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607B1 - 휴대용 컵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용 컵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607B1
KR101187607B1 KR1020110109869A KR20110109869A KR101187607B1 KR 101187607 B1 KR101187607 B1 KR 101187607B1 KR 1020110109869 A KR1020110109869 A KR 1020110109869A KR 20110109869 A KR20110109869 A KR 20110109869A KR 101187607 B1 KR101187607 B1 KR 10118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up
strap
portable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소영
Original Assignee
유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소영 filed Critical 유소영
Priority to KR102011010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두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목 또는 어깨에 거는 스트랩(strap);과,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스트랩을 탈착시키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스트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탈착부; 및 상기 본체의 둘레에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 컵을 넣고 상기 스트랩을 상기 목 또는 어깨에 걸어서 상기 컵을 휴대하거나, 상기 본체에 컵을 넣은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파지부를 잡고 상기 컵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로부터 컵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컵을 홀더에 끼워서 목이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패션으로 형성하고, 홀더의 내부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컵에 뜨거운 음료를 담더라도 손을 보호할 수 있으며, 홀더에 파지부를 설치하여 컵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컵 홀더{Portable cup holder}
본 발명은 컵을 휴대할 수 있는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을 용이하게 휴대하면서 뜨거운 컵으로부터 손을 보호하고, 손잡이가 없는 컵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휴대용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
유리나 도자기 등으로 형성되면서 손잡이가 없는 컵 등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사용의 편리성 즉, 컵이 포개지거나 수납이 용이한 이유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손잡이가 없는 컵은 뜨거운 음료를 마실 때에는 직접 손으로 컵을 잡아야 한다. 예를 들면 커피나 녹차 등과 같이 뜨거운 음료인 경우에는 손잡이가 없어서 컵을 직접 들고 음료를 마셔야 하는데, 컵이 뜨거워서 들고있기 어려우므로 음료의 온도가 어느 정도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 후에 음료를 섭취해야 하는 곤란한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음료 고유의 맛을 즐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현재에는 일회용 컵 등을 규제하고, 개인 컵을 이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유리나 도자기 등으로 만든 컵을 소지하기에는 휴대하기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손잡이가 없는 컵은 더욱 휴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컵을 홀더에 끼워서 목이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패션으로 형성하고, 홀더의 내부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컵에 뜨거운 음료를 담더라도 손을 보호할 수 있으며, 홀더에 파지부를 설치하여 컵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컵이 홀더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컵에 손잡이가 있더라도 홀더에 수용할 수 있으며,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인체에 악영향이 없는 휴대용 컵 홀더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두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목 또는 어깨에 거는 스트랩(strap);과,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스트랩을 탈착시키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스트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탈착부; 및
상기 본체의 둘레에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 컵을 넣고 상기 스트랩을 상기 목 또는 어깨에 걸어서 상기 컵을 휴대하거나, 상기 본체에 컵을 넣은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파지부를 잡고 상기 컵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로부터 컵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 홀더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탈착부는,
상기 스트랩이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스트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체결부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스트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고리를 포함할 수있다.
또, 상기 본체는,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되,
상기 컵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상기 단열재가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안쪽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컵이 상기 본체에 삽입될 때 상기 컵이 상기 미끄럼방지부에 밀착되어 상기 컵이 상기 본체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내측을 향해 요철부가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로 인해서 상기 컵과 상기 본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상기 컵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 상기 단열재 및 상기 미끄럼방지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컵의 크기에 따라 상기 컵을 수용하도록 신축성을 갖을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는,
한 부분에 슬릿홈이 형성되되, 상기 컵에 손잡이가 있을 경우 상기 슬릿홈으로 상기 컵의 손잡이가 돌출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는,
상기 슬릿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부가 설치되되, 상기 본체에 상기 컵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슬릿홈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리 또는 도자기 컵 등을 홀더에 끼워 목 또는 어깨에 걸 수 있어서 휴대하기 간편하고 이를 하나의 패션으로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컵에 뜨거운 음료를 담아도 홀더가 뜨거운 열기를 차단하여 뜨거운 열기로부터 손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연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신축성이 있는 홀더를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컵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지부가 있어서 손잡이가 없는 컵이라도 이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가 있는 컵도 홀더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컵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컵 홀더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본체 및 미끄럼방지부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 다른 본체 및 미끄럼방지부의 단면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컵 홀더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컵 홀더는, 본체(1), 스트랩(2), 탈착부(3) 및 파지부(4)를 포함한다. 여기에, 미끄럼방지부(5)를 더 포함한다.
