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588B1 - Detecting apparatus for particle in the air - Google Patents

Detecting apparatus for particle in the 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588B1
KR101180588B1 KR1020110048423A KR20110048423A KR101180588B1 KR 101180588 B1 KR101180588 B1 KR 101180588B1 KR 1020110048423 A KR1020110048423 A KR 1020110048423A KR 20110048423 A KR20110048423 A KR 20110048423A KR 101180588 B1 KR101180588 B1 KR 10118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eath
particles
cone
f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28743A (en
Inventor
신이찌 히라노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7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5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 G01N1/220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involving separation of sample components during sampling with imp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강하 먼지를 포함한 기체를 수집하는 수집부에 강하 먼지가 체류하는 일이 없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중을 강하하는 입자를 포함한 기체를 수집하는 수집부(3)와, 이 수집부(3)에 의해 수집된 기중의 입자를 계측하는 계측부(26)를 구비하고, 수집부(3)에 시스 에어를 발생시키는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을 갖게 하는 동시에, 수집부(3)와 계측부(26) 사이에 관성력에 의한 분립을 행하는 임팩터(21)를 배치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in which the dropping dust does not stay in the collecting portion for collecting the gas including the dropping dust.
The collection part 3 which collects the gas containing the particle | grains which descend | falls the air, and the measurement part 26 which measures the particle | grains of the air collected by this collection part 3 are provided, and the collection part 3 is sheath air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and the impactor 21 which performs separation by inertia force between the collection part 3 and the measurement part 26 is arrange | positioned.

Description

기중 입자 검출 장치{DETECTING APPARATUS FOR PARTICLE IN THE AIR}Airborne particle detection device {DETECTING APPARATUS FOR PARTICLE IN THE AIR}

본 발명은 기중 입자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borne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부유 강하 먼지의 집진 범위를 넓히기 위해 계측부에 강하 먼지를 포함한 기체를 도입하는 깔때기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In order to expand the dust collection range of floating descent dust, the funnel which introduce | transduces gas containing falling dust may be installed in a measurement part (refer patent document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123043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10-123043

그러나, 깔때기의 경사부에 계측 대상의 입자(강하 먼지)가 부착되면, 그 부착된 입자는 계측부에 도달하지 않으므로, 계측부에서 기중의 입자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없다.However, when the particles (falling dust) to be measured are attached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funnel, the attached particles do not reach the measurement portion, and therefore the particles in the air cannot be accurately measured by the measurement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은, 강하 먼지를 포함한 기체를 수집하는 수집부에 강하 먼지가 체류하는 일이 없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in which the falling dust does not stay in the collecting portion for collecting the gas including the falling dust.

본 발명은, 기중을 강하하는 입자를 포함한 기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기중의 입자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집부에 시스 에어를 발생시키는 시스 에어 발생 수단을 갖게 하는 동시에, 상기 수집부와 계측부 사이에서 관성력에 의한 분립을 행하는 임팩터를 배치한다.This invention is equipped with the collection part which collects the gas containing the particle | grains which lower | hangs air, and the measurement part which measures the particle | grains of the air collected by this collection part.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sheath air in the collecting section is provided, and an impactor for performing separation by inertial force is disposed between the collecting section and the measuring se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시스 에어에 의해, 계측 대상의 입자가 수집부에 부착되어 체류하는 경우가 없어진다. 또한, 시스 에어에 의한 여분의 기체를 임팩터로 배제함으로써, 계측 가능한 유량을 계측부에 유입할 수 있으므로, 계측 대상 입자의 계측 정밀도가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ath air eliminates the case where the particles to be measured adhere to and remain in the collection unit. Moreover, since the flow rate which can be measured can flow into a measurement part by removing the excess gas by sheath air with an impactor, the measurement precision of the measurement object particle | grains improve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기중 입자 검출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깔때기의 개략 평면도.
도 3은 임팩터의 통상의 사용 방법과 임팩터의 본 실시 형태의 사용 방법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시스 에어 발생 수단 및 임팩터의 효과를 더불어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깔때기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시스 에어 발생 수단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깔때기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도 7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단면에서 깔때기를 위에서 본 개략 평면도.
도 9는 조립자의 깔때기에서의 체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종래 장치에 의한 조립자의 계측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1은 종래 장치에 의한 조립자의 계측 방법을 도시하는 개략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schematic perspective view which decomposes | disassembles and shows the airborne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of 1st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funnel.
3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use method of the impactor and the use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impactor.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effects of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and the imp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unnel of a second embodiment.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of the second embodiment;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unnel of a third embodiment.
8 is a schematic plan view from above of the funnel in a cross-sectional view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 7.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retention in a funnel of an assembler;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a assembler by a conventional apparatus.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of measuring a assembler by a conventiona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기중 입자 검출 장치(1)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수집부로서의 깔때기(3)의 개략 평면도이다. 단, 도 1에서는 기중 입자 검출 장치(1)의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하고 있다. 기중 입자 검출 장치(1)는 깔때기(3),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 임팩터(21), 계측부(26)로 이루어져 있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airborne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funnel 3 as a collecting unit. However, in FIG. 1, the component of the airborne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1 is disassembled and shown. The airborne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1 consists of the funnel 3,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the impactor 21, and the measurement part 26. As shown in FIG.

계측 대상은 공기 중을 강하하는 입자(이하, 「강하 먼지」라고도 함)이다. 이 강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흡입하게 하기 위해, 계측부(26) 내부에 블로어나 펌프를 구비하고 있다. 강하 먼지의 계측 시에는, 이 블로어나 펌프를 구동함으로써, 강하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연직 상방으로부터 깔때기(3), 임팩터(21)를 거쳐서 계측부(26)로 흡입된다.The measurement object is a part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falling dust") that drops in the air. In order to inhale air containing this falling dust, a blower or a pump is provided inside the measurement unit 26. At the time of the measurement of the falling dust, the air containing the falling dust is sucked into the measurement part 26 through the funnel 3 and the impactor 21 from vertically upward by driving this blower and a pump.

깔때기(3)는 강하 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수집하는 것이다. 연직 상방으로 개방되는 콘 형상 부재(4)와, 콘 형상 부재(4)의 오므라드는 하방에 접속되는 원통 부재(5)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하 먼지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미립자(PS)(제1 입자)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조립자(PL)(제2 입자)로 구별하여 취급하게 된다. 이로 인해, 연직 상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는 콘 형상 부재(4)에 이들 미립자(PS) 및 조립자(PL)의 2종류의 입자가 낙하해 온다. 이 상방으로부터 낙하해 오는 미립자(PS) 및 조립자(PL)는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에 충돌한 후, 내벽(4a)을 따라서 빠지는 하방의 원통 형상 부재(5)로 도입된다.The funnel 3 collects air containing falling dust. The cone-shaped member 4 which opens vertically upward and the oval of the cone-shaped member 4 consist of the cylindrical member 5 connected below.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lling dust is handled by being divided into particles (PS) (first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nd granules (PL) (second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s described below. For this reason, two types of particle | grains of thes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PS and granules PL fall to the cone-shaped member 4 opened toward a perpendicular upper direction. The fine particles PS and the granules PL falling from above collide with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and then are introduced into the lower cylindrical member 5 falling out along the inner wall 4a. do.

깔때기(3)에 의해 수집되는 강하 먼지는 지체 없이 경로를 통과하여 계측부(26)까지 운반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는,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에 체류한 강하 먼지는 계측부(26)에서 계측되지 않게 되어, 정확하게 강하 먼지를 계측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The falling dust collected by the funnel 3 is ideally transported through the path to the measuring section 26 without delay. This is because the falling dust retained on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is not measured by the measuring unit 26, so that the falling dust cannot be accurately measured.

