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382B1 -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382B1
KR101180382B1 KR1020100077588A KR20100077588A KR101180382B1 KR 101180382 B1 KR101180382 B1 KR 101180382B1 KR 1020100077588 A KR1020100077588 A KR 1020100077588A KR 20100077588 A KR20100077588 A KR 20100077588A KR 101180382 B1 KR101180382 B1 KR 101180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st
flooring
support unit
flooring construction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5242A (ko
Inventor
고수철
Original Assignee
고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수철 filed Critical 고수철
Priority to KR1020100077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3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교나 체육관 등의 건축물의 바닥재를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는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에 있어서, U자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장선을 폭방향으로 수용 및 지지하는 장선 지지부와;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장선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볼트부 및 너트부를 갖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장선의 수평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UNIT FOR SUPPORT JOIST, SYSTEM FOR CONSTRUCTING FLOORING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LOORING}
본 발명은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재를 지지하는 장선의 높이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절하여 바닥재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체육관 등의 건축물에서는 나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바닥재가 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바닥재 시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콘크리트 설치면(10)에 목재로 이루어진 복수열의 장선(20)을 설치하고, 설치된 장선(20)의 상부에 바닥재(30)로서, 합판(31)과 마루재(33)를 적층하여 시공하였다.
한편, 설치면(10)에 대하여 각 장선(20)의 높이가 수평을 이루고 있어야 바닥재(30)를 설치하였을 때 바닥재(30)가 수평을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각 장선(20)과 설치면 사이에 상호 마주보는 빗면을 갖는 한 쌍의 쐐기부재(40)를 이용하여 수평을 맞춘 후, 한 쌍의 쐐기부재(40)를 못(50)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바닥재 시공방법은 수많은 쐐기부재(40)를 설치하고 수평을 맞춘 후 못(50)으로 고정하는 시공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쐐기부재(40) 및 인건비에 따른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시공기간도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바닥재 시공에 사용되는 쐐기부재(40) 및 장선(20)이 목재로 이루어져 부패하거나 뒤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장선의 수평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부품의 재질을 개선하여 부패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에 있어서, U자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장선을 폭방향으로 수용 및 지지하는 장선 지지부와;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장선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볼트부 및 너트부를 갖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너트부는 상기 장선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장선 지지부의 양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볼트부는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장선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는 상기 장선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장선 지지부의 양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너트부는 상기 볼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장선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너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선 지지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바닥재 시공 시스템에 있어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각파이프로 마련되는 장선과; 상기 장선을 지지하는 상기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와; 상기 장선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어도 일층의 바닥재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바닥재 시공 방법에 있어서, 설치면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각파이프로 마련되는 장선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치면에 대하여 상기 장선을 수평하게 조절하는 단계와; 수평으로 조절된 상기 장선의 상부면에 바닥재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선의 수평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의 재질을 개선하여 부패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바닥재 시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를 이용하여 장선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를 이용한 바닥재 시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절취도,
도 5는 도 2의 Ⅴ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가 멍에를 지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설명에서 기술되는 치수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변형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와 바닥재 시공 시스템(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를 이용하여 장선(150)을 설치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를 이용한 바닥재 시공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절취도, 도 5는 도 2의 Ⅴ 영역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바닥면 즉, 설치면(140)에 복수열의 장선(150)을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장선(150)은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마련되며, 40mm의 폭, 20mm의 높이, 1.4mm의 두께를 갖는다. 복수의 장선(150)은 대략 400mm 간격으로 설치된다.
