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862B1 -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862B1
KR101185862B1 KR1020110000958A KR20110000958A KR101185862B1 KR 101185862 B1 KR101185862 B1 KR 101185862B1 KR 1020110000958 A KR1020110000958 A KR 1020110000958A KR 20110000958 A KR20110000958 A KR 20110000958A KR 101185862 B1 KR101185862 B1 KR 10118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gain value
window
sound
input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9648A (ko
Inventor
박영진
권병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000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8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5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 G10K11/178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interference effects; Masking sound by electro-acoustically regenerating the original acoustic waves in anti-pha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Rooms, e.g. ANC inside a room, office, concert hall or automobile cabi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01Computational
    • G10K2210/3026Feedba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측정된 소음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소음원의 수평각 및 고도각을 측정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을 상쇄하는 제어음을 계산하는 제어부; 및 스피커 어레인지를 통해 상기 제어음을 재생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소음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는 소음 데이터 획득단계; 상기 측정된 소음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소음원의 수평각 및 고도각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소음을 상쇄하는 제어음을 계산하는 제어단계; 및 스피커 어레인지를 통해 상기 제어음을 재생하는 구동단계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OISE CONTROL}
개시된 기술은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이나 차량 등 일정한 공간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건물이나 차량의 내부에 있는 사람들에게 정신적 피해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소음 제어 기술들이 발전 되어 왔다. 소음 제어 기술의 일례로 발생된 소음의 절대적 크기를 줄임으로써 사람들에게 소음 저감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소음 제어 기술에는 재료의 흡음 및 차음 특성을 이용하여 소음을 제어하는 수동 소음 제어와 센서와 구동기를 이용하여 발생한 소음의 반대 위상의 소리를 발생시켜 소음을 제어하는 능동 소음 제어가 있다.
한편, 소음 제어를 위하여 설치하는 소음 측정 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 폰)는 일반적으로 소음을 줄이기 위한 공간에 설치된다. 그러나, 소음을 측정하기 위해 건물이나 차량 등 사람들이 생활하는 공간에 마이크로폰 센서를 설치하는 것은 그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생활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물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분석하고, 소음이 창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었을 때의 음장을 예측하여 상기 음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1 측면은, 실외의 소음원으로부터 소음을 수신하여, 상기 소음에 상응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소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문을 기준으로 상기 소음원의 방향을 추정하는 소음 방향 추정부,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추정하는 창문 열림 추정부, 상기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최적 인풋 게인 값 -상기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상기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음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게인 값임- 을 산출하는 게인 값 산출부, 및 상기 최적 인풋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어음을 생성하는 제어음 생성부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2 측면은, 실외의 소음원으로부터 소음을 수신하여, 상기 소음에 상응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문을 기준으로 상기 소음원의 방향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최적 인풋 게인 값 -상기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상기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음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게인 값임- 을 산출하는 게인 값 산출 단계, 상기 최적 인풋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어음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음에 상응하는 음향을 출력-상기 출력은 스피커의 어레이를 통하여 출력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소음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건물, 자동차 등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생활 침해의 염려 없이 소음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소음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게 센서, 구동부 일체의 창문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소음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음장값을 각 상황별로 미리 계산하고, 상기 각 상황별 음장값에 따른 상기 각 스피커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 미리 계산한 값을 DB로 저장하여 소음 제어 장치의 중앙연산 장치의 음장값 계산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피커의 구동은 무선 전력 전송에 의해 구동되므로 전원선에 의한 창문 계폐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음 제어 장치의 획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소음 제어 장치의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창문에 설치된 위치센서와 스피커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소음 제어 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창문에 설치된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음 제어 장치(100)는 획득부(110), 분석부(120), 제어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소음 제어 장치(100)는 실내에 소음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등을 설치하지 않고, 실외에서 소음 데이터를 기초로 내부 음장을 예측하여 소음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획득부(110)는 소음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획득부(110)는 실외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음압을 측정한다. 음압은 매질 속을 지나는 음파에 의해 생기는 압력으로 보통 실효값으로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라, 획득부(110)는 마이크로폰 센서 어레이(Microphone Sensor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소음 제어 장치의 획득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획득부(110)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창문(200)의 외부에 부착된 마이크로폰 센서 어레이(21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 센서 어레이(210)는 가로방향으로 마이크로폰 두 개(210a, 210b)가 쌍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제1 가로방향의 마이크로폰 쌍(210a, 220b)과 제2 가로방향 마이크로폰 쌍(220a, 220b)이 세로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네 개의 마이크로폰(210a, 210b, 220a, 220b)이 사각형 형태로 배열되고, 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제1면의 마이크로폰 쌍들(210a, 210b, 220a, 220b)과 앞뒤방향으로 평행하게 제2면의 마이크로폰 쌍들(230a, 230b, 240a, 240b)이 배열되어 여덟 개의 마이크로폰이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도 2의 마이크로폰 센서 어레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형태이며, 구현 예에 따라 마이크로폰 센서 어레이의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획득부(110)는 마이크로폰 센서 어레이를 통하여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며, 획득된 소음데이터는 분석부(120)로 제공된다.
