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036B1 -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036B1
KR101179036B1 KR1020120014499A KR20120014499A KR101179036B1 KR 101179036 B1 KR101179036 B1 KR 101179036B1 KR 1020120014499 A KR1020120014499 A KR 1020120014499A KR 20120014499 A KR20120014499 A KR 20120014499A KR 101179036 B1 KR101179036 B1 KR 101179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usher
bracket
door
conver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복성
박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명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to KR102012001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4Multiple main contacts for the purpose of dividing the current through, or potential drop along, the arc
    • H01H33/143Multiple main contacts for the purpose of dividing the current through, or potential drop along, the arc of different construction or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단기실의 도어 외부에는 버튼을 누르면, 상기 트리거부분이 링크기구에 의해 조작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배전반 외부에서 수동으로 차단기를 오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긴급상황에서 신속하게 피더 케이블 측으로 흐르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APPARATUS FOR EMERGENCY OPENING/CLOSING OF SWITCH GEAR}
본 발명은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내부에 배치된 차단기에 오작동이 발생한 경우, 배전반의 도어 외부에 배치된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차단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긴급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Switch Gear)은 발전소, 변전소, 산업플랜트, 빌딩 등의 전력공급, 운전,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 스위치계기, 릴레이(계전기), 변성기, 접지스위치 등을 전력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한 것으로, 주로 발전된 전력을 송전하여 변전소를 통해 전력을 배분하여 각 요소로 재공급하거나 공급전력을 개폐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배전반에서는 배전반 내의 하단측의 케이블실에 배치된 메인측의 최상류 인입케이블로부터 전력이 입력되어 상기 케이블실에 배치된 인입부스바와 배전반의 전방 중간측의 차단기실에 배치된 차단기를 통해서 배전반 상단측의 주모선실에 배치된 주모선에 공급되고, 이 주모선에 공급된 전력은 상기 주모선실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단측의 하류 주모선실에서 분기되어 상기 차단기실 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방 중간측의 하류 차단기실에 배치된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를 경유하여 상기 케이블실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하단측의 하류 케이블실에 배치된 복수개의 하류 피더케이블에 공급된다.
상기 차단기실들에 출입가능하게 장전된 차단기들 각각은 주모선실의 도전부(부스바)와 접속되는 제1도전부와 케이블실의 도전부(부스바)와 접속되는 제2도전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1도전부들을 서로 온/오프가능하게 하는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고, 수동으로 조작되는 트리거에 의해 온/오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트리거는 기계적 기구 수단에 의해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계적 기구 수단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트리거는 차단기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구비되어 있다. 그 이유는, 배전반에 이상이 발생되고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 작업자로 하여금, 배전반의 차단기실의 도어를 열고, 상기 트리거부분을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배전반에 이상이 발생되면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는 긴급상황이다.
이러한 긴급상황에서는 작업자가 차단기실의 도어를 열고 상기 트리거부분을 조작하게 하는 것은 매우 불합리하다는 점에서 종래의 배전반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차단기실의 도어 외부에는 버튼을 누르면, 상기 트리거부분이 링크기구에 의해 조작되게 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작업자가 배전반 외부에서 수동으로 차단기를 오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긴급상황에서 신속하게 피더 케이블 측으로 흐르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단기 긴급 개폐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배전반의 도어 외부에 장착된 버튼인 푸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단기 긴급 개폐장치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변환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차단기의 측면에 장착된 트리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차단기(C)의 긴급 개폐장치는 배전반(1)의 차단기실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차단기(C)를 배전반(1)의 외부에서 작동시킴으로써 신속하게 차단기(C)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차단기(C)의 긴급 개폐장치는 도어(3)의 외부에 장착되어 내부로 관통하는 푸셔(5)와; 상기 도어(3)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푸셔(5)의 전후진 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환되는 제 1변환부(7)와; 상기 도어(3)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링크(25)를 개재하여 상기 제 1변환부(7)에 링크결합되어 선회운동되는 제 2변환부(9)와; 상기 배전반(1)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 2변환부(9)의 선회운동에 연동되어 직진운동으로 변환되는 로드부(11)와; 상기 로드부(11)의 전후진시, 이에 연동함으로써 차단기(C) 내부의 차단바(도지되지 않음)를 회전시킴으로써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는 트리거(5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단기(C)의 긴급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푸셔(5)는 도어(3)의 외부 및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됨으로써, 일단은 도어(3)의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도어(3)의 내부로 돌출된다.
