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315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315B1
KR101186315B1 KR1020050078810A KR20050078810A KR101186315B1 KR 101186315 B1 KR101186315 B1 KR 101186315B1 KR 1020050078810 A KR1020050078810 A KR 1020050078810A KR 20050078810 A KR20050078810 A KR 20050078810A KR 101186315 B1 KR101186315 B1 KR 101186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etal body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flection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8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167A (ko
Inventor
김경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8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315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된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디스플레이가 반사각 조절 수단에 의해 그 반사각이 조절되므로, 태양광이나 조명등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반사를 막고, 반사시 발생되는 화면의 흐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메인 바디, 서브 바디, 디스플레이, 반사각 조절 수단, 금속체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1 실시예의 일부 절결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사각 조절 수단이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반사각 조절 수단의 제어 블록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가 상하 경사지게 배치된 개략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2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2 실시예의 디스플레이가 좌우 경사지게 배치된 개략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3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3 실시예의 디스플레이가 입체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개략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4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메인 바디 10: 서브 바디
20: 디스플레이 22: 반사각 조절 키
30: 반사각 조절 수단 32: 좌측 상부 금속체
33: 좌측 하부 금속체 35: 우측 상부 금속체
36: 우측 하부 금속체 50: 제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Bar) 타입, 폴더(Floder) 타입, 슬라이드(Slide) 타입 등으로 구분되고,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게임, 네비게이션(Navigation)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추세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면에는 상기 다양한 기능을 위한 엘시디 패널(LCD Panel) 등의 디스플레이가 고정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태양광이나 조명등 등에 의해 반사가 발생되면, 화면이 흐리게 보이거나 거의 볼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네이게이션 기능을 구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거치대에 고정될 경우, 반사가 발생되면 화면이 빛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이 바뀌도록 하여 반사에 의한 화면의 흐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된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각 조절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진퇴시키도록 설치된 팽창/수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팽창/수축부재는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여 팽창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원 상태로 복원되는 금속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좌측 상부을 진퇴시키는 좌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좌측 하부를 진퇴시키는 좌측 하부 금속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우측 상부를 진퇴시키는 우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우측 하부를 진퇴시키는 우측 하부 금속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하 경사지도록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하부 금속체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좌우 경사지도록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하부 금속체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하부 금속체가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조절하도록 사용자가 입력하는 반사각 조절 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2)와; 상기 메인 바디(2)에 연결된 서브 바디(10)와; 상기 메인 바디(2)와 서브 바디(10)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 바디(2)는 키 입력부(3)와, 안테나(6)와, 송화부(7) 등이 설치되고, 배면에 배터리(8)가 착탈된다.
상기 키 입력부(3)는 숫자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4)와, 게임이나 각종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상/하/좌/우 방향 키(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서브 바디(10)는 상기 메인 바디(2)에 힌지 연결된 폴더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메인 바디(2)에 상하 혹은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메인 바디(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로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이하 폴더로 구성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브 바디(10)에는 수화부(12)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엘시디 패널(LCD Panel) 등의 영상 표시 기기 중 어느 하나로서, 이하 엘시디 패널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상기 메인 바디(2)와 서브 바디(10) 중에서 서브 바디(10)에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0)는 그 반사각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바디(10)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그 배치 각도가 경사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바디(2)와 서브 바디(20) 중 일측에는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반사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입력하는 반사각 조절 키(22)가 마련된다.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는 상기 키 입력부(3)에 별도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키 입력부(3)에 포함된 숫자 키(4) 중 일부를 겸하거나 상/하/좌/우 방향 키(5)와 겸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서브 바디(20)에 복수개가 별도로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는 상기 디스플레이(20)의 상부가 하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조절하는 상부 키(23)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하부가 상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조절하는 하부 키(24)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좌측부가 우측부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조절하는 좌측 키(25)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우측부가 좌측부 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조절하는 우측 키(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1 실시예의 일부 절결 측단면도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 조절 수단(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사각 조절 수단(30)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가장자리를 진퇴시키도록 상기 서브 바디(20)에 설치된 팽창/수축부재로서,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여 팽창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원 상태로 수축되는 금속체(33)(34)(35)(36)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체(33)(34)(35)(36)는 인가 전압에 의해 열이 상승되어 팽창되는 것으로, 구리(Cu)나 알루미늄(Al) 등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금속체(33)(34)(35)(36)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배면 가장자리에 접착재 등의 부착 수단으로 부착되어 디스플레이(20)의 가장자리를 전진/후퇴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금속체(33)(34)(35)(36)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배면 가장자리에 부착되지 않고 상기 디스플레이(20)를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금속체(33)(34)(35)(36)의 팽창시 금속체(33)(34)(35)(36)가 디스플레이(20)의 가장자리를 전진시키고 금속체(33)(34)(35)(36)의 수축시 금속체(33)(34)(35)(36)가 스프링에 의해 원 위치로 복원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금속체(33)(34)(35)(36)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배면 가장 자리에 부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상기 금속체(33)(34)(35)(36)는 상기 디스플레이(20)가 별도의 힌지 수단 등에 의해 상기 서브 바디(10)에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서브 바디(10)에 고정 부착될 필요가 없으나,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상기 서브 바디(1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브 바디(10)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20)를 지지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20)의 가장 자리를 전진시킨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반사각 조절 수단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반사각 조절 수단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가 상하 경사지게 배치된 개략 사시도이다.
