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224B1 - 쇳물용기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쇳물용기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224B1
KR101180224B1 KR1020100065317A KR20100065317A KR101180224B1 KR 101180224 B1 KR101180224 B1 KR 101180224B1 KR 1020100065317 A KR1020100065317 A KR 1020100065317A KR 20100065317 A KR20100065317 A KR 20100065317A KR 101180224 B1 KR101180224 B1 KR 101180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ing member
load
water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684A (ko
Inventor
주재호
김성문
이병욱
소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065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224B1/ko
Priority to JP2013518277A priority patent/JP5581445B2/ja
Priority to PCT/KR2011/004977 priority patent/WO2012005525A2/ko
Priority to US13/703,968 priority patent/US9358610B2/en
Priority to EP11803811.6A priority patent/EP2592159B1/en
Priority to CN201180033385.6A priority patent/CN102985568B/zh
Publication of KR2012000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33Suppor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50Tilting mechanisms for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2Crucible or pot furnaces with tilting or rock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2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using devices for tilting or rocking the 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2지지부를 포함하는 쇳물용기 지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는 회전가능한 쇳물용기(C)의 외부를 둘러싸는 링부재(200); 및 상기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2지지부(300,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D1)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와 상기 제2지지부(400)가 함께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상기 제2회전위치(D2)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상기 제2지지부(4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쇳물용기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쇳물용기의 하중을 편중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쇳물용기의 하중이 편중되어 작용되거나 쇳물용기와 링부재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연결부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쇳물용기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안정되게 쇳물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쇳물용기 지지장치{APPARTUS FOR SUPPORTING MOLTEN METAL CONTAINER}
본 발명은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하는 제1,2지지부를 포함하는 쇳물용기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로(轉爐) 등과 같이 쇳물이 담기는 쇳물용기(C)는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쇳물용기(C)는 내부에 담겨지는 쇳물을 외부로 출강시키기 위해서 또는 전로인 경우에는 취련 중 발생되는 슬래그의 제거를 위해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거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예컨대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는 이를 둘러싸며 회전축(A)이 구비된 링부재(20)와 함께 이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쇠물용기(C)의 회전시나 정지시에는 그 하중을 지지해야만 한다.
이와 같이 쇳물용기(C)의 회전시나 정지시에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도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에 연결된 연결부재(R)를 링부재(20)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링부재(20)에 관통 연결된 연결부재(M)에 고정부재(F)를 끼워서 쇳물용기(C)와 링부재(20)를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비교적 큰 구조물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재(20)에는 지지부재(41)가 구비되고, 쇳물용기(C)에는 지지부재(41)의 일측이 삽입되며 리브(L)가 구비된 삽입구멍(42)이 형성되어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부재(41)가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지지부재(41)와 삽입구멍(42) 사이의 좁은 간극과, 재질이 다른 쇳물용기(C)와 링부재(20)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지지부재(41)가 편마모 되거나 지지부재(41)나 삽입구멍(42)에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쇳물용기(C)에 연결된 링부재(20)의 타측을 박판(S)을 이용하여 쇳물용기(C)에 연결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박판(C)에 굽힙하중이 발생하면 매우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쇳물용기(C)의 내부에 담긴 쇳물을 외부로 출강 중에 출강되는 쇳물에 의해서 박판(S)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재(2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31)와 쇳물용기(C)에 구비되는 제2고정부재(33)를 링크부재(32)로 수직 또는 수평하게 연결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수평으로 연결된 링크부재(32)가 하중을 받는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서 쇳물용기(C)의 하중으로 연결부, 특히 제1고정부재(31)와 링부재(20)가 연결된 연결부에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예컨대 쇳물용기(C)가 전로인 경우에 취련 중 발생되는 슬래그의 제거를 위해서 쇳물용기(C)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하는 경우, 수직으로 연결된 링크부재(32)가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어서 수직으로 연결된 링크부재(32) 중 하나에만 과도한 하중이 작용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연결부에 크랙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쇳물용기 지지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쇳물용기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쇳물용기의 하중을 편중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쇳물용기의 하중이 편중되어 작용되거나 쇳물용기와 링부재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연결부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쇳물용기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안정되게 쇳물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쇳물용기 지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쇳물용기의 회전에 따라 쇳물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하는 제1,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는 회전가능한 쇳물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링부재; 및 쇳물용기의 회전위치에 따라 쇳물용기의 하중을 링부재와 연계하여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2지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쇳물용기의 직립위치로부터 직립위치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까지는 