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397B1 -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 Google Patents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397B1
KR101182397B1 KR1020100006656A KR20100006656A KR101182397B1 KR 101182397 B1 KR101182397 B1 KR 101182397B1 KR 1020100006656 A KR1020100006656 A KR 1020100006656A KR 20100006656 A KR20100006656 A KR 20100006656A KR 101182397 B1 KR101182397 B1 KR 101182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touch screen
electrode
touch
capacitive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153A (ko
Inventor
박광범
김건년
김원효
이강열
신권우
한종훈
서경학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06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3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측에 위치한 기판, 상측에 위치하며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변형되는 플렉서블층, 상기 기판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 전극, 플렉서블층의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전극, 그리고 상기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층 사이에 위치하여 교차하는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에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정전용량을 발생시키는 탄성체층을 포함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설정 개수만큼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묶어 하나의 주사 그룹으로 지정하되 이웃하는 그룹 간에 중복되는 전극이 존재하도록 한 후, 주사 그룹을 기준으로 주사 제어를 하여 정전용량의 변화를 크게 하면서 터치 위치 인식의 오차를 줄이게 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CAPACITANCE TOUCH SCREEN}
본 발명은 정전용량 터치 제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체 또는 부도체에 의한 터치를 정전용량 방식을 통해 감지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기업맞춤형 정보전자 패키지 핵심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9-S-001-01, 과제명: 정보가전용 차세대 Input Device 기술개발].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제품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가지며, 이러한 구성의 종류로는 버튼, 리모콘,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등이 있다.
이 중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패드)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제품(예; 스마트폰, PDA 폰 등)이나 팜 사이즈 PC(Palm-Size PC), 은행의 ATM(Automated Teller Machine) 기기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패드)은 화면 상에 문자나 아이콘 등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또는 터치 펜) 등으로 문자나 아이콘을 터치하게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입력하거나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터치 패드)은 대표적으로 저항막 방식, 전기-자기장 방식과, 정전용량 방식이 있다.
정전용량 방식은 미국등록번호 제5,942,733호에 그 일 예가 기재되어 있다. 5,942,733호에 기재된 정전용량 방식을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드의 구조를 보인 일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은 3개의 전극 즉, 전극 그라운드면(24), 상부 전극(18), 그리고 상부 전극(18)에 직교하는 하부 전극(34)을 가진다. 전극 그라운드면(24)은 상부 플렉서블층(26) 바로 아래 위치하여 스타일러스(28)의 누름(즉, 터치)에 따라 상부 전극(18)과 하부 전극(34)측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28)에 의해 눌려질 때에 발생되는 전극 그라운드면(24)과 상부 전극(18) 간의 정전용량과 그라운드면(24)과 하부 전극(14) 간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스타일러스(28)에 의해 눌려지는 X축(가로) 위치와 Y축(세로) 위치를 인식한다.
그런데 제5,942,733호에 기재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드 구조는 투명 전극과 투명 기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용 터치 스크린으로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제5,942,733호에 기재된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드 구조에 투명 전극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터치 스크린에 적용하더라도, 투명전극 막이 3층 이상으로 형성되어지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의 전체적인 투과도가 낮아지고, 제조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은 2차원적으로 위치 즉, 좌표를 계산하여 인지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누른 힘이나 압력을 인식할 수 없다. 이는 3차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더욱 많은 접촉을 필요로 하거나 디스플레이 화면에 다양한 메뉴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미국등록번호제5,942,73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 스크린의 전체적인 투과도를 높이면서 제조 단가를 낮추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치 위치와 터치에 의해 눌려지는 힘의 크기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하측에 위치한 기판, 상측에 위치하며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변형되는 플렉서블층, 상기 기판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 전극, 상기 플렉서블층의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에 교차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전극, 그리고 상기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층 사이에 위치하여 교차하는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 간에 정전용량을 발생시키는 탄성체층을 포함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은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 보호막과,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을 보호하기 위한 상부 보호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탄성체층은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과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여 정전용량이 발생되게 하는 투명 탄성체와, 상기 투명 플렉서블층과 상기 투명 유리 기판 사이를 메우되, 상기 투명 탄성체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설치된 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투명 탄성체는 실리콘 계열의 겔(gel)이며, 상기 댐은 실리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투명 탄성체 및 댐은 실리콘 계열의 겔(gel), 실리콘 계열의 고무 또는 폴리 우리팬과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플렉서블층은 상면이 하드(hard) 코팅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을 사용한다.