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325B1 -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325B1
KR101185325B1 KR1020100123573A KR20100123573A KR101185325B1 KR 101185325 B1 KR101185325 B1 KR 101185325B1 KR 1020100123573 A KR1020100123573 A KR 1020100123573A KR 20100123573 A KR20100123573 A KR 20100123573A KR 101185325 B1 KR101185325 B1 KR 10118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afe
fixing member
inner plate
fasten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352A (ko
Inventor
조성민
최대한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3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2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4Wall or panel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침입자의 공격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파손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형 및 경량 제작이 가능하고, 내부구조물과 외벽 간의 결합구조를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고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플레이트;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이격 배치되고, 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몸체부가 구비된 내측 플레이트;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에 각각 외측단과 내측단이 결합되고,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구조물; 및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내측 플레이트 사이에 강성 강화를 위해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AN OUTER WALL STRUCTURE OF A SAF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고 외벽을 견고한 구조로 구성하여 무단 침입자에 의한 금고 외벽의 파손을 최대한 지연시킴과 동시에 금고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과 외벽 간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동화 장치이다. 최근 금융자동화기기는 현금 입출금 기능은 물론 수표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금융자동화기기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는, 입출금을 위하여 고객이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는 공간인 입출금부(10), 상기 입출금부(10)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의 반송로 상에 구비되어 지폐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감별부(20), 상기 감별부(20)를 거친 후 입금된 지폐가 일시적으로 수납되는 일시저장부(30), 상기 일시저장부(30)에 저장된 지폐 중 상기 감별부(20)에서 위조권으로 판별된 지폐가 회수되는 위권회수부(40), 출금 지폐 중 상기 감별부(20)에서 리젝트권으로 판별된 지폐가 일시저장부(30)에 일시 저장된 후에 다시 회수되어 저장되는 리젝트박스(50),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출금 요청이 있을 경우 지폐를 반출함으로써 환류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 개의 리사이클박스(6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박스(50)와 리사이클박스(60)에는 현금이 수납되므로, 수납된 현금을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하고 외부의 무단 침입을 방어하기 위하여 리젝트박스(50)와 리사이클박스(60) 둘레에는 통상 철재로 구성된 금고 외벽(70)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의 외벽(70) 구조는 외부의 무단 침입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견딜 수 있는 견고한 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국가에 따라서 금고의 외벽(70)이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시간을 측정하여 일정 시간 이상을 견뎌야만 제품의 품질을 인증하는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철재로 구성된 외벽(70) 구조에 의하면, 그 중량이 과다해질 뿐만 아니라 외부의 침입자가 헤머나 드릴을 이용하여 외벽(70)을 파괴하거나 산소용접기 등의 화력을 이용하여 침입할 경우 외벽(70)의 견고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외부 침입이 감지된 후에 경찰이나 안전업체 직원이 출동하기 까지 시간을 지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금고의 외벽(70)을 구성함에 있어서 외벽(70)의 내측 플레이트와 외측 플레이트를 철재로 구성하고, 그 내측 공간에는 철편으로 구성된 보강구조물을 용접으로 결합한 후에 보강섬유 등의 충진재를 콘크리트와 혼합시켜 타설하고 양생하는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벽(70) 구조에 의하면, 외벽(70)의 경량화 및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기 보강구조물의 용접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금고 내부의 보안을 위한 로킹장치를 외벽(70)의 내측에 결합하는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외부 침입자의 공격으로부터 금고의 외벽이 일정 시간 이상 파손되지 않고 버팀으로써 경찰 또는 안전업체 직원의 출동시까지 시간적 여유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조적 견고함을 구비함과 동시에 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내부구조물의 설치가 용이한 금고 외벽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침입자의 공격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상 파손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소형 및 경량 제작이 가능한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은 견고하고 소형·경량화된 외벽 구조를 구현함에 있어서 수반되는 금고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과 외벽 간의 결합구조의 복잡성을 해소함으로써, 내부구조물과 외벽 간의 결합구조를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고의 외벽 구조는, 금고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플레이트;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이격 배치되고, 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몸체부가 구비된 내측 플레이트;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에 각각 외측단과 내측단이 결합되고,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구조물; 및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내측 플레이트 사이에 강성 강화를 위해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체결몸체부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측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내측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몸체부의 내측에는 금고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을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내측단에 맞닿는 판상의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내측 플레이트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맞닿는 판상의 제2플레이트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개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구조물의 외측단과 내측단은 각각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1플레이트부의 외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구조물의 외측단과 내측단은 각각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에 맞닿는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구조물의 