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249B1 -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 Google Patents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4249B1 KR101184249B1 KR1020120023484A KR20120023484A KR101184249B1 KR 101184249 B1 KR101184249 B1 KR 101184249B1 KR 1020120023484 A KR1020120023484 A KR 1020120023484A KR 20120023484 A KR20120023484 A KR 20120023484A KR 101184249 B1 KR101184249 B1 KR 1011842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reinforcing bar
- pressure member
- reinforcing
- re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04C5/122—Anchoring devices the tensile members are anchored by wedge-a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는, 일방향으로 철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철근의 마디돌기가 끼워지는 철근마디수용홈이 구비되어 마디돌기를 수용한 상태로 안착되게 하는 정착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철근의 수용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삽입되고, 상기 철근에 압력을 제공하여 정착몸체와 철근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압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착몸체는, 상기 마디돌기가 끼워져 철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접합되어 안착부의 개구된 일부를 차폐하며 상기 압력부재를 간섭하여 안착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차폐부와, 상기 안착부 및 차폐부와 동시에 접합되고, 상기 안착부 및 차폐부가 형성하는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제공하는 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에 가공을 요하지 않고 간소한 공정으로 정착 가능하며, 정착 후 외부의 충격에 의한 철근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정착강도 및 철근 단부의 삽입 깊이가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성요소의 개수를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정착부의 단부에서 넓은 공간을 활용하여 압력부재를 타격함으로써 철근과 철근정착장치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한 철근장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사용되는 철근은 단부를 갈고리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하중으로 인한 인장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철근의 정착 방법으로 철근의 단부를 U자 또는 L자 형상으로 굽혀서 정착부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착부에는 다른 철근과 묶음부재로 결합된다.
그러나, 철근의 단부를 U자 또는 L자 형상으로 굽혀서 정착하는 경우 부피가 커져 좁은 장소에서의 시공이 곤란하고, 굽혀진 부분은 결국 철근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제10-2009-0007858호에는 "정착부가 부착된 철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종래 기술은 철근의 단부 영역을 가열하고, 가열된 단부영역을 축선 방향으로 압축하여 외경이 증대되도록 소셩변형시키는 열간 업세팅을 실시함으로써 정착부가 되는 확경부를 철근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철근의 단부에 정착부를 형성하기 위한 열간 업세팅 장비가 필요하며, 시공 현장에서 확경부를 성형하는데에는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 원가를 높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확경부 형성을 위해 철근의 단부를 철근재료의 Ac3 변태점 이상 1200℃이하의 온도로 가열해야 하므로, 높은 열로 인한 조직의 변경을 야기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0312752호에는 "네일 장착구조" 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네일 장착구조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철근(10)의 외면에 안착되도록 요홈(31)이 형성된 한 쌍의 웨지(20,30)와, 상기 한 쌍의 웨지를 결속하는 오링(40)과, 상기 웨지(20,30)를 내부에 수용하여 압축력을 발생하는 체결구(50)와, 상기 체결구(50)의 수나사(53)와 결합하는 체결너트(70)와, 상기 체결너트(70)의 외측에서 수나사(53)와 결합하여 체결너트(70)와 체결구의 이탈을 방지하는 캐너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철근을 정착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즉, 부품의 개수가 많아 결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 기간을 연장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철근 하나 당 정착하기 위한 비용(부품 비용,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결국 공사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65617호에는 도 2와 같은 구조의 철근용정착체(1)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한 쌍의 정착조각(3) 내부에 형성된 홈(5)에 철근(7)의 마디(8)를 안착한 상태에서 차양부(4)를 가진 외통(2)의 내부로 삽입하여 정착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 2에서 볼 때 외통(2)에 대하여 좌측 방향의 충격이 가해지거나, 정착조각(3)에 대하여 우측 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정착조각(3)과 외통(2)은 서로 이탈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근에 가공을 요하지 않고 간소한 공정으로 정착 가능하며, 정착 후 외부의 충격에 의한 철근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정착강도 및 철근 단부의 삽입 