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160B1 - 헤어 아이롱 - Google Patents

헤어 아이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160B1
KR101187160B1 KR1020100046195A KR20100046195A KR101187160B1 KR 101187160 B1 KR101187160 B1 KR 101187160B1 KR 1020100046195 A KR1020100046195 A KR 1020100046195A KR 20100046195 A KR20100046195 A KR 20100046195A KR 101187160 B1 KR101187160 B1 KR 101187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upper case
hair
lower cas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499A (ko
Inventor
김성기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김현철
김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철, 김성기 filed Critical 김현철
Priority to KR1020100046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160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1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6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 A45D1/08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two or more jaws the jaws remaining parallel to each other during use, e.g. the jaws sliding parallel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아이롱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마주 연동하도록 되고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각 내측면에는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열판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어 있는 아이롱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에는 빗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케이스의 일단에 설치되는 고정버튼 및 스프링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동이 제어되고, 필요시에는 열판의 측면으로 빗의 빗살을 돌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헤어 아이롱{Hair Iron}
본 발명은 헤어 아이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선택적으로 인출되어 사용할 수 있는 빗이 장착되어 머리 손질시 정돈된 상태로 모발 손질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헤어 아이롱에 관한 것이다.
아이롱은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몸체로서 집게 형태로 이루어지고,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열판이 마주하고 있어서 이 열판 사이에 모발을 통과시키면서 모발을 곧게 펴거나 웨이브시켜서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일반적인 아이롱은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몸체를 가지고, 상기 몸체 각각에는 히터에 의해 열을 전달받는 열판이 상호간에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아이롱의 열판 사이에 적당량의 모발을 집고 회전시키거나 당기면서 모발의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데, 모발을 집은 상태에서 아이롱을 회전시키면서 당기게 되면 웨이브를 형성하게 되며, 모발을 집은 상태에서 직선적으로 당기게 되면 모발을 곧게 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아이롱에 의하면, 사용자가 머리카락의 길이 방향으로 아이롱를 당길 때, 두 개의 히터 사이에 놓인 머리카락이 정리되지 못하고 아이롱의 이동 중에 흐트러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원하고자 하는 헤어 스타일의 연출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아이롱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숙련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며, 따라서 아이롱의 성능에 대한 신뢰감을 저하시키는 문제로 지적되었다.
결국, 아이롱의 사용자는 아이롱의 시술시 한쪽 손에는 아이롱을, 다른 손에는 빗을 쥐고 시술을 하게 되었는데, 모발을 고르게 펴준 상태에서 아이롱시술을 하여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아이롱의 진행 방향에 앞서 빗질을 하면서 아이롱을 진행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작업은 상당한 숙련을 요하는 것이어서 일반적인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편을 주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이 특허 제10-2009-77902호를 출원한 바 있는데, 상기 선출원 기술은 아이롱기의 상부케이스에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빗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열판의 측방으로 빗살을 인출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선택적인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 선 출원 기술은 빗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기 위한 제반 구성들이 다소 복잡하여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고, 불량률이 높을 수 있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또한, 빗을 인입 및 인출시키기 위한 조작이 다소 불편하여 사용에 많은 숙련이 요구되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빗이 장착되어 필요에 따라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면서 그 조작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헤어 아이롱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빗을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인입 및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면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충분히 낮출 수 있도록 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헤어 아이롱의 제공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마주 연동하도록 되고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각 내측면에는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열판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원호상의 단면을 갖는 빗이 상부케이스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양 측면으로 돌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헤어 아이롱에 있어서, 일측 단부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빗; 상기 빗의 걸림홈에 근접한 상부케이스의 일단에서 상기 걸림홈에 대하여 접촉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과 접촉하여 걸리는 걸림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버튼; 상기 고정버튼을 수납하면서 고정버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버튼홈을 갖고, 상기 빗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된 상기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에서 상기 고정버튼을 상기 빗에 대하여 항시 접촉 상태로 탄발하여 유지시키도록 설치된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아이롱을 쥐는 손으로 상기 고정버튼을 동시에 쥐고 조작하면서 다른 손으로 빗을 간단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머리의 손질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빗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빗의 양 단부가 끼워지도록 마주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빗이 수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다르게는 커버가 빗의 외측으로 더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홈은 연속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톱니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아이롱의 조작 동작에서 자연스럽게 빗의 인입 및 인출 조작을 할 수 있어서 매우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빗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고, 내구성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소비자로 하여금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아이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과 고정버튼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4는 상기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아이롱의 작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아이롱에 의해 모발을 시술하는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12는 상기 도 1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아이롱의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명칭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롱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들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아이롱(101)은 기본적으로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가 마주하여 그 일단이 힌지(102) 연결되어 집게와 마찬가지로 연동하도록 되고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의 각 내측면에는 히터(130)에 의해 발열되는 열판(140)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10)의 외측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빗(201)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빗(201)은 판형으로 이루어져서 상부케이스(1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곡면을 형성하고 있고, 양 측단에 빗살(210)이 형성되어 있다.
