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449B1 -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 Google Patents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449B1
KR101183449B1 KR1020120019602A KR20120019602A KR101183449B1 KR 101183449 B1 KR101183449 B1 KR 101183449B1 KR 1020120019602 A KR1020120019602 A KR 1020120019602A KR 20120019602 A KR20120019602 A KR 20120019602A KR 101183449 B1 KR101183449 B1 KR 101183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frame
elevator
platform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6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연
Original Assignee
이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연 filed Critical 이호연
Priority to KR1020120019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4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5/12Apparatus for raising or lowering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3Details of door panels
    • B66B13/305Slat doors for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4Mechanical devices that can be illumin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vator system for producing a broadcasting program is provided to shoot a drama, a movie, an advertisement, or a picture by providing a shooting set similar to a practical elevator. CONSTITUTION: An elevator system for producing a broadcasting program comprises a car frame(110), a platform frame(120), an elevator door, a platform door(131), a car operating panel, a car display panel, a platform operating panel, a platform display panel, and a control panel. The car frame models an elevator car. The platform frame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car frame in a single body and models an elevator platform. The elevator door and the platform door are installed between entrances of the car frame and the platform frame to be slidingly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a motor. The car operating panel and the car display panel are installed in the car frame. The control panel displays data preset on the car display panel and the platform display panel by operating the car operating panel and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or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and the platform door by controlling the motor.

Description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본 발명은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TV 드라마나 영화, 광고 영상 및 화보 등의 방송 촬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 photograph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 shooting that can smoothly broadcast broadcasts such as TV dramas, movies, commercials and pictorials.

일반적으로 TV 드라마나 영화, 광고 영상 및 화보 등의 방송 촬영은 공원이나 건물 등과 같은 다양한 장소에서 이루어진다.In general, broadcasts such as TV dramas, movies, commercials and pictorials are taken in various places such as parks or buildings.

특히, 아파트나 오피스 빌딩 등의 건물 내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내외부에서의 영상 등의 촬영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photographing of an image from inside and outside an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or an office building is frequently performed.

이때 엘리베이터는 통상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승강로를 따라 상ㆍ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권상기와, 승객의 버튼 조작에 따라 상기 모터 및 권상기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는 제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에 구비되는 엘리베이터 카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카도어가 구비됨과 아울러, 건물의 각층 승강장에는 상기 카도어와 연동하여 개폐되면서 탑승객을 해당 층에 승하차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승장도어가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elevator is an elevator car for moving the passengers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a hoistway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building, a motor and a hoist generating a predetermined power, and a button operation of a passenger.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hoist to move the elevator car to the floor. In addition, the elevator car provided in the elevator device is provided with a car door that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nd on each floor platform of the building is provided with a landing door that allows passengers to get on and off the floor while being linked to the car door.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는 통상 승객의 이동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방송 촬영을 위해서는 적절한 조도와 촬영 각도 설정을 위해 조명과 카메라 등의 장비를 현장에 운반해서 설치해야 하므로 운반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Such elevators are usually installed for the movement of passengers, and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broadcasting photography, equipment such as lighting and cameras must be transport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to set the appropriate illumination and shooting angle, which causes a lot of transportation costs and time. .

특히 건물에 기설치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승객의 이송이 불가능해 승객에게 불편을 주는 등 민원 발생의 원인이 됨은 물론, 촬영하고자 하는 엘리베이터를 섭외하는 경우에도 엘리베이터의 내부공간이나 승강장의 공간이 촬영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촬영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when using an elevator installed in a building, it is impossible to transport passengers,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passengers, as well as causing civil complaints. If not, there is a problem that shooting is not smooth.

아울러, 특수한 환경(예를 들어 고장 난 엘리베이터에서 탈출하는 장면)을 연출하기 위한 경우 인위적으로 엘리베이터를 출입구에서 절반 정도 멈추게 하는 것 등이 필요하지만 엘리베이터의 안정사고 방지를 위해 이와 같은 제어는 엘리베이터 설치 또는 유지보수 전문가가 아닌 경우에는 이와 같은 제어가 힘들어 이와 같은 장면의 촬영 역시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create a special environment (for example, escaping from a broken elevator), it is necessary to stop the elevator about halfway at the entrance, but such control is necessary to prevent elevator accidents. If you are not a maintenance professional, such control is difficult, so shooting such scenes is also difficult.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제 엘리베이터와 같은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드라마나 영화, 광고 영상 및 화보 등의 촬영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방송 촬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o solve thes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itable environment for shooting of dramas, movies, commercials and pictorials while providing an environment such as an elevator, so that broadcasting can be smoothly tak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ndering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촬영용으로만 사용되므로 민원 제기 등의 문제가 없고 방송 촬영을 위해 실제 엘리베이터의 섭외 등이 불필요하며 다양한 장면을 연출 가능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only for broadcast shooting, there is no problem such as filing a complaint, and there is no need for subscribing an actual elevator for broadcast shooting,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various scenes.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solve such a technical problem,

