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219B1 -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219B1
KR101182219B1 KR1020100121781A KR20100121781A KR101182219B1 KR 101182219 B1 KR101182219 B1 KR 101182219B1 KR 1020100121781 A KR1020100121781 A KR 1020100121781A KR 20100121781 A KR20100121781 A KR 20100121781A KR 101182219 B1 KR101182219 B1 KR 101182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carrier
gear
coupled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329A (ko
Inventor
문현일
박철우
Original Assignee
문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일 filed Critical 문현일
Priority to KR102010012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2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용 드라이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는 일단부에 임플란트용 체결수단를 체결 또는 해제하는 팁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태양기어; 중심부에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태양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유성기어; 상기 다수의 유성기어 각각에 형성된 상기 겹합공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영역마다 고정봉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캐리어;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링기어; 및 상기 캐리어에 결합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캐리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가속 회전하여 지대주 스크류를 신속히 체결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드라이버{Driver for implant}
본 발명은, 임프란트용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가속 회전하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아가 손상된 사람들을 위해 영구치아를 다시 설치하는 방식으로서 치과 임플란트 시술이 인기를 끌고 있다. 치과 임플란트는 자연치아가 손상된 환자들에게 자연치아와 가장 흡사한 기능을 가진 인조치근(인공 치아 뿌리)을 수술을 통해 잇몸뼈 안에 심는 시술을 말한다. 그리고 이 인조치근은 인공치아나 브릿지 등 보철물들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치과 임플란트의 구조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면, 치과 임플란트는 턱뼈에 식립하는 임플란트 픽스쳐(implant fixture), 임플란트 픽스쳐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에 나사 또는 접착제로 연결되는 보철물로 구성된다.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와 지대주는 통상적으로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 시에는 지대주를 임플란트 픽스쳐에 고정하기 위한 지대주 스크류 체결용 핸드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지대주 스크류 체결용 핸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지대주를 임플란트 픽스쳐에 결합시키는 작업은, 시술자가 손을 환자의 입 안에 넣은 상태에서 행해지고, 환자가 입을 크게 벌린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지대주 스크류의 체결이 최대한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일반 치과용 드라이버로는 이러한 신속한 체결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대주 스크류와 같은 임플란트용 체결수단을 최대한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가속회전하여 지대주 스크류와 같은 임플란트용 체결수단을 신속하게 체결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단부에 임플란트용 체결수단를 체결 또는 해제하는 팁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태양기어; 중심부에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태양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유성기어; 상기 다수의 유성기어 각각에 형성된 상기 겹합공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영역마다 고정봉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캐리어;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링기어; 및 상기 캐리어에 결합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캐리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외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가 상기 고정봉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이 상기 캐리어의 상기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회전축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상기 링기어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링기어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기어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기어의 기어수는 15개이고, 상기 링기어의 기어수는 36개일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 체결수단은 지대주 스크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성기어를 이용하여 가속 회전하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를 제공함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시간을 줄여 시술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의 캐리어를 제외한 부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의 유성기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임플란트용 체결수단을 체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대주 스크류를 체결할 때 사용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의 캐리어를 제외한 부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는, 회전축(10)과, 회전축(10)의 일단에 결합하는 태양기어(20)와, 태양기어(20)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유성기어(30)와, 유성기어(3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결합되는 캐리어(40)와, 유성기어(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링기어(50)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캐리어(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케이스(60)를 포함한다.
먼저, 회전축(10)의 일단에는 임플란트 픽스쳐(implant fixture)와 지대주(abutment)의 체결에 사용되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를 체결 또는 해제하는 팁(Tip, 10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팁(10a)은 회전축(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지대주 스크류의 헤드 형상에 맞도록 팁(10a)을 교체할 수 있는 방식도 가능하다.
