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138B1 - 액상 양념 용기 - Google Patents

액상 양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138B1
KR101179138B1 KR1020110009438A KR20110009438A KR101179138B1 KR 101179138 B1 KR101179138 B1 KR 101179138B1 KR 1020110009438 A KR1020110009438 A KR 1020110009438A KR 20110009438 A KR20110009438 A KR 20110009438A KR 101179138 B1 KR101179138 B1 KR 10117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easoning
storage unit
supply
containe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8227A (ko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김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기 filed Critical 김민기
Priority to KR102011000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13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8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 A47G19/183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by applying external pressure, i.e. by pumping or squeez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8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 A47G19/186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combined with a spreading imp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6Contents-dispensing means for discharging metered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액상 양념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액상 양념 용기는, 주방에 마련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선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용기 본체;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액상 양념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1 저장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부로부터 공급파이프를 통해 일정량의 액상 양념을 공급받아 저장한 뒤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저장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2 저장부는, 물의 비중보다 작아 상기 제2 저장부의 내부에 채워지는 액상 양념의 수위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하는 부양체와, 하부는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는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양체의 상한 이동과 하한 이동을 규정하는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 높이가 가변하며 일측은 상기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의 상부와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저장부의 외부와 연통하는 수위 조절 파이프 및 상기 공급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양념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밸브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제2 저장부의 하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급파이프 방향, 제2 저장부 방향 및 외부 방향과 연통되는 공급/배출 관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공급/배출 관로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2 저장부를 연결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2 저장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제2 유로를 각각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공급/배출 조절부 및 상기 공급/배출 조절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저장부의 액상 양념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급/배출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상 양념 용기{CONTAINER FOR LIQUID SPICES}
본 발명은 액상 양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의 조리시 사용하는 액상 양념을 매회 일정량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상 양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은 음식의 맛을 결정짓는 중요한 성분으로 음식의 조리시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분말, 액상 형태로 제조된다.
특히 액상 양념은 유동성으로 인하여 뚜껑을 갖는 별도의 액상 양념 용기에 담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액상 양념 용기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음식의 조리에 따라 액상 양념을 첨가시 오로지 조리자의 경험 및 육안으로 확인하여 첨가하게 되므로 적정량의 액상 양념을 음식에 첨가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액상 양념을 남용할 수 있다.
둘째, 음식에 적정량의 액상 양념을 첨가하기 위해서는 계량스푼 또는 계량컵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셋째, 액상 양념 용기는 음식에 액상 양념을 첨가할 때 뚜껑을 개폐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의 조리시 사용하는 액상 양념을 매회 일정량 배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액상 양념의 남용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상 양념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방에 마련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선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액상 양념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제1 저장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부로부터 공급파이프를 통해 일정량의 액상 양념을 공급받아 저장한 뒤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저장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2 저장부는,
물의 비중보다 작아 상기 제2 저장부의 내부에 채워지는 액상 양념의 수위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하는 부양체와, 하부는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는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양체의 상한 이동과 하한 이동을 규정하는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 높이가 가변하며 일측은 상기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의 상부와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저장부의 외부와 연통하는 수위 조절 파이프 및 상기 공급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양념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밸브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제2 저장부의 하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급파이프 방향, 제2 저장부 방향 및 외부 방향과 연통되는 공급/배출 관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밸브 본체, 상기 밸브 본체의 공급/배출 관로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공급파이프와 상기 제2 저장부를 연결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2 저장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제2 유로를 각각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공급/배출 조절부 및 상기 공급/배출 조절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본체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저장부의 액상 양념을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급/배출 조절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양념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용기 본체는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선반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부양체의 상단에는 상기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의 상부와 연통하는 개구의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갖는 고무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수위 조절 파이프는 상기 제2 저장부의 상부에 마련되는 높이 조절 수단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높이 조절 수단과 상기 수위 조절 파이프가 만나는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의 내부에는 고무링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제1 저장부에 투입 저장된 액상 양념을 제2 저장부에 공급하여 일정량 저장할 수 있는 액상 양념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음식의 조리시 매회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정량의 사용에 따라 액상 양념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 양념 용기는 용기 본체에 마련되는 자성체의 뚜껑에 의해 금속재질의 선반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사용 및 보관의 따른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액상 양념 용기는 제2 저장부에 결합되는 수위 조절 파이프의 높이를 가변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따라 제2 저장부에 저장되는 액상 양념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양념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액상 양념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액상 양념 용기의 제1 저장부로부터 제2 저장부에 액상 양념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액상 양념 용기의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 양념의 배출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양념 용기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이며, 도 2에는 도 1의 액상 양념 용기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도 1의 액상 양념 용기의 제1 저장부로부터 제2 저장부에 액상 양념이 공급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도 1의 액상 양념 용기의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액상 양념의 배출상태를 보인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양념 용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에 마련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선반(1)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용기 본체(10)와,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액상 양념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저장부(12)와, 제1 저장부(12)로부터 일정량의 액상 양념을 공급받아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저장부(14)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양념 용기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이며, 상단부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11)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뚜껑(11)은 용기 본체(10)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된다.
