscillator; LO) 신호 및 제 2 LO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LO 신호나 상기 제 2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1 스위치; 및
    제 3 LO 신호 및 제 4 LO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3 LO 신호나 상기 제 4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제 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집적 회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LO 신호와 상기 제 2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이고, 상기 제 3 LO 신호와 상기 제 4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이며, 상기 제 1 LO 신호와 상기 제 3 LO 신호는 위상차가 90 도인, 집적 회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진폭 변조기는,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되고 상기 제 1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된 출력 진폭을 갖는 제 1 클래스-E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진폭 변조기는,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된 출력 진폭을 갖는 제 2 클래스-E 증폭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
  16. 통신용 장치로서,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 1 캐리어 신호를 제 1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고,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 2 캐리어 신호를 제 2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며,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와 상기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결합하도록 동작하는 바이폴라 변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입력 신호는 제 1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는 제 2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는, 통신용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갖는, 통신용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입력 국부 발진기 (local oscillator; LO) 신호를 수신하고, 제 1 LO 신호, 제 2 LO 신호, 제 3 LO 신호 및 제 4 LO 신호를 제공하도록 동작하는 위상 스플리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LO 신호나 상기 제 2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되고,
    상기 제 3 LO 신호나 상기 제 4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되는, 통신용 장치.
  19. 변조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 1 캐리어 신호를 제 1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는 제 1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는 단계;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 2 캐리어 신호를 제 2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는 제 2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는 단계; 및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와 상기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합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조를 수행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갖는, 변조를 수행하는 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제 1 국부 발진기 (local oscillator; LC) 신호나 제 2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제 3 LO 신호나 제 4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변조를 수행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LO 신호와 상기 제 2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이고, 상기 제 3 LO 신호와 상기 제 4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이며, 상기 제 1 LO 신호와 상기 제 3 LO 신호는 위상차가 90 도인, 변조를 수행하는 방법.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를 진폭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로 제 1 증폭기를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하고 상기 제 1 입력 신호로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 진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를 진폭 변조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로 제 2 증폭기를 스위치 온 및 스위치 오프하고 상기 제 2 입력 신호로 상기 제 2 증폭기의 출력 진폭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변조를 수행하는 방법.
  24. 변조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 1 캐리어 신호를 제 1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는 제 1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는 수단;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제 2 캐리어 신호를 제 2 변조 신호의 절대값을 포함하는 제 2 입력 신호로 진폭 변조하는 수단; 및
    쿼드러처 변조된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와 상기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합산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변조를 수행하는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는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위상을 갖는, 변조를 수행하는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제 1 국부 발진기 (local oscillator; LO) 신호나 제 2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제 2 변조 신호의 부호에 기초하여 제 3 LO 신호나 제 4 LO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로서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변조를 수행하는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LO 신호와 상기 제 2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이고, 상기 제 3 LO 신호와 상기 제 4 LO 신호는 위상차가 180 도이며, 상기 제 1 LO 신호와 상기 제 3 LO 신호는 위상차가 90 도인, 변조를 수행하는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를 진폭 변조하는 수단은, 상기 제 1 캐리어 신호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진폭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1 입력 신호로 출력 진폭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를 진폭 변조하는 수단은, 상기 제 2 캐리어 신호로 스위칭을 수행하는 수단 및 상기 제 2 진폭 변조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입력 신호로 출력 진폭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변조를 수행하는 장치.