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 각각과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각각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은 이웃하는 전극과의 갭이 0.5mm에서 0.001mm 이내이고, ITO(Indium Tin Oxide), 금속성 SWCNT(Single-Walled Carbon NanoTube), 또는 전도성 고분자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중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보호막과 상기 상부 보호막은 투명 필름으로, OCA(Optical Clear Adhesive)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은 N개의 제1 전극과 M개의 제2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동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파악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N개의 제1 전극 중에서 이웃하는 K개의 제1 전극을 하나의 세로 주사그룹으로 형성하여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하나의 세로 주사그룹이 선택되는 동안에, 상기 M개의 제2 전극 중에서 이웃하는 J개의 제2 전극을 하나의 가로 주사그룹으로 형성하여 선택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세로 주사그룹과 상기 가로 주사그룹의 교차하는 터치 셀에서 발생되는 정전용량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와 상기 (c)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상기 M개의 제2 전극 모두가 선택되게 하는 단계, (e) 상기 N개의 제1 전극 모두가 선택되도록 상기 (a) 내지 상기 (c)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그리고 (f) 상기 (e) 단계에 의해 수집된 모든 터치 셀에서 발생된 정전용량값을 이용하여 터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이웃하는 상기 세로 주사그룹 간에는 (K-1)개 이하의 상기 제1 전극이 중복되고, 이웃하는 상기 가로 주사그룹 간에는 (J-1)개 이하의 상기 제2 전극이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f) 단계는 상기 모든 터치 셀로부터 수집된 정전용량값에 해당하는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상기 정전용량값이 가장 큰 제1 터치 셀의 위치를 상기 터치 위치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f) 단계는 상기 모든 터치 셀로부터 측정한 정전용량값으로부터 정전용량값의 변화가 있는 터치 셀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터치 셀들의 정전용량값을 비교하여 정전용량값이 가장 큰 상기 제1 터치 셀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은 상기 제1 터치 셀의 정전용량값을 힘 또는 압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K와 상기 J는 2보다 크고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K개와 상기 J개는 동일한 개수이거나 또는, 서로 다른 개수일 수 있다. 여기서 K개와 J개가 동일한 개수인 경우에, 상기 K와 상기 J는 3이고, 상기 이웃하는 세로 주사그룹 간에 중복되는 상기 제1 전극은 2개이며, 상기 이웃하는 가로 주사그룹 간에 중복되는 상기 제2 전극은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투명한 재료(소재)로 터치 스크린을 구성하여 전체적인 투과도를 높이면서, 2개의 전극을 이용하여 정전용량을 발생시킴으로써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삭제
삭제
도 1은 종래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이 적용된 터치 패드의 구조를 보인 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상부 투명 전극과 하부 투명 전극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상부 투명 전극과 하부 투명 전극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동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을 전극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따라 정전용량 측정값이 얻어지는 터치 셀의 수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따라 정전용량 측정값이 얻어지는 터치 셀의 수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대한 주사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대한 주사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은 하측에 투명 유리 기판(17)이 위치하고 상측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에 의해 눌려지는 투명 플렉서블층(11)이 위치한다. 이때 투명 플렉서블층(11)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또는 터치 펜을 통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쉽게 변형이 되도록 투명한 플렉서블(flexible) 필름(film)으로 형성되며, 이때 플렉서블 필름은 예컨대 상면이 하드(hard) 코팅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이 사용되며, 두께는 0.125mm에서 0.3mm 이내로 한다.
그리고 투명 유리 기판(17)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하부 투명 전극(16)이 설치되고, 투명 플렉서블(11)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상부 투명 전극(12)이 설치되며, 이때 복수의 상부 투명 전극(12)과 복수의 하부 투명 전극(16)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게 설치된다.
상부 및 하부 투명 전극(12, 16)의 폭은 1mm에서 5mm까지가 적당하며, 이웃하는 전극과의 갭(gap)은 0.5mm에서 0.001mm 이내로 유지한다. 하부 투명 전극(16)과 상부 투명 전극(12)의 재료로는 ITO(Indium Tin Oxide), 금속성 SWCNT(Single-Walled Carbon NanoTube), 또는 전도성 고분자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이 사용된다.