깊이가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한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성요소의 개수를 간소화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정착부의 후면에서 빈 공간을 활용하여 압력부재를 타격함으로써 철근과 철근정착장치의 체결 편리성이 극대화되도록 한 철근장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착이 요구되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정착부 중 택일하여 구비함으로써 시공 요건에 폭넓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는, 일방향으로 철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철근의 마디돌기가 끼워지는 철근마디수용홈이 구비되어 마디돌기를 수용한 상태로 안착되게 하는 정착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철근의 수용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삽입되고, 상기 철근에 압력을 제공하여 정착몸체와 철근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압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착몸체는, 상기 마디돌기가 끼워져 철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접합되어 안착부의 개구된 일부를 차폐하며 상기 압력부재를 간섭하여 안착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차폐부와, 상기 안착부 및 차폐부와 동시에 접합되고, 상기 안착부 및 차폐부가 형성하는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제공하는 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부재는, 상기 정착부의 후방에서 정착부를 관통하여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천공되어 상기 정착몸체 내부에 삽입된 철근의 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단부확인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부재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철근에 제공하는 체결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체결력표시부와, 상기 철근 외면과 걸림 구속함으로써 상기 정착몸체로부터 압력부재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착부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천공되어 상기 압력부재의 삽입 위치 및 방향을 안내하는 삽입안내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부 일측에는, 상기 압력부재와 철근의 결합력을 차폐부 외부에서 육안 확인하기 위한 체결력확인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부재의 외면과 차폐부의 내주면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는, 상기 차폐부의 단부와 대응하는 외형 크기를 갖는 확장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정착몸체에 대하여 압력부재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지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은 철근정착장치의 일 구성인 정착몸체에 구비된 수용공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철근을 삽입하고, 수용공간에 구비된 철근마디수용홈에 철근의 마디돌기를 삽입하여 수용공간에 철근을 안착하는 철근안착단계와, 상기 정착몸체에 천공된 단부확인공을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철근 단부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단부확인단계와, 상기 정착몸체의 후단부에 구비된 정착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압력부재를 타격하여 일부가 정착부를 관통하도록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철근과 정착몸체를 결합하는 철근압착단계와, 상기 정착몸체 일측에 구비된 체결력확인홀과 단부확인공을 통해 철근정착장치와 철근 사이의 체결력 크기와 철근의 단부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검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안착단계에서, 상기 철근은 수용공간에 삽입시에 정착부와 접촉하여 삽입 깊이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압착단계는, 상기 정착부 일측에 천공된 삽입안내구에 압력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철근과 수용공간 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 철근을 가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철근압착단계는, 상기 압력부재의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와 마디돌기를 걸림구속하여 압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단계에서, 상기 철근과 철근정착장치 사이의 체결력 크기는 압력부재 외면에 구비된 체결력표시부의 일부가 체결력확인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는, 철근에 가공을 요하지 않고 간소한 공정으로 정착 가능하며, 부품의 개수가 간소하여 사용편의성 및 보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착 후 외부의 충격에 의한 철근의 이탈이 방지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정착강도 및 철근 단부의 삽입 깊이가 확인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정착부의 후면에서 빈 공간을 활용하여 압력부재를 타격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여 체결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정착이 요구되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정착부 중 택일하여 구비함으로써 시공 요건에 폭넓게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용정착체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에서 정착몸체의 결합 전 단품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에서 일 구성인 압력부재의 내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서 일단계인 철근안착단계 전 철근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서 