KR1020117000136A 2008-06-05 2009-06-02 바이폴라 변조기 KR101187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33,726 2008-06-05
US12/133,726 US7872543B2 (en) 2008-06-05 2008-06-05 Bi-polar modulator
PCT/US2009/045991 WO2009149097A1 (en) 2008-06-05 2009-06-02 Bi-polar modu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422A KR20110017422A (ko) 2011-02-21
KR101187623B1 true KR101187623B1 (ko) 2012-10-08

Family

ID=4121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0136A KR101187623B1 (ko) 2008-06-05 2009-06-02 바이폴라 변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72543B2 (ko)
EP (1) EP2294773A1 (ko)
JP (1) JP5394477B2 (ko)
KR (1) KR101187623B1 (ko)
CN (1) CN102057645A (ko)
TW (1) TW201006187A (ko)
WO (1) WO20091490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9629B2 (en) * 2009-03-03 2011-08-16 Infineon Technologies Ag IQ-modulation
DE102009032049A1 (de) * 2009-07-07 2011-01-13 Infineon Technologies Ag Sendeanordnung und Verfahren zum Modulieren von Nutzsignalen auf ein Trägerfrequenzsignal
US8195102B2 (en) * 2010-06-02 2012-06-05 Nxp B.V.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baseband real signal with a non-constant envelope using a polar transmitter
DE102011075796B4 (de) * 2011-05-13 2015-02-1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ischerzelle, Modulator und Verfahren
US8604958B2 (en) 2011-05-13 2013-12-10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RF DAC with configurable DAC mixer interface and configurable mixer
US9143085B2 (en) * 2012-03-01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synthesizer architecture in a time-division duplex mode for a wireless device
JP6211325B2 (ja) 2013-07-18 2017-10-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交変調器
CN108353065A (zh) * 2015-10-30 2018-07-31 富士通株式会社 多载波调制装置、多载波解调装置、方法和系统
US10015038B1 (en) 2016-12-28 2018-07-03 Adx Research, Inc. Pulse quadrature modulator and method
CN106921603A (zh) * 2017-03-10 2017-07-04 成都金广通科技有限公司 采集地质数据的移动终端的调相电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1371A2 (en) * 1999-01-07 2000-07-13 Ericsson, Inc. Power i-q modul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predistortion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0044A (en) * 1993-04-14 1995-09-12 Acrodyne Industries, Inc. Quadrature amplitude modulator including a digital amplitude modulator as a component thereof
US6737973B2 (en) * 2001-10-15 2004-05-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mplifier modulation
US6983024B2 (en) * 2003-03-18 2006-01-03 Qualcomm Inc. Quadra-polar modulator
JP4536468B2 (ja) * 2004-09-21 2010-09-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E級増幅器、及びeer変調増幅装置
JP4310476B2 (ja) * 2005-03-28 2009-08-12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変調増幅回路
JP4941553B2 (ja) * 2007-04-20 2012-05-30 富士通株式会社 増幅装置及びドハティ増幅回路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41371A2 (en) * 1999-01-07 2000-07-13 Ericsson, Inc. Power i-q modul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predistor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5318A (ja) 2011-09-15
US7872543B2 (en) 2011-01-18
WO2009149097A1 (en) 2009-12-10
US20090302963A1 (en) 2009-12-10
CN102057645A (zh) 2011-05-11
TW201006187A (en) 2010-02-01
JP5394477B2 (ja) 2014-01-22
KR20110017422A (ko) 2011-02-21
EP2294773A1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623B1 (ko) 바이폴라 변조기
JP5350415B2 (ja) 4つの90度シフトされた搬送波を採用する直交変調器
US7555271B2 (en) Single side band transmissions
US7260368B1 (en) Linear amplification with non-linear components (LINC) modulator and method for generating out-phased signals for a LINC transmitter
US8718582B2 (en) Multi-mode power amplifiers
EP1557955A1 (en) Transmitter
WO2004057768A1 (ja) 送信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受信機
JP2004343164A (ja) 通信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4388402B2 (ja) 送信機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体通信端末
US8320855B2 (en) Probability optimized power amplifier module and transmitter
US200902079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rst Mode Amplifier
KR100900935B1 (ko) 멀티밴드 믹서
US9479132B2 (en) Signal conversion with gain in the forward path
WO2010075645A1 (zh) 一种改善射频功率放大器线性度的方法与装置
CN116325491A (zh) 分布式有源功率组合放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