엘리베이터 카(car)를 모형화한 카 프레임과, 상기 카 프레임의 전방에 일체로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승강장(platform)을 모형화한 승강장 프레임과, 상기 카 프레임과 승강장 프레임의 출입구 사이에 구비되어 개폐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 미닫이 식으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 및 승장도어와, 상기 카 프레임에 설치되는 카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승강장 프레임에 설치되는 승강장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카용 조작 패널 및 승강장용 조작 패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용 디스플레이 패널 및 승강장용 디스플레이 패널에 설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개폐용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 및 승장도어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판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공한다.It is provided between the car frame modeling the elevator car, the landing frame integrally provided in front of the car frame and modeling the elevator platform, and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ar frame and the landing frame, Elevator doors and landing doors that are opened and closed by driving, car operation and display panels installed on the car frame, platform operation and display panels installed on the landing frame, operation panel and landing operation for cars The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and the lift door by displaying the data set on the car display panel and the platform display panel for the operation of the panel or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for the broadcast shooting, characterized in that Directing elevator device To provide.

이때, 상기 카 프레임에는 벽체를 부착하여 카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ar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 space is formed by attaching a wall.

그리고 상기 카 프레임 및 승강장 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하부에 다리부재가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의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ar frame and the landing fram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the base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is provided with a leg member at the bottom.

또한, 상기 카 프레임의 내부 하측에는 바닥판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판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bottom of the car frame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capable of lif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bottom plate.

이때, 상기 제1승강수단은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단부는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first lifting means is made of a hydraulic cyl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ston end of the hydraulic cylinder is integrally fix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특히, 상기 유압실린더는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측에는 복수의 가이드봉이 수직 상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봉이 삽입 안내되는 복수의 가이드관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hydraulic cylinder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the upper side of the fixed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rods vertically up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tubes into which the guide rod is inserted and guid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제1승강수단은, 고정프레임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평장공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힌지핀에 의해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판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ifting means, the hydraulic cylinder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xed frame, one end is hinged to the fixed frame and the other end is slidably in the first horizontal hol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bottom plate A first link member having a guide protrusion inserted therein, the second link being installed so as to intersect with the first link member by a hinge pin, and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piston of the hydraulic cylinder and the other end hinged to the bottom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ber.

그리고, 상기 카 프레임의 내부 상측에는 천장판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천장판은 제2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eiling plate may be provided on an inner upper side of the car frame to be elevated, and the ceiling plate may be elevated by a second lifting means.

이때, 상기 제2승강수단은 상기 천장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로프와, 상기 로프를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카 프레임 상단에 고정되는 안내로울러와, 상기 안내로울러로 안내된 로프를 권취하는 로프권취용 보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lifting means is one or more rope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eiling plate, a guide roller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ar frame to guide the rope upwards, and for winding the rope wound around the guide rop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bobbin.

그리고 상기 제어판넬은 무선송수신기를 구비하여 무선리모콘을 통해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control panel has a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through a wireless remote control.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엘리베이터와 유사한 촬영용 세트를 제공하여 드라마나 영화, 광고 영상 및 화보 등의 촬영에 적합하여 방송 촬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hooting set similar to the actual elevator can be suitable for shooting a drama, a movie, an advertisement video and a pictorial, it is possible to smooth broadcast shooting.