본체(1)는, 대략 상하단이 개구되고 절두된 원추형태로, 즉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이다. 이때, 본체(1)는 직물, 천연가죽 등의 천연소재가 이용되고 2겹의 외피(11)로 형성되며, 항균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체(1)는 컵(C)의 크기에 따라 신축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쉽게 구부러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에 컵(C)을 끼우게 되면 본체(1)가 컵(C)의 크기에 따라 소정 정도 늘어나고, 본체(1)로부터 컵(C)을 빼면 본체(1)는 원래의 크기로 복원되며, 본체(1)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체(1)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는 내부에 단열재(12, 12')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단열재(12, 12')는, 열을 차단하도록 신축성의 튜브,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단열재(12, 12')가 여러 부분으로 나눠져 외피(11)의 내부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체(1)가 늘어날 때 단열재(12, 12')도 함께 늘어나고, 본체(1)에 끼워진 컵(C)의 열기가 본체(1)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컵(C)을 본체(1)에 끼운 상태에서 컵(C)에 뜨거운 음료를 담더라도 컵(C)의 뜨거운 열기가 본체(1)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단열재(12, 12')가 차단하기 때문에 컵(C)이 뜨겁더라도 본체(1)를 통해 컵(C)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컵(C)에 뜨거운 음료를 담더라도 본체(1)를 통해 컵(C)을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스트랩(2)은, 대략 기다란 띠 형태로, 직물, 천연가죽 등의 천연소재로 형성되며, 항균처리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탈착부(3)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체결부(31) 및 고리(32)를 포함한다.
체결부(31)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스냅버튼, 벨크로 등이 사용되며, 하나는 후술할 고리(32)에 끼워지도록 본체(1)에 설치되고, 하나는 스트랩(2)의 한쪽에 설치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고리(32)는, 한쌍으로 구비되고 대략 링 형태로 형성되며, 하나는 본체(1)에 고정되고, 하나는 스트랩(2)의 다른 쪽에 고정된다.
여기서, 스트랩(2)에 고정된 고리(32)는 본체(1)에 설치된 체결부(31)에 끼워지고, 스트랩(2)에 설치된 체결부(31)는 본체(1)에 고정된 고리(32)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스트랩(2)을 목이나 어깨에 걸 수 있고, 본체(1)로부터 스트랩(2)을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
파지부(4)는, 대략 띠 형태로 본체(1)의 둘레에 세로로 설치된다. 이때, 파지부(4)는 본체(1)와 파지부(4) 사이로 손가락이 들어가도록 본체(1)로부터 이격되어 본체(1)에 고정된다. 또한, 파지부(4)를 통해 본체(1)에 고정되는 링을 고정할 수도 있다. 즉, 파지부(4)의 상단을 본체(1)의 상단에 고정한 후 고리(32)를 끼워서 파지부(4)와 본체(1)를 봉제하고, 파지부(4)의 하단을 본체(1)에 봉제하여 파지부(4)를 본체(1)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체(1)에 손잡이(C1)가 없는 컵(C)이 끼워지더라도 파지부(4)에 손가락을 끼워서 마치 손잡이(C1)가 달린 컵처럼 컵(C)을 더욱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5)는, 대략 얇은 패드형태로 신축성의 천연고무가 사용될 수 있고, 본체(1)의 내면에 고정된다. 또한, 미끄럼방지부(5)는 여러 부분으로 나눠져 본체(1)의 내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컵(C)이 본체(1)에 끼워질 때 컵(C)과 미끄럼방지부(5)가 밀착되어 컵(C)이 본체(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체(1)가 흔들려도 미끄럼방지부(5)와 컵(C) 사이에는 마찰력이 커서 컵(C)이 본체(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미끄럼방지부(5)는 내측으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미끄럼방지부(5)의 요철 부분이 단열재(12, 12')의 기능을 할 수 있어서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단열재(12, 12')는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컵(C)이 본체(1)에 삽입되면 컵(C)의 외면이 미끄럼방지부(5)의 요철 부분에 밀착되고, 요철과 컵(C)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컵(C)에서 발생하는 열을 요철과 컵(C) 사이의 공간이 차단하기 때문에 단열재(12, 12')를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도 6 참조)