분석부(120)는 획득된 소음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소음원의 방향을 추정한다. 또한 위치센서를 통해 창문의 열림 정도를 추정한다. 실시예에 의하면, 분석부(120)는 소음방향 추정부(310)와 창문 열림 추정부(320)를 포함한다.
소음방향 추정부(310)는 소음 데이터를 기초로 소음원의 수평각 및 고도각을 측정하여, 소음원의 위치를 추정한다.
도 3은 도 1의 소음 제어 장치의 분석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부(120)는 소음 방향 추정부(310) 및 창문 열림 추정부(320)를 포함한다.
소음 방향 추정부(310)는 가로방향 마이크로폰들 사이의 도달 시간 지연 값으로 소음 발생 방향의 수평각을 계산하고, 세로방향의 마이크로폰들 사이의 도달 시간 지연 값으로부터 소음 발생 방향의 고도각을 계산한다.
창문 열림 추정부(320)는 위치센서로부터 창문의 열림 정도를 추정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센서와 스피커의 설치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위치센서(430)는 창문에 설치되며, 창문의 위치를 감지하여 창문 열림 추정부(320)으로 전달한다. 도 4에 의하면 위치센서(430)는 한 개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구현 예에 따라 위치센서(430)의 위치와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분석부(120)는 소음원의 추정 방향과, 창문의 열림 정도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도 5는 도 1의 소음 제어 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30)는 게인 값 산출부(510)와 제어음 생성부(520)를 포함한다. 게인 값 산출부(510)는 소음원의 방향 및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산출한다. 이때,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상기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음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게인 값을 뜻한다.
게인 값 산출부(510)는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출력부를 구성하는 스피커 어레이의 각 스피커에 상응하는 각각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산출한다. 실시예에 따라, 게인 값 산출부(510)는 소음원의 방향 및 창문의 열림 정도에 대응되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저장하는 DB(미도시)로부터 각 스피커에 상응하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소음 방향 추정부(310)가 소음원의 방향을 (제1수평각, 제1고도각)으로 추정하고, 창문 열림 추정부(320)가 창문의 열림 정도를 (제1 길이)라고 추정을 하면, 게인 값 산출부(510)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저장하는 DB(미도시)에서 (제1수평각, 제1고도각, 제1 길이)에 해당되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다. 이때, 찾아진 최적 인풋 게인 값은 각 스피커별 게인 값으로 되어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를 구성하는 스피커의 개수가 4개인 경우(스피커 1, 스피커 2,... 스피커 4)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다는 것은 스피커 1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 것, 스피커 2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 것, ... 스피커 4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 것을 뜻한다.
한편, DB(미도시)에 저장된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소음원의 방향 및 창문의 열림 정도에 따라 계산된 음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게인 값이다. 이때, 음장은 실시예에 따라 레일리 적분 방정식(Rayleigh integral equation)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레일리 적분 방정식은 실내 공간이 자유 음장(free field)라고 가정한 경우에 적용되는 방정식이다. 자유 음장(free field)란 음원에서 방사되는 음장만 존재하고 공간상에 벽이나 다른 물체가 존재하지 않아서 반사음장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말한다. 따라서, 특정한 건물 또는 차량 내부와 같이 제한된 영역에서 레일리 적분 방정식을 적용하는 경우, 음장이 벽이나 다른 물체에 반사되는 것을 고려하여 적용하면, 내부음장을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제어음 생성부(520)는 추출된 최적 인풋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어음을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음은 획득된 소음 데이터 값과 각 스피커별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연산하여 생성된다. 출력부(140)가 스피커가 4개로 구성된 경우 제어음 또한 4개가 생성된다.
출력부(140)는 생성 제어음을 출력하여 실내의 소음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유입된 소음 음장의 반대 위상의 소음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실내의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실내 음장 신호와 진폭은 같고 위상이 반대인 소음 제어 신호가 실내 음장 신호와 같은 공간 내에서 서로 중첩되면 두 신호가 상쇄되어 실내 음장 신호가 제거되게 된다.
출력부(140)는 제어음 재생을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스피커 배열의 구현 예에 의하면 스피커(420)은 6개가 사용되었으나, 스피커의 개수는 많을수록 소음 제어의 정확성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창문에 스피커(420)를 설치하는 경우 스피커 구동을 위한 전원 문제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창문에 설치된 무선 전력 송신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부(610) 및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62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무선전력 송신부(610)는 창틀에 설치되고 무선전력 수신부(620)는 창문측에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력 전송은 유도 전류에 의에 전송되는 방법을 취할 수 있으다.