또한, 방송 촬영용으로만 사용되므로 민원 제기 등의 문제가 없고 방송 촬영을 위해 실제 엘리베이터의 섭외 등이 불필요하며 바닥판과 천장판의 승강이 가능해 엘리베이터의 고장 또는 탈출 장면 등과 같은 다양한 장면을 용이하게 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it is used only for broadcasting shooting, there is no problem of filing a complaint, and it is unnecessary for the actual elevator to be taken for broadcasting shooting, and it is possible to raise and lower the floor plate and the ceiling plate to easily produce various scenes such as elevator breakdown or escape scene.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벽체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상태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2승강수단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vator apparatus for directing broadcast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elevat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for broadcasting shoot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ll of the elevator apparatus for directing production is partially remov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vator apparatus for directing broadcas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view of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shoo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ide view of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frame structure diagram of an elevator apparatus for directing broadcast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cond lifting means of the elevat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for broadcasting shooting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frame structure diagram of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stalla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때,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t this tim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re described,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the worl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는 스튜디오 내부 등에 설치가능한 것으로, 엘리베이터 장치를 구성하는 승강로를 따라 엘리베이터 카(car)가 승강하는 이동식이 아닌 고정형 엘리베이터 카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가 승강하기 위해 건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승강로와, 엘리베이터 카의 승강을 위한 기계실과 기계실 내의 모터 및 권상기가 불필요하며, 오로지 TV 드라마나 영화, 광고 영상 및 화보 등의 방송 촬영을 위해 사용되는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이다.First, FIGS. 1 to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levator apparatus for directing broadcast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a studio or the like, and a stationary elevator car is installed, which is not movable, in which the elevator car is lifted along the hoistway constituting the elevator devic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car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building to elevate the elevator, the machine room for lifting the elevator car and the motor and the hoist in the machine room are unnecessary, and only TV dramas, movies, commercials and pictorial This is an elevator device for directing filming.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car)를 모형화한 카 프레임(110)과, 상기 카 프레임(110)의 전방에 일체로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승강장(platform)을 모형화한 승강장 프레임(120)과, 상기 카 프레임(110)과 승강장 프레임(120)의 출입구 사이에 구비되어 개폐용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미닫이 식으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와, 상기 카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카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142)과, 상기 승강장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승강장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150,152)과, 상기 카용 조작 패널(140) 및 승강장용 조작 패널(1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용 디스플레이 패널(142) 및 승강장용 디스플레이 패널(152)에 설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개폐용 모터(132)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판넬(160)로 구성된다.The elevator apparatus for production for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car frame 110 modeling an elevator car, and integrally provided in front of the car frame 110 and modeling an elevator platform. An elevator door 130 and a landing door provided between one landing frame 120 and an entrance and exit of the car frame 110 and the landing frame 120 to be opened and closed by driving of an opening / closing motor 132. 131, car operation and display panels 140 and 142 installed in the car frame 110, platform operation and display panels 150 and 152 installed in the landing frame 120, and the car operation panel 140. And display data set in the car display panel 142 and the board display panel 15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oard operation panel 150, or control the opening / closing motor 132. Control panel 16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anding door 131.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stitution of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상기 카 프레임(110)은 엘리베이터 카(car)를 모형화한 구조로 다수의 연결프레임(111)을 결합하여서 이루어지며,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벽체(112)를 부착하여 카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카 프레임(110)은 분해 조립이 가능토록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114)를 이용하여 조립함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car frame 110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111 in a structure modeled after the elevator car (car), attaching a wall 112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etc. to form a car space part do. Such a car frame 110 is preferably assembled using fastening means 114 such as bolts and nuts so that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possible.

이때, 상기 벽체(112)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어느 한쪽 벽체를 제거하는 경우 벽체가 제거된 방향으로의 방송 촬영이 용이하다. In this case, the wall 112 is detachable, so that when one of the walls is removed as necessary, broadcast recor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ll is removed is easy.

물론, 상기 카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바닥판(116)이 구비되고, 상부에는 천장판(118)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천장판(118)에는 제어판넬(160)의 제어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되는 천장등(119)과 CCTV(12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CCTV(121)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은 제어판넬(160)에 내장된 메모리(미도시됨)에 저장된다.Of course, the bottom plate 116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frame 110, the top plate 118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top. At this time, the ceiling plate 118 is provided with a ceiling light 119 and CCTV 121 that is turned on or off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160.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CTV 121 is stored in a memory (not shown) built in the control panel 160.

그리고 상기 카 프레임(110)에는 카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14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카용 조작 패널(140)은 카 프레임(110)의 출입구 일측면에 구비되고, 카용 디스플레이 패널(142)은 카 프레임(110)의 출입구 상측에 구비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카 프레임(110)의 출입구 일측면에 카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142)을 함께 설치함도 가능하다. 그리고 카용 조작 패널(140)의 상측에는 스피커(149)가 구비되어 제어판넬(160)에 내장된 음성멘트(예를 들어, '13층입니다.', '고장입니다.' 등)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car frame 110 is provided with car manipulation and display panels 140 and 142. At this time, the car operation panel 1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way of the car frame 110, the car display panel 142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above the doorway of the car frame 11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car operation and display panels 140 and 142 together on one side of the doorway of the car frame 110. In addition, a speaker 149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r control panel 140 to selectively output voice announcements (for example, '13th floor', 'failure', etc.) built into the control panel 160. do.