외측단과 내측단의 수평부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를 기준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절곡된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 사이의 공간에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 사이의 관통면에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수평부 또는 경사부가 하나 이상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콘크리트와 보강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재는 상기 보강구조물과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채워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의 제조방법은, 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몸체부를 내측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 사이에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강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구조물이 설치된 외측 플레이트와 내측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강성 강화를 위한 충전재를 채우고 고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보강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구조물의 외측단과 내측단은 각각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측 플레이트에 체결몸체부를 먼저 설치하고, 체결몸체부의 외측을 덮는 고정부재를 설치한 후에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 사이에 보강구조물의 양단이 용접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 플레이트와 내측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충전재를 타설하여 외벽 구조를 완성함으로써, 보강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용접 공간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금고 외벽의 소형·경량 제작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금고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과 외벽 간의 결합구조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금융자동화기기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고 외벽의 일면을 외측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 외벽의 일면을 내측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금고의 외벽 구조에 금고의 내부구조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 내에 구비되는 보강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 내에 구비되는 보강구조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금고 외벽의 일면을 외측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 외벽의 일면을 내측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금고의 외벽 구조에 금고의 내부구조물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는, 금고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플레이트(110)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110)의 내측으로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이격 배치되고, 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170, 도 5 참조)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몸체부(151)가 구비된 내측 플레이트(120)와, 상기 체결몸체부(151)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12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40)와, 상기 외측 플레이트(110)와 고정부재(140)에 각각 외측단과 내측단이 결합되고, 도 2를 기준으로 한 횡방향의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구조물(130) 및 상기 외측 플레이트(110)와 내측 플레이트(120) 사이에 강성 강화를 위해 채워지는 충전재(160, 도 4, 도 5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측 플레이트(110), 내측 플레이트(120), 보강구조물(130) 및 고정부재(14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강성이 우수한 스틸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체결몸체부(1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외측단이 상기 고정부재(140)와 내측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결합되고, 상기 체결몸체부(151)의 내측에는 금고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170)을 고정하는 체결부재(153)가 결합되는 체결공(15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부재(153)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스크류가 사용되고, 상기 체결몸체부(151)의 체결공(152)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부재(153)의 수나사산에 치합되는 형상의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153)에 의해 내부구조물(170)의 양측단이 내측 플레이트(12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140)는 보강구조물(130)이 외측 플레이트(110)와 내측 플레이트(120) 사이 공간에 용접 결합될 수 있는 용접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즉, 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170)을 내측 플레이트(120)에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체결몸체부(151)가 내측 플레이트(120)를 관통하여 고정부재(140)와 내측 플레이트(120) 사이 공간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됨에 따라서, 보강구조물(130)의 내측단(135, 도 6 참조)과 내측 플레이트(120)가 맞닿는 용접 공간이 체결몸체부(151)가 구비된 위치에는 마련될 수 없는 구조가 되므로, 상기 체결몸체부(151)가 구비된 위치의 외측을 덮는 형상으로 고정부재(140)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140)의 외측면에 보강구조물(130)의 내측단(135)이 용접 가능한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고정부재(140)는 보강구조물(130)의 내측단(135)에 맞닿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판상의 제1플레이트부(141)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1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플레이트부(141)의 양측단으로부터 내측 플레이트(120)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142)와, 상기 지지부(142)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내측 플레이트(120)에 맞닿는 제2플레이트부(14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140)는 도 2와 도 3을 기준으로 내측 플레이트(120)에 상하로 이격된 위치에 횡방향으로 4개소에 구비되며, 중간의 2개소에는 상기 체결몸체부(151)의 외측을 덮는 위치에 설치되고, 내측 플레이트(120)의 상부와 하부에도 1개소씩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140)와 내측 플레이트(120) 간에는 용접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120)와 맞닿는 제2플레이트부(143)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4개소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40)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플레이트부(141)에는 보강구조물(130)의 내측단(135)이 맞닿아 용접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40)의 양측부는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지지부(142)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지지부(142)들 사이사이의 개방부를 통해 충전재(160)가 고정부재(140)의 내측 공간에도 채워지게 된다.
