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128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128B1
KR101183128B1 KR1020100127128A KR20100127128A KR101183128B1 KR 101183128 B1 KR101183128 B1 KR 101183128B1 KR 1020100127128 A KR1020100127128 A KR 1020100127128A KR 20100127128 A KR20100127128 A KR 20100127128A KR 101183128 B1 KR101183128 B1 KR 10118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guardian
information
call
surrou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815A (ko
Inventor
오종화
Original Assignee
오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종화 filed Critical 오종화
Priority to KR102010012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1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를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대상자의 주변영상, 주변음성 및 주변위치정보를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하여 보호대상자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은 보호자 스마트폰으로부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으로 통화를 시도하는 통화시도단계; 통화연결이 되면 통화를 하고, 통화연결음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등록된 보호자 스마트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확인단계; 등록된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는 통화연결음이 계속 울리고, 등록된 스마트폰인 경우는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은 감시모드로 전환되는 감시모드단계;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의해 주변정보를 습득하는 정보습득단계; 습득된 주변정보를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상기 주변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METHOD FOR ACQUIRING NEIGHBOR INFORMATION OF OBSERVATING PERSON USING SAMRT-PHONE}
본 발명은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를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대상자의 주변영상, 주변음성 및 주변위치정보를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하여 보호대상자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하거나 보호가 필요한 미성년자의 경우 스마트폰을 이용해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확인하는 서비스들이 보급되어 있다.
특히, 미성년자들은 유괴, 성범죄 및 교통사고 등의 사고에 노출되어 있고, 치매 노인 등의 경우는 길을 잃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핸드폰이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용 단말기(핸드폰이나 스마트폰)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는 현재 단말기가 접속한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개략적인 존재 영역을 산출하는 방법,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소재를 특정하여 찾는 방법 등이 있다.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망(Wi-fi)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들이 출시되면서 Wi-fi 중계기의 신호를 파악하여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위치 확인 서비스는 핸드폰과 사용자가 떨어져 있으면 핸드폰의 위치만 추적될 뿐 보호하고자 하는 보호대상자의 위치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
또한, 핸드폰의 위치 확인만 될 뿐이어서 핸드폰을 소지한 보호대상자의 상태 파악은 전화통화를 하지 않는 이상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이 문제가 된다.
미성년자 또는 치매 노인과 같은 보호가 필요한 보호대상자의 동태 파악을 위해서는 좀 더 개선된 서비스가 필요할 것이라 여겨진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보호대상자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주변의 정보를 습득케하고 이를 보호자가 보호자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호자는 평상시에는 보호대상자와 통화를 함으로써, 통화불능시에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에 의해 보호대상자의 동태를 확인함으로써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간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은 보호자 스마트폰으로부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으로 통화를 시도하는 통화시도단계; 통화연결이 되면 통화를 하고, 통화연결음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등록된 보호자 스마트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확인단계; 등록된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는 통화연결음이 계속 울리고, 등록된 스마트폰인 경우는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은 감시모드로 전환되는 감시모드단계;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의해 주변정보를 습득하는 정보습득단계; 습득된 주변정보를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상기 주변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주변정보는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마이크 및 GPS 모듈에 의해 습득되는 주변 영상정보, 주변 음성정보 및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의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 및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은 각각 2대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보호대상자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주변의 정보를 습득케하고 이를 보호자가 보호자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는 평상시에는 보호대상자와 통화를 함으로써, 통화불능시에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에 의해 보호대상자의 동태를 확인함으로써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간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폰 통신체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폰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폰 통신체계도이다.
본 발명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통신망(130)을 통해 음성, 텍스트, 이미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과 키패드(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등을 갖춘 스마트폰(110, 120)을 구비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의 단말기로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호자가 소지하여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보호자 스마트폰(110)으로 하며, 보호대상자 즉 어린자녀 또는 치매노인 등이 소지하여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으로 정의한다.