일 단계인 철근안착단계가 완료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서 일 단계인 철근압착단계가 진행 중 내부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서 일 단계인 철근압착단계 완료 후 검사단계를 실시하는 원리를 설명한 종단면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철근용정착체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에서 정착몸체의 결합 전 단품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에서 일 구성인 압력부재의 내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서 일단계인 철근안착단계 전 철근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서 일 단계인 철근안착단계가 완료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서 일 단계인 철근압착단계가 진행 중 내부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서 일 단계인 철근압착단계 완료 후 검사단계를 실시하는 원리를 설명한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는 내부가 좌측 방향으로 개구된 정착몸체(120)의 수용공간(110) 내부에 철근(F)의 단부를 삽입하여 안착하고, 이후 철근(F)의 삽입 반대 방향(정착몸체(120)의 후면에서 전방으로)에서 수용공간(110) 내부로 압력부재(160)를 타격하여 삽입함으로서 철근(F)의 정착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 정착몸체(120)의 외면 상부에 천공 형성된 체결력확인홀(142)을 통해 노출되는 체결력표시부(162)의 일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철근(F)에 가해진 체결력의 크기를 가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착몸체(120) 내부에 철근(F)을 삽입한 이후에 체결력확인홀(142)을 통해 수용공간(110) 내부를 들여다 봄으로써 철근(F) 단부의 삽입 깊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철근(F)의 미삽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철근정착장치(100)는, 일방향으로 철근(F)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철근(F)의 마디돌기(F')가 끼워지는 철근마디수용홈(112)이 구비되어 철근(F)의 일부를 간섭한 상태로 안착하는 정착몸체(120)와, 상기 수용공간(110)에 철근(F)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방향으로 평행하게 삽입되고, 상기 철근(F)에 압력을 제공하여 정착몸체(120)와 철근(F)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압력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정착몸체(120)와 압력부재(160)의 상세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에서 정착몸체(120)의 결합 전 단품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에서 일 구성인 압력부재(160)의 내부면을 나타낸 사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정착몸체(120)는 철근(F)의 일단부를 내부에 수용함과 동시에 안착시켜 마디돌기(F')를 걸림 구속하고 철근(F)의 삽입 반대방향에서 압력부재(160)가 삽입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정착몸체(120)는, 상기 마디돌기(F')가 끼워져 철근(F)이 안착되는 안착부(130)와, 상기 안착부(130)와 접합되어 안착부(130)의 개구된 일부를 차폐하며 상기 압력부재(160)를 안착부(130) 방향으로 안내하는 차폐부(140)와, 상기 안착부(130) 및 차폐부(140)와 동시에 접합되고, 상기 안착부(130) 및 차폐부(140)가 형성하는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제공하는 정착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착부(130)와 차폐부(140) 및 정착부(150)는 다양한 공정으로 제조되어 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조작업이나 프레스작업을 통해 단품으로 제조되어진 후 용접 등의 접합공정을 거쳐 도 4와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는 상기 정착장치의 경우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철근(F)이 삽입 및 정착되어지더라도 장착 환경과 요구되는 정착력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두께를 가지는 정착부(150)를 선택적으로 접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보다 큰 크기의 정착부(150)를 안착부(130)와 차폐부(140)의 우측 단부에 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안착부(130)는 도 5에서 볼 때 정착몸체(1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수용공간(110)을 형성하고, 수용공간(110)에 하방향으로 철근마디수용홈(112)을 구비하여 철근(F)의 마디돌기(F')가 삽입됨과 동시에 철근(F)의 외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철근(F)의 안착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30)의 좌/우측단 내측에는 철근(F)에 우측 또는 좌측방향 힘이 가해질 때 마디돌기(F')와 접촉하여 철근(F)의 일방향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도피홈(114)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철근(F)은 안착부(130)의 철근마디수용홈(112)과 도피홈(114)에 마디돌기(F')가 삽입 또는 접촉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30)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0)과 연통하도록 천공된 단부확인공(도 8의 도면부호 132 참조)이 구비된다.
상기 단부확인공(132)은 상기 정착몸체(120) 내부에 삽입된 철근(F)의 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안착부(130)의 상부가 차폐부(140)에 의해 차폐되고, 안착부(130)의 우측단부가 정착부(150)에 의해 차폐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철근(F)이 삽입시에 단부의 위치 확인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부(130)에는 단부확인공(132)을 구비하여 정착몸체(120)의 외측에서 수용공간(110) 내부에 위치한 철근(F)의 단부를 간단하게 육안 확인이 가능하게 하였다.