하부 투명 전극(16) 상면에는 하부 투명 전극(16)을 보호하기 위한 하부 투명 보호막(15)이 형성되고, 상부 투명 전극(12)의 하면에는 상부 투명 전극(12)을 보호하기 위한 상부 투명 보호막(13)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 투명 보호막(15) 및 상부 투명 보호막(13)은 투명 필름 형태로 구성되며, ITO의 기계적 충격에 의한 크랙 또는 깨짐을 방지하고, 금속성 SWCNT 또는 전도성 고분자 PEDOT 재료의 투명 플렉서블층(11) 또는 하부 투명 전극(16)과의 접착력 향상과 전극 보호를 위해 OCA(Optical Clear Adhesive) 테이프로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상부 투명 보호막(13)과 하부 투명 보호막(15)은 접착력 향상과 전극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부 투명 전극(12)과 하부 투명 전극(16) 사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일정한 정전용량이 형성되도록 하며, 외부의 가압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체층(14)이 설치된다. 탄성체층(14)은 투명 탄성체(41)로 복수의 상부 투명 전극(12)이 형성된 투명 플렉서블층(11)과 복수의 하부 투명 전극(16)이 형성된 투명 유리 기판(17) 사이를 메우고, 투명 탄성체(41)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터치 스크린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댐(42)이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투명 탄성체(41)는 복수의 상부 투명 전극과 복수의 하부 투명 전극 사이에 위치하여 정전용량이 발생되게 한다. 이때 투명 탄성체(41)는 실리콘 계열의 겔(gel)을 사용하여 고 투명도와 우수한 복원력을 갖으며, 부드러움과 터치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투명 탄성체(41)의 두께는 0.1mm에서 0.8mm 이내로 한다. 투명 탄성체(41)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두께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두꺼우면 교차되는 상부 투명 전극(12)과 하부 투명 전극(16) 사이의 간격이 커져서 초기 정전용량 값이 작아지기 때문에 신호 처리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투명 탄성체(41)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터치 스크린 하단에 있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와 터치 스크린의 터치 위치의 불일치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댐(42)은 투명 탄성체(41)의 두께에 대응하여 0.1mm에서 0.8mm 이내의 높이를 가지며,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터치 스크린 가장자리에 위치한 댐(42) 주변이 눌려도 위치와 힘 인식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은 각 구성(11 내지 17)이 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투명 유리 기판(17) 하측에 표시되는 화면을 사용자가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각 구성(11 내지 17, 댐은 제외)을 투명한 소재로 구성된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또는 손가락 등)로 투명 플렉서블층(11)의 상면을 누르면, 투명 플렉서블층(11)은 접촉 부분을 중심으로 변형이 발생된다. 이러한 변형은 접촉 부분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 투명 전극(12)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부 투명 전극(12)과 하부 투명 전극(16) 간의 거리를 보다 좁혀지게 한다.
그러므로 접촉 부분에 위치한 상부 투명 전극(12)과 하부 투명 전극(16) 간에는 정전용량이 커지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모든 상부 투명 전극(12)과 하부 투명 전극(16) 간 교차 지점에서의 정정용량 변화를 측정하게 되면, 스타일러스(또는 손가락 등)와 접촉한 부분에 위차한 상부 투명 전극(12)과 하부 투명 전극(16) 간의 정전용량은 측정된 다른 교차 지점에서의 정전용량에 비해 큰 정전용량값이 측정되어, 큰 정전용량값이 측정된 지점이 터치 위치로 파악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2개의 전극 즉, 상부 투명 전극(12)과 하부 투명 전극(16) 간의 정정용량 변화만을 측정하고 정전용량값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전용량값의 크기 정도를 통해 스타일러스(또는 손가락 등)에 의해 눌려진 힘(압력)을 파악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또는 손가락 등)에 의해 눌려진 힘(압력)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가 단순히 터치를 하는 것인지, 다른 동작을 위한 예컨대, 클릭을 위해 터치를 하는 것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노트북 컴퓨터에서 사용자가 마우스 터치 패드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면, 마우스 터치 패드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적용되면 사용자의 방향 이동을 위한 터치와 클릭을 위한 터치 각각을 구분하여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정용량 터치 스크린에서 복수의 상부 투명 전극(12)과 복수의 하부 투명 전극(16) 간의 배치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상부 투명 전극과 하부 투명 전극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상부 투명 전극과 하부 투명 전극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3과 도 4 각각은 동일한 화면 면적에 배치된 상부 투명 전극과 하부 투명 전극의 배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상부 투명 전극(12)과 복수의 하부 투명 전극(16)은 서로 수직으로 교차되게, 즉,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상부 투명 전극(12) 각각은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복수의 하부 투명 전극(16) 각각은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 투명 전극(12)을 세로 전극이라 지칭하고, 하부 투명 전극(13)을 가로 전극이라 지칭한다.
