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394B1 -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 Google Patents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394B1
KR101183394B1 KR1020100081268A KR20100081268A KR101183394B1 KR 101183394 B1 KR101183394 B1 KR 101183394B1 KR 1020100081268 A KR1020100081268 A KR 1020100081268A KR 20100081268 A KR20100081268 A KR 20100081268A KR 101183394 B1 KR101183394 B1 KR 10118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cylinder
piston body
rod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445A (ko
Inventor
김영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기계
Priority to KR102010008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3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4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 F16F9/16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 F16F9/18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 F16F9/20Devices with one or more members, e.g. pistons, vanes, moving to and fro in chambers and using throttling effect involving only straight-line movement of the effective parts with a closed cylinder and a piston separating two or more working spaces therein with the piston-rod extending through both ends of the cylinder, e.g. constant-volume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21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16F9/3485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supporting elements intended to guide or limit the movement of the annular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제1지지구(1)에 지지되고 타측이 실린더(20) 내부에 위치하는 피스톤로드(10)와, 타측이 제2지지구(5)에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0)에 고정된 피스톤부(40)이 왕복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의 실린더(20)와, 상기 실린더(20)의 일측을 상기 피스톤로드(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실링하는 실링부(30)와, 상기 피스톤로드(10)의 타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20)를 왕복운동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부(40)와, 상기 실린더(20)에 유압을 공급하는 리저버탱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쇼크 업서버에 있어서, 테이퍼부(6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20)의 타측(20a)에 지지되는 길다란 제어봉(60)이 상기 실린더(20) 내부 공간 중 상기 피스톤부(40)의 타측에 위치하고, 피스톤부(4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조절 오리피스(70)의 일측을 상기 제어봉(60)의 테이퍼부(61)가 삽입, 탈출되면서 감쇠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에 괸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 shock absorber of stroke sensing type }
본 발명은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륜차용 쇼크 옵서버는 수동형으로 로드의 상황이 바뀌어도 고정된 감쇠력을 갖기 때문에 자동차의 고급형 전자식 쇼크 옵서버와 같이 차륜을 통하여 로드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능동적으로 감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고급형 전자식 쇼크 옵서버와 같이 차륜을 통하여 로드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능동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이륜차용 능동형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는,
일측이 제1지지구(1)에 지지되고 타측이 실린더(20) 내부에 위치하는 피스톤로드(10)와,
타측이 제2지지구(5)에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0)에 고정된 피스톤부(40)이 왕복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의 실린더(20)와,
상기 실린더(20)의 일측을 상기 피스톤로드(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실링하는 실링부(30)와,
상기 피스톤로드(10)의 타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20)를 왕복운동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부(40)와,
상기 실린더(20)에 유압을 공급하는 리저버탱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쇼크 업서버에 있어서,
테이퍼부(6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20)의 타측(20a)에 지지되는 제어봉(60)이 상기 실린더(20) 내부 공간 중 상기 피스톤부(40)의 타측에 위치하고,
피스톤부(4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조절 오리피스(70)의 일측을 상기 제어봉(60)의 테이퍼부(61)가 삽입, 탈출되면서 감쇠력이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자동차의 고급형 전자식 쇼크 옵서버와 같이 차륜을 통하여 로드로부터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력을 능동적으로 감쇠할 수 있는 이륜차용 능동형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피스톤부 분해 사시도.
도 5(a, b)는 피스톤몸체 우측 사시도와 좌측 사시도.
도 6(a, b, c, d) 피스톤몸체 좌측면도, A-A선 단면도, B-B선 단면도, 피스톤 몸체 우측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상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피스톤부 분해 사시도, 도 5(a, b)는 피스톤몸체 우측 사시도와 좌측 사시도이고, 도 6(a, b, c, d) 피스톤몸체 좌측면도, A-A선 단면도, B-B선 단면도, 피스톤 몸체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는 피스톤로드(10)와 중공의 실린더(20)와 실링부(30)와 피스톤부(40)와 리저버탱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피스톤로드(10)는 일측이 제1지지구(1)에 지지되고 타측이 실린더(20) 내부에 위치한다. 실린더(20)는 타측이 제2지지구(5)에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0)에 고정된 피스톤부(40)이 왕복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의 형상이다.