회전축(10)의 타단은 캐리어(40)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40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태양기어(20)와 결합한다. 따라서, 태양기어(20)의 회전력은 회전축(10)에 전달되고, 태양기어(20)와 회전축(10)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축(10)에는 캐리어(40)의 관통공(40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회전축핀(11)이 결합한다. 회전축핀(11)이 결합함으로써 회전축(10)은 캐리어(40)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태양기어(20)가 결합하고 반대측에는 회전축핀(11)이 결합하게 되어 회전축(10)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태양기어(20)에는 다수의 유성기어(30)가 태양기어(20)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유성기어(30)는 120도 각도로 3개가 태양기어(20)에 치합되도록 마련되며, 유성기어(30) 각각의 중심에 캐리어(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30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태양기어(20) 주위를 회전하는 유성기어(30)는 캐리어(4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캐리어(40)는 유성기어(30) 각각에 형성된 겹합공(30a)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영역마다 고정봉(41)이 형성되고, 중심에는 회전축(1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공(40a)이 형성된다. 캐리어(40)의 고정봉(41)에 유성기어(3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후에는 유성기어(30)가 고정봉(4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고정핀(42)이 고정봉(41)의 말단에 결합한다. 이로써, 유성기어(30)는 캐리어(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캐리어(40)의 고정봉(41)을 축으로 자전함과 동시에 태양기어(20) 주위를 공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링기어(50)가 유성기어(30)와 치합되도록 삽입된다. 링기어(50)는 원통형상으로 내주연에 기어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3개의 유성기어(30)와 동시에 치합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캐리어(40)가 회전하면 유성기어(30)는 고정된 링기어(50)에 외접하며 회전하게 된다.
링기어(50)의 일단에는 스톱퍼(51)가 결합한다. 스톱퍼(51)는 고리형상으로, 링기어(50)가 유성기어(30)에 치합된 후 이탈되지 않도록 링기어(50)의 삽입측 말단에 결합한다. 스톱퍼(51)에 의해 링기어(50)가 고정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스톱퍼(51)는 링기어(5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고, 캐리어(40)에 형성된 고정봉(41)이 모두 내접하는 내경을 갖는 너비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톱퍼(51)가 캐리어(40)의 고정봉(41)에 접하도록 삽입되고 유성기어(30)가 고정봉(41)에 장착되면, 스톱퍼(51)는 유성기어(30)에 일부가 접하게 된다(도 3 참조).
이 상태에서 링기어(50)가 삽입되어 스톱퍼(51)와 고정되면 링기어(50)는 스톱퍼(51)에 의해 유성기어(30)에 걸리게 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링기어(50)의 타측 말단에는 커버(52)가 결합한다. 커버(52)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지대주 스크류를 체결하고자 할 때 드라이버의 회전에 앞서 체결하고자 하는 어버트먼트 스크류에 드라이버가 지지되도록 검지를 이용하여 밀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링기어(50)가 삽입된 후에는 마지막으로 케이스(60)가 고정된다. 케이스(60)는 링기어(50)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링기어(50)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캐리어(40)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케이스(60)를 돌리면 캐리어(40)에 회전력이 전달된다. 아울러, 케이스(60)의 외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요철(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술자가 지대주 스크류에 회전축(10)의 팁(10a)을 맞추어 고정하고, 검지를 이용하여 커버(52)를 누르면서 엄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케이스(60)를 회전시키게 된다.
케이스(60)의 회전으로 캐리어(40)가 회전하고 캐리어(40)의 고정봉(41)에 연결된 유성기어(30)가 회전하게된다. 유성기어(30)는 캐리어(40)의 회전에 따라 공전을 하게 되고, 링기어(50)와 치합되어 있으므로 자전도 함께하게 된다.
유성기어(30)의 회전력은 이와 치합되어 있는 태양기어(20)에 전달되고, 태양기어(20)의 회전력은 회전축(10)에 전달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지대주 스크류를 체결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시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의 유성기어(30)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유성기어(30)의 작동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시술자가 케이스(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면, 케이스(60)와 결합된 캐리어(4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캐리어(40)가 입력측이 되는 것이다. 캐리어(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유성기어(30)도 시계방향으로 공전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유성기어(30)는 링기어(50)에 치합되어있으므로 반시계방향으로 자전을 하게 된다. 링기어(50)가 반시계 방향으로 자전하게 되므로 태양기어(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태양기어(20)의 시계방향 회전으로 회전축(10)도 시계방향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60)에 전달된 시계방향 회전력은 최종적으로 회전축(10)의 시계방향 회전을 유도하게 된다.