강하 먼지의 깔때기(3)로의 체류의 원인으로서는 강하 먼지의 점착성이 있다. 강하 먼지에, 예를 들어 그리스가 부착되어 있으면,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에 충돌한 후 그 위치에 강하 먼지가 체류하여, 하방으로 낙하해 가지 않는다. 또한,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에 부착되지 않은 채 강하 먼지가 원통 형상 부재(5)까지 운반되었다고 해도, 원통 형상 부재(5)의 내벽에 부착되어, 그 위치에서 체류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이들의 경우에, 계측 대상의 강하 먼지의 결손이 발생한다.The cause of the retention of the falling dust in the funnel 3 is the adhesion of the falling dust. If grease adheres, for example, to falling dust, it will collide with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and falling dust will remain in the position, and will not fall below. In addition, even if the falling dust is transported to the cylindrical member 5 without being attached to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when it adheres to the inner wall of the cylindrical member 5 and stays at the position. I think too. In these cases, defects in falling dust to be measured are generated.

콘 형상 부재(4)나 원통 형상 부재(5)의 내벽에서의 강하 먼지의 체류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을 구비하고 있다.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은 깔때기(3)(수집부)의 개구 단부(4b)의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르는 균일한 층이 형성되도록 청정 공기(클린 에어)를 토출하는 기구다. 당해 기구는 노즐(12), 공급 배관, 에어 펌프(13)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is provided in order to prevent the retention of falling dust on the inner wall of the cone-shaped member 4 or the cylindrical member 5.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is provid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end 4b of the funnel 3 (collection part), so that clean air is formed so that a uniform layer along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is formed. It is a mechanism to discharge (clean air). The mechanism is mainly composed of a nozzle 12, a supply pipe, and an air pump 13.

상세하게는, 콘 형상 부재(4)의 상방 개구 단부(4b)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수렴 노즐(12)이 그 선단(12a)을 하방을 향하게 하고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에어 펌프(13)로 청정 공기를 가압하고, 그 가압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공기 공급관(14)에는 개구 단부(4b)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환형상 관(15)이 접속되고, 이 환형상 관(15)으로부터 분기하는 지관(16)에 각 노즐(12)의 말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에어 펌프(13)로부터의 가압 공기는 메인 공기 공급관(14), 환형상 관(15), 지관(16)을 통해 각 노즐(12)에 공급되고, 각 노즐(12)의 선단(12a)으로부터 가압 공기가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라서 분출된다.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converging nozzles 12 face the tip 12a downwar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upper opening end portion 4b of the cone-shaped member 4 and the inner wall of the cone-shaped member 4. It is installed so as to follow (4a). The air pump 13 is pressurized with clean air, and an annular tube 15 provided to surround the opening end 4b is connected to the main air supply pipe 14 for supplying the pressurized air. The end of each nozzle 12 is connected to the branch pipe 16 branching from 15. For this reason, the pressurized air from the air pump 13 is supplied to each nozzle 12 through the main air supply pipe 14, the annular pipe 15, and the branch pipe 16, and the front end of each nozzle 12 ( From 12a, pressurized air is blown out along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도 1과 같이 노즐 선단(12a)으로부터, 노즐(12)의 축심(12b)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분사각을 갖는 원추 형상의 공기(12c)가 분사되면, 도 2와 같이 각 원추 형상의 공기(12c)가 서로 겹쳐져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라서 퍼져서, 원통 형상 부재(5)로 흐르는 균일한 층류를 형성한다. 도 2에서는 노즐 선단(12a)으로부터의 분사각을 비교적 좁게 그리고 있으므로, 개구 단부(4b) 부근에 공기에 의한 층류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이 있지만, 이 노출 부분은 노즐 선단(12a)으로부터의 분사각을 넓게 함으로써 혹은 노즐(12)의 수를 늘림으로써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 전체를 피복하는 층류를 형성할 수 있다.When conical air 12c having a predetermined injection angle is injected from the nozzle tip 12a around the axis 12b of the nozzle 12 as shown in FIG. 1, each conical air as shown in FIG. 12c overlap each other and spread along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to form a uniform laminar flow flowing into the cylindrical member 5. In FIG. 2, since the injection angle from the nozzle tip 12a is relatively narrow, the laminar flow due to air is not formed near the opening end 4b, and the portion where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is exposed. However, this exposed portion can be reduced by widening the injection angle from the nozzle tip 12a or by increasing the number of the nozzles 12. In this manner, the laminar flow covering the entir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can be formed.

이와 같이 공기에 의한 층류를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라서 균일한 두께로 형성함으로써, 연직 상방으로부터 콘 형상 부재(4)로 낙하해 오는 강하 먼지는, 이 공기에 의한 층류에 의해,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에 부착되는 일 없이, 원통 형상 부재(5)로 흘러가게 된다.Thus, by forming the laminar flow by air to a uniform thickness along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the falling dust falling into the cone-shaped member 4 from the vertical upper part is applied to the laminar flow by this air. Thereby, it flows into the cylindrical member 5, without attaching to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As shown in FIG.

이 경우,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뿐만 아니라, 수집부로서의 깔때기(3)로부터 계측부(26)의 공기 입구(26a)까지의 경로의 내벽면에 공기에 의한 층류가 형성되어, 강하 먼지의 계측 중 계속 층류가 유지되도록 한다. 층류를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깔때기(3)로부터 계측부(26)의 공기 입구(26a)까지의 경로[조리개(리듀서)를 포함함]에서 임계 레이노즐수(Re)를 초과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원통 형상 부재(5)에서의 단면적의 감소에 의해 층류의 유속이 증가하거나 층류의 두께가 증가하면, 임계 레이노즐수(Re)가 증가한다. 그와 같이 되지 않도록, 원통 형상 부재(5)로부터 계측부(26)의 공기 입구(26a)까지의 경로의 내벽에도 층류가 형성ㆍ유지되도록 노즐(12)의 수, 노즐 선단(12a)의 형상, 노즐 선단(12a)으로부터 분출시키는 청정 공기의 유량 등을 설정한다.In this case, not only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but also the laminar flow by air is form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th from the funnel 3 as a collection part to the air inlet 26a of the measurement part 26, Ensure laminar flow is maintained during the measurement of falling dust. In order to maintain laminar flow, it is such that the critical ray nozzle number Re is not exceeded in the path from the funnel 3 to the air inlet 26a of the measurement unit 26 (including the iris (reducer)). In particular, when the flow rate of the laminar flow increases or the thickness of the laminar flow increas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cylindrical member 5, the critical ray nozzle number Re increases. The number of nozzles 12, the shape of the nozzle tip 12a, and the like so that laminar flow is formed and maintained on the inner wall of the path from the cylindrical member 5 to the air inlet 26a of the measurement unit 26, The flow rate of the clean air blown off from the nozzle tip 12a is set.

이와 같이, 깔때기(3)로부터 계측부(26)의 공기 입구(26a)까지의 경로의 내벽면에 층류를 형성ㆍ유지함으로써, 깔때기의 내벽(4a)에 강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강하 먼지가 점착성을 갖고 있어도, 계측 대상의 강하 먼지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도차에 의한 보호층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공기보다도 무거운 기체를 층류의 형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us, by forming and maintaining the laminar flow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path from the funnel 3 to the air inlet 26a of the measurement part 26, the fall dust adheres to the inner wall 4a of the funnel. Thereby, even if falling dust has adhesiveness, the defect of the falling dust of a measurement object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in order to impart a protective layer effect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it is preferable to use a gas heavier than air to form the laminar flow.

