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453B1 -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 Google Patents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453B1
KR101186453B1 KR1020120016363A KR20120016363A KR101186453B1 KR 101186453 B1 KR101186453 B1 KR 101186453B1 KR 1020120016363 A KR1020120016363 A KR 1020120016363A KR 20120016363 A KR20120016363 A KR 20120016363A KR 101186453 B1 KR101186453 B1 KR 101186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
soundproof
rear plate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916A (ko
Inventor
김희준
Original Assignee
김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준 filed Critical 김희준
Priority to KR1020120016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4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64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 E01F8/007Perforated plate or mesh,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 사이에 다수개가 적층되어 방음벽을 형성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에 있어서,
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부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방음판의 적층시 상하로 적층되는 방음판 간의 밀착을 위해 밀착돌기가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고, 하부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리브가 형성된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양측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접촉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면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프레임 및 상기 측면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와, 상기 흡음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반사판과, 상기 흡음부재와 상기 반사판을 이격시키기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음판의 외부를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지주에 방음판을 적층하는 경우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방음판이 보다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a sounding board having fore-back plate change function for sound absorption}
본 발명은 방음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판의 외부를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주에 방음판을 적층하는 경우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방음판이 보다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도록 상하 및 측면부에 알루미늄프레임에 의한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되는 차도 주변이나 기차가 통행되는 기차길 주변 등에는 차량이나 기차가 통행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주택가나 학교 등에 전달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방법으로 방음벽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이러한 방음벽은 통상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음판이 다수개 적층 및 수평배열된 상태로 지주에 연결된다.
종래의 이러한 방음판은 공개특허 제2000-00168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다수의 흡음공이 여러 개의 타입으로 타공되고 요철이 형성된 전면판과 요부가 형성된 뒷판이 측면판과 같이 결합되고, 내부에 흡음재와 공기층이 형성되는 공지의 흡음형 방음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이 소음이 발생하는 쪽으로 경사지고, 내부에 흡음재가 2중으로 내장되어 흡음재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기의 등록된 기술은 방음벽을 구성하기 위해 지주에 방음판을 다수개 적층하는 경우 상측과 그 하측에 위치한 방음판이 견고하게 적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소음이 차단되는 내부공간을 감싸도록 구성된 전면판과 후면판(뒷판)이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결합된 전면판과 후면판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해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방음판의 외부를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지주에 방음판을 적층하는 경우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방음판이 보다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음판의 전면 및 배면에 다양한 무늬나 그림 등을 삽입할 수 있어 주거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전면 및 배면 플레이트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방음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주 사이에 다수개가 적층되어 방음벽을 형성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에 있어서, 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부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방음판의 적층시 상하로 적층되는 방음판 간의 밀착을 위해 밀착돌기가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고, 하부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리브가 형성된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양측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접촉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면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프레임 및 상기 측면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와, 상기 흡음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반사판과, 상기 흡음부재와 상기 반사판을 이격시키기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해지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부에 밀착돌기를 형성시켜 상기 방음판 간의 적층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걸림리브를 형성시켜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과의 결합시 상기 밀착돌기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밀착돌기의 외측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하부는 상기 하부프레임과의 결합시 상기 걸림리브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부 끝단는 내측으로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부 끝단이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가 상기 상부프레임에 보다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밀착돌기의 외측상단부는 내측으로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상단부의 양측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근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흡입구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사이에는 그림 또는 광고문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흡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음부 사이에는 그림 또는 광고문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경우 흡음부를 형성시켜 내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소음원으로부터 내부공간에 유입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일측에는 제3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반사판이 상기 각 끼움홈을 통해 상기 방음판의 내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은, 방음판의 외부를 형성하는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또한 지주에 방음판을 적층하는 경우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방음판이 보다 견고하게 밀착고정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음판의 전면 및 배면에 다양한 무늬나 그림 등을 삽입할 수 있어 주거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전면 및 배면 플레이트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을 구성하는 전면플레이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을 구성하는 후면플레이트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을 구성하는 전면플레이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을 구성하는 후면플레이트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의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및 측면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음판은 지주와 지주사이에 그 양단이 결합되어 방음벽을 이루는 방음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음판은 소음원으로부터 소음을 유입하는 전면플레이트(100),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에 평행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후면플레이트(200).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상부내측에 위치한 상부프레임(300),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하부내측에 위치한 하부프레임(400)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측면에 제1측면프레임연결홀(150)과 제2측면프레임연결홀(25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방음판의 측면을 감싸는 측면프레임(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프레임(300)과 상기 하부프레임(400) 및 상기 측면프레임(700)이 결합된 상태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00)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상기 방음판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방음판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며,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의 일측에는 제1연결홀(13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결합홀(미도시)과 체결수단(330,430)을 통해 결합되고, 타측에는 제2연결홀(140)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결합홀(미도시)에 체결수단(330,430)을 통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의 전면에는 가장자리 부근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구획되도록 흡입구(110)를 다수개 형성하여 외부의 소음이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상기 방음판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며, 이때 상기 흡입구(110)는 갤러리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소정간격 휘어지도록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 상기 흡입구(110)사이의 일정공간에는 그림(120,220) 또는 광고문구 등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그림(120,220) 또는 광고문구 등을 형성시킴으로써 방음판이 본래의 기능인 방음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후면플레이트(2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평행하게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제3결합홀(230)과 체결수단(330,430)을 통해 열결되는 제3연결홀(230)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제4결합홀(미도시)과 체결수단(330,430)을 통해 연결되는 제4연결홀(24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의 연결홀 등을 이용하는 것 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기 전?후면 플레이트(100,200)와 상기 상?하부프레임(300,400) 및 상기 측면프레임(700)을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흡음부(210)를 구획되도록 다수개 형성시켜 상기 흡음부(210)를 통해 공기층을 내부에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소음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방음판을 통해 흡음되도록 한다.