출력부(140)는 무선 전력 송신장치에 의해 스피커 구동을 위한 전력을 수신 받을 수 있어 창문을 여닫는 경우 전원 연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술된 소음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소음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건물, 자동차 등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생활 침해의 염려 없이 소음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소음 제어 장치는 사용자에게 센서, 구동부 일체의 창문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소음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상황별 음장에 따른 상기 각 스피커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DB로 저장하여 소음 제어 장치의 중앙연산 장치의 음장계산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1의 소음 제어 장치를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도 1에서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S710 단계에서, 소음 제어 장치는 소음원으로부터 발생 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한다. 음압은 매질 속을 지나는 음파에 의해 생기는 압력으로 보통 실효 값으로 나타낸다. 소음 제어 장치는 실외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음압을 측정한다. 실시예에 따라, 소음 제어 장치는 마이크로폰 센서 어레이(Microphone Sensor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S720 단계에서, 소음 제어 장치는 소음 데이터를 기초로 소음원의 수평각 및 고도각을 측정하여, 소음원의 위치를 추정한다.
소음 제어 장치는 가로방향 마이크로폰들 사이의 도달 시간 지연 값으로 소음 발생 방향의 수평각을 계산하고, 세로방향의 마이크로폰들 사이의 도달 시간 지연 값으로부터 소음 발생 방향의 고도각을 계산한다.
S730 단계에서, 소음 제어 장치는 창문에 설치된 위치센서로부터 창문의 움직임에 따른 창문 열림 정도를 추정한다.
S740 단계에서, 소음 제어 장치는 소음원의 방향 및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산출한다. 이때,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상기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음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게인 값을 뜻한다.
소음 제어 장치는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하여, 출력부를 구성하는 스피커 어레이의 각 스피커에 상응하는 각각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산출한다. 실시예에 따라, 소음 제어 장치는 소음원의 방향 및 창문의 열림 정도에 대응되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저장하는 DB(미도시)로부터 각 스피커에 상응하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소음 제어 장치가 소음원의 방향을 (제1수평각, 제1고도각)으로 추정하고, 창문의 열림 정도를 (제1 길이)라고 추정을 하면, 소음 제어 장치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저장하는 DB(미도시)에서 (제1수평각, 제1고도각, 제1 길이)에 해당되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다. 이때, 찾아진 최적 인풋 게인 값은 각 스피커별 게인 값으로 되어있다. 예를 들어 소음 제어 장치의 스피커 개수가 4개인 경우(스피커 1, 스피커 2,... 스피커 4)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다는 것은 스피커 1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 것, 스피커 2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 것, ... 스피커 4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찾는 것을 뜻한다.
S750 단계에서, 소음 제어 장치는 추출된 최적 인풋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어음을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음은 획득된 소음 데이터 값과 각 스피커별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연산하여 생성된다. 소음 제어 장치가 스피커가 4개로 구성된 경우 제어음 또한 4개가 생성된다.
S760 단계에서, 소음 제어 장치는 생성 제어음을 출력하여 실내의 소음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유입된 소음 음장의 반대 위상의 소음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실내의 소음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실내 음장 신호와 진폭은 같고 위상이 반대인 소음 제어 신호가 실내 음장 신호와 같은 공간 내에서 서로 중첩되면 두 신호가 상쇄되어 실내 음장 신호가 제거되게 된다.
한편, 창문에 스피커를 설치하는 경우 스피커 구동을 위한 전원 문제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상술된 소음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소음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건물, 자동차 등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사생활 침해의 염려 없이 소음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소음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게 센서, 구동부 일체의 창문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소음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각 상황별 음장에 따른 상기 각 스피커의 최적 인풋 게인 값을DB로 저장하여 소음 제어 장치의 중앙연산 장치의 음장계산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장치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소음 제어 장치
110 : 획득부
120 : 분석부
130 : 제어부
140 : 출력부

Claims (12)

  1. 실외의 소음원으로부터 소음을 수신하여, 상기 소음에 상응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소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문을 기준으로 상기 소음원의 방향을 추정하는 소음 방향 추정부;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추정하는 창문 열림 추정부;
    상기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최적 인풋 게인 값 -상기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상기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음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게인 값임- 을 산출하는 게인 값 산출부; 및
    상기 최적 인풋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어음을 생성하는 제어음 생성부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음에 상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소음 제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피커 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게인 값 산출부는 상기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상기 스피커 어레이의 각 스피커에 상응하는 각각의 최적 인풋 게인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스피커에 상응하는 각각의 제어음을 생성하는 소음 제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소음원의 방향 및 창문의 열림 정도에 대응되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저장하는 DB를 더 포함하는 소음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B에 저장된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상기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에 따라 레일리 적분 방법으로 계산된 음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게인 값인 소음 제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상기 창문에 부착되어 상기 소음을 수신하고, 상기 소음에 상응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받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장치.
