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059B1 -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059B1
KR101181059B1 KR1020050101638A KR20050101638A KR101181059B1 KR 101181059 B1 KR101181059 B1 KR 101181059B1 KR 1020050101638 A KR1020050101638 A KR 1020050101638A KR 20050101638 A KR20050101638 A KR 20050101638A KR 101181059 B1 KR101181059 B1 KR 10118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ircuit
riostat
circuit unit
microcomput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405A (ko
Inventor
이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5010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059B1/ko
Publication of KR20070045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1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dashboards
    • B60Q3/16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18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for varying the ligh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리오스탯을 소프트웨어(S/W)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오스탯 제어 구조로서, 그 구성은
차량의 테일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와;
상기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백라이트 점등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오스탯, 마이컴, 스위칭, LED

Description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A structure for controlling rheostat of vehicle}
도 1a는 종래 리오스탯 동작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회로의 상세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리오스탯 동작 설명을 위한 개략적인 회로 구성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회로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컴에서의 제어 블록 구성도.
<도면부호의 설명>
5 제너 다이오드 10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
20 마이컴 30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
본 발명은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용 리오스탯의 제어 방식을 기존의 하드웨어(H/W) 구조를 통한 제어방식에서 소프트웨어(S/W) 제어방식으로 변경한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행시 발생하는 각종 조건에 따라 이에 상응하는 보 호기능 및 표시기능을 위해 차량의 적합한 위치에 헤드램프, 테일램프 및 비상표시램프 등이 설치 사용되고 있으며, 그 밖에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조명기능과 같은 또 다른 기능을 갖는 다수의 램프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조명의 밝기 조절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리오스탯(rheostat)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리오스탯의 내부 조명으로는 도 1a와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lamp) 대신 LED(LED0)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LED 조명방식을 적용함에 따라 차량의 테일단(tail)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리오스탯 구동회로부(10) 내의 LED0에 의해 전압 드롭(voltage drop)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LED0에서의 전압 드롭 현상은 리오스탯 구동회로부(10)의 하이 사이드 전압신호(high side voltage signal)가 트랜지스터(TR2)(Q1)를 턴 온 시키지 못해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10)에 연동되는 백라이트 구동회로부(30)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참고로, 도 1a와 1b에서, 도면부호 '5'는 제너 다이오드를 의미함)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에 연동되는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의 이상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용 리오스탯의 제어 방식을 기존의 하드웨어(H/W) 구조를 통한 제어방식에서 소프트웨어(S/W) 제어방식으로 변경한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리오스탯을 소프트웨어(S/W)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오스탯 제어 구조는,
차량의 테일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와;
상기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백라이트 점등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를 도 2a와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와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오스탯 제어구조는,
차량의 테일단(TAIL)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10)와;
상기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10)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백라이트 점등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3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이컴(20)의 출력이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컬렉트단과 이미터단에 각각 상기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30)와 접지단 (GND)이 연결되어, 마이컴(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제1 스위칭수단(TR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30)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위칭수단(TR2)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스위칭 동작되어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의 LED(LED1) 점등 제어를 이루는 제2 스위칭수단(TR1)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이컴에서는 아래와 같은 제어 로직으로 백라이트 구동회로부가 리오스탯 구동회로부에 연동되도록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20)에서는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1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후, 입력된 신호의 에지(edge)를 검출하여 출력할 펄스신호의 듀티(duty)를 산출한다. 이렇게, 산출된 듀티에 따른 펄스 신호를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30)측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10)로부터 발생된 이상파형에 따른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30)에서의 이상 동작을 방지한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에 따른 동작을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방식을 마이컴(Micom)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하드웨어 구조를 통한 제어방식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 즉, 스위칭 수단의 스위칭 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에서의 이상 동작을 방지한 것이다.
이는,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테일단(TAIL)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10)의 출력이 마이컴(20)으로 인가되면, 마이컴(20)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어 로직의 수행을 통해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10)의 출력신호에 따른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30)의 정상적인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이컴(20)에서는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10)로부터 입력된 신호의 에지를 검출한 후, 그를 이용하여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30)측으로 출력할 펄스신호의 듀티 산출을 이룬다. 이로써, 마이컴(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스위칭수단(TR2)의 스위칭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10)로부터 발생된 이상파형에 따른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30)의 LED(LED1) 점등시 이상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에 따르면,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방식을 마이컴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변경함에 따라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에 연동되는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측의 LED 점등시 이상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용 리오스탯을 소프트웨어(S/W) 방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리오스탯 제어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테일단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와;
    상기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백라이트 점등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로 구성되되,
    상기 마이컴에서는 리오스탯 구동 회로부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받은 신호의 에지(edge)를 이용한 듀티(duty) 산출 단계;
    산출된 듀티에 해당하는 펄스 신호를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로 출력하는 단계로 제어 로직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출력이 베이스단에 연결되고, 컬렉트단과 이미터단에 각각 상기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와 접지단이 연결되어,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는 제1 스위칭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스위칭수단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스위칭 동작되어 백라이트 구동 회로부의 LED 점등 제어를 이루는 제2 스위칭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4. 삭제
KR1020050101638A 2005-10-27 2005-10-27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KR10118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38A KR101181059B1 (ko) 2005-10-27 2005-10-27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638A KR101181059B1 (ko) 2005-10-27 2005-10-27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405A KR20070045405A (ko) 2007-05-02
KR101181059B1 true KR101181059B1 (ko) 2012-09-10

Family

ID=3827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638A KR101181059B1 (ko) 2005-10-27 2005-10-27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0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683A (ja) 1997-01-14 1998-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輝度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2002379A (ja) * 2000-06-23 2002-01-09 Alps Electric Co Ltd 照光装置及び照光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9683A (ja) 1997-01-14 1998-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明輝度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2002379A (ja) * 2000-06-23 2002-01-09 Alps Electric Co Ltd 照光装置及び照光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405A (ko)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6596B2 (en)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EP3275732A1 (en) Vehicular lamp device and lamp device system
CN1624534A (zh) 电源系统和具有该系统的液晶显示器件
US20060043901A1 (en) Lighting control circuit for vehicle lighting equipment
KR20170045218A (ko) Led 주행등 제어 및 상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8966405B (zh) 车辆用灯具
HK1073964A1 (en) Circuit assembly for operating a luminous signal
JP5626840B2 (ja) 照明装置
JP2006216304A (ja) 駆動回路
CN114258173A (zh) 车辆用灯具系统
JP6460216B1 (ja) 高光度航空障害灯の閃光駆動装置
KR101181059B1 (ko) 차량용 리오스탯 제어 구조
WO2014174761A1 (ja) Led異常検出装置
KR20180055483A (ko) Led 타입의 방향지시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4116354A (ja) 発光素子駆動装置、照明装置
JP7476221B2 (ja) 光源駆動装置
US20230422374A1 (en)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KR102361145B1 (ko) 차량용 램프 구동 장치
US10487400B2 (en) Method of decreasing visible flickering effects in a light emitting diode array operated by pulse width modulated signals
WO2023106199A1 (ja) 点灯回路、及び車両用灯具
KR102016718B1 (ko)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CN110686210B (zh) 用于机动车探照灯的发光装置
US20240017664A1 (en) Method for operating a lighting device of a motor vehicle, lighting device and motor vehicle
CN116782449A (zh) 一种满足不同光色及亮度要求的车灯控制系统及方法
EP1976341B1 (en) Lighting module power-saving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