이외에 상기 흡음부(210) 사이의 공간에는 그림(120,220) 또는 광고문구를 형성시켜 다양한 기능을 가지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사이의 내부공간에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반사판(500)과 흡음부재(600) 및 스페이서(510)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판(500)과 상기 흡음부재(600)는 소음원으로부터 상기 방음판으로 유입되는 소음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거나 흡수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스페이서(510)는 상기 반사판(500)과 상기 흡음부재(600)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켜 공기층을 형성시킴으로써 소음의 차단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반사판(500)은 상부가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제1끼움홈(320)에 끼워지고 하부가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제2끼움홈(420)에 끼워지며, 양측은 상기 측면프레임(700)의 제3끼움홈(710)에 끼워져 상기 방음판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흡음부재(600)는 폴리에스터(polyester)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음부재(600)와 상기 반사판(500)사이에 상기 스페이서(510)가 위치하여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일정한 공간을 형성시킨다.
상기 상부프레임(300)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에 제1결합홀이 형성되고, 타측에 제3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홀은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에 연결되고, 상기 제3결합홀은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상부에는 지주에 상기 방음판을 상하로 적층하여 방음벽을 형성시키는 경우 하측에 위치한 방음판이 상측에 위치한 방음판에 보다 견고히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밀착돌기(310)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의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300)과 결합될때 상기 밀착돌기(31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방음판을 제작하기 위해 상기 전면플레이트(100)를 체결수단(330,430)을 통해 상기 상부프레임(300)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의 상부는 상기 밀착돌기(310)의 외측 형상을 따라 빈 공간을 갖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밀착돌기(310)의 외측상단부는 하향으로 소정각도 휘어지도록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의 상부 끝단도 하향으로 상기 밀착돌기(310)의 외측 상단부의 휘어짐 각도보다 큰 각도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상기 상부프레임(300)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의 상부 끝단이 상기 밀착돌기(310)의 외측 상단부에 밀착되게될때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의 상부끝단이 휘어진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밀착돌기(310)에 밀착되게되면 상기 밀착돌기(310) 방향으로 본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전면플레이트(100)가 상기 상부프레임(3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와 상기 상부프레임(300)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상기 하부프레임(400)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에 제2결합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4결합홀이 형성되어 제2결합홀을 통해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결합하고, 상기 제4결합홀을 통해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상부 양측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00)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와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걸림리브(410)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하부 끝단은 상기 걸림리브(410)를 감싸도록 내측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400)과 상기 전면플레이트(100)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결합시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상기 걸림리브(410)는 상기 전면플레이트(100)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굴곡진 하부 끝단에 삽입된 상태로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방음판은 도로 등의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지주들 사이에서 적층되어 방음벽을 형성시키게 되며, 이렇게 적층된 상기 방음판은 상기 상부프레임(300)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밀착돌기(310)에 의해 상측에 위치한 상기 방음판과 하측에 위치한 상기 방음판이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제1연결홀(130) 등과 상기 상부프레임(300)과 상기 하부프레임(400)에 형성된 제1결합홀 등에 의해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탈부착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상기 방음판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흡음부재(600) 등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되며, 이외에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와 상기 후면플레이트(200)의 하부 끝단에 상기 하부프레임(400)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걸림리브(410)가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상기 방음판이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흡음 기능을 가진 방음판을 적층하여 방음벽을 구성하게 되면, 외부의 소음원을 통해 발생되는 소음이 상기 전면플레이트(100)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흡입구(110)를 통해 상기 방음판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게 되어, 내부공간에 형성된 상기 흡음부재(600)를 통해 소음이 흡수되어져 소멸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음부재(600)의 표면에서 흡수되지 못한 소음은 상기 흡음부재(600)의 표면에 부딪쳐 반사되는데 이렇게 반사된 소음은 상기 반사판(500)에 의해 차단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0: 전면플레이트 110: 흡입구