한편, 상기 승강장 프레임(120)은 카 프레임(110)의 전방에 일체로 구비되는 것으로 금속재질의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승강장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150,152)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승강장 프레임(120)의 측면에 필요에 따라 벽체(129)를 더 설치함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landing frame 120 is provided integrally in front of the car frame 110 is made of a metal plate shape and the operation and display panels 150, 152 for the landing is install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stall the wall 129 on the side of the landing frame 120 as needed.

이때, 상기 승강장용 조작 패널(150)은 승강장 프레임(120)의 출입구 일측면에 구비되고, 승강장용 디스플레이 패널(152)은 승강장 프레임(120)의 출입구 상측에 구비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승강장프레임(120)의 출입구 일측면에 승강장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150,152)을 함께 설치함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board operation panel 1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way frame 120, the board display panel 152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above the doorway of the board frame 120.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operation and display panels 150 and 152 together on one 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landing frame 120.

이와 같은 카 프레임(110) 및 승강장 프레임(12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하부에 다리부재(102)가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다.The car frame 110 and the landing frame 1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100, the base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leg member 102 in the lower base frame 10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stant space is formed.

한편, 상기 카용 조작 패널(140) 또는 승강장용 조작 패널(150)을 조작하면 그에 따라 상기 카용 디스플레이 패널(142) 및 승강장용 디스플레이 패널(152)에 설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고, 카용 조작 패널(140) 또는 승강장용 조작 패널(150)의 조작 위치에 따라 해당 층수에 도달한 것 같이 카용 디스플레이 패널(142) 및 승강장용 디스플레이 패널(152)에 설정된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면 제어판넬(160)은 개폐용 모터(132)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를 개폐하도록 제어한다.Meanwhile, when the car operation panel 140 or the boarding operation panel 150 is operated, data set in the car display panel 142 and the boarding display panel 152 is displayed accordingly, and the car operation panel 140 is operated. Alternatively, when the data set in the car display panel 142 and the platform display panel 152 is displayed as the floor number is reach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150, the control panel 160 opens and closes the motor for opening and closing. 132 controls to open and close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anding door 131.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는 분리 구성하고 있지만, 실제 엘리베이터와 동일한 공지의 구조도 가능하고,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의 상단에 와이어풀리(132a)와 와이어로프(132b) 또는 타이밍벨트와 벨트풀리를 구비하고 개폐용 모터(132)의 축에 속도조정용 풀리(132c)를 구비하여 개폐용 모터(132)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가 개폐되는 일반적인 구성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와 개폐용 모터(132)의 연동구조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At this time,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ift door 131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but the same known structure as the actual elevator is possible, and the wire pulley 132a is disposed on the upper ends of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ift door 131. And a wire rope 132b or a timing belt and a belt pulley, and a speed adjusting pulley 132c on the shaft of the opening / closing motor 132 so that the elevator door may be rotated by forward or reverse rot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motor 132. 130 and the general door 131 is preferably adopted to open and close. Since the linkage structure of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ift door 131 and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132 is a general configu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제어판넬(160)은 무선송수신기(168)를 구비하여 무선리모콘(190)을 통해 작동을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송수신기(168)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무선리모콘(190)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내장한다. 물론, 상기 무선송수신기(168)와 무선리모콘(19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함도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16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transceiver 168 may input the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rough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90. At this time, the wireless transceiver 168 is composed of a Bluetooth module capable of short-range communication,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90 is built in the Bluetooth module. Of course, the wireless transceiver 168 and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90 is also preferably configured to enable signal transmission using an infrared sensor.

