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195B1 -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195B1
KR101179195B1 KR1020100096241A KR20100096241A KR101179195B1 KR 101179195 B1 KR101179195 B1 KR 101179195B1 KR 1020100096241 A KR1020100096241 A KR 1020100096241A KR 20100096241 A KR20100096241 A KR 20100096241A KR 101179195 B1 KR101179195 B1 KR 10117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inner cylinder
main body
auxiliary
tr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4879A (ko
Inventor
변고은
Original Assignee
변고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고은 filed Critical 변고은
Priority to KR102010009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195B1/ko
Priority to PCT/KR2011/006704 priority patent/WO2012033381A2/ko
Publication of KR2012003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2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having means for storing or dispensing spare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65D43/262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통 본체의 한쪽에 일회성 봉투가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쓰레기를 일회성 봉투에 밀봉한채 쉽게 버릴 수 있으므로 일반 쓰레기와 오염된 쓰레기가 함께 담겨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보다 많은 쓰레기를 압착 보관할 수 있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한쪽으로 상부가 개방된 보조통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보조통의 내부에는 절취선에 의해 연속으로 붙은 일회성 봉투가 구비되어 악취 나는 쓰레기를 상기 일회성 봉투에 담아 묶은 뒤 낱개로 절취하여 상기 본체에 담을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The garbage can}
본 발명은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회성 봉투를 갖는 보조통을 쓰레기통 본체에 일체로 사출 형성함으로써, 냄새가 많이 나는 기저귀나 오염된 쓰레기를 일회성 봉투에 쉽게 담아 밀봉시킬 수 있으므로 일반 쓰레기와 오염된 쓰레기를 본체에 함께 버려도 냄새가 없으며, 냄새 때문에 쓰레기통을 자주 비워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통은 대부분 가정에서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종량제 쓰레기봉투를 구입하여 쓰레기를 버리기 때문에 주부들이 쓰레기를 최대한 많이 담기위해 손발을 이용하여 압착한 뒤 봉투를 묶어 버리는 추세이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실용등록 제308577호에 쓰레기를 압착하여 담을 수 있는 쓰레기통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뚜껑의 상부에 누름대가 구비되어 이를 누르면 뚜껑 내부의 압착판이 쓰레기를 압착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쓰레기를 버릴때는 발판을 발으면 뚜껑이 위로 들리는 구성이어서 편리하게 쓰레기를 버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쓰레기통은 뚜껑과는 별도의 압착판과 누름대 및 스프링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뚜껑이 쓰레기통에서 분리되지 않으므로 쓰레기통을 세척할때 불편한 등의 단점이 있었다.
실용등록 제427742호는 뚜껑을 돌려서 쓰레기를 압착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는 뚜껑을 직접 열고 쓰레기를 버려야 되므로 사용이 불편하였다.
실용등록 제252552호는 뚜껑이 시소처럼 회동되면서 열리므로 쓰레기를 버리기 편리하고 또한 뚜껑이 통에서 분리되므로 압착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는 시소의 축 역할을 하는 걸림돌기 및 스프링으로 뚜껑을 쓰레기통에 결합시키는 구성이므로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으며, 또한 압착된 쓰레기량이 많을 경우 뚜껑이 시소처럼 회동되어 열리는 과정에서 쓰레기에 닫아 열림량이 제한되므로 결국 뚜껑을 통에서 분리시켜 사용해야되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상기에서 제안된 종래의 쓰레기통들은 쓰레기를 보다 많이 담기위해 압착하는 기술들이 제안되어 있으나, 기저귀나 오염된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와 함께 담을 경우 압착 보관중인 쓰레기가 부패되면서 악취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악취를 해소하기 위해선 일회성 봉투에 기저귀나 오염된 쓰레기를 담아 밀봉시킨 뒤 버려야 되는데, 일회성 봉투를 갖는 쓰레기통이 개발된 바 없으므로 주위에 있는 비닐봉투를 찾아 버려야 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실용등록 제443070호에는 비닐봉투가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쓰레기통의 하단에 보관되고, 비닐봉투를 쓰레기통 내부로 인출하여 펼쳐 사용하도록 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비닐봉투가 일회성이 아니므로 오염된 쓰레기와 일반 쓰레기를 함께 버리게 되어 악취해소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본체와 내통의 사이에 종량제 쓰레기봉투를 씌워 사용하는 쓰레기통의 뚜껑이 시소처럼 회동되면서 열리도록 하거나 또는 발판을 누르면 뚜껑이 위쪽으로 들리도록 할 수 있으며, 쓰레기가 많이 차면 뚜껑을 분리하여 쓰레기를 압착하는 도구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쓰레기를 압착하면서 뚜껑을 시소처럼 회동시키며 사용하다가 압착된 쓰레기가 많을 경우 발판을 눌러 뚜껑이 들리도록 하면 더 많은 쓰레기를 편리하게 담을 수 있는 다기능의 쓰레기통을 특허출원 제2010-0088689호로 출원중에 있다.
