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202B1 -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202B1
KR101186202B1 KR1020120023969A KR20120023969A KR101186202B1 KR 101186202 B1 KR101186202 B1 KR 101186202B1 KR 1020120023969 A KR1020120023969 A KR 1020120023969A KR 20120023969 A KR20120023969 A KR 20120023969A KR 101186202 B1 KR101186202 B1 KR 10118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st
switch
actuator
es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길
Original Assignee
한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길 filed Critical 한상길
Priority to KR1020120023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9/00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 F15B9/02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 F15B9/08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controlled by valves affecting the fluid feed or the fluid outlet of the servo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75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 F16K37/0083For recording or indicating the functioning of a valve in combination with test equipment by measuring valve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상사태를 대비한 기체나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긴급차단밸브(Emergency Shutdown Device valve)를 정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밸브(10)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11)의 연결 샤프트(12)에 결합되어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밸브의 개도정도를 설정할 수 있는 캠(14c)과, ESD 밸브의 PST(partial stroke test)시 기계적인 조작이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PST 스위치(Partial Stroke Test switch)(19)와, PST 스위치(19)에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액츄에이터(11)와 이에 연동하는 밸브(10)를 설정된 개도정도 오픈시키는 파일럿 밸브(pilot valve)(20)와, 밸브(10)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11)의 개도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 샤프트(12)에 연동되는 캠(14c)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7) 및 상기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17)의 작동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처리하여 밸브(10)와 이에 연동하는 액츄에이터(11)가 ESD 밸브의 PST를 위해 설정된 정도로 오픈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기(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 및 방법{inspection of ESD valve for partial stroke test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산업용 밸브 또는 댐퍼와 연동되는 공압식이나 유압식 또는 전동식 등과 같은 각종 액츄에이터나 각종 회전체의 개도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밸도 개도상태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사태를 대비한 기체나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긴급차단밸브(Emergency Shutdown Device valve)를 정기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PST(Partial Stroke Test)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밸브 또는 댐퍼는 연동되는 공압식 액츄에이터나 유압식 액츄에이터, 전동식 액츄에이터 등과 같은 각종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각종 액츄에이터는 밸브나 댐퍼를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밸브나 댐퍼의 개도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밸브 개도 감지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 개도 감지장치는 유체 및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업용 밸브나 댐퍼에 연결되어 밸브의 개도상태를 감지한다.
현장 작업자는 현장에서 나가지 않고도 밸브 개도 감지장치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인 검출신호를 제어실에서 분석하여 밸브나 댐퍼의 개도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을 뿐더러 밸브 구동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밸브나 댐퍼를 통한 유체나 기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ESD(Emergency Shutdown Device) 밸브의 PST(Partial Stroke Test) 기능을 위한 종래의 시스템은 복잡한 전기식 패널을 구성하거나 밸브와 액츄에이터 샤프트 사이에 별도의 기계 접촉식 제한장치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또는 고가의 스마트 디지털 포지셔너를 적용하고 있다.
위와 같은 종래의 시스템은 구성이 복잡해지고 스마트 디지털 포지셔너의 장착으로 인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며, 폭발위험 지역에서는 밸브 개도 감지장치가 폭발에 견딜 수 있는 방폭형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567602호(2006. 04. 05. 등록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0683577호(2007. 02. 16. 등록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0240890호(2000. 01. 15. 등록공고) 국내 등록특허 제10-0886961호(2009. 02. 26. 등록공고)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구성을 간단히 하여 스마트 디지털 포지셔너와 같은 고가의 계측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로컬에서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공압제어방식만을 적용하여 폭발위험지역에서 밸브 개도 감지장치를 방폭형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복잡한 전기식 패널을 구성하지않고 밸브 연결 샤프트에 직접 캠을 조립하여 PST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기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연결 샤프트에 분리 결합되는 캠이 스플라인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PST 기능을 위한 개도 조정이 가능하고 기계적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는, 밸브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의 연결 샤프트에 결합되어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밸브의 개도정도를 설정할 수 있는 캠; ESD 밸브의 