이와 같은 무선리모콘(190)의 조작을 통해 카용 조작 패널(140) 또는 승강장용 조작 패널(150)을 조작하는 것과 동일하게 조작하거나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무선리모콘(190)을 통해 승강장의 층수 및 전체 엘리베이터의 총 층수 등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90, the same operation as operating the car operation panel 140 or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150, or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anding door 131 can be controlled. have. Of course,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90 may arbitrarily set the number of floors of the platform and the total number of floors of the entire elevato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example of the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shoo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승강장 프레임(120)에 구비되는 승강장용 조작 패널(150)을 조작하면 제어판넬(160)은 설정된 데이터(예를 들면, '10층')를 승강장용 디스플레이 패널(152)과 카용 디스플레이 패널(142)에 디스플레이해주고, 일정시간단위(예를 들어 '1초 단위')로 설정된 데이터를 카운트하여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면서 설정된 승강장의 층수와 일치하면 일치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제어판넬(160)은 개폐용 모터(132)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를 개방하고 설정시간(예를 들어 5~ 10초)이 경과하면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를 닫는다. 물론 이 경우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의 개폐과정에서의 승하차시 사람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리미트스위치 또는 감지센서 등을 구비함은 일반적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when operating the boarding operation panel 150 provided in the boarding frame 120, the control panel 160 to set the data (for example, '10 floor ') the boarding display panel 152 and car display panel The control panel 160 displays the matched data and displays the matched data when the set data is matched with the set floor level by counting and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data set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for example, '1 second unit').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ift door 131 are opened by controlling the opening / closing motor 132 and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ift door 131 are closed when a set time (for example, 5 to 10 seconds) elapses. . Of course, in this case, as a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a person from getting injured during getting on and off in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anding door 131, a limit switch or a sensing sensor is generally provided,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카 프레임(110)에 구비되는 카용 조작 패널(140)을 조작하여 임의의 층수를 누르면 제어판넬(160)은 카용 조작 패널(140)에서 입력된 층수로의 설정된 데이터(예를 들면 '20층')로의 이동을 알려주기 위해 승강장용 디스플레이 패널(152)과 카용 디스플레이 패널(142)에 카운트되는 승강장의 층수를 디스플레이해주고 입력된 승강장의 층수와 일치하면 일치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면서 제어판넬(160)은 개폐용 모터(132)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를 개방하고 설정시간(예를 들어 5~ 10초)이 경과하면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를 닫는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presses a certain number of floors by manipulating the car control panel 140 provided in the car frame 110, the control panel 160 displays the data set to the number of floors input from the car control panel 140 (for example, '20'). Floor ') displays the floor count of the platform counted on the platform display panel 152 and the car display panel 142, and displays the matched data if it matches the floor number of the entered platform. ) Controls the opening / closing motor 132 to open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anding door 131 and when the set time (for example, 5 to 10 seconds) elapses,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anding door 131. To close it.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의 벽체(112)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12) 등을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카 공간부의 내부를 촬영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측면의 벽체(112)만을 제거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측면의 벽체(112)와 천장판(118)을 함께 제거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측면의 벽체(112)와 후측 벽체 및 천장판(118)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필요에 따라 작업자가 벽체(112)와 천장판(118)을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wall 112 of the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partially remove the wall 112 and the like, as shown in FIGS. 5 to 7. That is, in order to easily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car space part, as shown in FIG. 5, only the wall 112 of either side is removed, or as shown in FIG. 6, the wall 112 and the ceiling plate of either side. 118 may be removed together, or the wall 112 and the rear wall and ceiling plate 118 on either side may be removed together as shown in FIG. Such a configuration may be configured by the worker selectively attaching and detaching the wall 112 and the ceiling plate 118 as necessary.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카 프레임(110)의 내부 하측에는 바닥판(116)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116)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판(116)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170)이 구비된다.Meanwhile, FIGS. 8 to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levator apparatus for directing broadcast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bottom plate 116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lifting up and down inside the car frame 110, and the first lifting means 170 for lifting up and down the bottom plate 116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plate 116. It is provided.

상기 제1승강수단(170)은 상기 유압실린더(172)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172)의 피스톤(172a) 단부는 상기 바닥판(116)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72)의 작동에 따라 피스톤(172a)의 왕복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바닥판(116)이 승강가능하다. 상기 제1승강수단(170)은 제어판넬(16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것으로 바닥판(116)을 승강시키는 경우 상대적으로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인 위치가 아닌 비정상적인 위치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정지 상태를 연출할 수 있다. The first lifting means 170 is composed of the hydraulic cylinder 172, the end of the piston 172a of the hydraulic cylinder 172 is fixed integrally to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116. Therefore, the bottom plate 116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the reciprocating linear motion of the piston 172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172. The first elevating means 170 is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160 and when the elevating the bottom plate 116, the elevator can produce a stationary state of the elevator in an abnormal position rather than a normal position. .

이때, 상기 제1승강수단(170)인 유압실린더(172)는 고정프레임(171)의 상부에 고정되되 안정적으로 바닥판(116)이 승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프레임(171)의 상측에는 가이드봉(173)이 수직 상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16)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봉(173)이 삽입 안내되는 가이드관(174)이 일체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172)의 작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173)을 따라 가이드관(174)이 승강하므로 바닥판(116)의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제1승강수단(170)은 유압실린더(172) 이외에도 공압 또는 일반 모터 구동 방식으로 구성함도 가능하며 모두 동일한 기술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hydraulic cylinder 172 which is the first lifting means 17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71, but the guide bar o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frame 171 so that the bottom plate 116 can be stably elevated 173 is provided vertically upwar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16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guide tube 174 into which the guide rod 173 is inserted. Therefore, the guide tube 174 is elevated along the guide rod 173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cylinder 172, so that the stable lifting of the bottom plate 116 is possible.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hydraulic cylinder 172, the first lifting means 170 may be configured by a pneumatic or general motor driving method, and all belong to the same technology category.