빗(201)은 상부케이스(110)의 외측에서 커버(111)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이 커버(111)는 상부케이스(110)와 별도로 구비되어 조립될 수도 있으나, 도 4에서와 같이 상부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빗(201)을 안정적으로 수납하기 위하여 상부케이스(110)의 외면에 수납공간이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부케이스(110)의 외측으로 커버(111)가 형성되어 빗(201)을 보호 수납하면서 빗(20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완전히 커버(111) 내에 인입되어 일반적인 아이롱과 마찬가지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되고, 커버(111)의 양 측단에 인출구(112)가 형성되어 이 인출구(112)를 통해 상기 빗(201)이 인입 및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빗(201)은 상부케이스(110)가 아닌 하부케이스(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111)에는 빗(201)을 조작하기 위한 개구부(114)가 형성되어 있고, 빗(201)의 외면에서 돌출된 조작편(220)이 상기 개구부(114)를 통해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14)는 조작편(220)이 측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빗(201)은 그 외면에 도 5에서와 같이 여러 개의 조작편(2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커버(111)의 개구부 역시 조작편(220)에 대응되는 위치에 여러 개가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빗(201)의 양 측면에는 빗살(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빗(201)을 이동시켜서 상부케이스(110)의 측방으로 인출시키게 되면, 상기 빗살(210)이 아이롱(101)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아이롱의 조작과 동시에 모발에 대한 빗질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빗(201)의 빗살(210)은 도면에서 양 측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어느 한 쪽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부케이스(110)의 일단에는 상기 빗(201)의 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버튼홈(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버튼홈(116)에는 고정버튼(301)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버튼(301)은 빗(201)에 대하여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버튼홈(116)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빗(201)과 접촉되는 단부에는 걸림핀(310)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반대쪽에는 스프링(320)이 설치되어 고정버튼(301)의 걸림핀(310)이 항상 빗(201)의 단부와 접촉되도록 탄발 지지토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버튼(301)의 걸림핀(310)이 접촉하는 빗(201)의 단부에는 다수의 걸림홈(2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홈(230)에 상기 고정버튼(301)의 걸림핀(310)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빗(201)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버튼(301)을 스프링(320)의 탄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핀(310)과 걸림홈(230)의 접촉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빗(201)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빗(201)이 좌측으로 인출된 상태이고, 도 7은 빗(201)이 중앙에 위치되어 커버(111)에 의해 감추어진 상태이며, 도 8은 빗(201)이 우측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롱에 의해 모발을 시술하는 예를 단면으로써 나타낸 것이며,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롱(101)의 진행 방향 쪽으로 빗(201)을 인출한 상태에서 모발(H)을 집고 이동시키면, 모발(H)은 우선적으로 빗살(210)에 의해 정돈된 상태에서 열판(140)에 접촉하게 되고, 정돈된 모발이 열판(1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시술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아이롱은 빗(201)을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고정버튼(301)을 스프링(320)에 저항하여 후퇴시켜서 고정버튼(301)의 걸림핀(310)과 빗(201)의 걸림홈(230)을 분리시킨 후, 빗(201)을 필요한 만큼 선택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빗살(210)이 열판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다음 고정버튼(301)을 놓게 되면 스프링(320)의 탄력에 의해 고정버튼(301)의 걸림핀(310)과 빗(201)의 걸림홈(230)이 서로 결합되어 빗(201)의 이동을 제한시킨 상태에서 모발을 시술하게 되고, 필요 없을 시에는 다시 고정버튼(301)을 후퇴시켜서 걸림핀(310)과 걸림홈(230)의 결합 상태를 분리한 다음 빗(201)을 이동시켜서 빗살(210)이 커버(111)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인 아이롱과 같은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커버가 없이 빗(201)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상부케이스(110) 및 하부케이스(120)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 아이롱(101)에서, 상부케이스(110)의 외면에 빗이 수납되는 공간이 홈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 공간에 빗(201)이 노출된 상태로 수납되어 있으며, 빗(201)은 측방으로 이동시켜서 상부케이스(110)의 측면으로 인입 및 인출토록 되어 있다.