한편, 상술한 본체(1')는 둘레의 일 영역이 절개된 슬릿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1')의 상단이 개구되어 본체(1')의 중간 부분까지 세로로 슬릿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미끄럼방지부(5) 또한 슬릿홈(13)에 대응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는, 컵(C')에 손잡이(C1)가 달려 있으면, 컵(C')의 손잡이(C1)가 본체에 걸려서 컵(C')이 본체에 끼워지지 않는다. 따라서, 손잡이(C1)가 달려있는 컵(C')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컵(C')의 손잡이(C1)를 본체의 외부로 돌출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체(1')에 슬릿홈(13)을 형성하고, 컵(C')의 손잡이(C1)를 슬릿홈(13)에 끼워서 본체(1')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손잡이(C1)가 달린 컵(C')도 본체(1')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도 7 참조)
여기서, 본체(1')의 슬릿홈(13)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슬릿홈(13)을 연결하는 고정부(6)가 본체(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체(1')에 컵(C')이 끼워질 때, 컵(C')에 의해서 본체(1')의 슬릿홈(13)이 벌어질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슬릿홈(13)의 상단에 고정부(6)의 한쪽이 슬릿홈(13)의 한쪽에 고정되고, 고정부(6)의 다른 쪽 및 슬릿홈(13)의 다른 쪽에는 스냅버튼 또는 벨크로 등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고정부(6)를 체결시켜 슬릿홈(13)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도 8 참조)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컵 홀더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컵 홀더를 이용하기 위해서, 체결부(31)를 풀어서 각각의 고리(32)를 각각의 체결부(31)에 끼운후 체결부(31)를 체결하여 본체(1)에 스트랩(2)을 고정한다.
본체(1)에 컵(C)을 끼운 후 스트랩(2)을 목이나 어깨에 걸어서 컵(C) 전용 백(bag)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컵(C)에 뜨거운 음료를 따라서 마실 경우에는 본체(1)를 잡고 음료를 마실 수 있고, 또는 본체(1)에 설치된 파지부(4)를 잡고 음료를 마실 수 있다. 즉, 컵(C)에서 발생하는 뜨거운 열기를 본체(1)에 설치된 단열재(12, 12') 또는 미끄럼방지부(5)가 차단하기 때문에 뜨거운 열기는 본체(1)의 외부로 전달되지 않는다. 만약 열기가 전달되더라도 뜨거운 열기가 아닌 미지근한 온기만 전달되기 때문에 아무리 뜨거운 음료라도 용이하게 컵(C)을 잡고 이용할 수 있다.
컵(C)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컵(C)을 본체(1)로부터 분리한 후 본체(1)를 접어서 보관한다. 이때, 스트랩(2)을 본체(1)로부터 분리하여 따로따로 보관할 수도 있다.
만약, 손잡이(C1)가 형성된 컵(C')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홈(13)이 형성된 본체(1')를 이용한다. 즉, 본체(1')의 슬릿홈(13)에 컵(C')의 손잡이(C1)가 끼워지도록 컵(C')을 본체(1')에 끼워서 사용한다. 이때, 컵(C')에 의해서 슬릿홈(13)이 벌어질 수 있는데 슬릿홈(13)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컵(C')의 손잡이(C1) 구멍으로 고정부(6)를 넣은 후 고정부(6)를 체결하여 슬릿홈(13)을 고정한다. 따라서, 고정부(6)가 슬릿홈(13)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슬릿홈(13)이 형성된 본체(1')를 이용하면 손잡이(C1)가 형성된 컵(C')이라도 이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어서 범용성이 넓어진다.