제1지지부가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하고, 제1회전위치로부터 직립위치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까지는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하며, 제2회전위치로부터 제2회전위치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3회전위치까지는 제2지지부가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링부재에는 회전축이 구비되며, 쇳물용기는 링부재와 함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삭제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지지부는 링부재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 일측이 제1고정부재에 연결되는 링크부재; 및 쇳물용기에 구비되며 링크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2고정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와 링크부재의 연결부 또는 링크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연결부에는 구면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지지부는 링부재에 구비되는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쇳물용기에 형성된 삽입구멍; 을 포함하며, 지지부재와 삽입구멍의 사이에는 제1간극과 제1간극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2간극이 형성되며, 쇳물용기의 직립위치에서 제1간극과 제2간극은 삽입구멍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간극은 제2간극보다 클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쇳물용기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쇳물용기의 하중을 편중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쇳물용기의 하중이 편중되어 작용되거나 쇳물용기와 링부재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연결부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쇳물용기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안정되게 쇳물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저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제1지지부의 제1고정부재 또는 제2고정부재와 링크부재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제2지지부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과 도8은 종래의 쇳물용기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쇳물용기 지지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쇳물용기의 회전에 따라 쇳물용기의 외부를 둘러싸는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하는 제1,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100)는 링부재(200)와, 제1,2지지부(300,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링부재(2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의 외부를 둘러쌀 수 있다. 링부재(200)가 외부를 둘러싸는 쇳물용기(C)는 회전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링부재(200)에는 회전축(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회전축(A)은 모터나 기어 등으로 이루어진 회전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링부재(200)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제1,2지지부(300,4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링부재(200)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쇳물용기(C)가 링부재(200)와 함께 링부재(200)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나, 쇳물용기(C)가 회전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쇳물용기(C)가 회전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링부재(200) 또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쇳물용기(C)의 외부를 둘러싸며 후술할 바와 같이 제1,2지지부(300,4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쇳물용기(C)는 전로(轉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쇳물용기(C)는 전로에 한정되지 않고, 쇳물이 담기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1,2지지부(300,400)는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쇳물용기(C)의 하중을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쇳물용기(C)의 하중을 편중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쇳물용기(C)의 하중이 편중되어 작용되어 연결부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2지지부(300,400) 중 제1지지부(30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직립위치(D)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D1)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부(300)는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직립위치(D)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제2지지부(400)와 함께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부(300)는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2회전위치(D2)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3회전위치(D3)까지는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위치(D3)까지는 후술할 바와 같이 제2지지부(400)가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으로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지지부(300)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A)을 중심으로 쇳물용기(C)의 일측에 2개 타측에 2개 모두 4개가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A)을 중심으로 링부재(200)와 함께 쇳물용기(C)가 일측 또는 타측 어느 쪽으로 회전되어도, 제1지지부(3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직립위치(D)로부터 제1회전위치(D1)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으로, 그리고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제2회전위치(D2) 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제2지지부(400)와 함께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위치(D3)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제2지지부(400)가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쇳물용기(C)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안정되게 쇳물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쇳물용기(C)가 전로인 경우에, 전로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시켜서 취련시 슬래그를 배제하는 더블 슬래그 조업을 안정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 제1지지부(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 및, 제2고정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고정부재(310)는 링부재(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고정부재(3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링부재(200)에 구비되고 후술할 바와 같이 링크부재(320)가 연결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링크부재(32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이 제1고정부재(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는 핀부재(P)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는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핀부재(P)와 