상기 빗(201)은 그 양 단부가 상부케이스(110)에 형성되는 안내홈(118)에 지지되어 있으며, 빗 자체를 직접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부케이스(110)의 일단에는 상기 빗(201)의 단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고정버튼(301)이 설치되어 있는데, 고정버튼(301)은 버튼홈(116)에서 빗(201)의 단부와 접촉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고정버튼(301)의 선단에는 걸림핀(310)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버튼(301)의 반대쪽에는 스프링(320)이 설치되어 이 스프링(320)에 의해 고정버튼(301)이 항상 빗(201)의 단부와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걸림핀(310)과 접촉하여 결합 또는 분리하게 되는 걸림홈(230)이 빗(201)의 단부에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버튼(301)의 걸림핀(310)과 빗(201)의 걸림홈(230)이 결합 상태에 있는 평상시에는 빗(201)이 이동됨이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빗(201)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고정버튼(301)을 스프링(320)에 저항하여 후퇴시켜서 고정버튼(301)의 걸림핀(310)과 빗(201)의 걸림홈(23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빗(201)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버튼(301)을 놓으면, 스프링(320)에 의해 고정버튼(301)의 걸림핀(310)과 빗(201)의 걸림홈(230)이 결합하여 빗(201)이 고정상태로 되며, 이 상태에서 모발의 시술 작업을 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빗(201)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위에서 기술한 실시예에서의 걸림홈이 형성된 부분에 연속 반복적인 톱니 형태의 걸림홈(23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빗의 고정 위치를 보다 임의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편의상 빗이 상부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하부케이스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고정버튼과 결합되는 빗(201)의 걸림홈(230)은 그 형태나 갯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101 : 아이롱 102 : 힌지
110 : 상부케이스 111 : 커버
112 : 인출구 114 : 개구부
116 : 버튼홈 120 : 하부케이스
130 : 히터 140 : 열판
201 : 빗 210 : 빗살
220 : 조작편 230 : 걸림홈
301 : 고정버튼 310 : 걸림핀
320 : 스프링 H : 모발

Claims (6)

  1.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마주 연동하도록 되고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각 내측면에는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열판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에는 원호상의 단면을 갖는 빗이 상부케이스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상부케이스의 양 측면으로 돌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헤어 아이롱에 있어서,
    일측 단부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빗;
    상기 빗의 걸림홈에 근접한 상부케이스의 일단에서 상기 걸림홈에 대하여 접촉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과 접촉하여 걸리는 걸림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버튼;
    상기 고정버튼을 수납하면서 고정버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버튼홈을 갖고, 상기 빗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된 상기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에서 상기 고정버튼을 상기 빗에 대하여 항시 접촉 상태로 탄발하여 유지시키도록 설치된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빗이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 상부케이스의 측면은 개방되어 상기 빗이 양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빗의 외면에는 조작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면에는 빗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작편이 이동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빗의 외측에는 커버가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빗의 외면에는 조작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에는 빗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작편이 이동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빗의 양 단부가 끼워지도록 마주하여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연속반복적으로 형성되는 톱니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톱니모양의 걸림홈에 상기 고정버튼의 걸림핀이 접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롱.