장선(150)은 충분한 지지강도를 위해 금속재질 또는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장선(150)은 종래에 사용되던 각목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를 이용하여 설치면(140)에 대하여 장선(150)을 지지한다. 여기서,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는 장선(150)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를 결합시키며, 일 실시예로 800mm 마다 하나씩 결합시킨다.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장선(150)을 폭방향으로 수용 및 지지하는 장선 지지부(120)와,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하여 장선 지지부(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볼트부(131) 및 너트부(133)를 갖는 높이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장선 지지부(120)는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는 장선(150)의 저면과 양 측면의 일부 영역을 감싸도록 이중 절곡되어 대략 U자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장선(150)의 형상에 따라 장선 지지부(120)의 단면 형상이 변형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장선(150)과 장선 지지부(120)가 형상맞춤 결합 가능하도록 장선 지지부(120)의 형상이 장선(150)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한 것이다. 한편, 장선 지지부(120)는 장선(15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 지지부(121)와, 한 쌍의 측면 지지부(121)를 연결하며 장선(150)의 저면을 지지하는 저면 지지부(1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면 지지부(123)이 저면에는 복수개의 함몰부로 형성된 딤플(125, 도 7에 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장선 지지부(120)의 무게를 경량화하며, 소재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높이 조절부(130)는 볼트부(131) 및 너트부(133)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부(133)는 장선(150)의 폭방향을 따라 장선 지지부(120)의 양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볼트부(131)는 너트부(133)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장선 지지부(1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너트부(133)의 테두리를 따라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강리브(1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의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는 장선 지지부(120)와 높이 조절부(130) 중 적어도 하나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를 친환경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추후 철거시 재활용이 가능하며, 습기에 의한 변형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로 장선(150)을 지지하고 높이를 조절하면, 간단하고 신속하게 장선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볼트부(131)와 너트부(133)에 의한 나사 결합으로 장선(150)의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미세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선(150)의 좌우에서 독립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선(150)의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되다.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된 장선(150)의 상부에 적어도 일층의 바닥재(160)를 적층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바닥재(160)는 장선(150)의 상부면에 한 층만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바닥재(160)는 나무 재질의 마루재이며, 대략 1200mm의 길이와 600mm의 폭 및 15mm의 두께를 갖는 복수의 조각을 판면방향으로 상호 연속되게 시공한다. 바닥재(160)는 복수개의 장선(150)에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으로 걸쳐 지지된다.
바닥재(160)의 각 모서리 영역에는 스크루 통과홀(16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시공시 이 스크루 통과홀(161)이 장선(150)의 판면과 접하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스크루 통과홀(161)에 스크루(167)를 체결함으로써, 바닥재(160)를 장선(150)의 상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스크루 통과홀(161)에는 도 3의 하부에 도시된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16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스크루(167)의 헤드부가 단턱(163)에 걸려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나사산은 장선(15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루 통과홀(161)의 상부 면적에 대응하는 마개(165)를 스크루 통과홀(161)에 삽입하여 스크루(167)를 외부로부터 차단시키고 바닥재(160)를 편평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다. 이에, 스크루 통과홀(161)에 이물질이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개(165)는 바닥재(160)와 동일한 나무 재질로 마련되나, 러버, 실리콘 등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마개(165)는 공지된 건축용 메꿈재(미도시) 또는 화학제에 의한 마감처리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한 층의 바닥재(160)를 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종래와 같이 합판과 마루재를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면(140)에 복수열의 장선(150)만을 설치한 후 바닥재(160)를 적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열의 장선(150) 사이를 연결하는 멍에(170)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멍에(170)는 복수열의 장선(150)을 폭방향으로 연결하여 상부에 적층되는 바닥재(160)를 지지한다.
멍에(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선(150)과 동일한 높이의 상부면을 갖도록 마련된다. 장선(150)과 멍에(170)는 T자형의 결속구(171)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T자형의 결속구(171)는 용접 또는 스크루에 의하여 장선(150)과 멍에(170)에 각각 결합된다. 멍에(170)는 전술한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에 의하여 설치면(140)에 지지된다. 다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용어 ‘장선’은 장선(150)과 멍에(170)를 포함하는 범위로 정의되는 것이다.
