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923B1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8923B1 KR101178923B1 KR1020100105481A KR20100105481A KR101178923B1 KR 101178923 B1 KR101178923 B1 KR 101178923B1 KR 1020100105481 A KR1020100105481 A KR 1020100105481A KR 20100105481 A KR20100105481 A KR 20100105481A KR 101178923 B1 KR101178923 B1 KR 1011789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rane
- membrane module
- optical fiber
- filtration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10—Testing of membranes or membrane apparatus;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 B01D65/104—Detection of leaks in membrane apparatus or modu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모듈에 부착된 광섬유센서에서 막모듈의 온도 및 변형을 검출함으로써 여과막의 손상을 고감도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은, 다수의 여과막을 갖는 막모듈에서 상기 여과막의 표면을 기준으로 외부의 1차측 원수 및 내부의 2차측 여과수를 상기 막모듈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단계; 상기 1차측 및 2차측을 대기압에서 기체상태로 유지하는 제2단계; 상기 막모듈의 1차측 또는 2차측에 일정한 공기압까지 공기를 주입하는 제3단계; 상기 막모듈의 외벽에 설치된 광섬유 센서에서 상기 공기주입에 따른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검출된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여과막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은, 다수의 여과막을 갖는 막모듈에서 상기 여과막의 표면을 기준으로 외부의 1차측 원수 및 내부의 2차측 여과수를 상기 막모듈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단계; 상기 1차측 및 2차측을 대기압에서 기체상태로 유지하는 제2단계; 상기 막모듈의 1차측 또는 2차측에 일정한 공기압까지 공기를 주입하는 제3단계; 상기 막모듈의 외벽에 설치된 광섬유 센서에서 상기 공기주입에 따른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검출된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여과막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의 손상 감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막모듈에 부착된 광섬유 센서에서 막모듈의 온도 및 변형을 검출함으로써 여과막의 손상을 고감도로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원 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정수수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고도의 정수처리에 대한 요구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서 기존의 정수처리시설에 대한 보완이나 새로운 여과장치 및 여과공정의 도입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정수시설의 보완이나 새로운 고도 정수처리시설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부지확보, 비용 등 여러 가지 어려움이 뒤따른다. 이에 안정된 수질뿐만 아니라 운전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고도 정수처리 공정이 제시되고 있다.
이같이 원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정수시키는 정수처리 공정으로서 막여과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막여과 수처리 방법은 선택적 투과기능을 갖는 여과막(membrane)을 이용하여 원수 내의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현탁 물질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공정에서는 여과막의 표면에 오염물질이나 고형물 등에 의한 부착층이 생겨 막여과 성능이 저하된다. 이 경우 물 역세척 및 공기 역세척 등의 물리세척이나 약품을 이용하여 분해 또는 용해시키는 화학세척을 통해 여과막을 세척함으로써 그 막여과 성능을 다시 회복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정수시설의 여과장치에 사용되는 여과막은 수백 내지 수천 개의 중공사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중공사 형태의 여과막은 원수에 함유된 현탁 물질이나 세균류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막으로서, 예를 들어 구멍의 지름이 0.01~0.5㎛인 정밀 여과막이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양호한 정수수질을 위해서는 여과막의 손상이 있는지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여과막의 일부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여과막에서 오염물질이 누설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막여과 공정에서 여과막의 손상을 빨리 감지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에 이러한 막여과 공정에서의 여과막 손상 감지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Journal of AWWA, Desalination, Membrane Science」학회지의 논문에 의하면, 여과막의 손상 검지방법으로 1차측과 2차측이 기체와 액체인 조건에서 1차측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1-7011098호와 일본공개특허 제2000-342936호, 제2001-269551호 및 제2007-245060호에는 중공섬유로 된 막 모듈의 1차측과 2차측을 기체 및 액체로 유지하여 1차측 또는 2차측에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여과막의 손상을 검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논문 및 선행 특허문헌들은 막모듈의 1차측 및 2차측을 기체-액체 또는 액체-기체 상태에서 여과막의 손상을 감지한다. 