  6.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가 마주 연동하도록 되고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각 내측면에는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열판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원호상의 단면을 갖는 빗이 하부케이스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양 측면으로 돌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헤어 아이롱에 있어서,
    일측 단부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빗;
    상기 빗의 걸림홈에 근접한 하부케이스의 일단에서 상기 걸림홈에 대하여 접촉 또는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상기 걸림홈과 접촉하여 걸리는 걸림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고정버튼;
    상기 고정버튼을 수납하면서 고정버튼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버튼홈을 갖고, 상기 빗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비된 상기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에서 상기 고정버튼을 상기 빗에 대하여 항시 접촉 상태로 탄발하여 유지시키도록 설치된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아이롱.

KR1020100046195A 2010-05-17 2010-05-17 헤어 아이롱 KR101187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195A KR101187160B1 (ko) 2010-05-17 2010-05-17 헤어 아이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195A KR101187160B1 (ko) 2010-05-17 2010-05-17 헤어 아이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499A KR20110126499A (ko) 2011-11-23
KR101187160B1 true KR101187160B1 (ko) 2012-09-28

Family

ID=4539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195A KR101187160B1 (ko) 2010-05-17 2010-05-17 헤어 아이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1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268B1 (ko) 2019-01-03 2019-12-27 김찬수 이중 레버 구조를 갖는 헤어 아이롱
KR20200073434A (ko) 2018-12-14 2020-06-24 김찬수 손잡이 고정 구조를 갖는 헤어 아이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766A (ja) 2003-02-04 2004-08-26 Doggy Man H A Co Ltd カットコーム
KR100988162B1 (ko) 2009-08-22 2010-10-18 김성기 헤어 아이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766A (ja) 2003-02-04 2004-08-26 Doggy Man H A Co Ltd カットコーム
KR100988162B1 (ko) 2009-08-22 2010-10-18 김성기 헤어 아이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434A (ko) 2018-12-14 2020-06-24 김찬수 손잡이 고정 구조를 갖는 헤어 아이롱
KR102060268B1 (ko) 2019-01-03 2019-12-27 김찬수 이중 레버 구조를 갖는 헤어 아이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499A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6859B2 (en) Hair care device
US6070596A (en) Heated hair styling device
KR102366275B1 (ko) 다양한 컬 사이즈를 형성하는 헤어 스타일링 장치
US8371312B2 (en) Heating apparatus for heat retaining hair clips
RU2598566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ладки волос
JP2011104360A (ja) ヘアカールおよび/またはヘアスタイリング用の装置
AU2009355576A1 (en) A hair styling apparatus and method
CN107105852B (zh) 控制产品涂抹的用于处理头发的装置
WO2011021783A2 (ko) 전기 고데기
US20150366314A1 (en) Hair styling device with grip-tip
JP6675486B2 (ja) 加熱要素を有する毛髪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用の化粧製品レフィル、およびそのようなレフィルを含む、毛髪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EP2095736B1 (en) Hair shaping device
KR101187160B1 (ko) 헤어 아이롱
KR100988162B1 (ko) 헤어 아이롱
US20140360524A1 (en) Cordless hair curling tool, method and system of same
KR200494792Y1 (ko) 클램프를 구비하는 빗살형 고데기
US10772406B2 (en) Hair styling device
KR200468183Y1 (ko) 마스카라 일체형 뷰러
CN107105851B (zh) 旋转刷类型的多功能理发设备
KR20170046942A (ko) 다용도 헤어 미용 기구
KR101096276B1 (ko) 빗이 장착된 고대기
KR200471080Y1 (ko) 헤어아이론
KR101445788B1 (ko) 헤어아이론
GB2584066A (en) A hair treatment device
KR101566121B1 (ko) 헤어 컬 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