물론,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로 복수의 상부 투명 전극(12)을 세로 방향으로 배열하고, 복수의 하부 투명 전극(16)을 가로 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4개의 세로 전극(x101, x102, x103, x104)과 5개의 가로 전극(y101, y102, y103, y104, y105)이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도 4에서는 12개의 세로 전극(x1 내지 x 12)과 15개의 가로 전극(y1 내지 y15)이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하나의 세로 전극과 하나의 가로 전극이 교차하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단위 교차 지점(이하 "터치 셀"이라 한다)의 면적 A와 면적 B는 배치된 전극의 수에 반비례한다. 즉, 면적 A가 면적 B보다 크다. 여기서 터치 셀이란 터치 스크린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최소 단위로, 정전용량을 발생시키는 가로 전극과 세로 전극의 교차 면적이다.
일반적으로, 평행한 두 개의 도체판 사이의 정전용량의 크기는 기하학적으로 두 개의 도체판의 교차하는 단면적에 비례하고, 두 개의 도체판 간격에 반비례한다. 그러므로 단위 교차 지점의 면적을 넓게 할수록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힘의 변화 인식에 유리하다.
따라서 통상적인 종래의 구동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세로 전극과 가로 전극의 수가 적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세로 전극과 가로 전극의 수가 많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보다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인식하기에 유리하다.
그러나, 단위 교차 지점의 면적이 클수록 전극 폭이 넓어져 위치 인식에 오차가 큰 단점이 있으며, 그에 따라 세로 전극과 가로 전극의 수가 많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세로 전극과 가로 전극의 수가 적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보다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인식에 대한 오차가 적은 장점이 있다.
결국, 통상적인 종래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단위 교차 지점의 면적이 작을수록 교차 지점을 누르는 위치의 인식에 대한 오차가 적지만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동 방법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극 배치를 가진 터치 스크린에 적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극 배치를 가진 터치 스크린보다 교차 지점을 누르는 위치의 인식에 대한 오차를 적게하면서, 적어도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극 배치를 가진 터치 스크린만큼의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동 방법을 도 5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동 장치와 터치 스크린의 전극 상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동 장치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을 전극을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의 구동 장치는 터치 스크린(100), X축 주사부(200), Y축 주사부(300), 터치 감지부(400)와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동 장치는 각 주사부(200, 300)를 통해 가로 전극과 세로 전극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각 주사부(200, 300)의 동작을 동기시키기 위해 필요로 하는 동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 발생기 등을 포함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생략한다.
터치 스크린(100)은 12개의 세로 전극(x1 내지 x12)이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15개의 가로 전극(y1 내지 y15)이 세로 전극(x1 내지 x12)에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있다(도 4 참조).
X축 주사부(200)는 제어부(500)의 주사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세로 주사그룹(GX)에 순차적으로 제1 설정 신호(예; 교류 전압, 교류 전류, 주파수 등)를 인가한다. 이하에서는 제1 설정 신호가 전압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세로 주사그룹(GX)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3개의 세로 전극(x1, x2, x3 또는, x2, x3, x4 등)을 X축 주사부(200)에 포함된 아날로그 스위치 또는 멀티플렉스(MUX)에 의해 하나의 주사 그룹(GX)으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세로 주사그룹 간에 2개의 세로 전극이 서로 중첩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일 예를 보면, X축 주사부(200)는 12개의 세로 전극(x1 내지 x12)에 대응하여 10개의 세로 주사그룹(GX1 내지 GX10)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10개의 세로 주사그룹(GX1 내지 GX10)은 순차적으로, (x1, x2, x3), (x2, x3, x4), (x3, x4, x5), (x4, x5, x6), (x5, x6, x7), (x6, x7, x8), (x7, x8, x9), (x8, x9, x10), (x9, x10, x11)와, (x10, x11, x12)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X축 주사부(200)는 주사 제어신호에 따라 첫번째 세로 주사그룹(GX1)에서부터 마지막 세로 주사그룹(GX10)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제1 설정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인가되는 제1 설정 전압은 하나의 세로 주사그룹을 이루는 3개의 세로 전극에 동시에 인가된다.
다음으로, Y축 주사부(300)는 제어부(500)의 주사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가로 주사그룹(GY)에 제2 설정 신호(예; 교류 전압, 교류 전류, 주파수 등)를 인가한다. 이하에서는 제2 설정 신호가 전압인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가로 주사그룹(GY)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3개의 가로 전극(y1, y2, y3 또는, y2, y3, y4 등)을 Y축 주사부(300)에 포함된 아날로그 스위치 또는 멀티플렉스(MUX)에 의해 하나의 주사 그룹(GY)으로 형성되며, 이웃하는 가로 주사그룹 간에 2개의 가로 전극이 서로 중첩되도록 한다.