본 발명은 선출원중인 본 발명자의 다기능 쓰레기통을 개선하고자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쓰레기통 본체의 한쪽에 일회성 봉투가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보관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쓰레기를 일회성 봉투에 밀봉한채 쉽게 버릴 수 있으므로 일반 쓰레기와 오염된 쓰레기가 함께 담겨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보다 많은 쓰레기를 압착 보관할 수 있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착기능을 갖는 쓰레기통이 아닌 일반 쓰레기통에도 일회성 봉투를 담을 수 있는 일회성 보조통을 일체로 사출 형성함으로써, 일반 쓰레기와 오염된 쓰레기를 함께 담아 보관하더라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쓰레기를 담을 수 있는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한쪽으로 상부가 개방된 보조통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보조통의 내부에는 절취선에 의해 연속으로 붙은 일회성 봉투가 구비되어 악취 나는 쓰레기를 상기 일회성 봉투에 담아 묶은 뒤 낱개로 절취하여 상기 본체에 담을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회성 봉투는 본체와 일체로 사출되는 보조통에 담겨 보관되는데, 다수개의 일회성 봉투가 절취선에 의해 쉽게 떨어지도록 연속으로 붙어 있으며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상기 보조통에 보관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따라서 일반 쓰레기는 본체에 버리고, 악취가 나는 기저귀나 오염된 쓰레기는 상기 일회성 봉투에 담아 묶은 뒤 버리면 되므로 악취발생이 원천적으로 차단된다.
또한 일회성 봉투의 경우 두루마리식으로 말리거나 또는 지그재그식으로 적층 보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회성 봉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어떻 종류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한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다른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쓰레기 압착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쓰레기 압착과정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조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10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일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제4실시예의 일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제5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제5실시예의 일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제6실시예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7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 제1실시예는 도 1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내통(20) 및 본체(10)로 쓰레기통이 구성된다. 이들 본체(10) 및 내통(20)의 사이로 종량제 쓰레기봉투(60)가 끼워지는데, 상기 내통(20)은 밑면이 터져서 쓰레기봉투(60)에 쓰레기가 담기도록 되어 있으며 본체(10)는 밑면이 막혀서 쓰레기봉투(60)를 받쳐준다.
상기 본체(10)의 한쪽에는 상부가 개방된 보조통(100)이 일체로 사출 형성된다. 상기 보조통(100)은 내부에 일회성 봉투(200)가 놓이는 봉투자리(101)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은 상기 일회성 봉투(200)의 입구를 벌려 씌울 수 있는 원형의 테두리(102)가 형성되는데, 상기 테두리(102)에는 보조뚜껑(300)이 덮인다.