보호자 스마트폰(110) 또는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은 복수개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통신망(130)은 2G나 3G 음성통신을 위주로 한 이동통신망,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위주로 한 인터넷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모바일 무선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주변정보 획득방법은 노인, 어린이, 장애자, 치매환자 등 보호가 반드시 필요한 보호대상자의 위치 파악 및 주변 정보를 통한 보호대상자의 동태 파악을 위해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폰의 구성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호자 또는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10, 120)은 전원공급부(210), 제어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A/V(Audio/Video) 입력부(240), GPS 모듈(250), 메모리부(260), 무선 통신부(270), 인터페이스부(280) 및 출력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110, 120)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폰에 추가되거나 생략되는 기능에 따라 그 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이 추가될 수 있거나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220)는 스마트폰(110, 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고, 사용자 입력부(230)를 통한 맵키의 입력이나 터치 또는 근접 입력에 의해 동작할 수 있는 소프트 키 형태의 맵키의 입력에 응답하여 각종 어플리케이션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를 획득하여 확인할 수 있는 일명 '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키며,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종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되는 소정의 맵키(MAP key)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력부(240)는 비디오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모듈(240a)과 마이크(240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40a)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이렇게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90a)에 표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모듈(240a)은 보호자 스마트폰(110)과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과 통화 연결시 통화 연결지 않을 경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으로 하여금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무선통신부(270)를 통해 보호자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토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240b)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에 무선통신부(270)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240a)과 마찬가지로 보호자 스마트폰(110)과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과 통화 연결시 통화 연결지 않을 경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으로 하여금 주변의 음성을 녹음하여 녹음된 음성을 무선통신부(270)를 통해 보호자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토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250)은 스마트폰(110, 12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GPS모듈(250)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그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GPS 모듈(250)은 카메라 모듈(240a) 및 마이크(240b)와 함께 보호자 스마트폰(110)과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과 통화 연결시 통화 연결지 않을 경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의 위치 정보를 무선통신부(270)를 통해 보호자 스마트폰(110)으로 전송토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60)는 제어부(220)의 제반 제어 동작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각종 소프트웨어 형식의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지킴이 어플리케이션(260a)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70)는 보호자 스마트폰(110)과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을 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모듈이며,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80)는 스마트폰(110, 12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하며,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폰(110, 12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29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290a), 음향출력부(290b) 및 알람부(290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90a)는 스마트폰(110, 120)에서 처리되는 영상이미지를 출력하며, 특히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으로 하여금 주변의 상황을 촬영하여 무선통신부(270)를 통해 수신된 영상데이타를 표시하게 된다.
음향출력부(290b)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7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2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으로 하여금 주변의 상황을 녹음하여 무선통신부(270)을 통해 수신된 음성데이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음향출력부(290b)은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290c)는 스마트폰(110, 12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먼저, 보호자 스마트폰(110)과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은 '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스마트폰 내에 설치를 한다.
보호자는 보호자 스마트폰(110)을 이용하여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으로 통화를 실시간으로 시도한다(S301).
이때 보호자 스마트폰(110)은 통화연결음이 연속하여 울리게 되고, '지킴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연결음의 횟수가 기설정되며 기설정된 통화연결음의 횟수 이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S302).
기설정된 통화연결음 횟수 카운터 전에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이 통화버튼을 누르게 되면 평상시의 통화와 마찬가지로 보호자 스마트폰(110)과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S303).
하지만, 기설정된 통화연결음 횟수 이상의 통화연결음이 연속하여 발화되면 '지킴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통화를 시도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에 등록된 스마트폰(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로 등록)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4).
통화를 시도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등록된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 일반적인 통화와 마찬가지로 계속하여 통화연결음이 발화된다(S305).
하지만, 통화를 시도하고 있는 스마트폰이 등록된 스마트폰인 경우 즉, 보호자 스마트폰(110)인 경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은 주변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감시모드로 전환된다(S306).