상기 금속체(32)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배면 좌측 상부를 진퇴시키는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상기 디스플레이 (20)의 배면 좌측 하부를 진퇴시키는 좌측 하부 금속체(34)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배면 우측 상부를 진퇴시키는 우측 상부 금속체(35)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배면 우측 하부를 진퇴시키는 우측 하부 금속체(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상하 경사지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35)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50)와 연결되고,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34)와 상기 우측 하부 금속체(36)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5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우측 상부 금속체(35)는 신호선이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GPIO 1(52,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에 의해 제어부(50)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34)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는 신호선이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GPIO 2(54,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에 의해 제어부(5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태양광이나 조명광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20)의 화면이 흐림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금속체(33)(34)(35)(36) 중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우측 상부 금속체(35)로 전압을 인가하거나, 좌측 하부 금속체(34)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로 전압을 인가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 중 상부 키(23)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우측 상부 금속체(35)로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우측 상부 금속체(35)는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여 팽창되고,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상부가 하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경사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전방 하측을 향하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반사각은 변경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 화면의 흐림없이 디스플레이(20)를 시청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 중 하부 키(24)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34)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로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34)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는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여 팽창되고,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20)는 도 5와 반대로, 상단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하부가 상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경사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전방 상측을 향하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반사각은 변경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0) 화면의 흐림없이 디스플레이(20)를 시청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2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2 실시예의 디스플레이가 좌우 경사지게 배치된 개략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2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좌측 하부 금속체(34)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50)와 연결되고, 우측 상부 금속체(35)와 상기 우측 하부 금속체(36)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5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좌측 하부 금속체(34)는 신호선이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GPIO 1(52′)에 의해 제어부(50)에 연결되고,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35)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는 신호선이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됨과 아울러 GPIO 2(54′)에 의해 제어부(5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금속체(33)(34)(35)(36) 중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좌측 하부 금속체(34)로 전압을 인가하거나, 우측 상부 금속체(35)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로 전압을 인가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 중 좌측 키(25)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좌측 하부 금속체(34)로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좌측 하부 금속체(35)는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여 팽창되고,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우측단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좌측부가 우측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경사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전방 우측을 향하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반사각 조절 키(22) 중 우측 키(26)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35)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로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35)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는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여 팽창되고,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20)는 도 7와 반대로, 좌측단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우측부가 좌측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경사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전방 좌측을 향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3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3 실시예의 디스플레이가 입체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개략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2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좌측 하부 금속체(34)와, 우측 상부 금속체(35)와, 우측 하부 금속체(36)가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는 GPIO 1(52″)에 의해 제어부(50)에 연결되고,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34)는 GPIO 2(54″)에 의해 제어부(50)에 연결되며,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35)는 GPIO 3(56″)에 의해 제어부(50)에 연결되고, 상기 우측 하부 금속체(36)는 GPIO 4(58″)에 의해 제어부(5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해 반사각 조절 키(22) 중 상측 키(23)와 우측 키(26)가 함께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우측 상부 금속체(35)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로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35)로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로 인가되는 전압 보다 많게 한다.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33)와 우측 하부 금속체(36)는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여 조금 팽창되고,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35)는 인가된 전압에 비례하여 많이 팽창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좌측 하단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되어 대략 그 우측 상부가 좌측 하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입체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0)는 전방 좌측 하부를 향하게 된다.