도 6을 보면, Y축 주사부(300)는 15개의 가로 전극(y1 내지 y15)에 대응하여 13개의 가로 주사그룹(GY1 내지 GY13)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13개의 가로 주사그룹(GY1 내지 GY13)은 순차적으로, (y1, y2, y3), (y2, y3, y4), (y3, y4, y5), (y4, y5, y6), (y5, y6, y7), (y6, y7, y8), (y7, y8, y9), (y8, y9, y10), (y9, y10, y11), (y10, y11, y12), (y11, y12, y13), (y12, y13, y14)와, (y13, y14, y1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Y축 주사부(300)는 주사 제어신호에 따라 첫번째 가로 주사그룹(GY1)에서부터 마지막 가로 주사그룹(GY13)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제2 설정 전압을 인가한다. 이렇게 인가되는 제2 설정 전압은 하나의 가로 주사그룹을 이루는 3개의 세로 전극에 동시에 인가된다.
터치 감지부(400)는 터치 위치 및 힘 인식을 위해 제어부(500)로 주사 제어신호의 인가를 지시하고, X축 주사부(200)와 Y축 주사부(300)를 통한 설정 전압 인가에 따라 각 터치 셀의 정전용량값을 측정하고, 측정한 각 터치 셀의 정전용량값을 비교하여 최대 정전용량값의 터치 셀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한 최대 정전용량값을 힘(또는 압력)으로 변환하여 터치시에 가해진 힘을 파악한다.
이때 터치 감지부(400)에서 정전용량값을 통해 감지하는 터치 셀의 면적은 하나의 가로 주사그룹과 하나의 세로 주사그룹이 교차하는 면적 A이다.
면적 A는 하나의 세로 전극과 하나의 가로 전극이 교차하는 면적 B보다 크며, 그에 따라 면적 B에 비해 정전용량값의 변화가 크다. 그러므로 터치 감지부(400)는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정전용량값의 변화 정도를 차별화하여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부(400)는 위치 인식 분해능 및 힘 인식 분해능을 가지고 있다. 즉, 터치 감지부(400)는 면적 A를 가진 각 터치 셀의 정전용량값을 측정하되, 이웃하는 터치 셀 간에 적어도 하나의 전극만큼의 간격을 두어 정전용량값을 측정하기 때문에, 세밀한 터치 위치 인식과 힘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터치 감지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터치 셀(정전용량값이 변화한 터치 셀)에 대해 정전용량값을 비교한 후 가장 큰 정전용량값을 가진 하나의 터치 셀을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하나의 터치 셀을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에 의해 터치된 터치 셀로 결정한다.
결국, 터치 감지부(400)는 면적 A를 가진 하나의 터치 셀을 추출하지만, 동일 터치 셀에 대한 순차적인 중복 스캔에 의해 실질적으로 면적 B에 해당하는 터치 셀을 추출하는 것과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
터치 감지부(400)는 하나의 터치 셀을 추출하면 추출한 터치 셀에 대응하는 위치와 정전용량값을 제어부(500)에게 제공한다.
제어부(500)는 스타일러스 또는 손가락 등에 의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X축 주사부(200)와 Y축 주사부(300)로 주사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제어부(500)에서 송출한 주사 제어신호는 12개의 세로 전극에 의해 형성된 10개의 세로 주사그룹을 순차적으로 주사하고 15개의 가로 전극에 의해 형성된 13개의 가로 주사그룹을 순차적으로 주사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주사 제어신호에 따라 하나의 세로 주사그룹이 순차적으로 선택될 때마다 13개의 가로 주사그룹에 순차적으로 제2 설정 신호가 인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세로 주사그룹(GX)과 가로 주사 그룹(GY)을 도 6에 도시된 예와 달리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로 주사그룹(GX)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3개의 세로 전극(x1, x2, x3 또는, x2, x3, x4 등)을 X축 주사부(200)에 포함된 아날로그 스위치 또는 멀티플렉스(MUX)에 의해 하나의 주사 그룹(GX)으로 형성하나, 이웃하는 세로 주사그룹 간에 중첩(중복)되는 세로 전극이 없게 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 세로 주사그룹은 (x1, x2, x3), (x4, x5, x6), (x7, x8, x9), (x10, x11, x12)으로 이루어져, 총 4개의 주사그룹이 된다.