종래부터, 환경에 존재하는 부유 먼지(「파티클」이라고도 함)를 계측하는 방법으로서 파티클 센서(파티클 카운터나 분진계라고도 함)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클린룸 등의 청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주로 1 내지 5㎛ 사이즈의 입자(이하, 「미립자」라고 함)에 계측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반도체의 제조 공정에서는 당해의 미립자가 직접 생산 수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타당한 설정값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5 내지 100㎛ 사이즈의 입자(이하, 「조립자」라고 함)가 제품에 대해, 결함으로 되는 공정도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전자 회로의 땜납 흄이 고체화된 것이 제품에 낙하하여 오염물(콘터미네이션)화되는 것이나, 자동차 도장면에 부착된 조립자가 "오염물"의 원인이 되는 것, 또한 2차 전지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금속편의 혼입에 의한 불량 등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조립자는 일반적으로 공기 중을 낙하(강하)하기 때문에, 환경에 존재하는 부유 먼지와 구별하여, 「강하 먼지」라고 칭한다.Conventionally, a particle sensor (also called a particle counter or a dust meter) is generally used as a method of measuring suspended dust (also called "particle") existing in the environment. In order to measure cleanliness, such as a clean room, these often have the measurement range set to the particle | grains of 1-5 micrometer size mainly ("microparticles" hereaft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semiconductor, since the said fine particle directly affects a production yield, it can be called a reasonable setting value. However, there exist many processes in which the particle | grains of a 5-100 micrometer size (henceforth "assembly") become a defect with respect to a product. For example, the solidification of solder fume in electronic circuits may result in contaminants (contamination) by dropping into the product, or the coarse particles attached to the painted surface of automobiles to cause "contaminants", and also in the secondary battery manufacturing process. Defects due to mixing of the metal pieces in the sheet.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arse particle generally drops (falls) in the air, so that it is called "falling dust" different from floating dust existing in the environment.

파티클 센서로서는 지금까지 계측 대상으로 하여 행하지 않았던 조립자(강하 먼지)를 효과적으로 계측하는 방법으로서는, 기존의 파티클 센서의 계측 범위를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미립자로부터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조립자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기술적으로 용이하게 가능)이지만, 몇몇 문제가 있다. As a method for effectively measuring the granulator (falling dust) which has not been measured as a particle sensor until now, it is used to change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existing particle sensor from relatively small diameter particles to relatively large diameter granulators. Is efficient (technically readily possible), but there are some problems.

가령 제품상에서 조립자가 발생하였다고 하여, 그 발생ㆍ강하의 상태를 파티클 센서로 포집하려고 하면, 조립자(강하 먼지)는 기체 흐름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지므로(특히, 수십㎛ 사이즈일 때), 주로 연직 낙하의 거동을 나타낸다. 그로 인해, 발생원의 하부에 파티클 센서의 계측부를 설정하게 된다. 그러나, 파티클 센서의 계측부는 일반적으로 수㎜ 내지 수십㎜이므로, 계측 대상인 조립자(강하 먼지)를 포함한 기체의 전체를 계측부에 도류하는 깔때기(프로브) 등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종래 기술에 의해 해결하려고 하면, 깔때기에 조립자(강하 먼지)가 낙하ㆍ부착되어 그 자리에 체류하는 것이 일어난다. 이는 깔때기의 경사, 요철 또는 조립자(강하 먼지) 자신의 점착성[혹은 점착성의 것이 조립자(강하 먼지)에 부착되어 있음]에 의한 것이다. 이에 의해 계측부에 계측 대상인 조립자(강하 먼지) 모두를 통과시킬 수 없게 되어, 정확한 계측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착성이 있는 조립자(강하 먼지)는 깔때기에 체류하여 계측부까지 유도되는 경우가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자(강하 먼지)가 낙하하는 것에 의한, 깔때기 등의 수집부에 발생하는 조립자(강하 먼지)의 체류로 인해, 정확하게 계측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제1 문제)가 있었다.For example, when a coarse particle is generated on a product and attempts to capture the state of occurrence and drop with a particle sensor, the coarse particle (falling dust) is less likely to be affected by the gas flow (especially when it is a few tens of micrometers in size). It shows the behavior of falling. Therefore, the measurement part of a particle sensor is set in the lower part of a generation source. However, since the measurement unit of the particle sensor is generally several mm to several tens of mm, it is necessary to set a funnel (probe) or the like that confines the entire body including the granulator (falling dust) to be measured to the measurement unit. If this is to be solved by the prior art, the granulator (falling dust) falls and adheres to the funnel and stays in place. This is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funnel, the unevenness or the cohesiveness of the coarse grain (falling dust) itself (or the sticky thing attached to the coarse grain (falling dust)). This makes it impossible to pass all of the granulators (falling dust) to be measured to the measurement unit, so that accurate measurement cannot be perform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coarse coarse particles (falling dust) do not stay in the funnel and are guided to the measurement unit. Thus, there existed a problem (1st problem) that it was not able to measure correctly because of the retention of the coarse particles (falling dust)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n collection | collection parts, such as funnels, when a coarse particle (falling dust) falls.

또한, 계측부는 그 입구에서 계측에 적합한 유속으로 되도록 깔때기 등에 의한 도류를 조정하였다고 해도, 계측부에 의해 유량이 제한된다. 계측부에서 유량이 제한되는 것은, 그 제한 유량으로 계측부가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깔때기를 향해 진입해 오는 기체를 블로우 백하거나, 또는 과잉의 유량에 의한 교정 범위의 유속을 초과한 것에 의한 계측 정밀도의 저하를 유발하는 등의 것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깔때기를 향하는 공기의 다운플로우가 1000L/min인 경우에, 계측부의 입구에서 20L/min으로 제한되는 경우를 생각하면, 도 11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깔때기(수집부)로부터 공기가 오버플로우되어 버린다. 한편, 오버플로우시키지 않도록 모두 계측부에 흘리는 것으로 하면, 도 11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부에서의 유속이 과도하게 커져, 이상 계측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계측부의 유량에 제한이 있고, 수집부로부터의 조립자(강하 먼지)를 포함한 공기의 유량이 이 유량으로 제한되어 버리므로, 정확하게 계측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제2 문제)도 있다.Moreover, even if the measurement part adjusts the conduction by funnel etc. so that it may become the flow velocity suitable for measurement at the inlet, the flow volume will be restrict | limited by the measurement part. The flow rate is limited in the measurement unit because the measurement unit is designed for the limited flow rate. Thereby, a blowback of the gas which enters into a funnel, or the fall of the measurement precision by causing exceeding the flow velocity of the calibration range by excess flow volume, etc., arises.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downflow of air toward the funnel is 1000 L / min as shown in FIG. 10, the case where the flow is limited to 20 L / min at the inlet of the measuring unit is as shown at the top of FIG. 11. Air overflows from the funnel (collection). On the other hand, if all flows to a measurement part so that it may not overflow,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11, the flow velocity in a measurement part will become large too much and abnormal measurement will generate | occur | produce. Thus, the flow rate of the measurement part is limited, and since the flow rate of air including the granulator (falling dust) from the collection part is limited to this flow rate, there is also a problem (second problem) that it cannot be measured accurately.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을 구비시키는 제1 고안에 의해, 상기 제1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되었다.In contras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roblem can be solved by the first design including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그런데, 생물 분석 등에서 액체 내에 세포를 부유시키고 있는 샘플액을 계측기에 흘릴 때에, 샘플액이 직접 계측기에 접촉하지 않도록 유체 역학적인 특성(층류끼리는 혼합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샘플액을 감싸도록 액체를 흘리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샘플액을 감싸는 액체를 시스액이라고 하여 샘플액과 구별하고 있다. 샘플액의 흐름은 샘플류(Sample flow), 시스액의 흐름은 시스류(Sheath flow)라고 불린다. 이상은 생물 분석 등에 있어서의 액체의 흐름에 대한 사고 방식을 서술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강하 먼지가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에 부착되지 않도록 내벽(4a)을 따라서 층형상으로 흘리는 청정 공기(기체)를 「시스 에어」, 이 청정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층류를 「시스류」라고 한다. 또한, 층형상의 시스 에어를 「시스 에어층」이라고 한다.By the way, when flowing the sample liquid suspended in the liquid in the liquid in the biological analysis or the like, the liquid is wrapped so as to surround the sample liquid using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laminar flow does not mix) so that the sample liquid does not directly contact the measuring instrument. Shedding is done. The liquid surrounding this sample liquid is called a sheath liquid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sample liquid. The flow of the sample liquid is called sample flow, and the flow of the sheath liquid is called sheath flow. The above describes the way of thinking about the flow of liquid in biological analysis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clean air (gas) flowing through the inner wall 4a in the form of layers so as not to adhere to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is referred to as "cis air" and the laminar flow formed by the clean air. It is called "sheath." In addition, a layered sheath air is called "a sheath air layer."