상기 일회성 봉투(200)는 절취선(202)에 의해 연속으로 연결되고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상기 보조통(100) 내부에 보관되는데, 상기 절취선(202)들 앞단에는 밀봉선(201)이 함께 형성되어 일회성 봉투(200)의 하단이 밀봉된채 절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통(20)은 원통의 양쪽 면이 잘록하게 잘린 잘록부(21)로 구성되고 이들 잘록부(21)에는 다단으로 걸림홈(23)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내통(20)의 상단을 덮는 뚜껑(30)이 구비되는데, 상기 뚜껑(30) 역시 원판의 양단이 잘록하게 잘린 잘록부(31)로 구성된다. 뚜껑(30)의 상부에는 손잡이(32)가 정역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상기 손잡이(32)의 중앙 하부에는 회전중심핀(35)이 구비되고, 뚜껑(30)의 상부 중앙에는 체결부(34)가 구비되어 이들 회전중심핀(35) 및 체결부(34)가 회전 가능하게 나사로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2)의 양단에는 시소의 축 역할을 하는 회동축(33)이 일체로 사출 형성되고 상기 내통(20)의 상단에는 상기 회동축(33)을 받쳐주는 보조축받이(22)가 형성되어 도 2에서와 같이 뚜껑(30)을 내통(20)의 상부에 직접 올려 시소처럼 열리게 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33)은 끝단이 내통(20)의 내경보다 작게 손잡이(32)에서 뚜껑(30)의 잘록부(31) 밖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회동축(33)이 내통(20)의 보조축받이(22)에서 벗어나도록 뚜껑(30)을 들어올린 뒤 도 4에서처럼 손잡이(32)의 회동축(33)이 내통(20)과 뚜껑(30)의 잘록부(21)(31)에서 어긋나도록 하여 뚜껑(30)을 누르면 회동축(33)이 내통(20)과 간섭되지 않고 쓰레기를 압착할 수 있다. 그리고 압착한 상태에서 회동축(33)이 내통(20)의 잘록부(21) 쪽으로 향하도록 손잡이(32)를 돌리면 다단으로 형성된 걸림홈(23) 중에서 높이가 맞는 한 걸림홈(23)으로 회동축(33)이 끼워 들어가 뚜껑(30)이 고정되므로 쓰레기를 계속 압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뚜껑(30)은 별도의 뚜껑틀(40)에 의해 상기 본체(10)과 힌지결합되어 도 3의 (B)와 같이 시소처럼 열리거나 또는 (C)에서와 같이 위쪽으로 들리면서 개방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뚜껑틀(40)은 내주연으로 상기 뚜껑(30)이 놓이고 외주연은 상기 본체(10)의 상부를 감싸는 고리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32)의 회동축(33)이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한쌍의 축받이(41)가 상부 양단에 형성되고, 한쪽 끝단에는 본체(10)의 통힌지부(13)와 힌지핀(43)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틀힌지부(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발판(50)이 구비되어 상기 뚜껑틀(40)을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하단에는 밑판(11)이 구비되고, 밑판(11)의 하단 중앙에는 발판고리(12)가 구비된다. 상기 발판(50)의 중앙에 형성된 걸림홈(51)은 발판고리(12)에 끼워져 발판(50)이 시소처럼 승강되며, 상기 발판(50)의 끝단에는 볼조인트로 결합되는 밀대(52)가 구비된다. 상기 밀대(52)는 끝단이 상기 본체(10) 상단의 통힌지부(13)에 형성된 통로(14)를 관통하여 상기 뚜껑틀(40)의 틀힌지부(42) 밑면과 닿도록 구비된다. 미설명부호 24는 내통(20)과 본체(10)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을 나타낸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1실시예는 내통(20)과 본체(10)의 사이에 쓰레기봉투(60)를 씌우고 사용하는 것으로서, 뚜껑(30)이 시소처럼 회전되거나 또는 위로 들리면서 개방되므로 보다 많은 쓰레기를 편리한 방법으로 담을 수 있다.