그리고 가로 주사그룹(GY) 또한 세로 주사그룹(GY)과 같은 원리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가로 주사그룹(GY)은 (y1, y2, y3), (y4, y5, y6), (y7, y8, y9), (y10, y11, y12), (y13, y14, y15)으로 이루어져, 총 5개의 가로 주사그룹이 된다.
또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세로 주사그룹과 가로 주사그룹은 이웃하는 N개의 전극을 하나의 주사그룹으로 하되, 이웃하는 주사그룹 간에 적어도 하나 또는 (N-1)개의 전극이 중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이웃하는 4개의 전극을 하나의 주사그룹으로 하되, 3개 또는 2개 또는 1개의 전극이 중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정확한 터치 위치 인식과 빠른 처리를 위하여 주사 그룹에 포함되는 주사 전극의 수(N)는 2보다 크고 8 이하인 것이 양호하고, 이웃하는 주사 그룹간에 중첩되는 전극의 수는 N-1인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세로 주사그룹을 형성하는 전극의 수와 가로 주사그룹을 형성하는 전극의 수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세로 주사그룹은 3개의 전극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고, 가로 주사그룹은 4개의 전극을 하나의 그룹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과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따라 정전용량 측정값이 얻어지는 터치 셀의 수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대한 주사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으로 도 6에 도시된 면적 B의 지점(위치는 전극의 위치를 기준으로 (x5, y8)임)을 터치하였다고 하자.
제어부(500)는 터치 감지부(400)로부터의 입력에 대응하여 일정 주기로 X축 주사부(200)와 Y축 주사부(300)로 각각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사 제어신호를 송출한다.
X축 주사부(200)는 수신된 주사 제어신호에 따라 3개의 세로 전극(x1, x2, x3)에 연결된 아날로그 스위치를 동시에 온시키거나 3개의 세로 전극(x1, x2, x3)에 대한 온 신호를 멀티플렉서로 입력하는 방법으로 첫번째 하나의 세로 전극그룹(GX1)을 형성, 선택한다(S901, S902).
이와 동시에, Y축 주사부(300)는 주사 제어신호에 따라 3개의 가로 전극에 연결된 아날로그 스위치 또는 멀티플렉서를 동시에 온(on) 시키는 방법으로 첫 번째 가로 전극그룹(GY1)에서부터 마지막 가로 전극그룹(GY13)을 순차적으로 선택한다(S903)
그러면, 세로 전극그룹(GX1)과 가로 전극그룹(GY1 내지 GY13)이 교차하는 각각의 지점에서는 정전용량이 발생되고, 이러한 가로 전극그룹과 세로 전극그룹의 교차 지점에서의 정전용량값을 터치 감지부(400)에서 측정한다.
여기서 교차 지점에서의 정전용량값은 전극그룹 간의 간격이 가까울수록 크며, 정전용량값이 크다는 것은 사용자에 의해 누르는 힘이 커서 플렉서블층(11)의 변형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자가 누른 터치 지점임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주사 제어신호에 따라 X축 주사부(200)는 3개의 세로 전극(x2, x3, x4)에 연결된 아날로그 스위치 또는 멀티플렉서를 동시에 온(on) 시켜 3개의 세로 전극(x2, x3, x4)을 두 번째 하나의 세로 전극그룹(GX2)을 형성 선택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Y축 주사부(300)는 주사 제어신호에 따라 첫 번째 가로 전극그룹(GY1)에서부터 마지막 가로 전극그룹(GY3)에 대해 순차적으로 선택한다.
그러면, 세로 전극그룹(GX2)과 가로 전극그룹(GY1 내지 GY13)이 교차하는 각각의 지점에서는 가로 전극그룹과 세로 전극그룹 간의 교차 지점에서의 정전용량값을 터치 감지부(400)에서 측정한다.
이상의 방법으로 반복하여(S905, S906, S907, S908),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세로 전극그룹과 가로 전극그룹의 교차 지점에서 정전용량값을 수집한다.
도 7에서 보면, 터치 셀(교차 지점)은 (GX1, GY1),..., (GX1, G13), (GX2, GY1), ..., (GX2, GY13), ..., (GX10, GY1), ..., (GX10, GY13)으로, 총 130개의 교차 지점이다.
터치 감지부(400)는 모든 터치 셀로부터 수집된 정전용량값의 분포로부터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에 의해 눌려지지 않았을 때의 정전용량값(설정값)과 비교하여 정전용량값이 변화한 터치 셀을 파악한다(S909).