120, 220: 그림 130: 제1연결홀
140: 제2연결홀 200: 후면플레이트
210: 흡음부 230: 제3연결홀
240: 제4연결홀 300: 상부프레임
310: 밀착돌기 320: 제1끼움홈
330,430: 체결수단 400: 하부프레임
410: 걸림리브 420: 제2끼움홈
500: 반사판 510: 스페이서
600: 흡음부재 700: 측면프레임
710: 제3끼움홈

Claims (8)

  1. 지주 사이에 다수개가 적층되어 방음벽을 형성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에 있어서,
    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평행하게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후면플레이트;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후면플레이트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부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방음판의 적층시 상하로 적층되는 방음판 간의 밀착을 위해 밀착돌기가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하부 내측에 위치하고, 하부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리브가 형성된 하부프레임;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양측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상기 하부프레임과 접촉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면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프레임 및 상기 측면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부재와, 상기 흡음부재와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하는 반사판과, 상기 흡음부재와 상기 반사판을 이격시키기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부는 상기 상부프레임과의 결합시 상기 밀착돌기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밀착돌기의 외측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하부는 상기 하부프레임과의 결합시 상기 걸림리브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상부끝단는 내측으로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돌기의 외측상단부는 내측으로 소정각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상단부의 양측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가장자리부근에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흡입구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사이에는 그림 또는 광고문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플레이트의 배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흡음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음부 사이에는 그림 또는 광고문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는 제1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는 제2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프레임의 일측에는 제3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반사판이 상기 각 끼움홈을 통해 상기 방음판의 내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KR1020120016363A 2012-02-17 2012-02-17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KR101186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363A KR101186453B1 (ko) 2012-02-17 2012-02-17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363A KR101186453B1 (ko) 2012-02-17 2012-02-17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916A KR20120035916A (ko) 2012-04-16
KR101186453B1 true KR101186453B1 (ko) 2012-09-27

Family

ID=4613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6363A KR101186453B1 (ko) 2012-02-17 2012-02-17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64B1 (ko) 2014-01-17 2014-10-06 도아기업주식회사 전체 탈부착이 가능한 교체형 방음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26B1 (ko) 2009-02-09 2011-06-16 (주)대흥이엔지 방음패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326B1 (ko) 2009-02-09 2011-06-16 (주)대흥이엔지 방음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664B1 (ko) 2014-01-17 2014-10-06 도아기업주식회사 전체 탈부착이 가능한 교체형 방음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916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861Y1 (ko) 후크 분리형 투명 방음판
KR101756810B1 (ko) 곡면형 천장 구조체
KR100533932B1 (ko) 투명 방음판
KR200485826Y1 (ko) 반사형 방음벽의 탈,부착식 방음판 및 방음패널 결합구조
KR100724761B1 (ko) 안전 복합 프레임
JP5921729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1057397B1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투명형 흡음유닛
JP6938136B2 (ja) 防音パネル及び防音壁
KR101080213B1 (ko) 방음벽 조립체
KR101186453B1 (ko)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KR100623008B1 (ko) 흡음 투명 방음판
KR100729345B1 (ko) 원통형 방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JP5469147B2 (ja) 吸音パネル
JP3207432U (ja) 吸音板用雨水誘導ブロックとそれを用いた道路防音壁の吸音板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200425367Y1 (ko) 흡음형 방음판넬 구조
KR101167090B1 (ko) 소음 감쇠기
KR200410322Y1 (ko) 투명방음판 조립체
JP7372502B2 (ja) 間仕切り装置
KR101542547B1 (ko) 회절소음 감소를 위한 방음판넬 조립체
KR100978784B1 (ko) 투시 겸용 조립식 방음판
KR20150142969A (ko) 회절소음저감수단을 갖는 방음판
KR101544787B1 (ko) 후방교체형 방음패널 조립체
KR101177825B1 (ko) 흡음형 유지 보수 방음판
JP2006070657A (ja) 前背面分離式支柱両面隠蔽型遮音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