상기 안착부(130)의 상측에는 차폐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차폐부(140)는 안착부(130)의 상단부와 접합되어 차폐함으로써 수용공간(110)의 천장을 형성하며, 상기 안착부(130)와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140)와 안착부(130)가 접합하게 되면, 대략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좌/우로 천공되게 형성된 관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차폐부(140)는 우측으로 갈수록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차폐부(140)는 내주면이 우측 방향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로 압력부재(160)가 삽입시에 압력부재(160)와 접촉하여 하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철근(F)에 압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폐부(140)의 상면에는 체결력확인홀(14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력확인홀(142)은 압력부재(160)와 철근(F)의 결합력을 차폐부(140) 외부에서 육안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 아래에서 설명하게 체결력표시부(16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체결력표시부(162)의 일부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력확인홀(142)은 압력부재(160)가 삽입되기 전, 안착부(130)에 안착된 철근(F)의 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도 병행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안착부(130)의 단부에는 확장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확장부(122)는 안착부(130)보다 큰 외형 크기를 가지는 구성으로, 상기 안착부(130)를 정착부(150)에 접합할 때 용접 등이 실시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확장부(122)는 도 5와 같이 수용공간(110)의 크기를 확장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마디돌기(F')가 수용될 수 있으며, 철근(F)의 단부에 형성된 버어(burr)를 간섭되지 않게 수용하기 위한 도피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장부(122)는 차폐부(140)의 우측단 외형 크기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상기 차폐부(140)와 안착부(130)의 접합시에 우측 단부가 원형을 이룰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상기 안착부(130)와 차폐부(140)의 우측에는 정착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정착부(150)는 안착부(130)와 차폐부(140)가 형성하는 외형 크기보다 큰 외형을 가지며 대략 원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정착부(150)는 작업 환경에 따라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하게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착부(150)의 상부에는 삽입안내구(15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안내구(152)는 압력부재(160)가 삽입되는 위치 및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차폐부(140)가 형성하는 수용공간(110)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안내구(152) 내부로 압력부재(160)가 삽입되면, 상기 철근(F)이 철근마디수용홈(112)에 안착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철근(F)의 상면이 차폐부(14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틈을 헤집고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압력부재(16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압력부재(160)는 대략 원호 형상을 가진 조각으로서, 우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압력부재(160)는 내주면에 대하여 외주면이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차폐부(140)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안내구(152)에 압력부재(160)가 삽입시에 차폐부(140)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철근(F)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철근(F)의 정착이 가능하며, 상기 압력부재(160)는 삽입안내구(152)보다는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력부재(160)는 삽입안내구(152)를 통해 수용공간(110) 내부에 삽입된 이후에는 반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압력부재(160)의 내부면에는 이탈방지돌기(164)가 다수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164)는 쐐기 형상을 가지며, 우측 방향으로 경사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돌기(164)는 철근(F)의 마디돌기(F')를 찍어 누르거나, 타고 넘어 걸림 결합함으로써 반대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164)는 상기와 같은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다양한 형상, 크기, 개수 및 위치에 변경 적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력부재(16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압력부재(160)의 상면에는 체결력표시부(16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력표시부(162)는 압력부재(160)에 숫자, 눈금, 기호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정착몸체(120) 내부에 삽입시에 체결력확인홀(142)을 통해 일부가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의 크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압력부재(160)의 상면 전반부에는 방향지시부(166)가 구비된다. 상기 방향지시부(166)는 정착몸체(120)에 압력부재(160)를 삽입하는 방향을 지시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철근정착장치(100)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을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정착장치(100)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에서 각 단계별 결합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8과 같이 정착몸체(120)와 압력부재(160) 및 정착을 위한 철근(F)을 준비한 다음, 철근안착단계(S100)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 철근안착단계(S100)는, 수용공간(110) 내부에 철근(F)을 삽입한 후 하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철근마디수용홈(112)에 철근(F)의 마디돌기(F')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철근(F)을 안착하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철근(F)의 단부는 정착부(150)에 의해 간섭되어 삽입 깊이가 제한되며, 상기 철근안착단계(S100)가 완료되면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력확인홀(142) 또는 단부확인공(132)을 통해 작업자는 철근(F)이 수용공간(110) 내부에 적정 깊이까지 삽입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철근안착단계(S100) 이후에는 도 9의 화살표 방향으로 들여다 봄으로써 단부확인단계(S150)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철근안착단계(S100) 이후에는 철근압착단계(S200)가 실시된다. 상기 철근압착단계(S200)는 삽입안내구(152)를 통해 압력부재(160)를 삽입한 후 정착부(150)의 후방에서 망치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압력부재(160)를 타격함으로써 철근(F)과 철근정착장치(100)를 결합하는 단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작업자는 상기 압력부재(160)를 삽입안내구(152)로 삽입한 후 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압력부재(160)를 타격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삽입안내구(152)에 압력부재(160)를 삽입하여 상기 철근(F)과 수용공간(110) 사이에 압력부재(160)를 끼움으로써 상기 철근(F)을 가압하게 된다.