이것을 도 4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4는 본 실시 형태의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 및 후술하는 임팩터(21)의 효과를 이미지로 설명한 개략도이다.This is explained in detail using FIG. 4, and FIG. 4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effect of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of this embodiment and the impactor 21 mentioned later with an image.

중앙을 계측 대상 에어가 하방으로 흡입되어, 그 계측 대상 에어를 둘러싸도록 하여 시스류가 흐르고, 시스 에어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는 이 시스 에어층에 그림자를 부여하고 있다. 계측 대상의 에어 중에 조립자(PL) 및 미립자(PS)가 존재하고 있다. 시스 에어층을 조립자(PL) 및 미립자(PS)가 흐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이에 의해, 깔때기(3)의 내벽[즉, 콘 형상 부재의 내벽(4a)]에 조립자(PL) 및 미립자(PS)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정 대상의 입자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직접적인 계측 대상은 에어(공기) 중의 조립자이지만, 이 계측 대상인 조립자를 포함하는 에어를 「계측 대상 에어」라고 하고 있다.The measurement target air is sucked downward through the center, the sheath flows so as to surround the measurement target air, and the sheath air layer is formed. In FIG. 4, a shadow is given to this sheath air layer. Coarse particles PL and fine particles PS exist in the air to be measured. The sheath air layer does not mov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low direction of the granulators PL and the particles PS. As a result, the coarse particles PL and the fine particles PS are prevented from adhering to the inner wall of the funnel 3 (that is,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thereby preventing defects in the particles to be measured. Here, although the direct measurement object is the granulator in air (air), the air containing the granulator which is this measurement object is called "measurement object air."

다음에, 상기 제2 문제에 대한 고안(제2 고안)을 설명한다. 이는 임팩터의 사용법의 고안이다. 도 3의 상단은 임팩터(21)의 통상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의 하단은 임팩터(21)의 본 실시 형태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Next, a design (second design) for the second problem will be described. This is an idea of how to use the impactor. The upper part of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normal use method of the impactor 21, and the lower part of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monstrating the use method of this embodiment of the impactor 21. As shown in FIG.

임팩터(21)는 깔때기(3)로부터의 시스 에어 및 계측 대상 에어를 유도하는 직관(23)과, 이 직관(23)의 전체 둘레에 균등하게 배치되는 흡인구(배기구)로 이루어져, 관성력에 의한 분립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직관(23)의 전체 둘레에 균등하게 배치되는 흡인구를 도시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도 3에서는 이 흡인구를 직관(23)으로부터 분기하는 1개의 흡인관(24)으로, 또한 도 1, 도 4에서는 좌우 2개의 흡인관(24)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The impactor 21 is composed of a straight pipe 23 which guides the sheath air and the measurement target air from the funnel 3, and a suction port (exhaust) disposed evenly around the entire straight pipe 23, It is to perform separation.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show the suction port uniformly arrange | position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straight pipe 23, in FIG. 3, it is one suction pipe 24 which branches this suction port from the straight pipe 23, and also FIG. 1, FIG. In 4, it shall be represented by two suction pipes 24 of right and left.

관 내의 흐름은 실제로는 그 중심선을 회전축으로 한 회전체와 같이 균일하다. 이로 인해, 시스 에어 및 미립자(PS)를 포함하는 잉여 공기의 분리에 관하여, 흡인관(24)을 직관(23)에 대해 좌우의 2군데에 설치하거나 1군데에만 설치한 것에는, 시스 에어 및 미립자(PS)를 포함하는 잉여 공기를 흡인하고 있는 곳과, 시스 에어 및 미립자(PS)를 포함하는 잉여 공기를 흡인하고 있지 않은 곳에서 공기 흐름에 차이가 발생해 버린다. 즉, 시스 에어 및 미립자(PS)를 포함하는 잉여 공기의 흡인관은 직관(23)의 관 둘레에 균일해야만 한다. 관 둘레에 균일한 흡인관을 도시하는 것이 실제로는 곤란하므로, 도 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2개의 흡인관(24)으로, 혹은 도 3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흡인관(24)으로 대표시키고 있다.The flow in the tube is actually uniform, like a rotor with its center line as its axis of rotation. For this reason, with respect to the separation of the surplus air containing the sheath air and the fine particles (PS), the suction pipe 24 is provided in two places on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pipe 23, or in only one place. Differences occur in the air flow where the excess air containing (PS) is sucked in and where the excess air containing sheath air and fine particles (PS) is not sucked. That is, the suction pipe of the surplus air containing the sheath air and the fine particles PS must be uniform around the pipe of the straight pipe 23. Since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show a uniform suction tube around the tube, one suction tube 24 as shown in FIGS. 1 and 4 or as two suction tubes 24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Represented by.

먼저, 임팩터(21)의 통상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의 상단에 있어서 시스 에어 및 계측 대상 에어를 도입하는 직관(23)은 하방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납 상자(22) 내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직관(23)의 상단부는 원통 형상 부재(5)와 접속된다. 직관(23)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분기하는 흡인관(24)은 수납 상자(22)의 벽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흡인관(24)은 공기 흡인 통로(25)를 통해 계측부(26)와 접속된다.First, the normal use method of the impactor 21 is demonstrated. In the upper end of FIG. 3, the straight pipe 23 which introduces the sheath air and the measurement object air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up-down direction in the storage box 22 in the state which downward is open. The upper end of the straight pipe 23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member 5. The suction pipe 24 branching from the straight pipe 2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ll of the storage box 22. The suction pipe 24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unit 26 through the air suction passage 25.