또한, 이 푸셔(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변환부(7)에 배치된 제 1스프링부재(S)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도어(3)의 외부에서 푸셔(5)를 누르는 경우, 푸셔(5)가 도어(3)의 내측으로 탄력적으로 진입하고, 푸셔(5)를 누르는 힘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푸셔(5)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도어(3)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변환부(7)는 도어(3)의 내측면에 구비된 제 1브래킷(15, 17)과; 제 1브래킷(15, 17)에 중간부위가 힌지결합되고 장공(h)이 형성된 일단이 상기 푸셔(5)의 타단과 링크결합되어 상기 푸셔(5)의 전후진시 연동하여 선회운동을 하는 제 1레버(20, 21)와; 상기 제 1브래킷(15, 17)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5)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 1스프링부재(S)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1변환부(7)에 있어서, 상기 제 1브래킷(15, 17)의 양측판은 도어(3)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고, 전면판은 홀이 형성되어 상기 푸셔(5)의 타단이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판의 사이에는 제 1스프링부재(S)가 배치되며, 제 1스프링부재(S)의 일단은 푸셔(5)를 지지하며 타단은 상기 전면판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 1스프링부재(S)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푸셔(5)가 눌려서 도어(3)의 내측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이 제 1스프링부재(S)가 압축되어 눌려진다. 반대로, 푸셔(5)를 누르는 힘이 해소되면, 제 1스프링부재(S)가 원위치로 팽창하면서 푸셔(5)를 도어(3)의 외측방향으로 밀게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에는 한 쌍의 수평판이 각각 돌출되며, 한 쌍의 수평판 사이에 상기 제 1레버(20, 21)의 중앙부가 제 1힌지핀(19)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 1레버(20, 21)는 제 1힌지핀(19)을 중심으로 선회운동을 한다.
그리고, 제 1레버(20, 21)의 타단은 상기 링크(25)을 일단에 링크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푸셔(5)가 전후진 운동을 하는 경우, 푸셔(5)의 타단이 상기 제 1레버(20, 21)를 밀거나 당기게 되고, 제 1레버(20, 21)는 링크(25)를 링크운동시킨다.
결과적으로, 푸셔(5)의 전후진 운동은 제 1레버(20, 21)에 의하여 선회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링크(25)의 타단은 상기 제 2변환부(9)의 일단에 링크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변환부(9)는 도어(3)의 내측면에 구비된 제 2브래킷(27, 29)과; 제 2브래킷(27, 29)에 중앙부위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링크(25)의 선회운동에 연동하여 선회운동을 하는 제 2레버(33, 35)와; 제 2레버(33, 35)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로드부(11)를 가압함으로써 직선운동시키는 롤러(37)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2변환부(9)에 있어서, 상기 제 2레버(33, 35)의 중앙부가 제 2브래킷(27, 29)에 제 2힌지핀(31)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레버(33, 35)는 선회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링크(25)가 링크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링크(25)가 상기 제 2레버(33, 35)를 선회운동시켜, 상기 롤러(37)도 곡선궤적을 따라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 롤러(37)가 곡선궤적을 따라 회전하는 중에, 상기 로드부(11)의 헤드(47)에 접촉하는 경우, 로드부(11)가 직선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로드부(11)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로드부(11)는 배전반(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 3브래킷(42)과; 상기 제 3브래킷(42)에 관통 장착되어 직선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로드(39)와; 상기 로드(39)의 기단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롤러(37)와 접촉하는 헤드(47)와; 상기 로드(39)의 기단측에 구비된 확경부(43)와; 상기 로드(39)에 외접되어 양단이 상기 확경부(43)와 상기 제 3브래킷(42)에 개재되어서 상기 로드(39)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2스프링부재(45)와; 상기 로드(39)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차단기(C)의 트리거(52)를 회전시키는 돌기(4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스프링부재(45)는 바람직하게는 압축 스프링이어서, 상기 로드(39)는 제 3브래킷(42)의 관통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 2스프링부재(45)에 의하여 배전반(1)의 도어(3)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상기 제 2레버(33, 35)가 선회운동하는 경우, 상기 롤러(37)가 이 헤드(47)를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로드(39)가 제 2스프링부재(45)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로드(39)가 전진하게 된다. 상기 로드(39)가 전진하게 되면, 로드(39)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로 돌출된 돌기(49)도 같이 전진함으로써 차단기(C)의 측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상기 트리거(52)를 선회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트리거(52)가 선회되는 경우, 차단기(C) 내부에 구비된 거넥터(도시되지 않음)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39)는 상기 제 2스프링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결국, 배전반(1)에 오작동이 발생되어 긴급상황인 경우, 배전반(1)의 외부에서 푸셔(5)를 눌러 링크기구에 의해 로드(39)를 전진시켜서 전진하는 돌기(49)에 의하여 트리거(52)가 회전함으로써 차단기(C)의 커넥터가 용이하게 오프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1: 배전반 3:도어
