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760B1 -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760B1
KR101184760B1 KR1020110016042A KR20110016042A KR101184760B1 KR 101184760 B1 KR101184760 B1 KR 101184760B1 KR 1020110016042 A KR1020110016042 A KR 1020110016042A KR 20110016042 A KR20110016042 A KR 20110016042A KR 101184760 B1 KR101184760 B1 KR 101184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mobile terminal
terminal management
emergency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6757A (ko
Inventor
안삼주
정혁진
안형철
고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가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가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가온
Priority to KR102011001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7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9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검색하여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과 소정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을 하며, 재난?재해 상황정보와 대응 정보를 전달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요청하는 처리 명령을 수행하고 재난?재해 위치로 자동 길 안내를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와 연동되어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경로 탐색,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콘텐츠로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 각각 연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와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처리하는 동기화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delivering urgent disaster information and method}
본 발명은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 상황실에서 재난?재해?응급관련 대응 및 대피용 모바일 단말에 긴급 재난정보와 발생위치를 전송하면, 재난?재해?응급관련 대응용 단말은 수신된 재난상황정보를 확인하면 재난 발생위치로 자동으로 길안내를 하여 신속한 업무 처리를 유도하고, 대피용 단말은 위험지역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관련 안내 정보를 전송받아 우회하거나 대피할 수 있는 긴급 재난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재난과 관련된 정보의 형태는 날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다. 과거 재난 정보는 방송사 ENG 영상과 중계차 영상, 재난관련 기관에서 발표하는 자료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지금은 재난 현장의 각종 CCTV, 스마트폰 등을 이용한 다양한 텍스트와 영상 등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활용해 재난방송을 할 수 있는 플랫폼도 TV와 라디오뿐 아니라 DMB, 데이터 방송, 인터넷, 모바일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CBS를 이용한 재난문자방송은 2004년 12월 소방방재청과 KTF, LGT가 관련 협정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의 서비스는 강원, 경기 및 경북 지역을 대상으로 한 시범서비스가 운영되었으며, 2005년 5월 SKT와 협정을 최종적으로 체결하면서 전국 단위의 서비스를 시행하였고, 소방방재청은 2006년 9월 휴대폰 재난문자방송 자체시스템을 구축해 본격적으로 재난문자방송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재난 방송은 재난 현장의 생생한 모습을 보여주고 재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재난방송의 1차적인 역할은 지금까지 수행하고 있지만, 긴급 재난?재해 상황에 따른 재난?재해?응급관련 차량이나 재난 관리자의 대응과 관련하여 재난 현장이나 재난?재해?응급관련 대응 및 대피 단말 등에 긴급 재난?재해 정보를 전달하고, 실시간으로 재난 관리자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에 대한 긴급 재난?재해 상황 정보 전달을 소외없이 전달하는 데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상황실에서 재난?재해 정보와 재난?재해 발생 위치를 재난?재해?응급관련 대응 및 대피용 모바일 단말에 긴급 재난?재해 정보와 발생위치를 전송하면, 상황실에서 요청하는 처리 명령을 처리하고 재난?재해 위치로 자동으로 길안내를 수행하며, 재난?재해?응급관련 단말 등의 위치를 GPS를 통하여 획득하여 실시간으로 상황실로 전달하여 재난?재해 진행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재난?재해에 대해 신속히 대응할 수 있으며, 재난?재해 지역의 주민이나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민원에게는 대피 또는 우회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은,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검색하여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과 소정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을 하며, 재난 재해 상황정보와 대응 정보를 전달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요청하는 처리 명령을 수행하고 재난 재해 위치로 자동 길 안내를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와 연동되어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경로 탐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콘텐츠로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 각각 연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와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처리하는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전송 주기 변경을 요청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 맵핑부에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업무동태변경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재난?재해 변경내역정보 통지를 요청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는 상기 재난?재해 변경내역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방법은,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로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수신 확인을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수신된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콘텐츠로 표출하고 모바일 단말 맵핑부에 연동하여 재난 재해 발생위치로 경로탐색을 요청하여 자동 길안내를 처리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의 업무동태 변경 정보,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 서버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전송 주기 변경을 요청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서버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로 위치정보 전송 주기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에서 위치 정보 전송 주기 변경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난?재해 진행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것으로, 긴급 상황에 즉시 대처하는 재난관리자, 재난담당자 및 대국민에 대한 재난?재해 긴급상황 정보전달이 소외없이 이루어지게 되고, 즉시 긴급상황에 대처하여 재난?재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긴급상황정보 전달대상자인 재난담당자 및 대국민에 다양한 정보전달 매체와 더불어 모바일 단말을 통한 정보전달을 통해서 언제 어디서나 긴급상황정보를 접할 수 있어 담당자에게는 신속한 재난처리가 가능하고, 대국민에게는 신속한 재난?