링크부재(320) 사이에 구면 베어링(B)이 위치되도록 하여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고정부재(31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되면, 링크부재(320)가 쇳물용기(C)의 하중에 의해서 좌우로 약간씩 이동하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은 위치에, 즉 핀부재(P)와 링크부재(320)의 사이에 구면 베어링(B)이 하나만 구비되고, 핀부재(P)와 제1고정부재(310) 사이에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되지 않아도, 링크부재(320)가 쇳물용기(C)의 하중에 의해서 약간씩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핀부재(P)와 제1고정부재(310) 사이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면이 테이퍼진 테이퍼부재(T)가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고정부재(33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부재(33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링크부재(320)의 타측이 연결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고정부재(330)와 링크부재(320)도 핀부재(P)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고정부재(33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도, 핀부재(P)와 링크부재(320) 사이에 구면 베어링(B)이 위치되도록 하여 제2고정부재(330)와 링크부재(320)의 연결부에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핀부재(P)와 제2고정부재(330) 사이에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테이퍼부재(T)가 위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쇳물용기(C)의 하중에 의해서 링크부재(320)가 좌우로 약간씩 이동하더라도,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고정부재(33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쇳물용기(C)에 구비되고 링크부재(320)가 연결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지지부(400)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직립위치(D)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D1)까지는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제1회전위치(D1)까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00)가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부(400)는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직립위치(D)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제1지지부(300)와 함께 링크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2회전위치(D2)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지지부(400)는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410)는 링부재(200)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410)는 링부재(200)에 구비된 회전축(A)의 반대편에, 즉 링부재(200)의 안쪽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A)과 같이 지지부재(410)도 링부재(200)에 2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41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링부재(200)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삽입구멍(420)은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에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멍(420)에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지지부재(41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삽입구멍(420)에 삽입된 지지부재(410)의 일측에 의해서 쇳물용기(C)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의 사이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간극(G2)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간극(G1)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에서 삽입구멍(4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에서는 쇳물용기(C)의 하중이 제2지지부(400)의 지지부재(410)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에서 제1회전위치(D1), 즉 쇳물용기(C)와 링부재(200)의 회전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10)가 삽입구멍(420)에 처음으로 접촉되는 회전위치인 제1회전위치(D1)까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제1지지부(300)와 제2지지부(400)가 함께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쇳물용기(C)의 회전에 따라 쇳물용기(C)의 하중이 제1지지부(300)에서 제2지지부(40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위치(D3)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제1지지부(300)에 의한 쇳물용기(C)의 하중의 지지가 이루지지지 않기 때문에, 제2지지부(4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 사이에 형성된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에 의해서 재질이 다른 쇳물용기(C)와 링부재(200)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연결부인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간극(G1)은 제2간극(G2)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간극(G1)이 제2간극(G2)보다 크면, 지지부재(410)를 삽입구멍(420)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제1회전위치(D1)까지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고,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제1지지부(300)와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함께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며,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고, 재질이 다른 쇳물용기(C)와 링부재(200)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크기라면 어떠한 크기라도 가능하다.
한편, 삽입구멍(420)에는 도1과 도2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쇳물용기(C)의 하중지지를 위해서 리브(L)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 도5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100)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에서는 제2지지부(400)의 지지부재(410)와 삽입구멍(420) 사이의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이 삽입구멍(4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쇳물용기(C)와 링부재(200)가 링부재(200)의 회전축(A)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되어 제2지지부(400)의 지지부재(410)가 삽입구멍(420)에 처음으로 접촉되는 제1회전위치(D1)까지도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에 의해서 지지부재(410)가 삽입구멍(420)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제1회전위치(D1)까지도 제1지지부(3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쇳물용기(C)가 링부재(200)와 함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더 회전되어 제2회전위치(D2)까지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410)가 삽입구멍(420)에 접촉되면서도 쇳물용기(C)의 회전각이 직립위치(D)에서 90°가 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하중을 제1지지부(300)와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함께 지지하게 된다. 즉, 제1지지부(300)에 가해지는 쇳물용기(C)의 하중이 제2지지부(400)로 이동된다.