실링부(30)는 실린더(20)의 일측을 상기 피스톤로드(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실링한다. 피스톤부(40)는 피스톤로드(10)의 타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20)를 왕복운동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리저버탱크(50)는 실린더(20)에 유압을 공급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부(6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20)의 타측(20a)에 지지되는 제어봉(60)이 상기 실린더(20) 내부 공간 중 상기 피스톤부(40)의 타측에 위치한다. 이때, 피스톤부(4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조절 오리피스(70)의 일측을 상기 제어봉(60)의 테이퍼부(61)가 삽입, 탈출되면서 감쇠력이 조절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로드(10)는, 단턱(11)이 형성된 피스톤몸체 삽입부(12)와, 피스톤몸체 삽입부(12)의 단부에 체결볼트(B)가 결합되는 체결나선(12a)과, 피스톤몸체 삽입부(12)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조절 오리피스(7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피스톤부(4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40)의 피스톤몸체(45)는, 피스톤몸체 삽입부(12)가 내삽되는 중앙삽입공(41)과, 원주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1, 제2 메인오리피스(46, 47)와, 외주면에 형성된 "O"링 장착홈(43)으로 구성된다. 외주면에 "O"링을 감싸는 형태로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금속성 베어링(테프롤)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40)는 상기 피스톤몸체(45)의 양측면에 각각에 접면된 제1, 제2 립밸브(lip valve, 81, 82)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몸체(45) 일측면에 상기 제1 메인 오리피스(46)를 둘러싸면서 돌출된 제1 립밸브 접면돌출부(46a)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몸체(45) 타측면에 상기 제2 메인 오리피스(47)를 둘러싸면서 돌출된 제2 립밸브 접면돌출부(47a)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메인오리피스(46)를 통하여 유체는 타측의 제2실(7)로부터 일측의 제1실(6)로 진입하고, 제2 메인오리피스(47)를 통하여 유체는 일측의 제1실(6)로부터 타측의 제2실(7)로 진입한다. 제1 메인오리피스(46)와 상기 제2 메인오리피스(47)는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스톤부(4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조절 오리피스(70)의 일측을 제어봉(60)의 테이퍼부(61)가 삽입, 탈출되면서 감쇠력이 조절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구(1)와 제2지지구(5) 사이에 소정 탄성계수를 갖는 스프링(S)이 장착되고 로드(길)가 소프트(평탄)하여 스프링의 압축정도(피크에서)가 적고 피스톤의 움직이는 량이 적을때 조절 오리피스(70)는 개방되어 쇼바는 전체적으로 소프트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와 반대로 로드(길)가 자갈길이거나 험한 경우 스프링의 압축정도(피크에서)가 많고 피스톤의 움직이는 량이 많을 때 조절 오리피스(70)는 주기적으로 막히게 되어 쇼바는 전체적으로 강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쇼바에 작용하는 하중이 클때도 조절 오리피스(70)는 일부 막히게 되어 쇼바는 전체적으로 강한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제1지지구 5 : 제2지지구
6 : 제1실 7 : 제2실
10 : 피스톤로드 11 : 단턱
12 : 피스톤몸체 삽입부 12a : 체결나선
20 : 실린더 20a : 실린더 타측
30 : 실링부 40 : 피스톤부
41 : 중앙삽입공 43 : O"링 장착홈
45 : 피스톤몸체
46, 47 : 제1, 제2 메인오리피스
46a : 제1 립밸브 접면돌출부 47a : 제2 립밸브 접면돌출부
50 : 리저버탱크 60 : 제어봉
61 : 테이퍼부 70 : 조절 오리피스
81, 82 : 제1, 제2 립밸브
B : 체결볼트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일측이 제1지지구(1)에 지지되고 타측이 실린더(20) 내부에 위치하는 피스톤로드(10)와,
    타측이 제2지지구(5)에 지지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0)에 고정된 피스톤부(40)가 왕복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의 실린더(20)와,
    상기 실린더(20)의 일측을 상기 피스톤로드(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실링하는 실링부(30)와,
    상기 피스톤로드(10)의 타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20)를 왕복운동하면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부(40)와,
    상기 실린더(20)에 유압을 공급하는 리저버탱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쇼크 업서버에 있어서,
    테이퍼부(61)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20)의 타측(20a)에 지지되는 제어봉(60)이 상기 실린더(20) 내부 공간 중 상기 피스톤부(40)의 타측에 위치하고,
    피스톤부(4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조절 오리피스(70)의 일측을 상기 제어봉(60)의 테이퍼부(61)가 삽입, 탈출되면서 감쇠력이 조절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0)는,