재해 대처로 인명 및 재산피해의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재난?재해?응급관련 업무에 활용되는 모바일 단말 구성 개략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재난?재해?응급관련 대응 및 대피용 모바일 단말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와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의 프레임 플로우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와 모바일 단말 제어패널과 맵핑부의 프레임 플로우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의 처리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난?재해의 대응과 대피적인 측면에서 대피는 대응의 일부분으로 처리될 수 있는 부분이므로 재난?재해의 대응에 해당하는 대용을 중심으로 기술하는 것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은,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 상기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검색하여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과 소정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을 하며, 재난?재해 상황정보와 대응 정보를 전달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에서 요청하는 처리 명령을 수행하고 재난?재해 위치로 자동 길 안내를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와 연동되어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경로 탐색,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콘텐츠로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5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40)와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에 각각 연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와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처리하는 동기화 서버(1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는 CDMA, Wibro, WCDMA, Wi-Fi, TRS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과 일반 무선 통신을 활용하여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와 통신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재난?재해?응급관련 대응 및 대피용 모바일 단말에 결합 연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모바일 단말에 구성된 통신관리 에이전트에서 소정의 프로토콜 통신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30)로부터 전송하는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모바일 단말 맵핑부(50)로 전달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에서 요청하는 명령을 처리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는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 등의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검색한다.
상기 동기화서버(10)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 클라이언트 등록, 재난?재해 상황정보 변경, 재난?재해?응급관련 업무 동태 현황, 위치 전송 주기 변경,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가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로 요청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재난?재해?응급관련 대응 및 대피용 모바일 단말 구성의 실시 예를 나타낸다.
재난?재해?응급관련 대응 및 대피용 모바일 단말(120)은 기본적으로 제어패널(100), 입력부(70), 출력부(80), 제어부(60), 모바일 단말 맵핑부(50), GPS모듈(90)을 비롯하여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0)로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상기 기술된 부분을 포함하여 모바일 단말(120)에 연동된다.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상기 모바일 단말(120)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고, 모바일 단말(120)과 결합하는 별도의 모듈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패널(100)은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와 연계하여 업무동태현황, 재난재해의 종류, 통신 상태 등의 기본 정보 표출하여 현재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필요시에 관리 클라이언트를 호출하여 재난재해관련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입력부(70)는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20)을 조작하기 위하여 데이터 입력 또는 모드 선택을 위한 것이고, 출력부(80)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처리된 모든 컨텐츠를 표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60)는 모바일 단말(120)에서 입력, 출력, 통신, 데이터 맵핑과 관련된 제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가 모바일 단말(120)로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달과 그 응답 처리에 관한 모바일 단말의 구성요소를 전체적으로 제어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재난?재해?응급관련 대응 및 대피용 모바일 단말 화면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120)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를 통하여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출력부(80)는 재난?재해 상황정보 창과 모바일 단말 맵 창을 분리하여 표출한다.
상기 재난?재해 정보상황정보 창은 재난?재해 발생위치, 재난?재해 발생시간, 재난?재해 피해예상지역, 대피경로, 재난?재해 상황특이사항 등을 보여주는 동시에, 상기 모바일 단말 맵핑부(50)는 상기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편집하여 모바일 단말 맵으로 표출하여 주고, 재난?재해 발생위치로 자동 길 안내 또는 우회?대피 경로 등의 표출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출력부(80)는 재난?재해 내용수신 확인여부 메시지를 화면상에 표출하여 수신확인 메시지를 응답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와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의 프레임 플로우의 일실시예이다.
도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서버(30)는 모바일 단말 단말과 연동된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로부터 업무 지령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40)에서 재난?재해 상황을 검색하고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포함한 업무 지령을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부터 재난?재해?응급관련 단말의 위치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40)에 업무 지령을 요청받은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를 저장하고, 모바일 단말 위치를 동기화 서버(10)로 전송하여 준다.
이때, 동기화 서버(10)는 상기 업무 지령을 요청받은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전송 주기변경을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 요청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전송 주기변경 요청을 전달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을 통해 업무 동태 변경을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 전송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는 동기화 서버(10)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업무동태변경을 전송한다.