이것은 상기 압력부재(160)는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차폐부(140)의 내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방향으로 내려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압력부재(160)는 철근(F)의 외면에 압력을 가하여 체결력을 높이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이탈방지돌기(164)는 마디돌기(F')를 찍어 누르거나, 타고 넘음으로써 압력부재(160)의 우측 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되며, 이런 결과로 상기 압력부재(160)는 타격에 의해 결합된 이후에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철근압착단계(S200) 이후에는 검사단계(S300)가 실시된다. 상기 검사단계(S300)는 체결력확인홀(142)을 통해 노출되는 체결력표시부(162)의 일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상기 철근(F)이 어느 정도의 체결력으로 체결된 상태인지를 검사하는 과정이다.(도 3 참조)
또한 상기 검사단계(S300)에서 상기 단부확인공(132)을 통해 수용공간(110) 내부를 들여다 봄으로써 철근(F) 단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검사단계(S300)가 완료되면, 상기 철근(F)의 미삽입, 불완전 안착 여부가 확인되며, 철근(F)과 철근정착장치(100) 사이의 체결력 크기도 검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체결력확인홀(142), 삽입안내구(152) 및 단부확인공(132)은 상기와 같은 과정에 따라 철근(F)이 결합된 후 콘크리트 타설시에 철근정착장치(100)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철근정착장치 110. 수용공간
112. 철근마디수용홈 114. 도피홈
120. 정착몸체 122. 확장부
130. 안착부 132. 단부확인공
140. 차폐부 142. 체결력확인홀
150. 정착부 152. 삽입안내구
160. 압력부재 162. 체결력표시부
164. 이탈방지돌기 166. 방향지시부
F . 철근 F'. 마디돌기
S100. 철근안착단계 S150. 단부확인단계
S200. 철근압착단계 S300. 검사단계
112. 철근마디수용홈 114. 도피홈
120. 정착몸체 122. 확장부
130. 안착부 132. 단부확인공
140. 차폐부 142. 체결력확인홀
150. 정착부 152. 삽입안내구
160. 압력부재 162. 체결력표시부
164. 이탈방지돌기 166. 방향지시부
F . 철근 F'. 마디돌기
S100. 철근안착단계 S150. 단부확인단계
S200. 철근압착단계 S300. 검사단계
Claims (14)
- 일방향으로 철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철근의 마디돌기가 끼워지는 철근마디수용홈이 구비되어 마디돌기를 수용한 상태로 안착되게 하는 정착몸체와, 상기 수용공간에 철근의 수용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삽입되고, 상기 철근에 압력을 제공하여 정착몸체와 철근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압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착몸체는, 상기 마디돌기가 끼워져 철근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와 접합되어 안착부의 개구된 일부를 차폐하며 상기 압력부재를 간섭하여 안착부 방향으로 안내하는 차폐부와, 상기 안착부 및 차폐부와 동시에 접합되고, 상기 안착부 및 차폐부가 형성하는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제공하는 정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재는,
상기 정착부의 후방에서 정착부를 관통하여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천공되어 상기 정착몸체 내부에 삽입된 철근의 단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단부확인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재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철근에 제공하는 체결력의 크기를 나타내는 체결력표시부와,
상기 철근 외면과 걸림 구속함으로써 상기 정착몸체로부터 압력부재의 이탈을 제한하는 이탈방지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부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도록 천공되어 상기 압력부재의 삽입 위치 및 방향을 안내하는 삽입안내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 일측에는,
상기 압력부재와 철근의 결합력을 차폐부 외부에서 육안 확인하기 위한 체결력확인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재의 외면과 차폐부의 내주면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의 단부에는,
상기 차폐부의 단부와 대응하는 외형 크기를 갖는 확장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정착몸체에 대하여 압력부재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지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
- 철근정착장치의 일 구성인 정착몸체에 구비된 수용공간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철근을 삽입하고, 수용공간에 구비된 철근마디수용홈에 철근의 마디돌기를 삽입하여 수용공간에 철근을 안착하는 철근안착단계와,
상기 정착몸체에 천공된 단부확인공을 통해 수용공간 내부의 철근 단부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단부확인단계와,
상기 정착몸체의 후단부에 구비된 정착부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압력부재를 타격하여 일부가 정착부를 관통하도록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철근과 정착몸체를 결합하는 철근압착단계와,