그리고 상기 제1승강수단(170)의 제어는 무선리모콘(190)의 조작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바닥판(116)의 승강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고장 또는 탈출 상황 등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And the control of the first lifting means 170 can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90 can easily control the lifting of the bottom plate 116. Accordingly, the failure or escape of the elevator can be produced in various ways.

또한,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카 프레임(110)의 내부 상측에는 천장판(118)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천장판(118)은 제2승강수단(180)에 의해 승강 된다. 12 to 16 illustrate a directing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ing photograph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ceiling plate 118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car frame 110 to be elevated, and the ceiling plate 118 is elevated by the second lifting means 180.

이때, 상기 제2승강수단(180)은 상기 천장판(118)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로프(182)와, 상기 로프(182)를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카 프레임(110) 상단에 고정되는 안내로울러(184)와, 상기 안내로울러(184)로 안내된 로프(182)를 권취하는 로프권취용 보빈(186)으로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second lifting means 180 is one or more ropes 182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eiling plate 118, and a guide roller fixed to the top of the car frame 110 to guide the ropes 182 upwards. 184 and a rope winding bobbin 186 for winding the rope 182 guided to the guide roller 184.

상기 로프권취용 보빈(186)은 손잡이(186a)가 구비되어 손잡이(186a)를 회동시키면 로프권취용 보빈(186)에 로프(182)를 감거나 풀어주는 동작에 의해 천장판(118)을 승강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로프권취용 보빈(186)은 일측에 권취용 모터(187)를 구비하여 권취용 모터(187)의 구동에 따라 로프(182)를 감거나 풀어줄 수 있다. 물론, 일반적인 전동모터의 회전축을 로프권취용 보빈(186)에 직결하여 로프(182)를 권취하는 구조를 채택함도 가능하며 이상의 수동식 또는 자동식 권취 방식은 모두 동일한 기술범주에 속하는 것이다.The rope winding bobbin 186 is provided with a handle 186a to lift the ceiling plate 118 by an operation of winding or releasing the rope 182 on the rope winding bobbin 186 when the handle 186a is rotated. As a structure, the rope winding bobbin 186 may be provided with a winding motor 187 on one side to wind or loosen the rope 182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winding motor 187.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ting shaft of a general electric motor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ope winding bobbin 186 to wind the rope 182, and the above manual or automatic winding methods all belong to the same technology category.

따라서 상기 로프권취용 보빈(186)의 작동에 따라 로프(182)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상기 천장판(118)을 승강시켜준다. 이때, 제2승강수단(180)은 모터 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 제어판넬(160)의 제어에 따라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천장판(118)을 승강시키는 경우 상대적으로 카메라 등의 설치 위치나 조명 등의 조도 등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Therefore, by lifting or unwinding the rope 18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pe winding bobbin 186 to lift the ceiling plate 118. In this case, when the second lifting means 180 is configured in a motor manner, the second lifting means 180 may be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160. On the other hand, when elevating the ceiling plate 118, it is possible to set various installation positions, such as a camera, roughness, such as lighting, etc. relatively.

그리고 상기 제2승강수단(180)의 제어는 무선리모콘(190)의 조작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천장판(118)의 승강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second lifting means 180 can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mote controller 190 to easily control the lifting of the ceiling plate 118.

또한,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카 프레임(110)의 바닥판(116)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170)은, 고정프레임(175)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76)와, 상기 고정프레임(175)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판(116)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평장공(11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77a)가 구비되는 제1링크부재(177)와, 상기 제1링크부재(177)와 힌지핀(177b)에 의해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유압실린더(176)의 피스톤(176a)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판(116)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부재(178)로 이루어진다.17 and 1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levator apparatus for directing broadcast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the first elevating means 170 for elevating the bottom plate 116 of the car frame 110, the hydraulic cylinder 176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xed frame 175, and the fixed frame 175 And a first link member 177 having a guide protrusion 177a slidably fitted into a first horizontal hole 116a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bottom plate 116 and hinged at one end thereof. Is installed so as to cross by the first link member 177 and the hinge pin (177b), one end hinged to the piston 176a of the hydraulic cylinder 176 and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bottom plate 116 The second link member 178 is formed.