또한, 고정부(6)가 컵(C')의 손잡이(C1)를 구속하고 있어서, 컵(C')이 본체(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1'; 본체
11; 외피
12, 12'; 단열재
13; 슬릿홈
2; 스트랩
3; 탈착부
31; 체결부
32; 고리
4; 파지부
5, 5'; 미끄럼방지부
6; 고정부
C, C'; 컵
C1; 손잡이

Claims (8)

  1. 내부에 단열재가 설치되고 절두된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본체;
    목 또는 어깨에 거는 스트랩(strap);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스트랩을 탈착시키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스트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탈착부; 및
    상기 본체의 둘레에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에 컵을 넣고 상기 스트랩을 상기 목 또는 어깨에 걸어서 상기 컵을 휴대하거나, 상기 본체에 컵을 넣은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파지부를 잡고 상기 컵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컵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본체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상기 단열재가 차단하고, 상기 본체로부터 컵을 분리한 상태에서는 상기 본체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상기 스트랩이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스트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체결부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스트랩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와 결합하는 한 쌍의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 홀더.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안쪽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컵이 상기 본체에 삽입될 때 상기 컵이 상기 미끄럼방지부에 밀착되어 상기 컵이 상기 본체로부터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 홀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내측을 향해 요철부가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로 인해서 상기 컵과 상기 본체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상기 컵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본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 홀더.
  6.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및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상기 본체 및 상기 단열재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컵의 크기에 따라 상기 컵을 수용하도록 신축성을 갖거나,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따른 상기 본체, 상기 단열재 및 상기 미끄럼방지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컵의 크기에 따라 상기 컵을 수용하도록 신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 홀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 부분에 슬릿홈이 형성되되, 상기 컵에 손잡이가 있을 경우 상기 슬릿홈으로 상기 컵의 손잡이가 돌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 홀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슬릿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부가 설치되되, 상기 본체에 상기 컵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슬릿홈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컵 홀더.
KR1020110109869A 2011-10-26 2011-10-26 휴대용 컵 홀더 KR10118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69A KR101187607B1 (ko) 2011-10-26 2011-10-26 휴대용 컵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869A KR101187607B1 (ko) 2011-10-26 2011-10-26 휴대용 컵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607B1 true KR101187607B1 (ko) 2012-10-02

Family

ID=4728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869A KR101187607B1 (ko) 2011-10-26 2011-10-26 휴대용 컵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093B1 (ko) * 2013-02-20 2014-07-04 이유섭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739A (ja) 2005-05-11 2006-11-24 Michihiro Matsuzaki コップ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4739A (ja) 2005-05-11 2006-11-24 Michihiro Matsuzaki コップホルダ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093B1 (ko) * 2013-02-20 2014-07-04 이유섭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430B1 (en) Adjustab cup holder
US8904579B2 (en) Privacy blanket
US8006862B2 (en) Holder, system and/or method for insulating and/or for supporting a cup
US20210015712A1 (en) Container gripping aid
US20130126686A1 (en) Luggage cup holder
US20130126563A1 (en) Baby Bottle Holder
EP1332669A1 (en) A device for carrying a four-legged animal
KR101187607B1 (ko) 휴대용 컵 홀더
JP3198026U (ja) カップホルダー
WO2008003128A1 (en) An insulated cover for a drinking vessel
US9756918B1 (en) Shoulder strap system
US20150065923A1 (en) Apparatus for heat strain reduction
KR101530480B1 (ko) 유아용품용 백팩
KR200475190Y1 (ko) 유아용품 수납가방
RU2748324C1 (ru) Переноска стакана для напитков
US20170079485A1 (en) Clipping Apparatus to Keep a Towel In-place
TWM562824U (zh) 可調整手提杯套
KR102016012B1 (ko) 용기에 탈부착 가능한 손잡이
KR102544430B1 (ko) 컵 홀더
KR20140002565U (ko) 입술을 대지않고 음용이 가능한 컵
CN210300483U (zh) 一种茶壶
JP3162559U (ja) リュックサック
JP3143039U (ja) ひざかけ
JP3162090U (ja) 飲み物容器保持具
CA2984782A1 (en) Hand warmer cup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