이 경우 가압공기가 여과막의 손상 부분을 통해 기체상태에서 액체상태 쪽으로 압력차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데, 기체가 액체쪽으로 이동할 때 밀도와 공기압 분압 등에 의한 저항이 생겨 공기압의 변화율이 크지 않고, 이에 따라 여과막에 손상이 있더라도 공기압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여과막 손상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막여과가 진행됨에 따라 총 여과저항 값이 높아지면서 측정감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차측 및 2차측을 모두 기체상태로 유지하고 공기압의 변화율을 극대화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 기술 역시 종래의 제반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공기압 변화율을 바탕으로 막여과 손상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손상 감지의 정확성에 있어 다소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여과막의 손상을 고감도로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여과막을 포함하는 막모듈의 1차측 또는 2차측에 가압된 공기를 주입하고 여과막 손상에 따른 막모듈의 변형 및 온도변화를 광섬유 센서(optical fiber sensor)에서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여과막 손상여부를 고감도로 감지할 수 있게 하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여과막을 갖는 막모듈에서 상기 여과막의 표면을 기준으로 외부의 1차측 원수 및 내부의 2차측 여과수를 상기 막모듈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단계; 상기 1차측 및 2차측을 대기압에서 기체상태로 유지하는 제2단계; 상기 막모듈의 1차측 또는 2차측에 일정한 공기압까지 공기를 주입하는 제3단계; 상기 막모듈의 외벽에 설치된 광섬유 센서에서 상기 공기주입에 따른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검출된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여과막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1차측 원수 및 2차측 여과수를 대기압 상태에서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측 및 2차측에 공기를 주입하여 남아있는 원수 및 여과수를 완전히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1차측에 공기를 주입하되, 상기 1차측에 주입된 공기가 상기 2차측으로 확산되는 시점의 공기압이 될 때까지 공기를 주입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여과막을 갖는 막모듈의 1차측 및 2차측을 기체상태로 유지한 후 상기 1차측 또는 2차측에 일정한 공기압까지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수단; 상기 막모듈의 외벽에 부착되며 상기 공기주입에 따른 상기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는 광섬유센서; 및 상기 검출된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과 미리 설정된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여과막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여과막손상 판단수단을 포함하는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막모듈의 외벽에 부착된 광섬유 센서에서 여과막 손상에 따른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기준값과 비교함으로써 여과막의 손상 여부를 고감도로 용이하게 파악함과 동시에 손상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막여과장치의 세부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막모듈에 부착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센서에서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막여과장치의 세부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막모듈에 부착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센서에서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막여과 장치의 개략적인 세부 계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는 다수의 여과막(111)을 갖는 막모듈(110), 공기주입수단(120), 광섬유센서(130) 및 여과막손상 판단수단(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막모듈(110)은 하우징(114) 및 하우징(114) 내의 다수의 여과막(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과막(111)은 정수처리 및 해수 담수화처리 등의 수처리에 사용되는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을 포함하며 일례로 중공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막모듈(1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과막(111)의 표면을 기준으로 외부의 1차측(112)과 내부의 2차측(113)로 구분된다.
공기주입수단(120)은 막모듈(110)의 1차측(112) 또는 2차측(113)에 미리 설정된 공기압까지 공기를 주입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공기주입수단(130)은 공기주입수단(120)은 에어컴프레셔를 이용할 수 있다.
광섬유센서(optical fiber sensor)(130)는 막모듈(110)의 하우징(114)의 표면에 부착되며(도 3 참조), 공기주입수단(120)에서 1차측(112) 또는 2차측(113)에 일정한 공기압까지 공기가 주입됨에 따라 변화되는 막모듈(110)의 온도 및 변형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주지한 바와 같이, 광섬유센서(120)는 광섬유를 이용한 감지수단으로서, 광섬유 자체가 센싱(sensing) 기능을 가진 소자이다. 예컨대, 광섬유센서(120)는 온도나 압력에 의한 변형에 따라 광섬유가 신축하는 것을 이용하여 그 내부를 통하는 빛의 간섭무늬 등을 검출함으로써 온도센서, 압력센서, 변형센서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광섬유센서(120)는 초정밀 광대역 측정이 가능하고 주위의 전자기적인 잡음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원격 측정이 용이하다. 또한, 실리카 재질의 뛰어난 내부식성으로 사용 환경에 대한 제약이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다.
예컨대, 여과막(111)이 정상일 때 공기가 주입되어 공기압이 상승하면 막모듈(110)은 부피가 커지면서 온도는 하강한다. 이후 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과막(111)의 손상발생시에는 공기누출에 의해 공기압이 하강하고 막모듈(110)은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광섬유센서(130)는 막모듈(110)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게 되는 것이다.