한편, 멍에(1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열의 장선(150)의 하부를 가로지르게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장선(150)과 멍에(170)는 양측 자유단이 절곡된 U자형의 결속구(173)에 의하여 상호 결합된다. U자형의 결속구(173)에는 멍에(170)가 수용되어 있으며 양측에서 절곡된 단부가 용접 또는 스크루에 의하여 장선(150)에 결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a)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131a)는 장선(150)의 폭방향을 따라 장선 지지부(120)의 양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너트부(133a)는 볼트부(131a)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장선 지지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U자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장선(150)을 폭방향으로 수용 및 지지하는 장선 지지부(120)와,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하여 장선 지지부(1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볼트부(131) 및 너트부(133)를 갖는 높이 조절부(130)로 구성되는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를 마련함으로써, 장선(150)의 수평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110)와 장선(150)의 재질을 개선하여 부패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바닥재 시공 시스템 110 :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120 : 장선 지지부 130 : 높이 조절부
131, 131a : 볼트부 133, 133a : 너트부
140 : 설치면 150 : 장선
160 : 바닥재 170 : 멍에

Claims (7)

  1.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에 있어서,
    U자의 단면형상을 가지고 장선을 폭방향으로 수용 및 지지하며 저면에는 복수개의 함몰부로 형성된 딤플이 형성되는 장선 지지부와;
    상호 나사 결합에 의하여 상기 장선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볼트부 및 너트부를 갖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부는 상기 장선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장선 지지부의 양측에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볼트부는 상기 너트부와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장선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너트부의 테두리를 따라 외주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선 지지부와 상기 높이 조절부 중 적어도 하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바닥재 시공 시스템에 있어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각파이프로 마련되는 장선과;
    상기 장선을 지지하는 상기 청구항 1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와;
    상기 장선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어도 일층의 바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7. 바닥재 시공 방법에 있어서,
    설치면에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각파이프로 마련되는 장선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청구항 1에 따른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를 이용하여 상기 설치면에 대하여 상기 장선을 수평하게 조절하는 단계와;
    수평으로 조절된 상기 장선의 상부면에 바닥재를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시공 방법.
KR1020100077588A 2010-08-11 2010-08-11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 KR101180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88A KR101180382B1 (ko) 2010-08-11 2010-08-11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88A KR101180382B1 (ko) 2010-08-11 2010-08-11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242A KR20120015242A (ko) 2012-02-21
KR101180382B1 true KR101180382B1 (ko) 2012-09-10

Family

ID=45838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588A KR101180382B1 (ko) 2010-08-11 2010-08-11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2593A (ja) * 2015-06-11 2017-01-05 Ykk Ap株式会社 デッキ支持構造、デッキ支持体およびデッ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902B1 (ko) * 2001-03-30 2003-08-19 (주) 성록 실내경기장용 바닥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레벨쿠션 조절볼트
KR100586630B1 (ko) * 2003-03-20 2006-06-07 가부시키가이샤 루네스 겐큐쇼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902B1 (ko) * 2001-03-30 2003-08-19 (주) 성록 실내경기장용 바닥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레벨쿠션 조절볼트
KR100586630B1 (ko) * 2003-03-20 2006-06-07 가부시키가이샤 루네스 겐큐쇼 건물의 바닥 지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242A (ko) 201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8902B1 (en) Bracket for multi-story buildings
KR100850862B1 (ko)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KR101244981B1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US9097004B2 (en) Combined pre-embedded anchoring slot system
KR20200004560A (ko) 결합구조 강화에 따른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데크 및 시공공법
CA3013997A1 (en) Deck mounting system
KR101180382B1 (ko) 바닥재 시공용 장선 지지 유니트,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시공 시스템 및 바닥재 시공 방법
JP5882267B2 (ja) 床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US20070193194A1 (en) Joists and Floor Panels containing same
SK8724Y1 (sk) Obkladový stavebný systém
KR100681317B1 (ko) 건축용 목조 구조체 및 그 시공공법
KR101784930B1 (ko) 지붕판넬용 지지부재
JP2005036437A (ja) 床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637861B1 (ko)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슬래브 거푸집 구조
IT201600123688A1 (it) Sistema per il fissaggio a terra di pareti di edifici
KR101400768B1 (ko) 방진지지구조체
JP7115922B2 (ja) 断熱構造及び建物
KR102147710B1 (ko) 단독주택의 내진설계 보강용 구조물
JP4279846B2 (ja) 木造軸組建築物の補強構造
KR101902874B1 (ko) 바닥구조물
JP2005290708A (ja) 二重床構造及び床施工方法
KR101929265B1 (ko) 내진성 향상을 위한 황토벽돌조 골조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JP3153424U (ja) 建築用支材
JP4943108B2 (ja) 柱脚金物
CN207484970U (zh) 一种用于看台圆弧梁侧模的安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