계측부(26) 내부의 블로어 또는 팬을 작동하여 흡인관(24)을 통해 계측 대상 에어를 계측부(26)로 흡인한다. 그러면, 조립자(PL) 및 미립자(PS)는 계측기의 상방으로부터 직관(23)으로 흡입된다. 조립자(PL)와 미립자(PS)에서는, 관성력이 상이하고, 조립자(PL)의 쪽이 미립자(PS)보다도 관성력이 크다. 이 관성력의 차이에 의해, 조립자(PL)는 직관(23) 내를 구부러지지 않고 바로 아래로 낙하하여 배제되고, 미립자(PS)만이 직관(23)으로부터 흡인관(24)으로 구부러져 들어가 계측부(26)로 흡인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자(PL)를 관성력에 의해 배제하여 미립자(PS)만을 계측부(26)로 유도하여, 미립자(PS)(의 수)를 계측한다.The blower or the fan inside the measurement unit 26 is operated to suck the measurement target air into the measurement unit 26 through the suction pipe 24. Then, the granulator PL and the fine particles PS are sucked into the straight pipe 23 from above the measuring instrument. In the coarse particles PL and the fine particles PS, the inertia force is different, and the coarse particles PL have a larger inertia force than the fine particles PS. Due to the difference in inertia force, the granulator PL is dropped by dropping directly below the straight pipe 23 without being bent, and only the fine particles PS are bent from the straight pipe 23 into the suction pipe 24 to be measured. A). In this way, the granules PL are removed by the inertial force, and only the fine particles PS are guided to the measurement unit 26 to measure the number of fine particles PS.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립자(PS)가 아니라, 미립자(PS)보다 직경이 큰 조립자(PL)를 계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3의 상단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임팩터(21)의 통상의 사용 방법을 사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도 3의 하단과 같이 한다. 즉, 직관(23)의 하단부를 수납 상자(22)의 하벽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시키고, 공기 흡인 통로(25)를 통해 계측부(26)와 접속한다. 흡인관(24)은 수납 상자(22)의 횡벽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시켜, 공기 흡인 통로(27)를 통해 블로어(28)(또는 팬)와 접속한다. 블로어(28)는 시스 에어의 대부분 및 미립자(PS)를 포함하는 잉여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an object not to measure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PS but to measure the granulator PL larger in diameter than microparticles | fine-particles PS. For this reason, the normal use method of the impactor 21 as shown in the upper part of FIG. 3 cannot be used. Therefore, it is as shown in the bottom of FIG. That is, the lower end part of the straight pipe 23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wall of the storage box 22, and is connected with the measurement part 26 through the air suction passage 25. As shown in FIG. The suction pipe 24 penetrates the horizontal wall of the storage box 22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with the blower 28 (or a fan) through the air suction passage 27. The blower 28 is for aspirating excess air including most of the sheath air and the fine particles PS.

이 경우에, 2종류의 입자(PS, PL)의 관성력의 상이에 의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조립자(PL)의 쪽은 구부러지지 않고 직관(23) 내를 바로 아래로 낙하하여 계측기(26)에 의해 계측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미립자(PS)의 쪽은 흡인관(24), 공기 흡인 통로(27)를 통해 블로어(28)에 의해 배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임팩터로 행해지는 관성력에 의한 분립 방식을 역수로 이용하여 최적화한다.In this cas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inertia forces of the two kinds of particles PS and PL, the relatively large diameter granulator PL does not bend, but falls directly inside the straight pipe 23 to measure the measuring device 26. The fine particles PS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re excluded by the blower 28 through the suction pipe 24 and the air suction passage 27.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paration method by the inertia force performed by the impactor is optimized using the reciprocal.

본 실시 형태의 임팩터(21)에 의한 분립 방법이 양호한 곳은, 블로어(28)에 의해 시스 에어의 대부분 및 미립자(PS)를 포함하는 잉여 공기를 폐기하여, 계측부(26)로의 공기 유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점에 있다. 계측부(26)에 있어서는, 통상은 흡인 유량당의 입자수를 계측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관성력에 의한 분립에서도 유량을 좁히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 유량 조리개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블로어(28)에 의해 효과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다.Where the separation method by the impactor 21 of this embodiment is favorable, the blower 28 discards the excess air containing the majority of the sheath air and the particulate matter PS, and reduces the amount of air flowing into the measuring unit 26. It is in the point that can be made. In the measurement unit 26, in order to measure the number of particles per suction flow rate, generally, the flow rate is narrowed even in the case of separation by inertial force. This flow rate stop is effectively performed by the blower 28 in this embodiment.

본 실시 형태의 임팩터(21)의 작용을 다시 도 4에서 보면, 계측 대상 에어와 시스 에어가 흡인관(24)의 위치까지 왔을 때, 흡인관(24)에 의해 시스 에어의 대부분 및 미립자(PS)를 포함하는 잉여 공기가 흡인되므로, 시스 에어층의 두께가 감소하지만, 시스 에어층은 계측부(26)의 입구까지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스 에어의 대부분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잉여 공기를 임팩터(21)로 분리하고 또한 폐기함으로써, 계측부(26)의 제한 유량까지 계측 대상 에어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측정 대상의 조립자의 결손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the operation of the impactor 21 of the present embodiment in FIG. 4, when the measurement target air and the sheath air come to the position of the suction pipe 24, most of the sheath air and the fine particles PS are removed by the suction pipe 24. Since the excess air included is sucked in, the thickness of the sheath air layer decreases, but the sheath air layer is held up to the inlet of the measurement unit 26. In this way, by separating and discarding the majority of the sheath air and the surplus air containing fine particles with the impactor 21, the flow rate of the measurement target air can be reduced to the limited flow rate of the measurement unit 26. Moreover, the defect of the coarse particle to be measured can be prevented.

또한, 시스 에어를 모두 흡인관(24)에 의해 흡인할 수는 없고, 소량의 시스 에어는 흡인관(24)으로부터 계측부(26)의 공기 입구까지의 내벽에도 필요하다. 따라서, 소량의 시스 에어는 계측 대상 에어와 함께 계측부(26)에 들어간다. 환경에는, 시스 에어는 애당초 존재하지 않는 것이므로, 계측 대상 에어가 시스 에어의 분만큼 증가하게 되어, 계측값의 오차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시스 에어가 계측 대상 에어와 함께 계측부에 들어가는지는 미리 계측해 둘 수 있으므로, 그 계측한 시스 에어의 양을 고려하여 계측값을 보정함으로써 계측값을 정확한 것으로 할 수 있다.Moreover, not all the sheath air can be sucked by the suction pipe 24, and a small amount of sheath air is also required for the inner wall from the suction pipe 24 to the air inlet of the measurement unit 26. Therefore, a small amount of sheath air enters the measurement unit 26 together with the measurement target air. Since sheath air does not exist initially in an environment, the measurement object air will increase by the amount of sheath air, and it may become the error of a measured value.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to measure in advance how much sheath air enters the measurement unit together with the measurement target air, the measured value can be made accurate by correcting the measured value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the measured sheath air.

다음에, 기중 입자 검출 장치의 설계 방법을 설명한다. 시스 에어의 공급량과 임팩터(21)의 흡인관(24)으로부터의 흡인량의 양쪽이 유량(공급량, 흡인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구조로 한다. 이에 의해, 시스 에어층의 유속을 임계 레이노즐수 이하로 제어하여 시스 에어층을 뿔형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Next, the design method of the airborne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is demonstrated. Both the supply amount of the sheath air and the suction amount from the suction pipe 24 of the impactor 21 have a function of adjusting the flow rate (supply amount, suction amount). As a result, the flow rate of the sheath air layer can be controll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critical ray nozzle number, so that the sheath air layer can be maintained in a horn shape.

깔때기의 사이즈와 센서 입구[계측부(26)의 공기 입구]의 치수와 시스 에어의 공급량의 각 적정값을 구체적으로 검토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의 유량부터 먼저 서술하면, 센서 허용량[계측부(26)의 제한 유량]을, 예를 들어 130L/min으로 했을 때, 수집부로서의 깔때기(3)의 유량은 이 값과 동일한 130L/min으로 할 필요가 있다.The appropriate values of the size of the funnel, the dimensions of the sensor inlet (the air inlet of the measuring section 26) and the amount of supply of the sheath air will be specifically discussed. First, from the flow rate in the case of not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or allowable amount (limit flow rate of the measurement unit 26) is 130 L / min, for example, the flow rate of the funnel 3 as the collection unit is equal to this value. It is necessary to make it the same 130L / min.