즉, 상기 유압실린더(176)의 피스톤(176a)이 전진하면 카 프레임(110)의 바닥판(116)이 하강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76)의 피스톤(176a)이 후진하면 카 프레임(110)의 바닥판(116)이 상승한다.That is, when the piston 176a of the hydraulic cylinder 176 moves forward, the bottom plate 116 of the car frame 110 descends, and when the piston 176a of the hydraulic cylinder 176 moves backward, the car frame 110 moves forward. The bottom plate 116 rises.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176)의 피스톤(176a)에는 슬라이드부재(179)가 일체로 결합되고, 그 슬라이드부재(179)의 표면에 상기 제2링크부재(178)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서, 유압실린더(176)의 피스톤(176a) 전후진을 원활하게 한다. 물론, 상기 제1승강수단(170)은 제어판넬(16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a slide member 179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piston 176a of the hydraulic cylinder 176,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178 is hinged to the surface of the slide member 179. By adopting, the piston 176a of the hydraulic cylinder 176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smoothly. Of course, the first lifting means 170 is naturally oper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anel (160).

이상의 구조를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설치시 지면을 일정부분 파내고 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제1승강수단(170)을 지면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The elevator apparatus having the above structure may install the first elevating means 17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round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ground is dug up and space is formed during installa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 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it is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100: 베이스프레임 110: 카 프레임
116: 바닥판 118: 천장판
120: 승강장 프레임 130: 엘리베이터 도어
131: 승장도어 132: 개폐용 모터
140: 카용 조작 패널 142: 카용 디스플레이 패널
150: 승강장용 조작 패널 152: 승강장용 디스플레이 패널
160: 제어판넬 170: 제1승강수단
180: 제2승강수단 190: 무선리모콘
100: base frame 110: car frame
116: bottom plate 118: ceiling plate
120: platform frame 130: elevator door
131: landing door 132: opening and closing motor
140: car operation panel 142: car display panel
150: operation panel for the platform 152: display panel for the platform
160: control panel 170: first lifting means
180: second lifting means 190: wireless remote control

Claims (10)

엘리베이터 카(car)를 모형화한 카 프레임(110)과, 상기 카 프레임(110)의 전방에 일체로 구비되며 엘리베이터 승강장(platform)을 모형화한 승강장 프레임(120)과, 상기 카 프레임(110)과 승강장 프레임(120)의 출입구 사이에 구비되어 개폐용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미닫이 식으로 개폐되는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와, 상기 카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카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140,142)과, 상기 승강장 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승강장용 조작 및 디스플레이 패널(150,152)과, 상기 카용 조작 패널(140) 및 승강장용 조작 패널(150)의 조작에 따라 상기 카용 디스플레이 패널(142) 및 승강장용 디스플레이 패널(152)에 설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개폐용 모터(132)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130) 및 승장도어(131)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제어판넬(160)로 구성되며;
상기 카 프레임(110)의 내부 하측에는 바닥판(116)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116)의 하부에는 상기 바닥판(116)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1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A car frame 110 modeled after an elevator car, a platform frame 120 modeled after an elevator platform integrated with the front of the car frame 110, and the car frame 110 Elevator door 130 and the landing door 131 is provided betwee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landing frame 120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riv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132, the car operation is installed on the car frame 110 And the display panel 140 and 142, the operation and display panels 150 and 152 installed on the landing frame 120, and the car operation panel 140 and the operation panel 150 for the car.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levator door 130 and the landing door 131 by displaying data set on the panel 142 and the display panel 152 for the boarding station 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motor 132. Consists of channel 160;
The bottom plate 116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elevating the lower side of the car frame 110, and the first lifting means 170 for elevating the bottom plate 116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plate 116. Elevator device for production for broadcast shooting,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 프레임(110)에는 벽체(112)를 부착하여 카 공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 frame 110 is attached to the wall 112 to form a car space portion, the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 shooting,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 프레임(110) 및 승강장 프레임(120)은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하부에 다리부재(102)가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00)의 하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ar frame 110 and the landing frame 12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100, the base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leg member 102 at the bottom of the base frame 100 Elevator device for directing for broadcast shooting,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수단(170)은 유압실린더(172)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172)의 피스톤(172a) 단부는 상기 바닥판(116)의 하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lifting means 170 is composed of a hydraulic cylinder 172 and the end of the piston 172a of the hydraulic cylinder 172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16 is broadcast shooting, characterized in that Directing elevator device fo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72)는 고정프레임(171)의 상부에 고정되되 상기 고정프레임(171)의 상측에는 복수의 가이드봉(173)이 수직 상방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16)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봉(173)이 삽입 안내되는 복수의 가이드관(174)이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ydraulic cylinder 172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71, a plurality of guide rods 173 is provided above the fixed frame 171 vertically up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16 Elevator device for directing photography for broadcast shoo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guide pipes (174) through which the guide rod (173) is inserted gui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수단(170)은,
고정프레임(175)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76)와, 상기 고정프레임(175)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판(116)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수평장공(116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돌기(177a)가 구비되는 제1링크부재(177)와, 상기 제1링크부재(177)와 힌지핀(177b)에 의해 교차되도록 설치되되 유압실린더(176)의 피스톤(176a)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바닥판(116)에 힌지결합되는 제2링크부재(17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lifting means 170,
Hydraulic cylinder 176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xed frame 175, the first horizontal hole (1) is hingedly coupled to the fixed frame 175 and the other end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bottom plate (116) ( A first link member 177 having a guide protrusion 177a slidably fitted to 116a, and installed by the first link member 177 and the hinge pin 177b so as to cross the hydraulic cylinder 176. One end hinge-coupled to the piston (176a) of the other end is hinged to the bottom plate 116 is composed of a second link member 178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device for broadcast shoot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 프레임(110)의 내부 상측에는 천장판(118)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천장판(118)은 제2승강수단(180)에 의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eiling plate 118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ar frame 110 to be elevated, and the ceiling plate 118 is lifted by the second lifting means 180, the production elevator apparatus for broadcast shooting, characterized in that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승강수단(180)은 상기 천장판(118)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로프(182)와, 상기 로프(182)를 상측으로 안내하도록 카 프레임(110) 상단에 고정되는 안내로울러(184)와, 상기 안내로울러(184)로 안내된 로프(182)를 권취하는 로프권취용 보빈(18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elevating means 180 is one or more ropes 182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eiling plate 118, and a guide roller 184 fixed to the top of the car frame 110 to guide the ropes 182 upwards. And a rope winding bobbin (186) for winding the rope (182) guided to the guide roller (18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160)은 무선송수신기(168)를 구비하여 무선리모콘(190)을 통해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촬영을 위한 연출용 엘리베이터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panel 16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168, the elevator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broadcasts,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remote control (190).
삭제delete
KR1020120019602A 2012-02-27 2012-02-27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KR101183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602A KR101183449B1 (en) 2012-02-27 2012-02-27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602A KR101183449B1 (en) 2012-02-27 2012-02-27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449B1 true KR101183449B1 (en) 2012-09-17

