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192B1 -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192B1
KR101179192B1 KR1020090132888A KR20090132888A KR101179192B1 KR 101179192 B1 KR101179192 B1 KR 101179192B1 KR 1020090132888 A KR1020090132888 A KR 1020090132888A KR 20090132888 A KR20090132888 A KR 20090132888A KR 101179192 B1 KR101179192 B1 KR 10117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polymer
microfibers
amphipathic block
porous
cor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236A (ko
Inventor
김상효
마리무뚜 모하나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32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1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제조용 미세유체장치 및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제조용 미세유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공성 구조를 갖는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함으로써 약물 전달 또는 조직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Description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rous Amphiphilic Block Copolymeric Microfibers}
본 발명은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제조용 미세유체장치 및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성 폴리머를 이용한 나노 및 마이크로 섬유는 약물전달 시스템 또는 조직 엔지니어링과 같은 분야에 있어서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생분해성 폴리머를 약물 전달체로 이용한 약물전달 시스템은 약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하고 전달체의 분해를 촉진할 수 있어 유용하다. 글리코리드(glycolide), 락타이드(lactide), ε-카프로락톤(ε-caprolactone), p-디옥사논(p-dioxanon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을 기반으로 하는 공중합체는 흔한 생분해성 폴리머이며, 특히 양친매성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전달체들은 약물의 방출 패턴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양친매성 공중합체가 친수성과 소수성 분획을 모두 가지므로 수용성과 지용성 약물 모두를 한 운반체 내에서 각각 촉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도 봉합사로부터 골격까지 그리고 의료용 이식분야까지 폭넓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폴리머를 이용한 마이크로섬유가 다공성 구조를 갖는다면 그 유용성은 더욱 커진다. 약물 또는 DNA, 단백질 등과 같은 생체물질을 탑재한 섬유의 경우 다공성 구조는 탑재된 물질의 방출을 조절하여 생물학적 이용가능성(bioavailability)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 엔지니어링에서 세포 정착을 위한 고정 포인트(anchoring point)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종 성장인자나 접착 단백질, 영양분 등의 저장소로서 이들을 원하는 이식부위에 적절히 방출함으로써 세포생존율 및 세포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생분해성을 갖는 양친매성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다공성 구조를 갖는 마이크로섬유를 한번의 연속적인 과정을 통해 간단하고 저렴하게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약물전달 시스템이나 조직 엔지니어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공성의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를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코어 용액 주입구;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와 연결된 메인 채널; 메인 채널에 연결된 시트 용액 주입구; 및 섬유 배출구를 포함하는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제조용 미세유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용매 및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 용액을 제1항의 미세유체장치의 코어 용액 주입구에 주입하여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결과물을 메인 채널 내에서 시트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제조용 미세유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공성 구조를 갖는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를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함으로써 약물 전달 또는 조직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어 용액 주입구(10);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20)와 연결된 메인 채널(30); 메인 채널에 연결된 시트(sheath) 용액 주입구(40); 및 섬유 배출구(50)를 포함하는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제조용 미세유체장치를 제공한다.