특히 본체(10) 한쪽의 보조통(100) 내부에는 일회성 봉투(200)가 담겨 보관되는데, 상기 일회성 봉투(200)는 입구가 벌려져 테두리(102)에 씌워진 상태로 구비되므로 냄새가 나는 일반 쓰레기나 기저귀 같은 오염된 물건들을 상기 일회성 봉투(200)에 쉽게 담을 수 있다. 그리고 일회성 봉투(200)의 입구를 테두리(102)에서 벗겨낸 뒤 묶어주고 절취선(202)을 이용하여 보조통(100) 내부에서 낱개로 뜯어낸다. 오염 쓰레기가 담긴 일회성 봉투(200)와 새로운 일회성 봉투(200)를 양손으로 각각 잡고 잡아 당기면 절취선(202)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데, 오염된 쓰레기가 담긴 일회성 봉투(200)는 하단의 밀봉선(201)에 의해 완전 밀봉되므로 상기 내통(20)에 일반 쓰레기와 함께 담아 보관하더라도 악취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새로운 일회성 봉투(200)는 그 입구를 벌려 보조통(100)의 테두리(102)에 씌워주면 연속사용이 가능하며, 보조뚜껑(300)은 사용자에 따라 보조통(100)에 덮어주거나 또는 보조통(100)을 개방한 상태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원통형 내통(20)과 원판형 뚜껑(30)은 양쪽 면이 잘록하게 잘린 잘록부(21)(31)로 구성되므로 쓰레기를 압착하기위해 뚜껑(30)을 수직으로 눌러주는 동안 손잡이(32)를 회전중심핀(35) 기준으로 회전시켜 회동축(33)이 잘록부(21)에 걸리지 않고 내통(20) 내부로 들어가도록 한 뒤 손잡이(32)를 원위치시키면 다단으로 형성된 내통(20)의 걸림홈(23) 중에서 높이가 맞는 걸림홈(23)으로 회동축(33)이 들어가 뚜껑(30)이 고정되므로 쓰레기를 압착 보관하는데 편리하다.
본 발명 제1실시예는 도 2에서와 같이 뚜껑틀(40) 없이 사용하거나 또는 도 3에서와 같이 뚜껑틀(40)을 본체(1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의 경우 종량제 쓰레기봉투(60)를 본체(10)에 담고 내통(20)을 본체(10) 내부에 넣은 뒤 고정편(24)으로 내통(20) 상단을 본체(10) 상단에 걸어 고정시킨다. 그리고 손잡이(32)의 회동축(33)이 보조축받이(22)에 놓이도록 뚜껑(30)을 내통(20)에 올려놓으면 뚜껑(30)을 시소처럼 양쪽으로 회전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쓰레기를 압착하는 과정은 도 4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되는데, 위에서 서술한 바와같이 손잡이(32)를 회전시켜 회동축(33)이 잘록부(21)에서 벗어나도록 한 뒤 뚜껑(30)을 수직으로 눌러 쓰레기를 압착한다.
도 3 및 도 4는 뚜껑틀(40)을 본체(10)에 결합한 것으로서, 틀힌지부(42)와 통힌지부(13)를 힌지핀(43)으로 연결하여 뚜껑틀(40)이 상부로 들리도록 본체(10)에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뚜껑(30)을 뚜껑틀(40)에 올려놓고 손잡이(32)를 회전시키면 이의 회동축(33)이 축받이(41)로 끼워들어가면서 뚜껑(30)이 회동가능하게 뚜껑틀(40)에 결합된다.
도 3의 (B)와 같이 뚜껑(30)을 한쪽으로 누르면 회동축(33)을 기준으로 뚜껑(30)이 시소처럼 회전되면서 열린다. 또한 도 3의 (C) 및 도 6에서와 같이 발판(50)을 눌러주면 밀대(52)가 상승되어 통힌지부(13)의 통로(14)를 지나 틀힌지부(42)의 밑면을 들어올리므로 뚜껑틀(40)은 힌지핀(43)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뚜껑(30)과 함께 위로 들리게 되므로 쓰레기를 편리하게 담을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로써,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10)의 한쪽으로 보조통(100)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보조통(100)의 내부에는 일회성 봉투(200)가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보관되는 봉투자리(101)를 갖는다. 그리고 보조통(100)의 상단에는 일회성 봉투(200)의 입구를 벌려 씌울 수 있는 테두리(102)가 구비되고 뚜껑(300)으로 덮인다.