PST(partial stroke test)시 기계적인 조작이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PST 스위치(Partial Stroke Test switch); 상기 PST 스위치에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액츄에이터와 이에 연동하는 밸브를 설정된 개도정도 오픈시키는 파일럿 밸브(pilot valve); 상기 밸브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의 개도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 샤프트에 연동되는 캠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 및 상기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처리하여 밸브와 이에 연동하는 액츄에이터가 ESD 밸브의 PST를 위해 설정된 정도로 오픈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은 스플라인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연결 샤프트에 결합되어 밸브의 개도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PST 스위치는 공압 스위치나 전자밸브를 함께 혹은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 방법은, 로컬 혹은 원격으로 ESD 밸브의 PST(partial stroke test)를 위해 PST 밸브를 작동시키는 제1단계; 상기 PST 밸브에 연동해서 파일럿 밸브가 구동되어 외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액츄에이터와 이에 연동하는 밸브를 설정된 개도정도 오픈시키는 제2단계; 상기 밸브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의 개도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 샤프트에 연동되는 캠의 회전을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로 감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의 작동신호를 감지한 신호 처리기가 이를 처리하여 밸브와 이에 연동하는 액츄에이터가 ESD 밸브의 PST를 위해 설정된 정도로 오픈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고가의 스마트 디지털 포지셔너를 장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로컬에서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공압제어방식만을 적용할 수 있어 폭발위험지역에서 밸브 개도 감지장치를 방폭형으로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복잡한 전기식 패널을 구성하지않고 밸브 연결 샤프트에 직접 캠을 조립하여 PST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기계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연결 샤프트에 분리 결합되는 캠이 스플라인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PST 기능을 위한 개도 조정이 가능하고 기계적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2는 도1에 개시된 연결 샤프트(12)와 캠(14a)(14b)(14c)과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하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는 본 발명에 의한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1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는 유체나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산업용 밸브나 댐퍼의 개폐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11)의 연결 샤프트(12)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캠(14a)(14b)과 전기식 리미트 스위치(16a)(16b)를 포함하는 밸브 개도검출 수단과, 캠(14c)과 PST 스위치(19), 파일럿 밸브(20),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17) 그리고 신호 처리기(21)를 포함하는 ESD 밸브의 PST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 개도 검출수단의 캠(14a)(14b)은 연결 샤프트(12), 더 나아가서는 밸브의 개폐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전기식 리미트 스위치(16a)(16b)는 회전하는 캠(14a)(14b)이 특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다시 말해 밸브가 상한치나 하한치와 같이 임의로 설정한 값으로 개도되었을 때 '온/오프'되어 밸브의 현재상태를 검출하는 소자로서 아날로그 출력신호를 제어반(제어실)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개도 변화상태 즉, PST 수행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ESD 밸브의 PST 수단의 캠(14c)은 밸브(10)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11)의 연결 샤프트(12)에 결합되어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밸브의 개도정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PST 스위치(Partial Stroke Test switch)(19)는 작업자가 현장에서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공압 스위치나 제어실에서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전자밸브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ESD 밸브의 PST(partial stroke test)시 현장의 작업자에 의한 기계적인 조작이나 제어실 등에서의 원격 제어를 위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즉, PST 스위치(19)는 전자밸브 외에 로컬에서 PST 동작을 위해 공압식 누름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압식 누름 스위치의 버튼은 현장의 작업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밸브(pilot valve)(20)는 PST 스위치(19)에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액츄에이터(11)와 이에 연동하는 밸브(10)를 설정된 개도정도 오픈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7)는 밸브(10)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11)의 개도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 샤프트(12)에 연동되는 캠(14c)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다시 말해,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7)는 밸브(10)가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을 위해 설정한 개도정도만큼 열렸을 때 구동된다.
상기 신호 처리기(21)는 PST 기능과 진단을 위한 전자회로기판을 갖춘 장치이며, 소프트웨어 및 필드버스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17)의 작동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처리하여 밸브(10)와 이에 연동하는 액츄에이터(11)가 ESD 밸브의 PST를 위해 설정된 정도로 오픈되었는가를 판단하는 한편 위에서 언급한 밸브의 개도정도, 밸브가 하한치 혹은 상한치로 오픈되었는가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실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의 표1은 공통적용 사항인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 PST 메커니컬 공압스위치, 파일럿 밸브나 단순 온/오프형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센서, 원격에 필요한 사항인 PST 전자밸브, 아날로그 출력형 근접센서 기타 PST 신호 처리기의 지역별 분류를 보여주고 있다.