이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유량은 어떻게 되는지를 계산해 본다. 예를 들어, φ7㎜의 관에 최대 유속(음속의 1/2 내지 1/3이 현실적)을 흘리는 것으로 한 경우에, 임팩터(21)의 흡인관(24)에 의한 감량을 300L/min까지 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시스 에어층의 두께가 5㎜이고 또한 임계 레이노즐수가 500,000(판이 500,000 정도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 값을 적용함)일 때의 유속으로 한다. 깔때기는 φ200㎜, 각도 45°의 깔때기로 한다. 그리고, 깔때기의 최협부에서 임계 유속에 도달하였다고 한다. 이때,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에 의해, 34L/min(MAX값)까지 시스 에어를 증량하는 것으로 한다. 센서 허용량을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와 동일한 30L/min으로 했을 때, 깔때기의 유량은 30+300-34=296L/min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자가 1ft^3의 체적에 얼마나 있는지를 상시, 고정밀도로 계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파티클 센서(계측부)에서는, 입자를 포함하는 계측 대상 에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입자로부터의 반사광을 받음으로써, 흡인 유량당의 입자의 수를 카운트한다.In contrast, how the flow rate in the case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is calculated.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flow velocity (1/2 to 1/3 of the speed of sound is realistic) is flowed into a φ7 mm tube, the weight loss by the suction tube 24 of the impactor 21 can be reduced to 300 L / min. Make sure On the other hand, it is set as the flow velocity when the thickness of the sheath air layer is 5 mm and the critical ray nozzle number is 500,000 (the value is applied because the plate is known to be about 500,000). The funnel is a funnel with a diameter of 200 mm and an angle of 45 °. And, it is said that the critical flow rate is reached at the narrowest part of the funnel. 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increases the sheath air to 34 L / min (MAX value). When the sensor allowable amount is 30 L / min, which is the same as in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pplied, the flow rate of the funnel is 30 + 300-34 = 296 L / min. In this way, it became possible to always measure with high precision how long the granulator is in the volume of 1 ft ^ 3. In addition, the particle sensor (measuring unit) counts the number of particles per suction flow rate by irradiating laser light to the measurement target air containing the particles and receiving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particles.

다음에, 시스 에어층의 형성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한다. 임팩터(21)의 흡인관(24)에 의한 흡인량이 시스 에어의 공급량보다도 적을 때에는 시스 에어의 공급 과잉으로 되어, 적절한 양의 계측 대상 에어를 계측부(26)에 도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계측 대상 에어를 오버플로우시킨다(이와 같은 설정으로는 하지 않음).Next, it is examined whether the formation of the sheath air layer is possible. When the suction amount of the impactor 21 by the suction pipe 24 is smaller than the supply amount of the sheath air, the supply of the sheath air is excessive, and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measurement target air is not introduced into the measurement unit 26. In this case, therefore, the measurement target air is overflowed (the setting is not performed in such a manner).

임팩터(21)의 흡인관(24)에 의한 흡인량(설정 유량)은 시스 에어의 공급량(설정 유량)보다도 많게 한다. 시스 에어는 임팩터(21)를 향해 공급되므로, 임팩터(21)의 흡인관(24)에 의한 흡인량과 시스 에어의 공급량이 동량인 경우에는 시스 에어의 전량을 임팩터(21)의 흡인관(24)이 흡인하게 된다. 임팩터(21)의 흡인관(24)에 의한 흡인량을 많게 함으로써 시스 에어에 추가하여 계측 대상 에어를 흡입하는 것이 가능해, 시스 에어층을 형성하고 있는 유체가 임계 레이노즐수를 초과하지 않는 한 시스 에어층은 파탄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면 변화를 수반해도 임계 레이노즐수 이하이면 시스 에어층은 파괴되지 않는다.The suction amount (set flow rate) by the suction pipe 24 of the impactor 21 is larger than the supply amount (set flow rate) of the sheath air. Since the sheath air is supplied toward the impactor 21, when the suction amount by the suction tube 24 of the impactor 21 and the supply amount of the sheath air are the same amount, the entire amount of the sheath air is supplied to the suction tube 24 of the impactor 21. Aspirat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suction by the suction pipe 24 of the impactor 21, it is possible to inhale the measurement target air in addition to the sheath air, so long as the fluid forming the sheath air layer does not exceed the number of critical ray nozzles. The layer is not broken. Therefore, even if it is accompanied by a cross-sectional change, if it is below the critical ray nozzle number, a sheath air layer will not be destroyed.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Here, the effect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기 중을 강하하는 입자를 포함한 공기(기체)를 수집하는 깔때기(3)(수집부)와, 이 깔때기(3)에 의해 수집된 공기 중의 입자를 계측하는 계측부(26)를 구비하고, 깔때기(3)에 시스 에어를 발생시키는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을 갖게 하는 동시에, 깔때기(3)와 계측부(26) 사이에 관성력에 의한 분립을 행하는 임팩터(21)를 배치하므로, 시스 에어에 의해, 계측 대상(검출 대상)의 입자가 깔때기(3)에 부착되어 체류하는 경우가 없어지고, 또한 시스 에어로서 공급한 여분의 공기를 임팩터(21)로 배제함으로써, 계측 가능한 유량을 계측부(26)에 유입할 수 있으므로, 계측 대상 입자(검출 대상 입자)의 계측 정밀도가 향상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funnel 3 (collection part) which collects air (gas) containing the particle | grains which descend | falls in air, and the measurement part 26 which measures the particle | grains in the air collected by this funnel 3 And having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for generating the sheath air in the funnel 3 and arranging the impactor 21 for separating the funnel by the inertial force between the funnel 3 and the measurement unit 26. The flow rate that can be measured by eliminating the particles of the measurement target (detection target) attached to the funnel 3 and staying with the sheath air, and eliminating the excess air supplied as the sheath air with the impactor 21. Can flow into the measurement unit 26, so that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particle to be measured (particle to be detected) is improved.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은 깔때기(3)(수집부)의 개구 단부(4a)의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깔때기(3)의 내벽(4a)을 따르는 균일한 층이 형성되도록 청정 공기(클린 에어) 또는 청정한 공기를 토출하는 기구이므로, 깔때기(3)의 내벽(4a) 전체에 시스 에어층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is install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end 4a of the funnel 3 (collection part), so that a uniform layer along the inner wall 4a of the funnel 3 is formed. Since it is a mechanism which discharges clean air (clean air) or clean air so that it may form, it is possible to form a sheath air layer on the entire inner wall 4a of the funnel 3.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팩터(21)는 깔때기(3)(수집부)로부터의 시스 에어 및 계측 대상 에어(계측 대상의 입자를 포함한 공기)를 유도하는 직관(23)과, 이 직관(23)의 전체 둘레에 균등하게 배치되는 흡인구[흡인관(24)]으로 이루어지고, 조립자(PL)(제2 입자)만을 관성력에 의해 계측부(26)로 유도하고, 시스 에어의 대부분 및 미립자(PS)(제1 입자)를 포함한 잉여 공기를 상기 흡인구로부터 배제하므로, 효율적으로 시스 에어 및 계측 비대상의 미립자를 포함하는 잉여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pactor 21 includes a straight pipe 23 for guiding the sheath air and the measurement target air (air including the particles to be measured) from the funnel 3 (the collecting portion), and the straight pipe 23. It consists of a suction port (suction tube 24) evenly dispos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guides only the granulator PL (second particle) to the measurement unit 26 by inertial force, and the majority of the sheath air and the fine particles (PS Since excess air including the (first particle) is excluded from the suction por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ischarge the excess air containing the sheath air and the fine particles to be measured.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깔때기(3)의 개략 사시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의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도 5와 도 6 사이에서 공기 분출 구멍(35)의 수는 상이하게 하고 있다.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unnel 3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in Figs. 1 and 2.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air blowing holes 35 differs between FIG. 5 and FIG.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은 에어 펌프(13), 메인 공기 공급관(14), 링 형상 공기 저류부(31), 공기 분출 구멍(35)으로 이루어진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includes an air pump 13, a main air supply pipe 14, a ring-shaped air reservoir 31, and an air blowing hole 35.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하면, 제1 실시 형태의 노즐 대신에,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링 형상 공기 저류부(31)와 공기 분출 구멍(35)을 형성하고 있다. 우선, 콘 형상 부재(4)의 개구 단부(4b)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소정 폭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측 판재(32), 개구 단부(4b)보다도 소정 높이 낮은 위치의 콘 형상 부재(4)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상기 소정 폭과 동일한 폭으로 연장 설치되는 하측 판재(33), 양 부재(32, 33)와 접속되는 곡면 형상의 외주 부재(34) 및 이 외주 부재(34)에 대향하는 콘 형상 부재(4)로부터 단면이 평행 사변형인 링 형상 공기 저류부(31)가 구성되어 있다. 이 링 형상 공기 저류부(31)는 콘 형상 부재(4)의 개구 단부(4b)의 주연에 형성되어 있다.The part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Instead of the nozz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ring-shaped air reservoir 31 and the air blowing hole 35 are formed in the second embodiment. First, from the cone-shaped member 4 at a predetermined height lower than the upper plate member 32 and the opening end portion 4b which ar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width extending outward from the opening end 4b of the cone-shaped member 4 in the radial direction outward. Cone opposed to the lower plate member 33 extending in the same width as the predetermined width toward the radially outer side, the outer peripheral member 34 having a curved shape connected to both the members 32 and 33, and the outer peripheral member 34. The ring-shaped air storage part 31 whose cross section is a parallelogram from the shape member 4 is comprised. This ring-shaped air storage part 31 is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edge part 4b of the cone-shaped member 4.