단지 내통(20a)과 뚜껑(30a)은 잘록부가 없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뚜껑(30a)에는 손잡이 및 회동축(33a)이 일체로 사출 형성되며, 뚜껑틀(40a)에는 회동축(33a)이 빠져나가는 통로(41a-1)가 형성된 차이가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2실시예는 회동축(33a)이 축받이(41a)에 끼워져 뚜껑(30a)이 뚜껑틀(40a)에 결합되므로 도 3 (B) 처럼 시소같은 형태로 열리거나 또는 도 3 (C)에서와 같이 위로 들리면서 개방된다. 그리고 회동축(33a)이 축받이(41a)에서 벗어나도록 뚜껑(30a)을 회전시킨 뒤 회동축(33a)이 통로(41a-1)에 들어가도록 하면 뚜껑(30a)을 내통(20a) 내부로 집어 넣을 수 있으므로 쓰레기를 압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 제3실시예로써,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10)의 한쪽으로 보조통(100)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보조통(100)의 내부에는 일회성 봉투(200)가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보관되는 봉투자리(101)를 갖는다. 그리고 보조통(100)의 상단에는 일회성 봉투(200)의 입구를 벌려 씌울 수 있는 테두리(102)가 구비되고 뚜껑(300)으로 덮인다.
단지 내통(20b)과 뚜껑(30b)은 잘록부가 없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뚜껑(30b)에는 손잡이 및 회동축(33b)이 일체로 사출 형성되며, 뚜껑틀(40b)에는 회동축(33b)이 지지되는 축받이(41b)가 밑면에 형성된 차이가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3실시예는 회동축(33b)이 축받이(41b)에 끼워져 뚜껑(30b)이 뚜껑틀(40b)에 결합되므로 도 3 (B) 처럼 시소같은 형태로 열리거나 또는 도 3 (C)에서와 같이 위로 들리면서 개방된다. 그리고 회동축(33b)이 축받이(41b)에서 벗어나도록 뚜껑(30b)을 회전시키면 회동축(33b)이 뚜껑틀(40b)의 밑면에 위치되어 걸리지 않으므로 뚜껑(30b)을 내통(20b) 내부로 집어 넣어 쓰레기를 압착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 제4실시예로써,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10)의 한쪽으로 보조통(100)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보조통(100)의 내부에는 일회성 봉투(200)가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보관되는 봉투자리(101)를 갖는다. 그리고 보조통(100)의 상단에는 일회성 봉투(200)의 입구를 벌려 씌울 수 있는 테두리(102)가 구비되고 뚜껑(300)으로 덮인다.
단지 내통(20c)과 뚜껑(30c)은 잘록부가 없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뚜껑(30c)에는 손잡이 및 회동축(33c)이 일체로 사출 형성되며, 뚜껑틀(40c)에는 회동축(33c)이 끼워지면 분리되지 않고 회전 지지되는 축받이(41c)가 구멍 형태로 형성된 차이가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4실시예는 회동축(33c)이 축받이(41c)에 끼워져 뚜껑(30c)이 뚜껑틀(40c)에 결합되면 분리되지 않는 방식이므로 뚜껑으로 쓰레기를 압착할 수 는 없다. 그러나 도 3 (B) 처럼 시소같은 형태로 열리거나 또는 도 3 (C)에서와 같이 위로 들리면서 개방되므로 편리하게 쓰레기를 담을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 제5실시예로써,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10)의 한쪽으로 보조통(100)이 구비되고 또한 상기 보조통(100)의 내부에는 일회성 봉투(200)가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보관되는 봉투자리(101)가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통(100)의 상단에는 일회성 봉투(200)의 입구를 벌려 씌울 수 있는 테두리(102)가 구비되고 뚜껑(300)으로 덮인다.