5: 푸셔 7:제 1변환부
9: 제 2변환부 11:로드부

Claims (4)

  1. 배전반의 내부에 배치된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에 있어서,
    배전반의 도어의 외부에 장착되어 내부로 관통하는 푸셔와;
    푸셔의 전진운동에 연동하여 선회운동되기 위해 중앙부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되고 장공이 형성된 일단이 상기 푸셔에 링크결합된 제 1변환부와;
    상기 제 1변환부의 타단에 일단이 링크결합된 링크의 타단에 링크결합되고, 중앙부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된 제 2변환부와;
    상기 배전반의 내측에 배치되며 제 2변환부의 선회운동에 연동되어 직진운동으로 변환되는 로드부와; 그리고
    상기 로드부의 전진운동에 연동하여 선회되어서 차단기의 커넥터의 접속을 해제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변환부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구비된 제 1브래킷과;
    제 1브래킷에 중앙부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푸셔의 전후진 운동에 연동하여 선회운동을 하는 제 1레버와;
    상기 제 1브래킷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푸셔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1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변환부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구비된 제 2브래킷과;
    제 2브래킷에 중앙부가 힌지결합 장착되어 상기 링크의 링크운동에 연동하여 선회운동을 하는 제 2레버와;
    제 2레버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로드부를 가압하여 직선운동시키는 롤러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배전반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제 3브래킷과;
    상기 제 3브래킷에 관통 장착되어 직선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한 로드와;
    상기 로드의 기단에 구비되어 상기 롤러와 접촉하는 헤드와;
    상기 로드의 기단측에 결합된 확경부와;
    상기 로드에 외접되어 있고, 상기 제 3브래킷과 상기 확경부에 개재되어 상기 로드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제 2스프링 부재와;
    상기 로드의 일측면에 돌출되어 차단기의 트리거를 회전시키는 돌기를 포함하는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KR1020120014499A 2012-02-13 2012-02-13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KR101179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499A KR101179036B1 (ko) 2012-02-13 2012-02-13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499A KR101179036B1 (ko) 2012-02-13 2012-02-13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036B1 true KR101179036B1 (ko) 2012-09-03

Family

ID=47073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499A KR101179036B1 (ko) 2012-02-13 2012-02-13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1967A (zh) * 2014-06-30 2014-09-17 襄垣县树元电器有限公司 配电柜门联锁机构
CN109546552A (zh) * 2018-05-21 2019-03-29 镇江京润农电有限公司 农用自断电电源箱
CN113036623A (zh) * 2021-02-22 2021-06-25 董晓杰 一种5g通信基站电力运行监控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89B1 (ko) 2009-12-23 2011-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접지 스위치 연동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89B1 (ko) 2009-12-23 2011-05-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차단기의 접지 스위치 연동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1967A (zh) * 2014-06-30 2014-09-17 襄垣县树元电器有限公司 配电柜门联锁机构
CN109546552A (zh) * 2018-05-21 2019-03-29 镇江京润农电有限公司 农用自断电电源箱
CN113036623A (zh) * 2021-02-22 2021-06-25 董晓杰 一种5g通信基站电力运行监控系统
CN113036623B (zh) * 2021-02-22 2022-07-19 深圳市尤纳斯技术有限公司 一种5g通信基站电力运行监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1134B (zh) 电开关装置
CN101976622B (zh) 一种移开式开关柜接地开关操作装置
CN101841131B (zh) 电开关装置
CA1154848A (en) Bypass isolation system for transfer switch with mechanical interlock
CN108320946A (zh) 一种开关柜及其隔离开关与断路器用联锁装置
CN207852529U (zh) 开关柜及其隔离开关与断路器用联锁装置
KR101179036B1 (ko) 차단기의 긴급 개폐장치
AU2008216975A1 (en) Operating mechanism with adjustment of contact force
ITMI20081009A1 (it) Dispositivo di comando per interruttori
CN106409563A (zh) 断路器与三工位开关连锁装置及断路器‑三工位开关装置
CN201788844U (zh) 断路器的驱动操作装置
CN201307531Y (zh) 开关柜的五防闭锁装置
CN104319164A (zh) 一种真空负荷开关
KR101203913B1 (ko) 스위치 기어
JPH033244B2 (ko)
CN104319163A (zh) 一种真空断路器
CN202930810U (zh) 一种手车式开关柜断路器的紧急分闸机构
CN201134390Y (zh) 真空断路器的闭锁单元机构
CN201758086U (zh) 一种固定式金属封闭高压开关设备用安全联锁机构
CN204155827U (zh) 一种真空负荷开关
CN104538217B (zh) 一种开关电器
CN202423837U (zh) 一种开关设备的分合闸装置
CN201478729U (zh) 户内箱式金属封闭环网柜
CN201601409U (zh) 中置柜断路器紧急分闸机构
CN201417896Y (zh) 手车式126kv组合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