여과막손상 판단수단(140)은 광섬유센서(130)에서 검출한 막모듈(110)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여과막(111)의 손상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여과막(111)에 손상이 발생하면 정상일 때보다 막모듈(110)의 변형율을 적고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기준값은 여과막(111)의 손상에 대응하는 막모듈(110)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나타낸 값으로서 여과막(111)의 손상 정도에 따른 막모듈(110)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막여과장치는 기본적으로 막모듈(110)을 포함하며, 막모듈(110)은 다수의 여과막(111)을 구비한다. 도면에는 일례로 하나의 막모듈(110)이 도시되어 있으나 둘 이상의 막모듈(1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막모듈(110)은 여과막(111) 외부의 1차측(112)과 내부의 2차측(113)로 구분되며, 1차측(112)에는 원수가 유입되고 2차측(113)에는 이러한 원수로부터 정수된 여과수가 유입된다. 원수공급밸브(126)가 열린 상태에서 원수저장조(124)에 저장된 원수는 원수공급펌프(125)에 의해 원수공급배관(126)을 통해 막모듈(110)의 1차측(112)에 주입된다. 이와 같이 주입된 원수는 여과막(111)을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분리 및 제거되어 여과수로 정수된다. 이처럼 정수된 여과수는 막모듈(110)의 2차측(113)으로 유입된다. 막모듈(110)의 2차측(113)으로 유입된 여과수는 여과수배출밸브(143)가 열린 상태에서 여과수배출배관(144)을 통하여 여과주저장조(145)로 배출된다.
한편, 공기주입수단(120)은 공기배관(121,123)을 이용하여 막모듈(110)의 1차측(112) 및 2차측(113)에 가압된 공기를 주입한다. 특히, 1차측(112)의 원수 및 2차측(113)의 여과수를 대기압 상태에서 막모듈(110)의 외부로 배출한 이후에, 1차측(112) 및 2차측(113)에 남아있는 원수 및 여과수를 완전히 배출하기 위해 공기주입수단(120)을 이용하여 1차측(112) 및 2차측(113)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센서에서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주입수단(120)를 이용하여 막모듈(110) 내부에 가압된 공기를 주입한다. 이러한 공기주입은 일정한 공기압이 될 때가지 지속되며, 일정한 공기압이 되면 공기주입을 중단하고 그 공기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과막(111)이 정상상태인 경우에 공기의 누출이 없으므로 내부의 공기압은 일정 공기압까지 상승하고 온도는 하강한다. 또한, 아주 미세하지만 내부 공기압의 상승으로 인해 하우징(114)의 외벽은 그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이때, 막모듈(110)의 하우징(114)의 외부 표면에 부착된 광섬유센서(130)에서 이러한 온도의 변화 및 외부 표면의 변형율을 검출하게 된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여과막(111)에 손상이 발생하면 막모듈(110) 내부의 공기는 손상된 부위를 통해 누출됨으로써 내부의 공기압은 감소하고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또한, 내부 공기압의 감소로 인해 하우징(114)의 외벽은 그 부피가 감소한다. 이때에도 광섬유센서(130)는 이러한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과막(111)의 손상에 따른 막모듈(110)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광섬유센서(130)에서 실시간으로 검출함으로써 신속하고 고감도로 여과막의 손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은, 먼저 초기상태에 막모듈(110)의 1차측(112)에 있는 원수 및 2차측(113)에 있는 여과수를 막모듈(110)의 외부로 배출한다(S101). 이때, 바람직하게는 1차적으로 대기압 상태에서 1차측 원수 및 2차측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며, 이후에 필요시 1차측(112) 및 2차측(113)에 공기를 주입하여 남아 있는 원수 및 여과수를 완전히 막모듈(11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로써 1차측(112) 및 2차측(113)은 대기압에서 기체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S102).
이어서, 공기주입수단(120)에서 가압된 공기를 막모듈(110)의 내부로 주입한다(S103). 구체적으로, 도 4a와 같이 막모듈(110)의 내부에 일정 압력의 기체를 공급한다. 일정 압력의 기체는 막모듈(110)의 1차측(112) 또는 2차측(113)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막모듈(110)의 내부에 공급되는 기체의 압력은 일정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1차측(112) 또는 2차측(113)에 공급된 기체가 각각 2차측(113) 또는 1차측(112)으로 확산되는 시점의 공기압으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공기의 확산이 일어나게 되면 공기 확산에 의한 공기 누출인지 막 손상에 따른 누출인지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장치적인 구성 및 기타 조건에 부응하기 위해 그 공기압을 벗어나는 범위 하의 압력을 적용할 수도 있다.