이후, 쇳물용기(C)가 제2회전위치(D2)까지 회전되면,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300)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이 지지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제2지지부(400)가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쇳물용기(C)가 링부재(200)와 함께 일측 또는 타측으로 더 회전되어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예컨대 쇳물용기(C)가 전로이어서 전로에 담겨진 쇳물을 출강하는 경우에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쇳물용기(C)의 회전각이 직립위치(D)로부터 90°가 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제1지지부(300)는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를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제2지지부(400)의 지지부재(410)는 쇳물용기(C)의 자중에 의해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멍(420)에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제2지지부(400)가 단독으로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쇳물용기(C)가 링부재(200)와 함께 회전축(A)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된다고 하더라도, 전술된 바와 같이 회전위치(D,D1,D2,D3)에 따라 제1지지부(300)와 제2지지부(400)가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쇳물용기(C)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쇳물용기 지지장치를 사용하면, 회전위치에 따라 단독 또는 함께 링부재와 연계하여 쇳물용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쇳물용기의 회전위치에 관계없이 쇳물용기의 하중을 편중되지 않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쇳물용기의 하중이 편중되어 작용되거나 쇳물용기와 링부재의 열팽창 차이에 의해서 연결부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쇳물용기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번갈아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안정되게 쇳물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쇳물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쇳물용기 지지장치 20,200 : 링부재
300 : 제1지지부 31, 310 : 제1고정부재
32, 320 : 링크부재 33, 330 : 제2고정부재
400 : 제2지지부 41, 410 : 지지부재
42, 420 : 삽입구멍 C : 쇳물용기
A : 회전축 P : 핀부재
B : 구면 베어링 T : 테이퍼부재
G1 : 제1간극 G2 : 제2간극
L : 리브 D : 직립위치
D1 : 제1회전위치 D2 : 제2회전위치
D3 : 제3회전위치 R,M : 연결부재
F : 고정부재 S : 박판

Claims (7)

  1. 회전가능한 쇳물용기(C)의 외부를 둘러싸는 링부재(200); 및
    상기 쇳물용기(C)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단독 또는 함께 지지하도록 구성된 제1,2지지부(300,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1회전위치(D1)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회전위치(D1)로부터 상기 직립위치(D)에서 90°회전된 제2회전위치(D2)까지는 상기 제1지지부(300)와 상기 제2지지부(400)가 함께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제2회전위치(D2)로부터 상기 제2회전위치(D2)에서 일정 각도 회전된 제3회전위치(D3)까지는 상기 제2지지부(400)가 상기 링부재(200)와 연계하여 상기 쇳물용기(C)의 하중을 단독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200)에는 회전축(A)이 구비되며,
    상기 쇳물용기(C)는 상기 링부재(200)와 함께 상기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지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300)는
    상기 링부재(200)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재(310);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310)에 연결되는 링크부재(320); 및
    상기 쇳물용기(C)에 구비되며 상기 링크부재(320)의 타측이 연결되는 제2고정부재(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10)와 상기 링크부재(320)의 연결부 또는 상기 링크부재(320)와 상기 제2고정부재(330)의 연결부에는 구면 베어링(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400)는
    상기 링부재(200)에 구비되는 지지부재(410); 및
    상기 지지부재(41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쇳물용기(C)에 형성된 삽입구멍(420); 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410)와 상기 삽입구멍(420)의 사이에는 제1간극(G1)과 상기 제1간극(G1)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2간극(G2)이 형성되며, 상기 쇳물용기(C)의 직립위치(D)에서 상기 제1간극(G1)과 제2간극(G2)은 상기 삽입구멍(42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지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극(G1)은 상기 제2간극(G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쇳물용기 지지장치.
KR1020100065317A 2010-07-07 2010-07-07 쇳물용기 지지장치 KR101180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317A KR101180224B1 (ko) 2010-07-07 2010-07-07 쇳물용기 지지장치
JP2013518277A JP5581445B2 (ja) 2010-07-07 2011-07-07 溶融金属容器支持装置
PCT/KR2011/004977 WO2012005525A2 (ko) 2010-07-07 2011-07-07 쇳물용기 지지장치
US13/703,968 US9358610B2 (en) 2010-07-07 2011-07-07 Device for supporting molten metal container