  8. 실외의 소음원으로부터 소음을 수신하여, 상기 소음에 상응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음 데이터에 기초하여, 창문을 기준으로 상기 소음원의 방향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최적 인풋 게인 값 -상기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상기 소음이 실내로 유입되어 발생되는 음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게인 값임- 을 산출하는 게인 값 산출 단계;
    상기 최적 인풋 게인 값에 기초하여 제어음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음에 상응하는 음향을 출력-상기 출력은 스피커의 어레이를 통하여 출력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게인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를 기초로, 상기 스피커 어레이의 각 스피커에 상응하는 각각의 최적 인풋 게인 값에 기초하여 상기 각 스피커에 상응하는 각각의 제어음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소음원의 방향 및 창문의 열림 정도에 대응되는 최적 인풋 게인 값을 저장하는 DB로부터 선택되는 소음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B에 저장된 최적 인풋 게인 값은, 상기 소음원의 방향 및 상기 창문의 열림 정도에 따라 레일리 적분 방법으로 계산된 음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게인 값인 소음 제어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창문에 부착되어 상기 소음을 수신하고, 상기 소음에 상응하는 소음 데이터를 획득하는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포함하는 소음 제어 방법.
KR1020110000958A 2011-01-05 2011-01-05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8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958A KR101185862B1 (ko) 2011-01-05 2011-01-05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0958A KR101185862B1 (ko) 2011-01-05 2011-01-05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648A KR20120079648A (ko) 2012-07-13
KR101185862B1 true KR101185862B1 (ko) 2012-09-25

Family

ID=4671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0958A KR101185862B1 (ko) 2011-01-05 2011-01-05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8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744B1 (ko) 2012-10-23 2013-12-11 한국과학기술원 소음 관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95A (ko) * 2016-11-25 2018-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KR101965530B1 (ko) * 2018-04-10 2019-04-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형 스피커 장치 및 이동형 스피커 장치의 음향 출력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8804A (ja) 2004-09-22 2006-04-06 Honda Motor Co Ltd 車室内騒音低減装置
WO2008015215A2 (de) 2006-07-31 2008-02-07 Anocsys Ag Anordnung mit einem aktiven geräuschreduktionssystem
KR101018783B1 (ko) 2009-07-24 2011-03-03 한국과학기술원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8804A (ja) 2004-09-22 2006-04-06 Honda Motor Co Ltd 車室内騒音低減装置
WO2008015215A2 (de) 2006-07-31 2008-02-07 Anocsys Ag Anordnung mit einem aktiven geräuschreduktionssystem
KR101018783B1 (ko) 2009-07-24 2011-03-03 한국과학기술원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744B1 (ko) 2012-10-23 2013-12-11 한국과학기술원 소음 관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648A (ko) 201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8783B1 (ko)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ES2965954T3 (es) Método y aparato de cancelación de eco basados en estimación de retardo de tiempo
US94327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localizing sound sources placed within a sound environment comprising ambient noise
Kotus et al.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selected acoustic events in acoustic field for smart surveillance applications
JP6129316B2 (ja) 情報に基づく多チャネル音声存在確率推定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EP26472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atially selective sound acquisition by acoustic triangulation
Kwon et al. Interior noise control with an active window system
KR20120049534A (ko) 음원 신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EP3236439A1 (en) Acoustic presence detector
KR20120071452A (ko) 마이크 어레이를 이용한 방향성 음원 필터링 장치 및 그 제어방법
RU2012146419A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акустических измерений множества громкоговорителей и системы направленных микрофонов
US201503195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location of moving body, lighting apparatus, air conditioning apparatus, security apparatus, and parking lot management apparatus
ATE554481T1 (de) Sprecherlokalisierung
MY157196A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tive sound attenuation in an air handling unit
UA102230C2 (ru)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импульсной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каналов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которые включают эмиттеры, рефлекторы и датчики, являющиеся фиксированными или подвижными
US20180298675A1 (en) Window and system of windows comprising an acoustic damping device
Tervo et al. Acoustic reflection localization from room impulse responses
KR20110080633A (ko) 소음감지 베개와 소음감지 베개를 이용한 능동소음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85862B1 (ko) 소음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849352A (zh) 一种隔声性能检测系统
WO2009025090A1 (ja) 指向性マイクロホン装置
JP2012255852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EP32641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ace status detection based on acoustic chirp signals
JP2017143459A (ja) 伝搬遅延特性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Tervo et al. Spatial analysis of concert hall impulse respon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