상기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업무 동태변경은 다음과 같은 업무 동태코드(차량 중심의 예시)를 통하여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현장 업무 처리 진행 상황을 전송하여 재난?재해에 대한 업무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업무동태코드 업무 동태 설명
'101' 재난?재해?응급 현장 출동 중
'102' 재난?재해?응급 현장 도착
'201' 응급환자 병원이송 중
'202' 병원 도착
'801' 정비(고장 수리 중)
'901' 복귀 중
'000' or '902' 복귀 완료/대기
상기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업무 동태변경을 확인한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기화 서버(10)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 메시지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동기화서버(10)는 재난?재해 변경을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 통지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는 데이터베이스(30)에서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다시 검색하여 재난?재해 내역변경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서버(10)는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 접속하려는 클라이언트 등록을 요청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도4에서, 메시지 프레임 뒤에 숫자를 표시하여 메시지 응답유형코드의 종류로서 요청과 응답, 전달로 구분하고, 응답요청: 1, 응답 : 2, 응답불필요: 3을 각각 나타낼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와 모바일 단말 제어패널(100)과 맵핑부(50)의 프레임 플로우의 일실시예이다.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모바일 단말 제어패널(100)로부터 통신 연결 또는 해지 요청을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 제어패널(100)로 통신연결 상태변경에 따른 ON/OFF 표시를 요청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전송 주기변경 요청을 자체적으로 저장한 후 모바일 단말 맵핑부(50)로 전송하여 처리 요청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50)로 위치정보를 요청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 맵핑부(50)는 재난?재해?응급관련 단말의 위치 정보를 속도, 좌표와 현재시간을 포함 정보를 GPS부로부터 획득하여 응답 전송한다.
한편, 모바일 단말 제어패널(100)이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로 제어패널의 아이콘으로 클라이언트 구동을 요청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 화면으로 전환하여 재난?재해?응급관련 업무 파악에 필요한 각종 부가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업무 동태는 도4와 관련하여 설명된 업무 동태현황으로써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가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 전송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실시간 현장 상황에 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재난?재해 종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가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로 전송한 재난?재해 내역변경정보로서, 지령 전송 테이블에 저장되어있는 맵핑 코드 문자열의 예시로서 1: '화재(산불)' 2: '홍수'(침수) 3: '지진' 4: '태풍' 5: '붕괴(산사태)' 6: '구급'(구조) 7: '테러' 8: '기타' 등과 같은 내용에 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부터 수신하면 지령의 내용에서 좌표/주소를 추출하여 경로탐색 요청을 모바일 단말 맵핑부(50)로 요청하면, 모바일 단말 맵핑부(50)는 수신된 정보에 따라 자동 길 안내를 처리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 제어패널(100)이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로 아이콘으로 클라이언트 구동을 요청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모바일 단말 클라이언트 화면 전환을 수행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의 처리 순서도이다.
상기 도6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는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로 긴급 재난?재해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S10).
다음으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데이터베이스(40)에서 검색된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포함한 업무 지령을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 관리서버에서 발송되는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수신 확인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준다(S20).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수신된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는 모바일 단말(120)의 출력부(80)에서 재난?재해 상황정보 창과 재난?재해 상황정보가 편집된 모바일 단말 맵 창으로 표출되고, 재난?재해 발생 위치로 자동 길 안내를 수행 처리하게 된다(S30, S40).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재난?재해?응급관련 업무 동태변경 정보와 모바일 단말 맵핑부(50)로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응답받고 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20)로 전송하게 된다(S50).
또한,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의 동기화 서버(10)는 모바일 단말 관리서버(20)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단말의 위치 전송 주기 변경을 요청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서버(20)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로 위치 전송 주기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30)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50)에서 위치 전송 주기 변경을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동기화 서버 20 :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30 :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 40 : 데이터베이스
50 : 모바일 단말 맵핑부 60 : 제어부
70 : 입력부 80 : 출력부
90 : GPS부 100 : 제어 패널
110 : 통신부 120 : 모바일 단말

Claims (6)

  1. 삭제
  2.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검색하여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과 소정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을 하며, 재난 재해 상황정보와 대응 정보를 전달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요청하는 처리 명령을 수행하고 재난 재해 위치로 자동 길 안내를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와 연동되어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경로 탐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콘텐츠로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 각각 연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와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처리하는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전송 주기 변경을 요청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 맵핑부에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3.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검색하여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과 소정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을 하며, 재난 재해 상황정보와 대응 정보를 전달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요청하는 처리 명령을 수행하고 재난 재해 위치로 자동 길 안내를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와 연동되어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경로 탐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콘텐츠로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 각각 연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와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처리하는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업무동태변경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4.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검색하여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과 소정 프로토콜을 통한 통신을 하며, 재난 재해 상황정보와 대응 정보를 전달하고 그 응답을 수신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서 요청하는 처리 명령을 수행하고 재난 재해 위치로 자동 길 안내를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와 연동되어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 정보 제공, 경로 탐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콘텐츠로 표출하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에 각각 연동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와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처리하는 동기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화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재난?재해 변경내역정보 통지를 요청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는 상기 재난?재해 변경내역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5. 삭제
  6.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로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수신하여 수신 확인을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수신된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를 콘텐츠로 표출하고 모바일 단말 맵핑부에 연동하여 재난 재해 발생위치로 경로탐색을 요청하여 자동 길안내를 처리하는 단계;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의 업무동태 변경 정보, 위치정보를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동기화 서버는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로 재난?재해?응급관련 모바일 단말의 위치정보 전송 주기 변경을 요청하면,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서버는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로 위치정보 전송 주기 변경을 요청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 관리 클라이언트는 모바일 단말 맵핑부에서 위치 정보 전송 주기 변경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재난 재해 상황정보 전송 방법.