미세유체장치는 모세관 규모의 치수를 갖는(예를 들면 단면적이 약 20 ㎟ 미만) 하나 이상의 유체 대역을 사용하는 임의의 장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미세유체장치는 또한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예: 표면적 반응 체적의 증가, 고도로 희석된 샘플의 수용, 검출 구역 제공 등) 모세관 규모의 치수보다 큰 하나 이상의 유체 대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미세유체장치를 이용하면,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마이크로섬유의 직경을 조절하여 다양한 굵기의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장치는 CH2Cl2 또는 DMSO와 같은 유기 용매 및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 용액을 주입하는 코어 용액 주입구; 상기 코어 용액이 섬유 형태로 압출되어 나오는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와 연결되어 있는 메인 채널; 친수성 용매로 이루어진 시트 용액을 메인채널에 공급하기 위한 메인 채널에 연결된 시트 용액 주입구; 및 메인 채널 내에서 제조된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를 배출할 수 있는 섬유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용액이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를 통해 섬유 형태로 압출되어 나오면 상기 압출된 결과물은 메인 채널 내에서 시트 용액과 바로 접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코어 용액의 용매로 사용된 CH2Cl2 또는 DMSO 등이 증발하면서 마이크로섬유에 다공성 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장치를 이용하여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를 제조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장치는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섬유를 고온 고압의 압출 조건 없이도 실온에서, 그리고 1기압 내지 10기압의 비교적 낮은 압력 조건 하에서 간단하고 저렴하게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장치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섬유를 제조하면 약물 뿐만 아니라 단백질, DNA 및 세포와 같은 민감한 생체물질들도 변성의 염려 없이 쉽게 마이크로섬유의 다공성 구조체에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어서 생물학적 이용가능성(bioavailability)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생체 이식용 섬유골격과 같은 조직 엔지니어링 분야에 있어서 세포 정착을 위한 고정 포인트(anchoring point)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종 성장인자나 접착 단백질, 영양분 등을 제공함으로써 세포생존률 및 세포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용매 및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 용액을 상기 미세유체장치의 코어 용액 주입구에 주입하여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 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결과물을 메인 채널 내에서 시트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제조되는 마이크로섬유의 다공성은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의 사이즈와 마이크로섬유 표면의 화학적 성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 반경은 코어 용액 플로우(flow)와 시트 용액 플로우의 체적 유량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점도, 유량 등에 있어서 적절한 파라미터를 갖는 동축 플로우(coaxial flow)는 층류(laminar flow)를 만든다. 이때 원형의 유출구에서 층류의 선속도(V(r), linear velocity)는 하기 식과 같다. R은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 반경이고, r은 유출 중심까지의 거리이다.
Figure 112009081244822-pat00001
전체 체적 유량(Qtotal, total volume flow rate)은 코어 용액 체적 유량(Qcore)과 시트 체적 유량(Qsheath)의 합으로 주어진다. 코어 용액 스트림이 원형이고 유출구의 중심에 있어서 코어 용액 체적 유량은 코어 용액 스트림 지역에 대한 상기 식의 적분값과 같아야 한다.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는 Rs는 제조된 마이크로섬유의 반경을 의미한다.
Figure 112009081244822-pat00002
본 발명에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로서, 소수성 고분자 블록 및 친수성 고분자 블록을 포함하는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소수성 블록 및 친수성 블록을 포함하는 2 이상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중블록(diblock) 또는 삼중블록(triblock) 공중합체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삼중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수성 블록; 친수성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이 순차적으로 중합되어 이루어진 삼중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블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폴리락타이드,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타이드-co-글리코리드), 폴리(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카프로락톤-co-글리코리드), 폴리(카프로락톤-co-글리코리드-co-락타이드) 또는 폴리(파라디옥사논-co-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블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소수성 블록; 친수성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이 순차적으로 중합되어 이루어진 삼중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파라디옥사논-co-카프로락톤) 블록; PEG 블록; 및 폴리(파라디옥사논-co-카프로락톤) 블록이 순차적으로 중합되어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파라디옥사논-co-카프로락톤)-블록-PEG-블록-폴리(파라디옥사논-co-카프로락톤) (PPDO-co-PCL-b-PEG-b-PPDO-co-PCL)의 삼중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코어 용액의 용매로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용매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CH2Cl2, DMSO, 톨루엔, 벤젠, 자이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클로로포름, 펜탄, 헥산, 데칸 또는 헵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H2Cl2, DMSO, 톨루엔 또는 벤젠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H2Cl2 또는 DMSO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시트 용액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친수성 용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아세톤일 수 있으며, 이 때 물은 초순수(DI water)인 것이 바람직하다.