다음으로, 케이스(60)에 가해진 회전력에 따라 회전축(10)에 유도되는 가속비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속비율은 각 기어의 기어수에 따라 정해진다. 예를 들어, 태양기어(20)의 기어수를 Zs=15로 설계하고, 링기어(50)의 기어수를 Zr=36으로 설계하면, 가속비는 (Zs+Zr)/Zs=3.4로 구해진다. 즉, 캐리어(40)가 한바퀴를 돌면 중심축인 태양기어(20)가 같은 방향으로 3.4바퀴 돌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는 유성기어에 의해 가속 회전함으로써 지대주 스크류를 신속하게 체결할 수 있어 임플란트 시술시간을 줄여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회전축 20: 태양기어
30: 유성기어 40: 캐리어
50: 링기어 60: 케이스

Claims (8)

  1. 일단부에 임플란트용 체결수단를 체결 또는 해제하는 팁이 형성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에 결합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태양기어;
    중심부에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태양기어와 치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유성기어;
    상기 다수의 유성기어 각각에 형성된 상기 겹합공에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영역마다 고정봉이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캐리어;
    상기 유성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유성기어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링기어;
    상기 캐리어에 결합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캐리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케이스; 및
    상기 회전축이 상기 캐리어의 상기 관통공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회전축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외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가 상기 고정봉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는 상기 링기어의 일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링기어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의 타단부에 결합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기어의 기어수는 15개이고, 상기 링기어의 기어수는 36개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체결수단은 지대주 스크류인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KR1020100121781A 2010-12-02 2010-12-02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KR101182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781A KR101182219B1 (ko) 2010-12-02 2010-12-02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781A KR101182219B1 (ko) 2010-12-02 2010-12-02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329A KR20120060329A (ko) 2012-06-12
KR101182219B1 true KR101182219B1 (ko) 2012-09-14

Family

ID=46611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781A KR101182219B1 (ko) 2010-12-02 2010-12-02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2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836B1 (ko) 2014-08-18 2015-11-12 주식회사 아임삭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5312A (zh) * 2013-06-21 2014-04-09 佛山市彤鑫医疗器材有限公司 能输出大扭矩的植牙弯机
KR101626455B1 (ko) * 2014-08-18 2016-06-01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CN210077893U (zh) * 2018-12-28 2020-02-18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牙科种植手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25B1 (ko) 2000-04-06 2002-09-28 장상건 치과용 매뉴얼 핸드래치리머
JP2007062001A (ja) 2005-08-31 2007-03-15 Masayuki Imai トルクアップドライバー
JP2007105800A (ja) 2005-10-11 2007-04-26 Biinzu Komu:Kk 回転数が4倍になるドライ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125B1 (ko) 2000-04-06 2002-09-28 장상건 치과용 매뉴얼 핸드래치리머
JP2007062001A (ja) 2005-08-31 2007-03-15 Masayuki Imai トルクアップドライバー
JP2007105800A (ja) 2005-10-11 2007-04-26 Biinzu Komu:Kk 回転数が4倍になるドライバ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836B1 (ko) 2014-08-18 2015-11-12 주식회사 아임삭 오실레이팅 쏘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329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219B1 (ko) 임플란트용 드라이버
JP2018509185A (ja) 整形外科用整形器具又は支持具のための手動操作式回転係止装置
US10736744B2 (en) Handle assembly for implant delivery apparatus comprising a force limiter, a displacement limiter and/or a brake frame assembly
EP2832316B1 (en) Handle assembly for implant deliver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cement limiter, a force limiter and/or a brake frame assembly
US10064721B2 (en) Handle assembly for implant delivery apparatus comprising a force limiter, a displacement limiter and/or a brake frame assembly
EP2865353B1 (fr) Ensemble prothétique dentaire comprenant un implant dentaire et une prothèse dentaire trans-fixée
CN107405196A (zh) 用于带有容器调整装置的假体心脏瓣膜的递送装置
EP2014241A3 (en) Applicator for suture/button construct
CA2834167C (en) Spinal implant, tool therefor and method for distracting the spinal implant
JP6197191B2 (ja) 義歯固定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181924B1 (ko) 임플란트 시술기구
CA2908299A1 (en) Integrated dental implant component and tool for placement of a dental implant component
US20180193115A1 (en) Placement device for a dental component
BR112014019361B1 (pt) Âncora óssea para um dispositivo de manipulação da língua, sistema de manipulação da língua, e método de ajuste de um dispositivo de manipulação da língua
US10806475B2 (en) Tongue manipulation device, bone anchor for use in such device, control device and an adjustment method
KR101387574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식립 장치
KR102448279B1 (ko) 안전와이어가 장착된 임플란트 시술용 헥사 드라이버
JP2009207688A (ja) インプラント植立用穿孔器具およびインプラント用ハンドピース
KR100925285B1 (ko) 임플란트
KR100919250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렌치 기구
KR200428099Y1 (ko) 인공치아 시술용 픽스츄어드라이버
KR101864205B1 (ko) 신발끈 조임 장치
KR20120121063A (ko) 임플란트용 틀니 구조
KR101123508B1 (ko) 외과용 핸드드릴
KR20200119701A (ko) 임플란트 시술용 토크렌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