구분
일반지역(개도감지장치 : 비방폭으로 구성) 폭발지역(개도감지장치 : 방폭형으로 구성) 폭발지역(개도감지장치 : 비방폭으로 구성)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

가능

가능

가능

파일럿 밸브

가능

가능

가능

온/오프형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센서

가능

가능

불가

아날로그 출력형 근접센서

가능

가능

가능(본질안전형)

PST스위치(메커니컬 공압)

가능

가능

가능

PST스위치(전자밸브)

가능

가능

불가

PST 신호 처리기

가능

가증

불가
즉, 아날로그 출력형 근접센서(본질안전)는 온/오프형 리미트 스위치 및근접센서를 대체하여 폭발위험지역에 사용되며 개도를 검출한 전기적인 신호는 제어실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PST 기능을 위한 일반지역(비방폭)에서의 본 발명은 밸브개도감지장치 내에 공압 제어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PST 진행시 내부에 구비된 누름버튼형 공압스위치는 로컬에서 확인시, 원격시에는 전자밸브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진행한다. 뿐만 아니라 로컬에서 PST 진행시 모니터링 및 진단을 PC나 PDA 등과 같은 포터블 장치로 확인하거나 필드버스나 무선통신과 같은 인터페이스기능을 위해 PST 신호처리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방폭지역에서의 PST 기능을 위한 본 발명은 방폭형으로 구성된 밸브개도감지장치 내에 공압 제어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PST 진행시 내부에 구비된 누름버튼형 공압스위치는 로컬에서 확인시, 원격시에는 전자밸브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진행한다. 뿐만 아니라 로컬에서 PST 진행시 모니터링 및 진단을 PC나 PDA 등과 같은 포터블 장치로 확인하거나 필드버스나 무선통신과 같은 인터페이스기능을 위해 PST 신호처리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
물론, 방폭형으로 구성되면 내부 전기식 부품은 방폭형이 아니더라도 상관 없으며, 방폭지역에서 비방폭으로 구성되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내부에 리미트 스위치 대신에 본질안전형 근접센서가 설치되어 개도를 감지하므로 로컬로 PST 기능시에는 공압식으로만 구비하면 방폭형으로 하지 않아도 된다.
마지막으로 폭발지역에서의 PST 기능을 위한 본 발명은 밸브개도감지장치가 방폭형으로 구성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장치 내부에 전기식 부품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공압식 PST 누름스위치와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만을 사용해야 하며, 전기식 리미트 스위치 및 신호 처리기는 구성될 수 없고 본질안전형 근접센서로 대체하고 로컬에서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밸브개도감지장치가 방폭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장치 내부에 전기식 부품, 전자밸브나 리미트 스위치, 신호처리기가 구비되어도 무관하고, 이는 원격제어를 위한 구성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2는 도1에 개시된 연결 샤프트(12)와 캠(14a)(14b)(14c)과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2에 의하면, 밸브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의 연결 샤프트(12)는 3개의 캠(14a)(14b)(14c)을 가지는데, 하나의 캠(14a)은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밸브의 개도정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고, 두 개의 캠(14a)(14b)은 제어실로 전송하기 위한 밸브의 개도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나머지 하나의 캠(14c)은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밸브의 개도정도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3개의 캠(14a)(14b)(14c) 모두는 스플라인과 스프링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밸브(10), 즉 액츄에이터(11)가 일정각도 오픈되었을 때 전기식 리미트 스위치(16Aa(16b)나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17)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여기서 PST 스위치(19) 방식으로는, 도1에서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원격 제어를 위해 전자밸브를 사용할 수 있을 뿐더러 도3에서와 같이 로컬 제어를 위해 공압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스위치 즉, 파일럿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1과 도3에서 서로 다른 방식의 PST 스위치(19)를 예로 설명하므로 로컬 또는 원격제어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PST 스위치(19)를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10)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의 연결 샤프트에 결합되어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밸브의 개도정도를 설정할 수 있는 캠과, ESD 밸브의 PST시 기계적인 조작이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PST 스위치(19), PST 스위치(19)에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액츄에이터와 이에 연동하는 밸브(10)를 설정된 개도정도 오픈시키는 파일럿 밸브(20), 밸브(10)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의 개도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 샤프트에 연동되는 캠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7) 그리고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17)의 작동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처리하여 밸브(10)와 이에 연동하는 액츄에이터가 ESD 밸브의 PST를 위해 설정된 정도로 오픈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기(18)로 구성된다.
이하, 출원인은 ESD밸브의 점검을 위한 PST과정을 도3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정상운전하에서 밸브(10)를 동작시켜 주는 액츄에이터(공압 동작장치)는 밸브(10)를 '오픈'상태로 제어한다.
먼저, 로컬인 경우, PST 스위치(19)를 동작시키면 상시 공압신호에 의해 파일럿 밸브(20)의 방향이 전환된다. 파일럿 밸브(20)의 관로가 전환되면서 ESD 밸브의 주 제어회로상의 '오픈' 명령 공기압(P)이 액츄에이터의 '오픈'포트로 공급하다 반대방향으로 '클로즈' 포트에 공기압이 공급되어 ESD 밸브는 '클로즈'방향으로 동작하기 시작한다.
이후, 미리 설정된 밸브 개도 감지장치에 캠(14c)에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17)에 의해 정해진 일정 개도 만큼만 동작하고 파일럿 밸브(20)로 공급되었던 공기압은 차단된다.
파일럿 밸브(20)는 다시 초기 상태로 복귀되어 ESD 밸브의 주제어회로상의 '오픈'명령에 의해 액츄에이터는 밸브(10)를 '오픈'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원격인 경우, PST 스위치(19)로는 밸브 개도 감지장치 내에 설치될 수 있는 전자식 미니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별도의 공압신호를 받은 파일럿 미니 밸브(20)의 동작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PST에 대한 결과값은 '온/오프'형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17)나 근접스위치로 단순 확인하거나 아날로그 출력형 근접센서에 의해 아날로그 값으로 개도상태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 출력값은 직접 제어실로 전달되고, 원격지의 제어실에서는 정해진 소프트웨어에 의해 그래프화하여 모니터링 및 진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신호 처리기 즉, PST 전자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종 기능을 로컬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11 : 액츄에이터 12 : 연결샤프트
14a, 14b, 14c : 캠 16a, 16b : 전기식 리미트 스위치
17 :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 19 : PST 스위치
20 : 파일럿 밸브 21 : 신호 처리기