이하, 상측 키(23) 및 좌측 키(25)의 입력과 하측 키(25)와 우측 키(26)의 입력 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제 4 실시예의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2′)와; 상기 메인 바디(2′)에 설치된 디스플레이(20)와; 상기 디스플레이(20)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 조절 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20)가 상기 메인 바디(2′)에 설치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조절각 변경 수단이 디스플레이(20)에 설치된 영구자석과, 상기 영구자석을 인력/척력 작용으로 진퇴시키는 전자석 등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가 반사각 조절 수단에 의해 그 반사각이 조절되므로, 태양광이나 조명등에 의한 디스플레이의 반사를 막고, 반사시 발생되는 화면의 흐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반사각 조절 수단이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진퇴시키도록 설치된 팽창/수축부재로 이루어져, 모터나 기타 동력 전달 기구로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조절할 때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슬림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팽창/수축부재가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여 팽창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원 상태로 수축되는 금속체로 이루어져, 금속체를 원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별도의 전력이 불필요하여 디스플레이의 반사각 조절에 사용되는 소비 전력을 최소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금속체가 좌측 상부 금속체와, 좌측 하부 금속체와, 우측 상부 금속체와, 우측 하부 금속체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의 조 절 각도를 3차원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반사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 조절 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의 희망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연결된 서브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와 서브 바디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각 조절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진퇴시키도록 설치된 팽창/수축부재이고,
    상기 팽창/수축부재는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여 팽창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원 상태로 수축되는 금속체인 이동통신 단말기.
  2.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각 조절 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진퇴시키도록 설치된 팽창/수축부재이고,
    상기 팽창/수축부재는 인가되는 전압에 비례하여 팽창되고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원 상태로 수축되는 금속체인 이동통신 단말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체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좌측 상부을 진퇴시키는 좌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좌측 하부를 진퇴시키는 좌측 하부 금속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우측 상부를 진퇴시키는 우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 우측 하부를 진퇴시키는 우측 하부 금속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상하 경사지도록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하부 금속체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좌우 경사지도록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하부 금속체가 함께 팽창/수축되게 제어 부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좌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좌측 하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상부 금속체와, 상기 우측 하부 금속체가 제어부와 독립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반사각을 조절하도록 사용자가 입력하는 반사각 조절 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78810A 2005-08-26 2005-08-26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86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810A KR101186315B1 (ko) 2005-08-26 2005-08-26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8810A KR101186315B1 (ko) 2005-08-26 2005-08-26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167A KR20070024167A (ko) 2007-03-02
KR101186315B1 true KR101186315B1 (ko) 2012-09-27

Family

ID=38098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8810A KR101186315B1 (ko) 2005-08-26 2005-08-26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3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194A (ja) 1999-11-24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ホ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194A (ja) 1999-11-24 2001-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ターホ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167A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951B1 (ko) 시청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슬라이딩 거치 장치
EP1232633B1 (en) Mobile phone
CN106790821B (zh) 一种可分离滑动的柔性屏移动终端
CN1201549C (zh) 便携式电话装置
US7079174B2 (en) Electronic equipment
CN209105229U (zh) 折叠式移动终端
US7702096B2 (en) Self-cradling type portable terminal
KR20070100267A (ko) 가상 화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EP1773035A3 (en) Foldable cellular telephone incorporating two separate displays and a camera
KR20130057165A (ko) 터치식 디스플레이 미러
EP3525429B1 (en) A mobile terminal with sliding shells comprising a camera
CN212064116U (zh) 一种摄像模组可升降且可翻转的电子设备
KR1011863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0162B1 (ko) 듀얼 엘씨디를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CN112839116A (zh) 电子设备
KR20080078788A (ko) 휴대용 전자 장치
US8041399B2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scalable display
US20030155216A1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 terminal
KR101121138B1 (ko) 카메라 모듈 각도 조절 장치
CN212231575U (zh) 一种电子设备
KR100560919B1 (ko)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를 적용한 슬라이드형이동통신단말기.
CN113079233B (zh) 电子设备
KR101612790B1 (ko) 휴대 단말기
KR101109048B1 (ko) Ocr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기
KR100608799B1 (ko) 틸트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드타입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