본 발명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은 내통(20d)과 뚜껑(30d)은 잘록부가 없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뚜껑(30d)에는 손잡이가 일체로 사출되며, 회동축(33d)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뚜껑틀(40d)의 밑면에는 상기 회동축(33d)이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자력을 갖는 자성체(41d)가 형성된 차이가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5실시예는 회동축(33d)이 자성체(41d)에 달라붙어 자력에 의해 뚜껑(30d)이 뚜껑틀(40d)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축(33d)은 금속재 환봉이므로 자성체(41d)에 달라 붙어 있더라도 제자리에서 회전은 가능하므로 도 3 (B) 처럼 뚜껑(30d)이 시소같은 형태로 열리거나 또는 도 3 (C)에서와 같이 위로 들리면서 개방된다. 그리고 회동축(33d)이 자성체(41d)에서 벗어나도록 뚜껑(30d)을 눌러주면 뚜껑(30d)을 뚜껑틀(40d)에서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뚜껑(30d)으로 쓰레기를 압착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회동축(33d)을 자성체로 제작하고 자성체(41d)를 금속재로 바꿔 제작하더라도 결과는 동일하다.
도 15는 본 발명 제6실시예로써, 본체(10e)는 일반적으로 내통이 없고 압착 기능을 갖지 않는 쓰레기통이다. 이러한 본체(10e)의 한쪽으로 보조통(100)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통(100)의 내부에는 일회성 봉투(200)가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보관되는 봉투자리(101)가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통(100)의 상단에는 일회성 봉투(200)의 입구를 벌려 씌울 수 있는 테두리(102)가 구비되고 뚜껑(300)으로 덮인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6실시예는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보조통(100)에 마련된 일회성 봉투(200)에 악취가 나는 쓰레기나 기저귀 같은 오염된 쓰레기를 담아 묶은 뒤 본체(10e)에 버릴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도 16은 본 발명 제7실시예로써, 본체(10f)는 내통이 없는 일반적인 쓰레기통이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 제1내지 제5실시예의 본체일수도 있다. 이러한 본체(10f)의 한쪽에는 착탈식으로 보조통(100a)이 결합되는 것으로서, 보조통(100a)의 내부에는 일회성 봉투(200)가 두루마리식으로 말려 보관되는 봉투자리(101)가 구비된다. 그리고 보조통(100a)의 상단에는 일회성 봉투(200)의 입구를 벌려 씌울 수 있는 테두리(102)가 구비되며, 뚜껑(300)으로 덮여 보관된다. 그리고 보조통(100a)과 본체(10f)의 밀착면에는 돌기(103) 및 홈(104)이 각각 형성되어 보조통(100a)과 본체(10f)가 분리 및 결합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제7실시예는 보조통(100a)을 필요에따라 본체(10f)에 착탈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오염되지 않은 쓰레기만 담을때에는 본체(10f)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본체 11 : 밑판
12 : 발판고리 13 : 통힌지부
14 : 통로 20 : 내통
21 : 잘록부 22 : 보조축받이
23 : 걸림홈 24 : 고정편
30 : 뚜껑 31 : 잘록부
32 : 손잡이 33 : 회동축
34 : 체결부 35 : 회전중심핀
40 : 뚜껑틀 41 : 축받이
42 : 틀힌지부 43 : 힌지핀
50 : 발판 51 : 걸림홈
52 : 밀대 60 : 쓰레기봉투
100 : 보조통 101 : 봉투자리
102 : 테두리 200 : 일회성 봉투
201 : 밀봉선 202 : 절취선
300 : 보조뚜껑

Claims (10)

  1. 원통형의 본체(10)와 내통(20) 사이로 쓰레기봉투를 끼워 사용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한쪽으로 상부가 개방된 보조통(10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통(100)의 내부에는 절취선(202)에 의해 연속으로 붙은 일회성 봉투(200)가 구비되어 악취 나는 쓰레기를 상기 일회성 봉투(200)에 담아 묶은 뒤 낱개로 절취하여 상기 내통(20)에 담을 수 있으며,