CH2Cl2 또는 DMSO와 같은 유기 용매 및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 용액이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를 통해 섬유 형태로 압출되어 나오면, 상기 압출된 결과물은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와 연결된 메인 채널 내에서 시트 용액과 바로 접촉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코어 용액의 용매로 사용된 CH2Cl2 또는 DMSO 등이 증발하면서 마이크로섬유에 다공성 구조를 형성한다. 하기 실시예에 따 르면, DMSO 용매에 비해 CH2Cl2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 마이크로섬유의 다공성 정도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용매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마이크로섬유 내 다공성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코어 용액 또는 시트 용액은 약물, 단백질, DNA 및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는 섬유내에 다양한 약물, 단백질, DNA 또는 세포를 탑재하여 약물전달체 또는 조직 엔지니어링 분야에 있어서 생체 이식용 섬유 골격으로 이용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약물, 단백질, DNA 및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단계에서 코어 용액 또는 시트 용액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마이크로섬유 제조와 동시에 섬유 내에 탑재할 수 있다. 상기 약물, 단백질, DNA 또는 세포를 마이크로섬유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키고자 하는 경우 코어 용액 내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여, 마이크로섬유의 표면에 탑재시키고자 하는 경우 시트 용액 내에 포함시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는 실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과정에서 코어 용액의 압출은 1기압 내지 10기압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기압 내지 9기압, 2기압 내지 8기압, 2기압 내지 7기압, 2기압 내지 6기압, 2기압 내지 5기압, 더욱 바람직하게는 3기압 내지 5기압에서 수행될 수 있다. 종래의 마이크로섬유의 제조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의 압출성형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실온의 비교적 낮은 압력 조건 하에서도 마이크로섬유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단백질, DNA 또는 세포와 같이 온도, 압력 조건에 민감한 생체물질을 마이크로섬유의 제조와 동시에 마이크로섬유 내에 안정하게 탑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
PPDO-co-PCL-b-PEG-b-PPDO-co-PCL 양친매성 삼중블록 공중합체는 Remant Bahadur et al. Colloids Surf. A, 292, 69 (2007) 에 의해 개발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상기 공중합체의 조성은 PEG:PCL:PPDO이 25:55:20이며, 중량평균 분자량(Mw)은 45.9*103 g/mol이고, 다분산지수 (polydispersity index, Mw/Mn)는 1.5이며, 녹는점 (Tm)은 48.58℃, 유리전이온도 (Tg)는 -58.16℃ 였다.
상기 양친매성 삼중블록 공중합체를 CH2Cl2 또는 DMSO 용매 내에 10% 중량비로 녹여 코어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미세유체장치는 도1에 개시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미세유체장치에서,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입구의 내부 직경(외부 및 내부 직경은 각각 50㎛ 및 25㎛)은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의 내부 직경(25㎛)보다 두 배 컸다. 주입 펌프를 이용하여 CH2Cl2 또는 DMSO 용매 내에 10% PPDO-co-PCL-b-PEG-b-PPDO-co-PCL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 용액 및 시트 용액인 초순수(DI water)를 각각 코어 용액 주입구 및 12게이지 바늘의 시트 용액 주입구를 통하여 주입하였고, 유량은 각각 40㎕/min 및 50㎕/hr로 조절하였다. 압출된 다공성 마이크로섬유는 사전 세척한 페트리디쉬에 모았다.