Claims (4)

  1. 밸브(10)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11)의 연결 샤프트(12)에 결합되어 ESD 밸브의 PST 기능 구현시 밸브의 개도정도를 설정할 수 있는 캠(14c);
    ESD 밸브의 PST(partial stroke test)시 기계적인 조작이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PST 스위치(Partial Stroke Test switch)(19);
    상기 PST 스위치(19)에 연동되어 외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액츄에이터(11)와 이에 연동하는 밸브(10)를 설정된 개도정도 오픈시키는 파일럿 밸브(pilot valve)(20);
    상기 밸브(10)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11)의 개도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 샤프트(12)에 연동되는 캠(14c)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7); 및
    상기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17)의 작동신호를 감지하고 이를 처리하여 밸브(10)와 이에 연동하는 액츄에이터(11)가 ESD 밸브의 PST를 위해 설정된 정도로 오픈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신호 처리기(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14c)은 스플라인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연결 샤프트(12)에 결합되어 밸브(10)의 개도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ST 스위치(19)는 공압 스위치나 전자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 장치.
  4. 로컬 혹은 원격으로 ESD 밸브의 PST(partial stroke test)를 위해 PST 스위치(19)를 작동시키는 제1단계;
    상기 PST 스위치(19)에 연동해서 파일럿 밸브(20)가 구동되어 외부로부터 공압을 제공받아 액츄에이터(11)와 이에 연동하는 밸브(10)를 설정된 개도정도 오픈시키는 제2단계;
    상기 밸브(10)와 이에 연동되는 액츄에이터(11)의 개도에 따라 회전하는 연결 샤프트(12)에 연동되는 캠(14c)의 회전을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17)로 감지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공압식 리미트 스위치(17)의 작동신호를 감지한 신호 처리기(18)가 이를 처리하여 밸브(10)와 이에 연동하는 액츄에이터(11)가 ESD 밸브의 PST를 위해 설정된 정도로 오픈되었는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 방법.
KR1020120023969A 2012-03-08 2012-03-08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 및 방법 KR10118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969A KR101186202B1 (ko) 2012-03-08 2012-03-08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969A KR101186202B1 (ko) 2012-03-08 2012-03-08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202B1 true KR101186202B1 (ko) 2012-10-09