외주 부재(34)에 대향하는 콘 형상 부재(4)에는 콘 형상 부재(4)의 개구 단부(4b)로부터 원통 형상 부재(5)를 향하는 선을 따라서 배열되는 복수의 공기 분출 구멍(35)의 열을 뚫고, 이 복수의 공기 분출 구멍(35)이 배열되는 열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 형상 부재(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하고 있다.The cone-shaped member 4 opposit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member 34 includes a plurality of air blowing holes 35 arranged along a line from the opening end 4b of the cone-shaped member 4 toward the cylindrical member 5. The heat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air blowing holes 35 are arranged i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e-shaped member 4 as shown in FIG. 5.

링 형상 공기 저류부(31)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펌프(13)에 의해 가압한 청정 공기를 메인 공기 공급관(14)을 통해 도입한다. 이에 의해, 공기 분출 구멍(35)으로부터 청정 공기가 콘 형상 부재(4) 내로 분출한다. 이 콘 형상 부재(4) 내로 분출되는 공기는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라서 층형상으로 흐르는 시스류를 생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콘 형상 부재(4)에 공기 분출 구멍(35)을 뚫었을 뿐이면, 공기는 콘 형상 부재의 벽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출되고,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르는 흐름으로는 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분출 구멍(35)에는 공기의 분출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36)를 설치해 두고, 공기가 각 공기 분출 구멍(35)으로부터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라서 분출되고, 또한 분출된 공기가 합류하여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의 전체를 덮는 시스류로 되어, 시스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6, clean air pressurized by the air pump 13 is introduced into the ring-shaped air reservoir 31 through the main air supply pipe 14. As a result, clean air is blown into the cone-shaped member 4 from the air blowing hole 35. The air blown into this cone-shaped member 4 is for generating the sheath which flows in layer form along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However, if only the air blowing hole 35 is drilled in the cone-shaped member 4, the air is blown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all of the cone-shaped member, and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is opened. It does not become a following flow. 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air blowing hole 35 is provided with the guide 36 which regulates the blowing direction of the air, and the air flows from each air blowing hole 35 into the inner wall of the cone-shaped member 4 ( The air blown out along 4a) and the blown air are joined to form a sheath that covers the entirety of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so that a sheath air layer is formed.

이와 같이 하면, 각 공기 분출 구멍(35)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합류하여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라서 흐르는 동시에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의 전체를 덮는 시스류로 되고,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에 시스 에어층이 형성된다.In this way, the air blown out from each air blowing hole 35 merges and flows along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and covers the whole of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The sheath air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도 7은 제3 실시 형태의 깔때기(3)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도 7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단면에서 깔때기(3)를 위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 도 2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또한, 도 7과 도 8 사이에서 공기 도입 구멍(42)의 수는 상이하게 하고 있다.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unnel 3 of the third embodiment, and FIG. 8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funnel 3 seen from above in a cross-sectional view shown by a dashed-dotted line in FIG. 7.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in Figs. 1 and 2.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air introduction holes 42 differs between FIG.7 and FIG.8.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청정 공기를 시스 에어로 하여 사용하였지만, 제3 실시 형태는 계측 대상 에어와 동일한 에어를 시스 에어로서 편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에어 펌프나 메인 공기 공급관은 불필요한 경우가 있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clean air is used as the sheath ai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air as the measurement target air is conveniently used as the sheath air. For this reason, an air pump and a main air supply line may be unnecessary.

제3 실시 형태의 시스 에어 발생 수단(11)은 콘 형상 부재(4)의 개구 단부(4b)의 부근에 있어서 콘 형상 부재(4)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한 핀(41)과, 깔때기(3)를 그 축의 주위로 회전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콘 형상 부재(4)의 개구 단부(4b) 근처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ㄷ자 형상의 절입부를 넣고, 이 절입 부분을 외측을 향해 개방함으로써 핀(41)을 형성한다. 절입 부분이 개방된 후에는 공기 도입 구멍(42)이 형성된다. 깔때기(3)는 그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11 of 3rd Embodiment is the pin 41 which provided in multiple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e-shaped member 4 in the vicinity of the opening edge part 4b of the cone-shaped member 4, and It is mainly composed of an actuator (not shown) which drives the funnel 3 to rotate about its axis. That is, the c-shaped cutouts are insert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near the opening end 4b of the cone-shaped member 4, and the pins 41 are formed by opening the cutouts outward. After the cut-out part is opened, the air introduction hole 42 is formed. The funnel 3 supports to rotate about its axis.

지금, 도 8에 있어서 깔때기(3)를 액추에이터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핀(41)의 형성을 위해 콘 형상 부재(4)에 뚫린 공기 도입 구멍(42)을 통해, 콘 형상 부재(4) 외주의 공기(계측 대상 에어와 동일한 에어)가 콘 형상 부재(4)의 내부로 공급된다. 도 8에 있어서 이때 콘 형상 부재(4)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Now, when the funnel 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actuator in FIG. 8, the cone-shaped member (through the air introduction hole 42 drilled in the cone-shaped member 4 for formation of the pin 41). 4) Air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 same air as the measurement target air) is supplied into the cone-shaped member 4. In FIG. 8, the flow of air supplied into the cone-shaped member 4 at this time is shown by the arrow.

이 경우, 각 공기 도입 구멍(42)으로부터 콘 형상 부재(4)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따라서 나선 형상으로 흐르고, 또한 이들 복수의 나선 형상 흐름이 합류하여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 전체를 덮는 시스류로 되어, 시스 에어층이 형성되도록, 공기 도입 구멍(42)이나 핀(41)의 위치, 공기 도입 구멍(42)이나 핀(41)의 형상을 설정한다.In this case, air supplied from each air introduction hole 42 into the cone-shaped member 4 flows in a spiral form along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and these helical flows It is a sheath which joins and covers the whol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and the position of the air introduction hole 42 or the fin 41, the air introduction hole 42 or the fin so that a sheath air layer is formed. The shape of 41 is set.