    상기 내통(20) 및 상기 내통(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30)은 양쪽면이 잘록하게 잘린 잘록부(21)(31)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30) 상부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손잡이(32)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32)의 양단에는 상기 내통(20)의 양측 잘록부(21)에 형성된 보조축받이(22)에 놓여 상기 뚜껑(30)이 시소처럼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회동축(33)이 구비되는데, 상기 회동축(33)은 상기 내통(20)의 내경보다 작게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회동축(33)이 상기 보조축받이(22)에서 벗어나게 손잡이(32)를 회전시키고 뚜껑(30)을 수직으로 누르면 쓰레기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잘록부(21)에는 다단으로 걸림홈(23)을 형성하여 상기 뚜껑(30)으로 쓰레기를 압착하는 동안 상기 회동축(33)이 상기 어느 한 걸림홈(23)과 동일 평면에 놓였을 때 상기 손잡이(32)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축(33)이 해당 걸림홈(23)에 걸려 뚜껑(30)이 내통(20)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3. 원통형의 본체(10)와 내통(20) 사이로 쓰레기봉투를 끼워 사용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한쪽으로 상부가 개방된 보조통(10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통(100)의 내부에는 절취선(202)에 의해 연속으로 붙은 일회성 봉투(200)가 구비되어 악취 나는 쓰레기를 상기 일회성 봉투(200)에 담아 묶은 뒤 낱개로 절취하여 상기 내통(20)에 담을 수 있으며,
    상기 내통(20) 및 상기 내통(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뚜껑(30)은 양쪽면이 잘록하게 잘린 잘록부(21)(31)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30) 상부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손잡이(32)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 상부에는 힌지핀(43)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뚜껑(30)을 감싸는 뚜껑틀(40)이 구비되는데, 상기 뚜껑틀(40)에는 상기 손잡이(32)의 정역회전시 양단의 회동축(33)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 및 결합되고 상기 뚜껑(30)이 시소처럼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축받이(41)가 구비되어 상기 뚜껑이 시소처럼 회전되거나 또는 상기 뚜껑틀(40)과 함께 위로 들리며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축(33)은 상기 내통(20)의 내경보다 작게 손잡이(32)의 양단에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회동축(33)이 상기 축받이(41)에서 벗어나도록 손잡이(32)를 회전시킨 뒤 뚜껑(30)을 수직으로 누르면 쓰레기를 압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20)의 잘록부(21)에는 다단으로 걸림홈(23)을 형성하여 상기 뚜껑(30)으로 쓰레기를 압착하는 동안 상기 회동축(33)이 상기 어느 한 걸림홈(23)과 동일 평면에 놓였을 때 상기 손잡이(32)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축(33)이 해당 걸림홈(23)에 걸려 뚜껑(30)이 내통(20)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과 뚜껑틀(40)에는 상기 힌지핀(43)이 결합되는 통힌지부(13) 및 틀힌지부(42)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밑에는 시소처럼 움직이는 발판(50)이 구비되며,
    상기 발판(50)에 하단이 볼조인트로 연결되고 상기 통힌지부(13)의 통로(14)에 선단이 끼워져 상기 틀힌지부(42)의 밑면과 닿는 밀대(52)가 구비되어, 상기 발판(50)을 누르면 밀대(52)가 상승되어 상기 뚜껑틀(40)이 힌지부(43)를 중심으로 위로 들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6. 원통형의 본체(10)와 내통(20a) 사이로 쓰레기봉투를 끼워 사용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한쪽으로 상부가 개방된 보조통(10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통(100)의 내부에는 절취선(202)에 의해 연속으로 붙은 일회성 봉투(200)가 구비되어 악취 나는 쓰레기를 상기 일회성 봉투(200)에 담아 묶은 뒤 낱개로 절취하여 상기 내통(20)에 담을 수 있으며,
    상기 내통(20a)의 상부를 덮는 뚜껑(30a)에는 회동축(33a)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 상부에는 힌지핀(43)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뚜껑(30a)을 감싸는 뚜껑틀(40a)이 구비되는데, 상기 뚜껑틀(40a)에는 상기 뚜껑(30a)의 정역회전시 양단의 회동축(33a)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 및 결합되고 상기 뚜껑(30a)이 시소처럼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축받이(41a)가 구비되어 상기 뚜껑(30a)이 시소처럼 회전되거나 또는 상기 뚜껑틀(40a)과 함께 위로 들리며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7. 원통형의 본체(10)와 내통(20a) 사이로 쓰레기봉투를 끼워 사용하는 쓰레기통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한쪽으로 상부가 개방된 보조통(100)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보조통(100)의 내부에는 절취선(202)에 의해 연속으로 붙은 일회성 봉투(200)가 구비되어 악취 나는 쓰레기를 상기 일회성 봉투(200)에 담아 묶은 뒤 낱개로 절취하여 상기 내통(20)에 담을 수 있으며,