뚜껑(11)은 용기 본체(10)를 금속재질의 선반(1)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용기 본체(10)는 뚜껑(11)을 통해 선반(1)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용기 본체(10)의 표면에는 선반(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저장부(12)는 용기 본체(10)에 마련된 제2 저정부(14)에 액상 양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용기 본체(10)의 내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 저장부(12)는 많은 량의 액상 양념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제2 저장부(14)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저장부(12)의 하부에는 제2 저장부(14)로 액상 양념을 공급하도록 연질의 공급파이프(13)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저장부(12)는 포장용기에 담긴 액상 양념을 용기 본체(10)에 옮길 경우, 액상 양념을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며 공급파이프(13)를 통해 제2 저장부(14)에 액상 양념을 공급하는 것이다.
제2 저장부(14)는 제1 저장부(12)로부터 일정량의 액상 양념을 공급받아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제1 저장부(1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저장부(14)는 제1 저장부(12)로부터 공급받는 액상 양념의 일정량을 내부에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부양체(24)와, 부양체(24)의 이동을 규정하도록 마련되는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과, 제2 저장부(14)에 채워지는 액상 양념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수위 조절 파이프(20)와, 제2 저장부(14)에 액상 양념을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밸브장치(30)를 포함한다.
수위 조절 파이프(2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의 상부와 연통하고 타측은 제2 저장부(14)의 상부측 외부와 연통하도록 제2 저장부(14)에 높이가 가변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수위 조절 파이프(20)의 높이 가변을 위해, 제2 저장부(14)의 상부와 수위 조절 파이프(20)가 만나는 제2 저장부(14)에 고정되고 높이 조절을 돕는 높이 조절 수단(26)이 마련되어 있다.
높이 조절 수단(26)에는 수위 조절 파이프(20)가 제2 저장부(14)의 상단으로부터 위아래로 안내되게 하는 수위 조절 파이프 상하 안내수단(27)이 마련되고, 또한 수위 조절 파이프 상하 안내수단(27)이 제2 저장부(14)에 확실하게 고정되게 하는 고정수단(28)이 마련되어 있다.
수위 조절 파이프 상하 안내수단(27)의 상측 내측과 고정수단(28)의 하단 내측에는 고무링(29)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고무링(29)은 제2 저장부(14)의 내부로부터 공기가 이탈하지 못하게 한다.
이와 같은 높이 조절 수단(26)의 도움으로 수위 조절 파이프(20)는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수위 조절 파이프(2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제2 저장부(14)에 채워지는 액상 양념의 양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된다.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의 내부에는 부양체(24)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내측 하부는 부양체(24)의 하향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상화되어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를 완벽하게 숙지한 당업자라면 이러한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의 상부는 수위 조절 파이프(20)의 하단과 연결되며, 이 둘은 서로 연통하도록 구성된다.
부양체(24)는 제2 저장부(14)의 내부에 채워지는 액상 양념의 수위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제2 저장부(14)에 채워지는 액상 양념의 비중보다 작아야 한다. 이때, 부양체(24)의 상승 및 하강 이동은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의 내부 상한 및 하한에 각각 구속된다.
이러한 부양체(24)는 수위 조절 파이프(20)의 일단을 물리적으로 막게 되고, 그때부터 제2 저장부(14)의 내부는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부양체(24)의 상단에는 바람직하게는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의 상부와 연통하는 개구의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갖는 고무판(25)이 마련된다.