이와 같이, 콘 형상 부재(4)의 개구 단부(4b)의 부근에 있어서 핀(41)을 콘 형상 부재(4)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복수 설치하는 동시에, 핀의 형성을 위해 개방한 구멍을 공기 도입 구멍으로 하여 깔때기(3)를 회전시킴으로써, 각 공기 도입 구멍(42)으로부터 콘 형상 부재(4)의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가,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을 층형상으로 타는 시스류로 되고, 콘 형상 부재(4)의 내벽(4a) 전체에 시스 에어층이 형성된다.In this manner, in the vicinity of the open end 4b of the cone-shaped member 4, a plurality of pins 41 are provided around the cone-shaped member 4 at equal intervals, and a hole opened for forming the pin is formed. By rotating the funnel 3 as an air introduction hole, the air supplied from each air introduction hole 42 to the inside of the cone-shaped member 4 causes th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to form a layer. The burning sheath becomes a sheath, and the sheath air layer is formed in the whole inner wall 4a of the cone-shaped member 4.

계측 대상 에어에 포함되는 조립자의 비율은 작은 것이므로, 시스 에어로서 계측 대상 에어와 동일한 에어를 사용하고 있어도, 계측값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다고 생각된다. 이 의미에서는, 제1,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청정 공기를 반드시 사용할 필요는 없게 된다.Since the ratio of the coarse particles contained in the measurement target air is small, it is considered that even if the same air as the measurement target air is used as the sheath air, it does not affect the measured value. In this sense, clean air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used eve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기중 입자 검출 장치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차 전지 등의 2차 전지의 제조 라인의 각 처에 배치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에 의해, 조립자가 제품에 부착되는 것에 의한 문제의 발생을 검사 공정을 거치지 않고 검지할 수 있어, 생산의 수율의 향상과 그것에 수반하는 비용 저감이 가능해진다.Finally, it is thought that the airborne particle detection apparatus of this invention is arrange | positioned in each location of the manufacturing line of secondary batteries, such a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problems caused by the coarse particles attached to the product can be detected without undergoing an inspection process, thereby improving the yield of production and reducing the cost thereof.

3 : 깔때기(수집부)
11 : 시스 에어 발생 수단
21 : 임팩터
24 : 흡인관(흡인구)
26 : 계측부
3: funnel (collection)
11: sheath air generating means
21: impactor
24: suction pipe (suction port)
26: measuring unit

Claims (3)

기중을 강하하는 입자를 포함한 기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된 기중의 입자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집부에 시스 에어를 발생시키는 시스 에어 발생 수단을 갖게 하는 동시에, 상기 수집부와 계측부 사이에서 관성력에 의한 분립을 행하는 임팩터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입자 검출 장치.
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a gas including particles that lower the air;
It is provided with the measuring part which measures the particle | grains in the air collected by this collection part,
An airborne particl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llecting unit includes a sheath air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the sheath air, and an impactor for performing separation by inertial force between the collecting unit and the measur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 에어 발생 수단은 상기 수집부의 개구 단부의 전체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부의 내벽을 따르는 층이 형성되도록 공기를 토출하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입자 검출 장치.The airborne particle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heath air generating means is a mechanism that is installed around the entire open end of the collecting portion and discharges air so that a layer along the inner wall of the collecting portion is form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중을 강하하는 입자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제1 입자와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제2 입자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임팩터는, 상기 수집부로부터의 시스 에어 및 계측 대상의 입자를 포함한 기체를 유도하는 직관과, 이 직관의 전체 둘레에 균등하게 배치되는 흡인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입자만을 관성력에 의해 상기 계측부로 유도하여, 상기 시스 에어 및 상기 제1 입자를 포함한 잉여 공기를 상기 흡인구로부터 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중 입자 검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when the particles dropping the air weight are composed of first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and second particles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The impactor is composed of a straight pipe that guides the gas including the sheath air and the particles to be measured from the collecting unit, and a suction port that is evenly dispos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traight pipe,
An airborne particle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only the second particles are guided to the measurement unit by inertial force, thereby excluding excess air including the sheath air and the first particles from the suction port.
KR1020110048423A 2010-05-24 2011-05-23 Detecting apparatus for particle in the air KR10118058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8067 2010-05-24
JP2010118067A JP2011247609A (en) 2010-05-24 2010-05-24 Aerial particle detec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743A KR20110128743A (en) 2011-11-30
KR101180588B1 true KR101180588B1 (en) 2012-09-06

Family

ID=4539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423A KR101180588B1 (en) 2010-05-24 2011-05-23 Detecting apparatus for particle in the ai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1247609A (en)
KR (1) KR10118058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998A (en)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센트리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light scatte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4164B2 (en) * 2012-05-23 2016-05-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Fine particle detector and security gate
CN107064361B (en) 2014-12-31 2020-03-27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Detection apparatus and detection method
CN104535379B (en) 2014-12-31 2018-01-16 同方威视技术股份有限公司 Sampling apparatus and gas curtain guide body
JP2019174186A (en) * 2018-03-27 2019-10-10 日本製鉄株式会社 Miniaturized unmanned aircraft, and dust fall density measurement method
JP7289221B2 (en) * 2019-05-29 2023-06-09 日本製鉄株式会社 Dust fall classifier
CN112924463B (en) * 2021-01-26 2022-04-01 中国矿业大学 Coal mine shaft inspection device and laser scanning defect detection method
CN113176118B (en) * 2021-04-29 2021-12-10 江苏大学 Portable gas fax bacterium real-time acquisition and detection device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10A (en) 2008-06-24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detecting airborne particl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2010A (en) 2008-06-24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detecting airborne part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998A (en)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센트리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light scattering
KR102467875B1 (en) * 2020-12-24 2022-11-16 주식회사 센트리 Fine dust measuring device of light scatte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743A (en) 2011-11-30
JP2011247609A (en)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588B1 (en) Detecting apparatus for particle in the air
US9482620B2 (en) Portable particle spectrometer
EP2450689A1 (en) Sample collecting method and sample collecting apparatus
US10525458B2 (en) Clean air device and air cleaning unit inspecting method
KR101654178B1 (en) Pre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ng air polution detection
EP1319937B1 (en) Dry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apparatus
US5074158A (en) Powder granule sample inspection apparatus
KR20150051905A (en) Process for loading particulate material into a narrow vertical container
US8448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rsing a sample of particulate material
KR101462948B1 (en) Impactor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WM574238U (en) High resolution surface particle detector
EP4155711A1 (en) Omni-directional particulate extraction inlet
JP6560849B2 (en) Powder dispers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70042375A (en) Inspection device
JP5524305B2 (en) Parts counting device
CN103284324B (en) Dust removal and prevention device for non-contact rotary type cylindrical product diameter measuring device
US11946858B2 (en) Examination device
KR101953379B1 (en) Apparatus for evaluating contaminated particles of durability parts used in plasma equipment
JP2517580Y2 (en) Dry powder detection adapter for laser diffraction / scatte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
JP2015072238A (en) Particle collection jig, particle collection method, and particle measuring device using the particle collection jig
JP2001305040A (en) Sampling system for inline grain size measuring machine
TWI827109B (en) Microparticle measuring device
US104788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nanoparticle measurement
JP5386154B2 (en)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on of hollow part of casting product
US10969308B2 (en) Particle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