    상기 내통(20d)의 상부를 덮는 뚜껑(30d)에는 금속재질의 회동축(33d)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10) 상부에는 힌지핀(43)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뚜껑(30d)을 감싸는 뚜껑틀(40d)이 구비되는데, 상기 뚜껑틀(40d)의 밑면에는 상기 회동축(33d)이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분리 및 결합되고 상기 뚜껑(30d)이 시소처럼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자성체(41d)가 구비되어 상기 뚜껑(30d)이 시소처럼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뚜껑틀(40d)과 함께 위로 들리며 개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96241A 2010-09-10 2010-10-04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KR101179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241A KR101179195B1 (ko) 2010-10-04 2010-10-04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PCT/KR2011/006704 WO2012033381A2 (ko) 2010-09-10 2011-09-09 다기능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241A KR101179195B1 (ko) 2010-10-04 2010-10-04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79A KR20120034879A (ko) 2012-04-13
KR101179195B1 true KR101179195B1 (ko) 2012-09-03

Family

ID=4613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241A KR101179195B1 (ko) 2010-09-10 2010-10-04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1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5618B2 (ja) 1997-03-31 1999-12-27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分別ゴミ容器
KR200386620Y1 (ko) 2005-03-10 2005-06-16 서희식 뚜껑 개폐가 용이한 쓰레기통
KR200421371Y1 (ko) 2006-04-14 2006-07-13 장흥규 연속적으로 비닐봉투를 공급하는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5618B2 (ja) 1997-03-31 1999-12-27 アロン化成株式会社 分別ゴミ容器
KR200386620Y1 (ko) 2005-03-10 2005-06-16 서희식 뚜껑 개폐가 용이한 쓰레기통
KR200421371Y1 (ko) 2006-04-14 2006-07-13 장흥규 연속적으로 비닐봉투를 공급하는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79A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200B1 (ko) 다기능 쓰레기통
KR100989172B1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KR101040199B1 (ko) 다기능 쓰레기통
KR102067511B1 (ko) 다기능 쓰레기통
KR200462972Y1 (ko) 다기능 쓰레기통
WO2012033381A2 (ko) 다기능 쓰레기통
KR101179195B1 (ko)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KR100421593B1 (ko) 압착식 쓰레기통
CN108473250A (zh) 压缩垃圾筒
KR20120039433A (ko) 일회성 보조통을 갖는 쓰레기통
KR101810887B1 (ko) 음식물 쓰레기 봉투
CN109264245B (zh) 一种多功能垃圾桶
KR20010002070A (ko) 쓰레기 통
KR200460648Y1 (ko) 쓰레기 압축이 가능한 쓰레기통
KR200386607Y1 (ko) 페달식 쓰레기통
KR101999223B1 (ko) 음식물 쓰레기통 커버
KR20130093904A (ko) 압축판이 구비되는 종량제봉투 맞춤형 쓰레기통
KR200262597Y1 (ko) 압착식 쓰레기통
KR20090114739A (ko) 쓰레기통
CN201102773Y (zh) 一种新型垃圾桶
KR200163765Y1 (ko) 회전덮개형쓰레기통
KR200141959Y1 (ko) 압축 쓰레기통
KR100828123B1 (ko) 압축 쓰레기통
KR200292396Y1 (ko) 압축쓰레기통
CN219097686U (zh) 一种分体式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