상기 충전재(160)는 콘크리트, 또는 콘크리트와 보강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는 중량이 가볍고 양생 기간이 짧은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 내에 구비되는 보강구조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 내에 구비되는 보강구조물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보강구조물(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단(133)과 내측단(135)은 각각 상기 외측 플레이트(110)의 내측면과 고정부재(140)의 제1플레이트부(141)의 외측면에 맞닿는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단(133)의 일단과 내측단(135)의 일단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를 기준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절곡된 경사부(13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단(133)의 타단에는 경사부(132)와 수평부(131)가 추가로 절곡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보강구조물(130)의 절곡된 형상 구조에 의하면, 절곡부의 내측공간(136,137,138,139)으로 콘크리트 등의 충전재(160)가 조밀하게 채워져서 단단하게 고착되므로 강성이 높아져 외부의 침입에 대한 저항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구조물(130)은 외측 플레이트(110)와 고정부재(140) 사이의 공간에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외측 플레이트(110)와 고정부재(140) 사이를 관통하는 가상의 관통면 상에는 상기 보강구조물(130)의 수평부(131,133,135) 또는 경사부(132,134)가 하나 이상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외부의 침입자가 헤머나 드릴 등의 침탈 공구를 이용하여 외측 플레이트(110)에서 내측 플레이트(120)를 향하여 어떠한 각도에서 공격을 시도하더라도 외측 플레이트(110)와 고정부재(140) 사이의 관통면에는 상기 보강구조물(130)이 중첩되어 위치하게 되므로 침탈에 의한 파손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보강구조물(130)의 수평부(131,133,135)와 경사부(132,134) 사이의 절곡된 경사각이 대략 70°를 이루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 것이지만, 상기 보강구조물(130)은 도 7의 (a)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각이 60°,80°,100°,120°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외측단과 내측단의 수평부 사이에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라면 기타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금고의 외벽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 및 금고의 수납공간에 내부구조물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170)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몸체부(151)를 내측 플레이트(120)에 결합한다(S 10).
이 경우 내측 플레이트(120)와 체결몸체부(151) 간의 결합은, 내측 플레이트(120)에 체결몸체부(151)가 삽입될 홀을 형성하고, 상기 홀의 내측으로 체결몸체부(151)를 억지끼움이나 나사결합시키거나 또는 홀의 내측으로 체결몸체부(151)를 삽입하고 체결몸체부(151)와 내측 플레이트(120) 간의 연결부위를 용접 결합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120)에 체결몸체부(151)를 결합한 후에는, 상기 체결몸체부(151)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내측 플레이트(120)에 고정부재(140)를 결합한다(S 20). 이때, 상기 고정부재(140)는 체결몸체부(151)의 외측을 둘러싸는 위치 이외에 보강구조물(130)과 용접 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안정적인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측 플레이트(120)의 상부와 하부에 추가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플레이트(120)에 고정부재(140)의 설치가 완료되면, 외측 플레이트(110)의 내측면과 고정부재(140)의 외측면에 보강구조물(130)의 외측단과 내측단이 각각 맞닿도록 위치시키고 용접 결합한다(S 30).
상기 보강구조물(130)이 결합된 후에는, 체결몸체부(151)와 고정부재(140) 및 보강구조물(130)이 설치된 외측 플레이트(100)와 내측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와 보강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구성된 충전재(160)를 채우고, 일정 시간의 양생 과정을 거쳐 금고의 외벽 구조를 완성한다(S 40).
이와 같이 금고의 외벽 구조가 완성되면, 체결부재(153)와 체결몸체부(151) 간의 결합에 의해 내부구조물(170)을 내측 플레이트(120)에 결합시킨다(S 50).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내측 플레이트(120)에 고정부재(140)를 설치함으로써 내부구조물(170)의 결합을 위한 체결몸체부(151)를 내측 플레이트(120)에 설치함에 따라 보강구조물(130)의 용접 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외측 플레이트(110)와 내측 플레이트(120) 사이 공간에 수평부와 경사부로 이루어진 절곡된 형상의 보강구조물(130)을 안정적으로 용접결합할 수 있고, 상기 보강구조물(130)과 고정부재(140)의 둘레 및 고정부재(140) 내측 공간 전체에 충전재(160)가 타설 및 고착되어 견고한 금고 외벽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벽의 내부를 콘크리트와 보강섬유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충진재(160)로 구성함으로써 금고 외벽의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외벽의 두께를 비교적 얇게 구성하면서도 견고한 구조의 금고 외벽을 제작할 수 있게 되므로 금고 외벽의 소형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현금이 수납되는 공간을 둘러싸는 금고 외벽 뿐만 아니라 현금이나 귀중품을 보관하는 일반적인 금고의 외벽 구조에도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 : 입출금부 20 : 감별부
30 : 일시저장부 40 : 위권회수부
50 : 리젝트박스 60 : 리사이클박스
70 : 외벽 110 : 외측 플레이트
120 : 내측 플레이트 130 : 보강구조물
131,133,135 : 수평부 132,134 : 경사부
136,137,138,139 : 절곡부 내측공간 140 : 고정부재
141 : 제1플레이트부 142 : 지지부
143 : 제2플레이트부 151 : 체결몸체부
152 : 체결공 153 : 체결부재
160 : 충전재 170 : 내부구조물

Claims (9)

  1. 금고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플레이트;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소정 공간을 형성하며 이격 배치되고, 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몸체부가 구비된 내측 플레이트;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에 각각 외측단과 내측단이 결합되고,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보강구조물; 및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내측 플레이트 사이에 강성 강화를 위해 채워지는 충전재;를 포함하는 금고의 외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체결몸체부는,
    상기 내측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외측단이 상기 고정부재와 내측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몸체부의 내측에는 금고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을 고정하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외벽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내측단에 맞닿는 판상의 제1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부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내측 플레이트까지 연장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맞닿는 판상의 제2플레이트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은 상기 제1플레이트부에 의해 막혀 있고, 상기 고정부재의 양 측부는 상기 복수의 지지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외벽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물의 외측단과 내측단은 각각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제1플레이트부의 외측면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외벽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물의 외측단과 내측단은 각각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에 맞닿는 수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구조물의 외측단과 내측단의 수평부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를 기준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절곡된 경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외벽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물은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 사이의 공간에 서로 인접하도록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 사이의 관통면에는 상기 보강구조물의 수평부 또는 경사부가 하나 이상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외벽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콘크리트와 보강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재는 상기 보강구조물과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외벽 구조.