도 2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다공성 마이크로섬유의 FE-SEM 이미지를 보여준다. (a)는 CH2Cl2를, (b)는 DMSO를 용매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다공성 마이크로섬유를 나타낸다. DMSO 용매에 비해 CH2Cl2 용매를 사용하였을 때 다공성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1>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방출 효율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CH2Cl2 또는 DMSO 용매 시스템을 이용하여 마이크로섬유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용액에 접착 단백질인 피브로넥틴(fibronectin) 을 함께 섞어 피브로넥틴(fibronectin)이 엔캡슐레이션된 마이크로섬유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시간에 따른 마이크로섬유의 피브로넥틴 단백질 방출 효율을 시험하였다.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두 1시간 안에 폭발적인 방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이후로도 48시간 동안 지속적인 방출을 보였다. 또한 마이크로섬유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단백질 방출효율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을 통하여 마이크로섬유의 직경이 작을수록 다공성 정도는 증가함을 이미 확인하였는바, 결과적으로 마이크로섬유의 다공성 구조가 약물 또는 단백질의 방출효율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서방성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약물 또는 단백질 등의 저장소로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분해성
상기 실시예 1에 의해 제조한 다공성 마이크로섬유의 분해율을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섬유의 분해율은 시간에 따른 고형분의 무게 변화, 즉 처음 고형분의 무게 대비 분해되어 없어진 고형분의 무게로서 측정하였다.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마이크로섬유의 직경이 작을수록 마이크로섬유의 분해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마이크로섬유 골격의 세포적합성
마우스의 섬유아세포(fibroblast) 세포주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섬유 골격의 세포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세포적합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일반적인 세포 배양 방법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세포의 생존율로 평가하였다.
도 5 는 피브로넥틴을 포함하지 않는 마이크로섬유 골격을 이식한 경우 fibroblast 세포주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피브로넥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섬유 골격을 이식한 경우 fibroblast 세포주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피브로넥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섬유 골격과 피브로넥틴을 포함하지 않는 마이크로섬유 골격을 이식한 경우의 세포생존율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결과 피브로넥틴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피브로넥틴을 포함한 경우의 세포생존율이 높은 결과를 통해, 마이크로섬유에 각종 접착 단백질이나 성장인자 등의 단백질을 포함시킴으로써 마이크로섬유 골격의 세포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유체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a) CH2Cl2, (b) DMSO를 용매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다공성 마이크로섬유의 FE-SEM 이미지 사진이다.
도 3 은 마이크로섬유의 직경에 따른 단백질 방출 효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마이크로섬유의 직경에 따른 분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피브로넥틴을 포함하지 않는 마이크로섬유 골격을 이식한 경우 fibroblast 세포주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피브로넥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섬유 골격을 이식한 경우 fibroblast 세포주의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피브로넥틴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섬유 골격과 피브로넥틴을 포함하지 않는 마이크로섬유 골격을 이식한 경우의 세포생존율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어 용액 주입구 10 :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
30 : 메인 채널 40 : 시트 용액 주입구
50 : 섬유 배출구

Claims (10)

  1. 삭제
  2. 유기 용매 및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어 용액을 코어 용액 주입구,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와 연결된 메인 채널, 메인 채널에 연결된 시트 용액 주입구 및 섬유 배출구를 포함하는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 제조용 미세유체장치의 코어 용액 주입구에 주입하여 코어 용액 주입구의 유출구를 통해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결과물을 메인 채널 내에서 시트 용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CH2Cl2, DMSO, 톨루엔, 벤젠, 자이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테르, 클로로포름, 펜탄, 헥산, 데칸 또는 헵탄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소수성 블록; 친수성 블록; 및 소수성 블록이 순차적으로 중합되어 이루어진 삼중블록 공중합체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삼중블록 공중합체는 폴리(파라디옥사논-co-카프로락톤) 블록; PEG 블록; 및 폴리(파라디옥사논-co-카프로락톤) 블록이 순차적으로 중합되어 이루어진 것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용액은 친수성 용매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용액은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또는 아세톤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용액 또는 시트 용액은 약물, 단백질, DNA 및 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는 실온에서 수행되는 것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용액의 압출은 1기압 내지 10기압에서 수행되는 것인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섬유의 제조방법.