상기 정착몸체 일측에 구비된 체결력확인홀과 단부확인공을 통해 철근정착장치와 철근 사이의 체결력 크기와 철근의 단부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검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안착단계에서,
상기 철근은 수용공간에 삽입시에 정착부와 접촉하여 삽입 깊이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압착단계는,
상기 정착부 일측에 천공된 삽입안내구에 압력부재를 삽입하여 상기 철근과 수용공간 사이에 끼움으로써 상기 철근을 가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압착단계는,
상기 압력부재의 내부면에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돌기와 마디돌기를 걸림구속하여 압력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장치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단계에서,
상기 철근과 철근정착장치 사이의 체결력 크기는 압력부재 외면에 구비된 체결력표시부의 일부가 체결력확인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정착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484A KR101184249B1 (ko) | 2012-03-07 | 2012-03-07 |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3484A KR101184249B1 (ko) | 2012-03-07 | 2012-03-07 |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4249B1 true KR101184249B1 (ko) | 2012-09-21 |
Family
ID=4711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3484A KR101184249B1 (ko) | 2012-03-07 | 2012-03-07 |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424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6355B1 (ko) * | 2014-06-10 | 2015-03-02 | 홍석희 | 철근 연결 및 정착장치 |
KR101797532B1 (ko) * | 2016-07-01 | 2017-11-15 | 주식회사 동남 |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
KR20230158801A (ko) * | 2022-05-12 | 2023-11-21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강도 환봉 및 강재앵커가 구성된 u형 합성보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5617A (ja) | 1999-03-18 | 2000-09-26 | Penta Ocean Constr Co Ltd | 鉄筋および鉄筋用定着体 |
-
2012
- 2012-03-07 KR KR1020120023484A patent/KR1011842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65617A (ja) | 1999-03-18 | 2000-09-26 | Penta Ocean Constr Co Ltd | 鉄筋および鉄筋用定着体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6355B1 (ko) * | 2014-06-10 | 2015-03-02 | 홍석희 | 철근 연결 및 정착장치 |
KR101797532B1 (ko) * | 2016-07-01 | 2017-11-15 | 주식회사 동남 | 데크 플레이트용 인서트 |
KR20230158801A (ko) * | 2022-05-12 | 2023-11-21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강도 환봉 및 강재앵커가 구성된 u형 합성보 |
KR102683426B1 (ko) * | 2022-05-12 | 2024-07-10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고강도 환봉 및 강재앵커가 구성된 u형 합성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773595B2 (en) | Coupling device, associated parts and a method of use thereof | |
KR101184249B1 (ko) | 철근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정착방법 | |
KR101813377B1 (ko) | 철근 커플러 | |
KR100760009B1 (ko) | 철근연결장치 | |
KR101121931B1 (ko) | 철근연결구 | |
US7000448B2 (en) | Compression tool jawarm member | |
US9404258B2 (en) | Reinforcing bar connector | |
KR20190000226U (ko) | 내구성이 구비된 원터치식 커플러 | |
EP1896670A1 (en) | Concrete reinforcement connectors | |
KR101285704B1 (ko) | 철근 연결용 커넥터 | |
JP4532186B2 (ja) | 木質部材の接合工法及び接合構造 | |
KR101347069B1 (ko) | 철근정착장치 | |
KR101244217B1 (ko) | 철근연결구 | |
KR20130138100A (ko) | 철근 결합구 | |
KR101261712B1 (ko) | 가설용 써포트의 함몰파이프 복원기 | |
KR101758028B1 (ko) | 피비디 공법의 배수재 연결 클램프 | |
KR101066289B1 (ko) | 타이케이스에 넣어 재사용하는 타이로 구성된 거푸집 고정용 결속장치 | |
CA2618361A1 (en) | Dual hardness connector | |
US10364919B2 (en) | Manufacturing process for making a bracket and tubing assembly | |
KR20110010791U (ko) | 철근정착장치 | |
KR20130003879U (ko) | 용접을 위한 풀랫바 고정용 치구 | |
KR20230007577A (ko) | 나사체결방식의 철근정착장치 | |
JP6126818B2 (ja) | 鉄筋グリップ | |
WO2020122738A1 (en) | A coupling device, associated parts, tools and methods of use thereof | |
JP2015137462A (ja) | 親綱用鉄筋金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