KR1020110016042A 2011-02-23 2011-02-23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184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42A KR101184760B1 (ko) 2011-02-23 2011-02-23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6042A KR101184760B1 (ko) 2011-02-23 2011-02-23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57A KR20120096757A (ko) 2012-08-31
KR101184760B1 true KR101184760B1 (ko) 2012-09-20

Family

ID=46886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6042A KR101184760B1 (ko) 2011-02-23 2011-02-23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943A (ko) 2017-01-13 2017-02-10 이도훈 모바일과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419B1 (ko) 2015-01-16 2015-08-24 장부중 위치정보 수집이 필요 없는 재난알림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재난알림 서버,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US10234563B2 (en) 2015-05-27 2019-03-19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Method for displaying disaster and safety information, and portable device
KR102248194B1 (ko) 2020-10-12 2021-05-06 주식회사 리코디오코리아 대피소를 활용한 재난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05B1 (ko) * 2003-12-24 2006-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관리 공간영상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2007135000A (ja) 2005-11-10 2007-05-31 Nippon Hoso Kyokai <Nhk> 災害情報配信装置及び端末装置
JP2009288843A (ja) 2008-05-27 2009-12-10 Seiko Epson Corp サーバシステム、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避難通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905B1 (ko) * 2003-12-24 2006-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재난관리 공간영상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JP2007135000A (ja) 2005-11-10 2007-05-31 Nippon Hoso Kyokai <Nhk> 災害情報配信装置及び端末装置
JP2009288843A (ja) 2008-05-27 2009-12-10 Seiko Epson Corp サーバシステム、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避難通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943A (ko) 2017-01-13 2017-02-10 이도훈 모바일과 트랜스폰더를 이용한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757A (ko) 201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23038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KR101184760B1 (ko) 긴급 재난재해 상황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12080482A (ja) サーバ、端末、機器およびそれらの紐付け方法、紐付けプログラム
CN103918285A (zh) 向移动设备传递动态疏散信息
JP2003256963A (ja) 消防緊急情報システム及びその処理プログラム
CN102868966A (zh) 安否确认系统和用于该系统的便携终端以及安否确认方法
CN102387216B (zh) 基于关系对象的信息分享方法
EP3764629B1 (en) Mobile terminal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3969113B2 (ja) 緊急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情報端末、並びに緊急情報通知サービス方法
US8909264B1 (en) Server system for receiving, processing and reporting sensor data
CN111552904A (zh) 一种电网运行信息智能发布系统
CN104377835A (zh) 一种配电防误智能终端
TW201041421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 service
CN103179463A (zh) 天气预报信息的查询方法和电视机
CN104243483A (zh) 一种消息处理方法和装置
CN103632512A (zh) 一种居家养老系统的界面启动方法
KR101932179B1 (ko) 기록매체에 저장된 사용자 프로그램, 이를 포함하는 피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310004B1 (ko) 안전 체험시 사용가능한 대피 경로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대피 경로 제공 방법
CN110440803B (zh) 多屏导视方法及系统
CN104166693B (zh) 一种配电设备管理系统的数据信息同步方法
JP2009140259A (ja) 避難支援情報提供方法及び装置
JP2019067120A (ja) サービス予約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サービス予約方法
KR20060129840A (ko) 개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휠체어 이송수단 제어 시스템및 방법
CN115334062B (zh) 一种基于混合现实技术的数字化工厂巡检系统
KR102345174B1 (ko) 대화형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