밸브장치(30)는 내부에 공급/배출 관로(33)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밸브 본체(32)와, 공급/배출 관로(33)에 결합되어 액상 양념의 공급을 배출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공급/배출 조절부(34)와, 공급/배출 조절부(3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작동레버(36)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32)는 밸브장치(30)의 메일 프레임을 형성하며, 내부에 공급파이프 방향(33A), 제2 저장부 방향(33B) 및 외부 방향(33C)과 연통되는 공급/배출 관로(33)가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급/배출 관로(33)는 공급파이프 방향(33A), 제2 저장부 방향(33B) 및 외부 방향(33C)으로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공급/배출 조절부(34)는 밸브 본체(32)의 공급/배출 관로(33)에 결합되어 있다. 공급/배출 조절부(34)의 내부에는 공급파이프(13)와 제2 저장부(14)를 연결하는 제1 유로(34A) 및 제2 저장부(14)에 저장된 액상 양념을 외부로 배출하는 제2 유로(3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유로(34A)는 제1 저장부(12)로부터 공급파이프(13)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양념을 제2 저장부(14)에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유로(34B)는 제2 저장부(14)에 저장된 액상 양념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작동레버(36)는 공급/배출 조절부(3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공급/배출 조절부(34)와 연결되도록 밸브 본체(32)의 외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레버(36)는 제1 저장부(12)의 액상 양념을 제2 저장부(14)에 저장하기 위해 제1 유로(34A)를 개방하거나 또는 제2 저장부(14)에 저장된 액상 양념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2 유로(34B)를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공급/배출 관로(33) 내에서 공급/배출 조절부(34)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상 양념 용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액상 양념 용기는, 제1 저장부(12)에 액상 양념을 투입하여 저장한 상태에서 밸브 본체(32)의 공급/배출 관로(33)에 결합된 공급/배출 조절부(34)의 제1 유로(34A)를 작동레버(36)의 조작에 따라 개방하게 되면, 제1 유로(34A)에 의해 공급파이프(13)와 제2 저장부(14)가 연결되어 제1 저장부(12)에 저장된 액상 양념은 제2 저장부(14)에 채워지기 시작한다.
제2 저장부(14)에 액상 양념이 채워지기 시작하면, 제2 저장부(14) 내에 액상 양념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액상 양념의 수위가 부양체(24)에 다다르면 그때부터 부력에 의해 부양체(24)가 상승하게 되며, 부양체(24)는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과 수위 조절 파이프(20)가 만나는 지점에 다다르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부양체(24)는 수위 조절 파이프(20)의 일단을 물리적으로 막게 되고, 그때부터 제2 저장부(14)의 내부는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제2 저장부(14)가 외부로부터 밀폐되면, 제2 저장부(14)에 채워지는 액상 양념의 수위는 계속해서 상승하게 되고, 액상 양념의 수위와 제2 저장부(14)의 내부 사이의 빈 공간의 압력은 일정한 값까지 상승하여 제2 저장부(14)의 내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의 압력은 공급되는 액상 양념의 압력에 의존한다.
제2 저장부(14)의 빈 공간의 압력이 일정한 값까지 상승하여 액상 양념의 수위를 가압하게 되면, 빈 공간의 압력과 액상 양념의 압력이 상호 균형을 이루게 되어 제1 저장부(12)로부터 액상 양념의 공급이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저장부(14)에 일정량의 액상 양념을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저장부(14)에 일정량의 액상 양념이 저장되면, 작동레버(36)의 조작에 따라 공급/배출 조절부(34)를 회전시켜 제2 유로(34B)를 개방함으로써 제2 저장부(14)에 저장된 일정량의 액상 양념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저장부(14)로부터 일정량이 액상 양념이 배출 완료된 뒤, 작동레버(36)의 조작에 따라 공급/배출 조절부(34)를 회전시켜 제2 유로(34B)를 차단하고 제1 유로(34A)를 개방하게 되면, 제1 저장부(12)로부터 액상 양념이 공급되어 제2 저장부(14)에 일정량의 액상 양념이 채워져 저장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상 양념 용기는, 용기 본체(10)의 제1 저장부(12)에 투입 저장된 액상 양념을 제2 저장부(14)에 공급하여 일정량 저장한 뒤 배출함으로써 음식의 조리시 매회 정량의 사용에 따라 액상 양념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는 자성체의 뚜껑(11)에 의해 금속재질의 선반(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사용 및 보관의 따른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저장부(14)에 결합되는 수위 조절 파이프(20)의 높이를 가변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적 조작에 따라 제2 저장부(14)에 저장되는 액상 양념의 양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용기 본체 11: 뚜껑
12: 제1 저장부 14: 제2 저장부
20: 수위 조절 파이프 22: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
24: 부양체 26: 높이 조절 수단
27: 수위 조절 파이프 상하 안내수단 28: 고정수단
29: 고무링 30: 밸브장치
32: 밸브 본체 33: 공급/배출 관로
34; 공급/배출 조절부 36: 작동레버

Claims (4)

  1. 주방에 마련되어 있는 금속재질의 선반(1)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용기 본체(10);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액상 양념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저장부(12); 및
    상기 제1 저장부(12)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저장부(12)로부터 공급파이프(13)를 통해 일정량의 액상 양념을 공급받아 저장한 뒤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저장부(14)가 마련되되,
    상기 제2 저장부(14)는,