감시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또는 후에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은 내장된 카메라모듈(240a), 마이크(240b) 및 GPS 모듈(250)을 통해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의 주변 정보를 습득하게 된다(S307). 습득된 정보는 주변 영상데이타, 주변 음성데이타 및 스마트폰의 위치 데이타가 될 것이다.
습득된 주변 정보는 보호대상자 스마트폰(120)의 메모리에 저장되며 메모리에 저장된 주변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보호자 스마트폰(110)으로 전송된다(S308).
주변 정보를 수신한 보호자 스마트폰(110)은 보호대상자가 위치한 주변의 영상, 음성 및 위치를 확인하게 되고 주변 정보에 맞는 향후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S309).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은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보호대상자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주변의 정보를 습득케하고 이를 보호자가 보호자 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자로 하여금 원격에 있는 보호대상자의 동태를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보호자 스마트폰 120 : 보호대상자 스마트폰
130 : 통신망 210 : 전원공급부
220 : 제어부 230 : 사용자 입력부
240 : A/V 입력부 240a : 카메라모듈
240b : 마이크 250 : GPS모듈
260 : 메모리 260a : 지킴이 어플리케이션
270 : 무선통신부 280 : 인터페이스부
290 : 출력부 290a : 디스플레이부
290b : 음향출력부 290c : 알람부

Claims (3)

  1. 보호자 스마트폰으로부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으로 통화를 시도하는 통화시도단계;
    통화연결이 되면 통화를 하고, 통화연결음이 기설정된 횟수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등록된 보호자 스마트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등록확인단계;
    등록된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는 통화연결음이 계속 울리고, 등록된 스마트폰인 경우는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은 감시모드로 전환되는 감시모드단계;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의해 주변정보를 습득하는 정보습득단계;
    습득된 주변정보를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으로 수신된 상기 주변정보를 확인하는 정보확인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정보는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 마이크 및 GPS 모듈에 의해 습득되는 주변 영상정보, 주변 음성정보 및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의 위치정보 중 2 이상의 정보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자 스마트폰 및 상기 보호대상자 스마트폰은 각각 2대 이상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KR1020100127128A 2010-12-13 2010-12-13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KR10118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128A KR101183128B1 (ko) 2010-12-13 2010-12-13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128A KR101183128B1 (ko) 2010-12-13 2010-12-13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815A KR20120065815A (ko) 2012-06-21
KR101183128B1 true KR101183128B1 (ko) 2012-09-14

Family

ID=4668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128A KR101183128B1 (ko) 2010-12-13 2010-12-13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12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815A (ko)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124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위급 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EP30681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ming call reminder
US20120003956A1 (en) Real time sound/image capture and distibution to end recipient
CN111212412B (zh) 近场通信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WO2014169763A1 (en) Method for making emergency call,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0695081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136292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CN105282723A (zh) 紧急呼叫控制方法和装置及紧急呼叫方法和装置
JP2007221327A (ja) 監視システム、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声音出力装置
KR101232115B1 (ko) 안심귀가 정보관리방법 및 그 장치
JP2010171911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CN106255071A (zh) 发送求救信息的方法及装置
CN105872952A (zh) 基于可穿戴设备的信息发送方法及装置
GB2510245A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perable as a portable alarm
KR101422234B1 (ko) 생체정보 및 gps정보를 활용한 긴급상황 통보시스템
CA3031791A1 (en) Secur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KR101792047B1 (ko) 스마트폰과 이어폰을 이용한 긴급상황 알림 기능 제공 방법
CN106097650A (zh) 终端的报警方法、装置及终端
KR100548418B1 (ko) 카메라 일체형 휴대 단말기의 촬영 제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33933A (ko) 감시 및 관찰 현장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3152502A (ja) 安否情報発信装置及び安否情報発信プログラム
US20140176329A1 (en) System for emergency rescue
KR101266320B1 (ko) 긴급 상황 알림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1183128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보호대상자의 주변정보 획득방법
KR101605746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신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