Family

ID=47287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969A KR101186202B1 (ko) 2012-03-08 2012-03-08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2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105A (ko) * 2016-05-25 201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압 작동 밸브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18129232A1 (en) * 2017-01-07 2018-07-12 Saudi Arabian Oil Company Locally-actuated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KR102043122B1 (ko) 2019-05-23 2019-11-11 주식회사 옥광엔지니어링 해양 플랜트용 이상 압력 제어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상 압력 제어 시스템
CN115159049A (zh) * 2022-06-16 2022-10-11 新乡市布瑞克斯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的通断气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5610B1 (en) 2003-01-17 2005-08-30 Dynatorque, Inc. Partial stroke valve test apparatus
US7828008B1 (en) 2005-04-19 2010-11-09 SafePlex Systems, Inc. Online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using a modified 2004 archite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5610B1 (en) 2003-01-17 2005-08-30 Dynatorque, Inc. Partial stroke valve test apparatus
US7828008B1 (en) 2005-04-19 2010-11-09 SafePlex Systems, Inc. Online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using a modified 2004 architectur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105A (ko) * 2016-05-25 201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압 작동 밸브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581646B1 (ko) 2016-05-25 2023-09-22 한화오션 주식회사 유압 작동 밸브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18129232A1 (en) * 2017-01-07 2018-07-12 Saudi Arabian Oil Company Locally-actuated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US10557564B2 (en) 2017-01-07 2020-02-11 Saudi Arabian Oil Company Locally-actuated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US10738912B2 (en) 2017-01-07 2020-08-11 Saudi Arabian Oil Company Locally-actuated partial stroke testing system
KR102043122B1 (ko) 2019-05-23 2019-11-11 주식회사 옥광엔지니어링 해양 플랜트용 이상 압력 제어 볼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이상 압력 제어 시스템
CN115159049A (zh) * 2022-06-16 2022-10-11 新乡市布瑞克斯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的通断气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202B1 (ko) 긴급차단밸브 점검을 위한 파셜 스트로크 테스트장치 및 방법
US9939076B2 (en) Control systems for valve actuators, valve actuators and related methods
US10317718B2 (en) Valve positioner
CA2921854C (en) Rotary valve position indicator
CA2543394C (en) Shut dow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with electro-pneumatic controllers
US102406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of testing a solenoid valve of an emergency valve via a positioner
US10698525B2 (en) Valve positioner and user interface for valve positioner
KR101444704B1 (ko) 가스누출감지가 가능한 자동가스차단기
KR101740337B1 (ko) 무선으로 정밀한 유량제어가 가능한 전동 볼 밸브
JP4070850B2 (ja) 防爆防水ケースを用いた弁駆動用アクチュエータ装置
US10962141B2 (en) Redundant actuator position control device
CN110307377A (zh) 阀芯位置检测装置及系统
JP3747181B2 (ja) バルブ用電動ポジショナ
KR101794525B1 (ko) 스마트 통신 플랫폼을 적용한 유압식 밸브 제어 시스템
EP2386918A2 (en) Valve isolation system and method
KR19990036455A (ko) 방폭방수 케이스를 구비한 밸브 구동용 액츄에이터 장치
EP1643323B1 (en) Variable function voting solenoid-operated valve apparatus having air-to-move valve actuators and testing method therefore
TWM615089U (zh) 鍋爐風門控制器暨安全保護裝置
KR20180019797A (ko)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KR102530647B1 (ko) 밸브 긴급 차단 장치
US6058956A (en) Cycling self checking block valve
TWI796645B (zh) 鍋爐風門控制器暨安全保護裝置
EP2831679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a target operating device of a process control system
KR101416300B1 (ko) 액추에이터의 기능 제어 시스템
CN219198319U (zh) 阀门切换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