    물의 비중보다 작아 상기 제2 저장부(14)의 내부에 채워지는 액상 양념의 수위 상승 및 하강에 따라 함께 상승 및 하강하는 부양체(24)와, 하부는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되어 있고 상부는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부양체(24)의 상한 이동과 하한 이동을 규정하는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 높이가 가변하며 일측은 상기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의 상부와 연통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저장부(14)의 외부와 연통하는 수위 조절 파이프(20) 및 상기 공급파이프(13)를 통해 공급되는 액상 양념을 상기 제2 저장부(14)에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밸브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장치(30)는,
    상기 제2 저장부(14)의 하면에 배치되며 내부에 공급파이프 방향(33A), 제2 저장부 방향(33B) 및 외부 방향(33C)과 연통되는 공급/배출 관로(33)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밸브 본체(32), 상기 밸브 본체(32)의 공급/배출 관로(33)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공급파이프(13)와 상기 제2 저장부(14)를 연결하는 제1 유로(34A)와 상기 제2 저장부(14)와 외부를 연결하는 제2 유로(34B)를 각각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공급/배출 조절부(34) 및 상기 공급/배출 조절부(34)와 연결되도록 상기 밸브 본체(32)의 외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저장부(12)의 액상 양념을 상기 제2 저장부(14)에 저장한 뒤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공급/배출 조절부(34)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작동레버(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양념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는,
    상단부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뚜껑(11)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11)은 상기 선반(1)의 저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양념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체(24)의 상단에는,
    상기 부양체 상하 이동 안내수단(22)의 상부와 연통하는 개구의 직경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갖는 고무판(25)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양념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조절 파이프(20)는,
    상기 제2 저장부(14)의 상부에 마련되는 높이 조절 수단(26)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높이 조절 수단(26)과 상기 수위 조절 파이프(20)가 만나는 상기 높이 조절 수단(26)의 내부에는 고무링(29)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양념 용기.
KR1020110009438A 2011-01-31 2011-01-31 액상 양념 용기 KR10117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38A KR101179138B1 (ko) 2011-01-31 2011-01-31 액상 양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438A KR101179138B1 (ko) 2011-01-31 2011-01-31 액상 양념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27A KR20120088227A (ko) 2012-08-08
KR101179138B1 true KR101179138B1 (ko) 2012-09-07

Family

ID=46873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438A KR101179138B1 (ko) 2011-01-31 2011-01-31 액상 양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1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547A (ja) 2002-04-10 2003-10-21 Osawa Wax Kk 流体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547A (ja) 2002-04-10 2003-10-21 Osawa Wax Kk 流体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227A (ko)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48350Y (zh) 液体加热容器
JP5442006B2 (ja) 閉じることができる注液口を有するプランジャーフィルター飲料メーカー
US4662271A (en) Machine for preparing hot beverages, with a metered withdrawal of liquid
EP1980181A2 (en) Improvements in liquid haeting vessels
CA2986398C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having a dual-purpose lid
GB249335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Ecological and Ergonomic Kettles
WO2013039381A1 (en) Holder for a liquid
DK145871B (da) Beholder til udstroening af pulverformede krydderier
KR101179138B1 (ko) 액상 양념 용기
GB2499065A (en) Water heating vessel having a valve preventing liquid from being spilt when the vessel is tipped over
NO133010B (ko)
US6357630B1 (en) Assembly comprising a flexible container having a dosing device and dosing device of such assembly
US6253967B1 (en) Assembly comprising a flexible container having a dosing device and dosing device of such assembly
CN107954389A (zh) 一种液面灌注高度自控漏斗
KR101151356B1 (ko) 정량 캡
CN203736072U (zh) 一种新型油壶
US1916819A (en) Sugar measuring and serving device
US2254584A (en) Poultry watering fountain
CN109649814B (zh) 一种定量阀组件
CN208048529U (zh) 一种倒流壶
CN219645602U (zh) 一种可定量出料的调味瓶
KR200419642Y1 (ko) 자동 주전자
EP2545821A1 (en) Kettle
RU182742U1 (ru) Бочонок мини-бар
US11874153B2 (en) Measuring fl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