  8. 금고 내부의 수납공간에 설치되는 내부구조물을 결합하기 위한 체결몸체부를 내측 플레이트에 결합하는 단계;
    상기 체결몸체부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상기 내측 플레이트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외측 플레이트와 고정부재 사이에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보강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보강구조물이 설치된 외측 플레이트와 내측 플레이트 사이 공간에 강성 강화를 위한 충전재를 채우고 고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금고의 외벽 구조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강구조물의 외측단과 내측단은 각각 상기 외측 플레이트의 내측면과 상기 고정부재의 외측면에 용접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고의 외벽 구조의 제조방법.



KR1020100123573A 2010-12-06 2010-12-06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185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573A KR101185325B1 (ko) 2010-12-06 2010-12-06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573A KR101185325B1 (ko) 2010-12-06 2010-12-06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352A KR20120062352A (ko) 2012-06-14
KR101185325B1 true KR101185325B1 (ko) 2012-09-21

Family

ID=4668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573A KR101185325B1 (ko) 2010-12-06 2010-12-06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3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65A (ko) 2018-10-25 2020-05-07 아세아시멘트(주) 금고용 충전 모르타르
KR20240047220A (ko) 2022-10-04 2024-04-12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고용 방호벽체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20895A (zh) * 2014-12-03 2017-01-11 苏州汇诚智造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具有迷惑作用的保险箱的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379U (ja) 1984-08-09 1986-03-08 株式会社 伊藤喜工作所 金庫における壁体の構造
JP2004150179A (ja) 2002-10-31 2004-05-27 Itoki Co Ltd セキュリティパネルとその芯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379U (ja) 1984-08-09 1986-03-08 株式会社 伊藤喜工作所 金庫における壁体の構造
JP2004150179A (ja) 2002-10-31 2004-05-27 Itoki Co Ltd セキュリティパネルとその芯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6565A (ko) 2018-10-25 2020-05-07 아세아시멘트(주) 금고용 충전 모르타르
KR20240047220A (ko) 2022-10-04 2024-04-12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고용 방호벽체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352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325B1 (ko) 금고의 외벽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0895033B1 (ko)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시공방법
US9234379B2 (en) Paper sheet storage container and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JP6691880B2 (ja) プレキャスト壁高欄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AU2012218761B2 (en) Storage composite, and storage tank and permeable storage tank using same
US11594109B2 (en) Secure safe apparatus and system
JP2015001149A (ja) 防護柵
KR20130037882A (ko) 금고용 도어
JP6050968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物へのアンカー設置工法
JP4187738B2 (ja) 杭頭処理用キャップ及び二重鉄筋篭の上部への杭頭処理用キャップの取り付け方法
US10540859B2 (en) ATM/vending machine armor
KR101863300B1 (ko) 보강블럭을 이용한 옹벽패널 시공방법
CN104685548B (zh) 具有两个锁止单元的钱箱
US11724874B2 (en) Construction element for a container, door for a container and a container
KR101867842B1 (ko) 금고
JP2009215789A (ja) 補強構造
KR20240047220A (ko) 금고용 방호벽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559540B1 (ko) 토류벽시스템용 토류벽체
CN114775579B (zh) 用于码头建设施工的管桩以及桩基结构
IT201800005647A1 (it) Dispositivo di sicurezza da deflagrazione o detonazione di ordigni esplosivi per sportelli automatici, sportello automatico protetto e metodo di protezione di un ambiente chiuso dalla deflagrazione o detonazione, mediante ordigno, di uno sportello automatico
CN108412522A (zh) 地下工程墙体洞门加固结构及其施工方法
CN216475603U (zh) 一种抗剪结构
JP4452104B2 (ja) 自動販売機
US11674349B2 (en) Slim profile safe
JP2007177529A (ja) 法面拘束アンカー補強土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