여기서 사용자가 (x5, y8) 지점을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으로 눌렀으므로, (x5, y8) 지점을 포함하는 터치 셀은 정전용량값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정전용량값이 변화된 터치 셀은 세로 전극그룹인 GX3, GX4, GX5과 가로 전극그룹인 GY6, GY7, GY8의 교차 지점인 (GX3, GY6), (GX3, GY7), (GX3, GY8), (GX4, GY6), (GX4, GY7), (GX4, GY8), (GX5, GY6), (GX5, GY7), (GX5, GY8)이다.
물론, 사용자가 (x5, y8) 지점을 누르게 되더라도 누르는 힘이 모두 (x5, y8) 지점에만 작용하지 않고 (x5, y8) 지점의 주변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실제로 정전용량값이 변화된 터치 셀은 상기 9개 보다 더 많게 될 것이다.
터치 감지부(400)는 정전용량값의 변화가 있는 터치 셀들에 대해 정전용량값을 비교하여 정전용량값의 변화가 가장 큰 터치 셀 또는 정전용량값이 가장 큰 하나의 터치 셀을 파악한다(S910).
이렇게 파악한 하나의 터치 셀은 (x5, y8) 지점이 중앙에 위치한, 교차 지점이 (GX4, GY7)인 터치 셀이다.
터치 감지부(400)는 파악한 터치 셀의 중심 위치를 파악하고 중심 위치와, 해당 터치 셀의 정전용량값을 계산하고, 정전용량값을 힘 또는 압력으로 변환하고 사용자가 터치한 터치 위치를 인식한다(S911).
그런 다음 터치 감지부(400)는 인식한 터치 위치와 변환한 힘(또는 압력)을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와 힘으로 결정한다(S912).
여기서, 터치 감지부(400)에서 결정한 터치 위치는 사용자가 화면 상에서 무엇을 선택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터치 감지부(400)에서 계산된 힘은 설정된 힘에 대한 기준값과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가 방향 이동을 위해 터치한 것인지 선택(또는 클릭)을 위해 터치한 것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방향 이동을 위한 터치는 터치하는 힘이 약하고, 선택(또는 클릭)은 터치하는 힘이 강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제어부(500)를 대신하여 터치 감지부(400)에서 정전용량값을 힘 또는 압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과 도 1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따라 정전용량 측정값이 얻어지는 터치 셀의 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대한 주사 제어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타이밍도를 통해 파악되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세로 전극그룹(GX)과 가로 전극그룹(GY)을 구성한 경우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은 세로 주사그룹(GX)과 가로 주사그룹(GY)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3개의 전극으로 하나의 주사그룹으로 형성하나, 이웃하는 주사그룹 간에 중첩(중복)되는 전극이 없게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순서도와 동일한 과정을 가진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제어신호가 전극별로 중복이 없이 그룹을 이루는 3개의 전극에 동시에 입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따르면, 정전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터치 셀의 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20개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는 터치 셀의 수보다 많이 작다(도 7 참조).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은 화면상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메뉴가 큰 화면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경우에 적용되며,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에 비해 빠른 터치 위치 인식 및 힘 인식을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의 구동장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이러한 구동 방법의 변환은 아날로그 스위치의 조작이나 멀티플렉서의 조작 등과 같이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터치 스크린 200 : X축 주사부
300 : Y축 주사부 400 : 터치 감지부
500 : 제어부 11 : 투명 플렉서블층
12 : 상부 투명 전극 13 : 상부 투명 보호막
14 : 탄성체층 15 : 하부 투명 보호막
16 : 하부 투명전극 17 : 투명 유리 기판
41 : 투명 탄성체 42 : 댐

Claims (18)

  1. 하측에 위치한 기판,
    상측에 위치하며 누르는 힘의 방향으로 변형되는 플렉서블층,
    상기 기판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 전극,
    상기 플렉서블층의 하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되,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에 수직 교차되도록 대향된 복수의 상부 전극,
    상기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층 사이에 위치하여 대향하는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에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 정전용량을 발생시키며, 외부의 가압에 의해 변형되는 탄성체층,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의 상면에 형성된 하부 보호막, 그리고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의 상면에 형성된 상부 보호막을 포함하되,
    상기 탄성체층은 상기 하부 보호막과 상기 상부 보호막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정전용량을 발생시키고 외부의 가압에 의해 변형되는 투명 탄성체와, 상기 투명 탄성체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설치된 댐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 상기 플렉서블층,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 상기 복수의 하부 전극, 상기 탄성체층, 상기 하부 보호막과 상기 상부 보호막은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1mm 내지 5mm의 폭을 가지며, 이웃하는 전극과의 갭(gap)은 0.5mm 내지 0.001mm이고,