Family

ID=4711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602A KR101183449B1 (en) 2012-02-27 2012-02-27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4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2046A (en) * 2018-09-19 2019-07-12 浙江新再灵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eal-time supplying system of elevator card based on algorithm of target detection and method
KR102107782B1 (en) * 2018-11-12 2020-05-07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Elevator simulation education apparatus for chil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2046A (en) * 2018-09-19 2019-07-12 浙江新再灵科技股份有限公司 A kind of real-time supplying system of elevator card based on algorithm of target detection and method
KR102107782B1 (en) * 2018-11-12 2020-05-07 경복대학교 산학협력단 Elevator simulation education apparatus for chi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27957B (en) Emergency monitoring system for elevator
US20190330024A1 (en) Elevator display systems
JP2018035560A (en) Power source switching method for shutter device, and shutter device
CN101891102A (en) The safety device of elev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ecurity
KR101183449B1 (en) Elevator apparatus for photographing broadcast
KR102161611B1 (en) Elevator device
KR101571106B1 (en) The smart curtain devices capable of controlling by UP-DOWN and RIGHT-LEFT movement
JP2011235993A (en) Elevator
CN110062048B (en) Intelligent hotel safety nurs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JP2011063423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7001870A5 (en)
KR101714482B1 (en) Fountain of the concert hall stage systems
JP4788337B2 (en) Fireproof and smokeproof shutter device for elevator and elevator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CN209822138U (en) Building sand table demonstration model
JP7375105B1 (en) elevator system
KR102351285B1 (en) Sliding door by electric motor for easy-assembly of motor with remote control
CN104787633B (en) Single-camera real-time synchronous shooting panoramic lift
JP4420187B2 (en) Elevator equipment for seismic isolation buildings
JP2614326B2 (en) Elevator hall equipment
CN209740448U (en) elevator rescue system with remote safety rescue function
CN217732341U (en) Self-rescue device for household elevator
CN219638743U (en) Dust raising prevention system for lime product ash discharging area
CN215485558U (en) Upper opening type opening and closing door
CN211201296U (en) Movie theater video hall with layered frame building structure
KR20180009074A (en) Unmanned proj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