EP11803811.6A EP2592159B1 (en) 2010-07-07 2011-07-07 Device for supporting molten metal container
CN201180033385.6A CN102985568B (zh) 2010-07-07 2011-07-07 金属液容器的支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317A KR101180224B1 (ko) 2010-07-07 2010-07-07 쇳물용기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684A KR20120004684A (ko) 2012-01-13
KR101180224B1 true KR101180224B1 (ko) 2012-09-05

Family

ID=4544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317A KR101180224B1 (ko) 2010-07-07 2010-07-07 쇳물용기 지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58610B2 (ko)
EP (1) EP2592159B1 (ko)
JP (1) JP5581445B2 (ko)
KR (1) KR101180224B1 (ko)
CN (1) CN102985568B (ko)
WO (1) WO201200552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6442A (zh) * 2017-04-28 2017-08-29 浙江思玛特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锂电池烧结的功能组件
KR102086928B1 (ko) * 2018-12-02 2020-03-09 곽노식 제철소의 고로 회전 지지장치
KR102210203B1 (ko) * 2019-10-15 2021-02-01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1504A (ko) 1973-07-28 1975-06-13
JPS51145306U (ko) 1975-05-16 1976-11-22
JPS5565315A (en) 1978-11-10 1980-05-16 Voest Ag Converter apparatus
JPS5576011A (en) 1978-11-27 1980-06-07 Voest Ag Tiltable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7815A (en) * 1971-05-19 1974-03-19 Nippon Steel Corp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body of the converter
AT322127B (de) * 1972-03-15 1975-05-12 Voest Ag Kippbarer tiegel oder konverter
US4426069A (en) * 1978-08-07 1984-01-17 Pennsylvania Engineering Corporation Mettalurgical vessel suspension system
JPS5996206A (ja) * 1982-11-24 1984-06-02 Kawasaki Heavy Ind Ltd 回転炉
GB8605455D0 (en) 1986-03-05 1986-04-09 Davy Mckee Stockton Vessel support arrangement
AT385772B (de) * 1986-08-21 1988-05-10 Voest Alpine Ag Kippbarer konverter
US5325761A (en) 1991-03-25 1994-07-05 Friedrich Wilh. Schwing Gmbh Switching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hydraulic drives
DE9211926U1 (ko) * 1992-09-04 1992-12-17 Voest-Alpine Industrieanlagenbau Ges.M.B.H., Linz, At
JP5576011B2 (ja) 2006-06-05 2014-08-20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模様面の形成方法
CN201165531Y (zh) * 2007-12-28 2008-12-17 中冶集团北京冶金设备研究设计总院 一种转炉炉体支撑装置
CN101717838A (zh) * 2009-12-11 2010-06-02 中冶赛迪工程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四点连杆机构转炉炉壳和托圈的联接装置
US8865584B2 (en) 2010-05-18 2014-10-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1504A (ko) 1973-07-28 1975-06-13
JPS51145306U (ko) 1975-05-16 1976-11-22
JPS5565315A (en) 1978-11-10 1980-05-16 Voest Ag Converter apparatus
JPS5576011A (en) 1978-11-27 1980-06-07 Voest Ag Tiltable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5525A2 (ko) 2012-01-12
WO2012005525A3 (ko) 2012-04-26
CN102985568B (zh) 2015-06-10
KR20120004684A (ko) 2012-01-13
JP5581445B2 (ja) 2014-08-27
EP2592159B1 (en) 2018-05-16
CN102985568A (zh) 2013-03-20
US20130087670A1 (en) 2013-04-11
JP2013535569A (ja) 2013-09-12
EP2592159A4 (en) 2017-03-29
EP2592159A2 (en) 2013-05-15
US9358610B2 (en)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224B1 (ko) 쇳물용기 지지장치
JP2005034944A (ja) オイルシールの圧入装置
JP2007229668A (ja) フロキュレータ用回転軸及びフロキュレータ用回転軸連結体
CN216237137U (zh) 一种模块化的水平吊挂装置
KR20160031262A (ko) 용융금속 정련장치
KR20160058405A (ko) 방수커버를 구비한 유니버셜 조인트
CN105715820B (zh) 球阀
CN210344637U (zh) 电炉金属软管旋转接头
US6228320B1 (en) Tiltable converter
CN204385225U (zh) 一种脱硫搅拌器
JP6986771B2 (ja) スパーブイ用係留装置
CA2890668A1 (en) Self-aligning shaft assembly
JP5382643B2 (ja) 攪拌式脱硫装置用攪拌機
JP3589075B2 (ja) 溶融金属用取鍋及び溶融金属の精錬方法
JP2007007667A (ja) 溶融金属保持容器
CN104350163A (zh) 用于可倾翻的转炉的水平支撑部和用于改造可倾翻的转炉的方法
JP6515490B2 (ja) 電気炉の操業方法
CN207850054U (zh) 一种炼钢炉
KR102136306B1 (ko) 터렛 구조물
CN211331282U (zh) 一种炼钢钢包加揭盖挂钩
CN205401656U (zh) 一种易拆卸的轴向定位装置
CN114620925B (zh) 石墨内衬的固定结构及锡槽
JP3936890B2 (ja) 流体の反応塔
CN202226876U (zh) 转炉非传动侧耳轴轴承密封结构
CN204934613U (zh) 钢珠成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