    상기 탄성체층의 두께는 0.1mm 내지 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층은 상면이 하드(hard) 코팅된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은 이웃하는 전극과의 갭이 0.5mm에서 0.001m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은 ITO(Indium Tin Oxide), 금속성 SWCNT(Single-Walled Carbon NanoTube), 또는 전도성 고분자 PEDOT(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중 하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탄성체는 실리콘 계열의 겔(g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은 실리콘 고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이 탄성이 있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호막과 상기 상부 보호막은 투명 필름으로, OCA(Optical Clear Adhesive)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00006656A 2010-01-25 2010-01-25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KR101182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56A KR101182397B1 (ko) 2010-01-25 2010-01-25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656A KR101182397B1 (ko) 2010-01-25 2010-01-25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908A Division KR101163747B1 (ko) 2012-01-18 2012-01-18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153A KR20110087153A (ko) 2011-08-02
KR101182397B1 true KR101182397B1 (ko) 2012-09-12

Family

ID=44926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656A KR101182397B1 (ko) 2010-01-25 2010-01-25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3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749B1 (ko) 2013-04-24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멀티터치에 따른 근접, 접촉위치 및 접촉힘을 감지하는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52748B1 (ko) * 2013-04-24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멀티터치에 따른 접촉위치 및 접촉 힘을 감지하는 센서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81B1 (ko) * 2012-02-24 2013-11-14 하이텍코리아주식회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정전용량 방식의 도전성 터치펜
KR101402825B1 (ko) 2012-06-29 2014-06-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패턴의 구조가 개선된 터치윈도우
KR20160008302A (ko) 2014-07-14 2016-01-22 삼성전기주식회사 다축 입력 디바이스 및 다축 입력 장치
KR102606498B1 (ko) 2016-08-29 202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84886B1 (ko) * 2019-06-26 2020-12-01 한솔테크닉스 (주) 압력 센서
KR102578347B1 (ko) * 2021-11-18 2023-09-18 (주)코텍 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124A (ja) * 2001-04-10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JP2006350882A (ja) 2005-06-20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66485B1 (ko) * 2006-08-22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접점 위치 변화 감지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124A (ja) * 2001-04-10 2002-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JP2006350882A (ja) 2005-06-20 2006-1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66485B1 (ko) * 2006-08-22 2008-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접점 위치 변화 감지 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749B1 (ko) 2013-04-24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멀티터치에 따른 근접, 접촉위치 및 접촉힘을 감지하는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1452748B1 (ko) * 2013-04-24 2014-10-23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멀티터치에 따른 접촉위치 및 접촉 힘을 감지하는 센서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153A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397B1 (ko)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TWI582668B (zh) 觸壓式三維信號輸入裝置、多功能觸控面板及其偵測方法
CN105975137B (zh)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US9454255B2 (en) Device and method for localized force sensing
JP6723226B2 (ja) 中間遮蔽電極層を採用した力及び近接感知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US8519974B2 (en) Touch sensing device, touch screen device comprising the touch sensing device, mobile device, method for sensing a tou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touch sensing device
CN100485597C (zh) 力成像输入设备和系统
TWI621986B (zh) Pressure sensing touch display device
EP2211257B1 (en) Touch screen panel
US20150185946A1 (en) Touch surface having capacitive and resistive sensors
TWI501122B (zh) 用以辨識在多接觸同時輸入指示的實際接觸點之方法及多接觸輸入裝置
US20140043289A1 (en) Capacitive sensor for a digitizer system
US9582108B2 (en) Touch input device and touch detecting method
TWI575438B (zh) 多點壓力觸控偵測方法及多點壓力觸控模組
US20110141026A1 (en) Multicontact touch-sensitive sensor including variable-size and variable-impedance spacing means
JP2010055612A (ja) 多点タッチセンサーシステム
JP2010055613A (ja) 多点タッチセンサーシステムのオペレーション方法
CN103576960A (zh) 触摸屏压力、位置感应方法及感应元件和电子触摸设备
US10289210B1 (en) Enabling touch on a tactile keyboard
KR20120056033A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를 포함한 영상 표시 장치
JP2011048541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Dempsey et al. Tactile sensing in human–computer interfaces: The inclusion of pressure sensitivity as a third dimension of user input
KR20110070274A (ko) 터치패널 및 그의 구동방법
TW201229850A (en) Touch-sensitive coordinate input apparatus,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s having the same
US20120013568A1 (en) Driving method of touc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