    단턱(11)이 형성된 피스톤몸체 삽입부(12)와,
    상기 피스톤몸체 삽입부(12)의 단부에 체결볼트(B)가 결합되는 체결나선(12a)과,
    상기 피스톤몸체 삽입부(12)의 중심에 형성된 상기 조절 오리피스(70)로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부(40)의 피스톤몸체(45)는,
    상기 피스톤몸체 삽입부(12)가 내삽되는 중앙삽입공(41)과,
    원주방향으로 균일한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제1, 제2 메인오리피스(46, 47)와,
    외주면에 형성된 "O"링 장착홈(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40)는 상기 피스톤몸체(45)의 양측면에 각각에 접면된 제1, 제2 립밸브(lip valve, 81, 82)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몸체(45) 일측면에 상기 제1 메인 오리피스(46)를 둘러싸면서 돌출된 제1 립밸브 접면돌출부(46a)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몸체(45) 타측면에 상기 제2 메인 오리피스(47)를 둘러싸면서 돌출된 제2 립밸브 접면돌출부(47a)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메인오리피스(46)를 통하여 유체는 타측의 제2실(7)로부터 일측의 제1실(6)로 진입하고,
    상기 제2 메인오리피스(47)를 통하여 유체는 일측의 제1실(6)로부터 타측의 제2실(7)로 진입하고,
    상기 제1 메인오리피스(46)와 상기 제2 메인오리피스(47)는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KR1020100081268A 2010-08-23 2010-08-23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KR10118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268A KR101183394B1 (ko) 2010-08-23 2010-08-23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268A KR101183394B1 (ko) 2010-08-23 2010-08-23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445A KR20120018445A (ko) 2012-03-05
KR101183394B1 true KR101183394B1 (ko) 2012-09-14

Family

ID=4612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268A KR101183394B1 (ko) 2010-08-23 2010-08-23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3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6335A (en) 1971-09-13 1977-07-19 Arnold A. Cowan Adjustable shock absorber
JP2001263408A (ja) 2000-03-15 2001-09-26 Showa Corp 油圧緩衝器
JP2007009994A (ja) * 2005-06-29 2007-01-18 Yamaha Motor Powered Products Co Ltd 緩衝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6335A (en) 1971-09-13 1977-07-19 Arnold A. Cowan Adjustable shock absorber
JP2001263408A (ja) 2000-03-15 2001-09-26 Showa Corp 油圧緩衝器
JP2007009994A (ja) * 2005-06-29 2007-01-18 Yamaha Motor Powered Products Co Ltd 緩衝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445A (ko) 2012-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111B2 (e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KR101375804B1 (ko) 주파수 및 압력 감응형 쇽업소버
US8418820B2 (en) Shock absorber and its hydraulic stopper
JP6391512B2 (ja) 圧力緩衝装置
JP2013096470A (ja) 油圧緩衝器
US20190316658A1 (en) Check valve assembly structure for hydraulic tensioner
US20130220751A1 (en) Dust lip for shock absorber
US20050087412A1 (en) Compensated rod for a frequency dependent damper shock absorber
KR20090055930A (ko) 유체봉입형 엔진 마운팅 유닛
US5535862A (en) Suspension strut with quiet rebound stop
JP6355067B2 (ja) シール装置
KR101183394B1 (ko) 스트로크 감응형 쇼크 업서버
KR20160018504A (ko) 내압축성 쇽 업소버 피스톤 씰
US20100264348A1 (en) Dynamic Bore Plug Assembly
US20020179389A1 (en) Hydraulic piston assembly
KR20130016839A (ko) 능동형 쇼크 업서버
JP2003130119A (ja) 油圧緩衝器のフリクション付与構造
US9074649B2 (en) Combining structure of shock absorber
JP2870678B2 (ja) 油圧緩衝器
CN209839044U (zh) 一种汽车减震器的压缩件
CN206830716U (zh) 高支撑力耐磨型活塞
JP2014178020A (ja) 油圧緩衝器
CN208951199U (zh) 一种汽车减震器包塑活塞
KR101194805B1 (ko) 컴프레션 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KR101375802B1 (ko) 로드 가이드용 마찰식 댐핑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