KR1020090132888A 2009-12-29 2009-12-29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7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88A KR101179192B1 (ko) 2009-12-29 2009-12-29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888A KR101179192B1 (ko) 2009-12-29 2009-12-29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236A KR20110076236A (ko) 2011-07-06
KR101179192B1 true KR101179192B1 (ko) 2012-09-03

Family

ID=4491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888A KR101179192B1 (ko) 2009-12-29 2009-12-29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1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960B1 (ko) * 2012-04-19 2014-05-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다공성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파이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50422B1 (ko) * 2012-05-31 2014-01-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유동칩을 이용한 전도성 폴리아닐린 미세섬유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전도성 폴리아닐린 미세섬유 및 전도성 폴리아닐린 섬유 제조용 미세유동칩
KR101863955B1 (ko) * 2016-12-01 2018-06-01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역미셀을 이용하여 다공성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나노섬유
KR101864694B1 (ko) * 2018-02-27 2018-06-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마이크로 섬유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451B1 (ko) * 2000-05-17 2004-03-09 주식회사 삼양사 안정한 고분자 미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2822B1 (ko) * 2008-12-31 2010-02-18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파라디옥사논-카프로락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지지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451B1 (ko) * 2000-05-17 2004-03-09 주식회사 삼양사 안정한 고분자 미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2822B1 (ko) * 2008-12-31 2010-02-18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파라디옥사논-카프로락톤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236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 et al. Electrospinning of poly (glycerol sebacate)-based nanofibers for nerve tissue engineering
US6586246B1 (en) Preparing porous biodegradable polymeric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using effervescent salts
KR100668046B1 (ko) 생체적합성 및 온도감응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스터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Yang et al. Novel citric acid‐based biodegradable elastomers for tissue engineering
Zamboulis et al. Polyglycerol hyperbranched polyesters: Synthesis, properties and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pplications
Liu et al. The nanofibrous architecture of poly (L-lactic acid)-based functional copolymers
Wen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ermeable degradable poly (DL-lactide-co-glycolide)(PLGA) hollow fiber phase inversion membranes for use as nerve tract guidance channels
Bölgen et al. In vitro and in vivo degradation of non-woven materials made of poly (ε-caprolactone) nanofibers prepared by electrospinning under different conditions
Sun et al. Magnetic alginate microfibers as scaffolding elements for the fabrication of microvascular-like structures
KR101179192B1 (ko) 다공성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마이크로 섬유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2476729A1 (en) Method for producing stereo complex crystals of polylactic acid, polylactic acid, and molded body, synthetic fiber, porous body and ion conductor comprising same
WO2010096469A2 (en) Fabrication of interconnected model vasculature
CN100427144C (zh) 一种可降解的温敏性物理水凝胶及其制备方法
KR100408458B1 (ko) 생분해성 글리콜라이드/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조직공학용 다공성 지지체
CA2326057A1 (en) Method for preparing biocompatible scaffold and scaffold prepared therefrom
Han et al. Diverse release behaviors of water-soluble bioactive substances from fibrous membranes prepared by emulsion and suspension electrospinning
Thapsukhon et al. Effects of copolymer microstructure on the properties of electrospun poly (l‐lactide‐co‐ε‐caprolactone) absorbable nerve guide tubes
KR20110093211A (ko) 생분해성이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온도감응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스터 블록 공중합체
KR20000060718A (ko) 발포성 염을 이용한 생체조직공학용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의 제조방법
Duarte et al. In vitro degradation of poly (L-co-D, L lactic acid) containing PCL-T
Im Lee et al. Biodegradable microspheres containing poly (ɛ-caprolactone)–Pluronic block copolymers for temperature-responsive release of proteins
Xu et al. Preparation and cytocompatibility of polyaniline/PLCL conductive nanofibers
JP2014221732A (ja) 温度応答性生分解性高分子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U2017204828B2 (en) Manufacturing device of nerve conduits
KR100517097B1 (ko) 생분해성 락타이드/ε-카프로락톤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조직공학용 다공성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