계속하여, 막모듈(110)에 주입된 공기에 의해 막모듈(110)의 외벽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광섬유센서(130)에서 검출한다(S104). 막모듈(110) 내부에 일정 압력의 기체를 공급하면, 그에 상응하는 막모듈(110)의 외벽에 변형이 발생함과 동시에 온도가 감소한다. 이후 막모듈(110)의 내부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면 정상상태의 막모듈(110)의 경우 온도 및 외벽은 변화된 상태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지만, 비정상상태인 경우, 즉 여과막(111)에 손상이 발생한 경우 막모듈(110)의 내부 공기압은 감소하면서 온도가 증가하고 외벽은 다시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변화 및 외벽의 변형율을 광섬유센서(130)에서 검출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검출된 막모듈(110)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은 여과막손상 감지수단(140)으로 전달되며, 여과막손상 감지수단(140)은 이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S105), 막모듈(110)의 손상 여부를 판단한다(S106).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막손상 감지수단(140)은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는 하나의 막모듈의 경우에 대하여 여과막 손상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막모듈이 다수 개 구비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막모듈에 대한 온도변화 및 변형율 검출과정이 각각 적용된다. 이 경우 여과막손상 감지수단(140)은 각각의 막모듈(110)에 부착된 광섬유센서(130)로부터 해당 막모듈(110)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수신하여 해당 막모듈(110)의 여과막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최근 수질개선 및 정수처리 기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처리 기술이 중요시되고 있다. 여과막을 이용하여 원수를 여과시켜 정수로 변환하는 정수처리시설에서 여과막은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만약 이러한 여과막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원수가 누설되어 오염물질이 여과수에 혼입되고 정수처리능력이 저하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여과막의 손상을 정확하게 고감도로 감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사안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은 여과막 손상 감지시간이 짧게 소요되고 막모듈에 주입된 공기의 공기압 변화율이 커서 작은 손상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고감도의 감지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처리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110 : 막모듈 111 : 여과막
112 : 1차측 113 : 2차측
114 : 하우징 120 : 공기주입수단
130 : 광섬유 센서 140 : 여과막손상 감지수단
112 : 1차측 113 : 2차측
114 : 하우징 120 : 공기주입수단
130 : 광섬유 센서 140 : 여과막손상 감지수단
Claims (5)
- 다수의 여과막을 갖는 막모듈에서 상기 여과막의 표면을 기준으로 외부의 1차측 원수 및 내부의 2차측 여과수를 상기 막모듈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단계;
상기 1차측 및 2차측을 대기압에서 기체상태로 유지하는 제2단계;
상기 막모듈의 1차측 또는 2차측에 일정한 공기압까지 공기를 주입하는 제3단계;
상기 막모듈의 외벽에 설치된 광섬유 센서에서 상기 공기주입에 따른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는 제4단계; 및
상기 검출된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여과막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1차측 원수 및 2차측 여과수를 대기압 상태에서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1차측 및 2차측에 공기를 주입하여 남아있는 원수 및 여과수를 완전히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1차측에 공기를 주입하되, 상기 1차측에 주입된 공기가 상기 2차측으로 확산되는 시점의 공기압이 될 때까지 공기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여과막이 정상인 경우 공기주입에 따라 공기압이 상승하면 상기 막모듈의 외벽의 온도가 감소하면서 변형이 발생함을 검출하고, 상기 여과막이 손상된 경우 공기누출에 따라 공기압이 하강하면 상기 막모듈의 외벽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변형이 발생함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 다수의 여과막을 갖는 막모듈의 1차측 및 2차측을 기체상태로 유지한 후 상기 1차측 또는 2차측에 일정한 공기압까지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수단;
상기 막모듈의 외벽에 부착되며 상기 공기주입에 따른 상기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을 검출하는 광섬유센서; 및
상기 검출된 막모듈의 온도변화 및 변형율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여과막의 손상 여부를 판단하는 여과막손상 판단수단; 을 포함하는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481A KR101178923B1 (ko) | 2010-10-27 | 2010-10-27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5481A KR101178923B1 (ko) | 2010-10-27 | 2010-10-27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080A KR20120044080A (ko) | 2012-05-07 |
KR101178923B1 true KR101178923B1 (ko) | 2012-08-31 |
Family
ID=4626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5481A KR101178923B1 (ko) | 2010-10-27 | 2010-10-27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892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89309A (ja) | 2005-04-14 | 2006-10-26 |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 膜ろ過装置の膜破損診断方法および装置 |
-
2010
- 2010-10-27 KR KR1020100105481A patent/KR1011789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289309A (ja) | 2005-04-14 | 2006-10-26 |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 膜ろ過装置の膜破損診断方法および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4080A (ko) | 2012-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15982B2 (ja) | 膜ろ過モジュール及び膜ろ過運転装置 | |
JP3111101B2 (ja) | 膜分離装置の漏洩検査方法 | |
EP1971846A1 (fr) | Procede et dispositif de test d'integrite de membranes de filtration. | |
US20090299651A1 (en) | Filtration testing system | |
JP4591703B2 (ja) | 液処理方法及び装置 | |
KR101023792B1 (ko) | 압전특성을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 |
WO2020121881A1 (ja) | 膜欠陥検査方法及び膜欠陥検査装置 | |
KR101753453B1 (ko) | 중공사막 여과장치 및 그의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 |
JP2012148218A (ja) |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リーク検査方法 | |
JP2008296087A (ja) | 膜損傷検知方法および膜ろ過装置 | |
JP2007237073A (ja) | 分離膜の欠陥検出方法 | |
KR101178923B1 (ko)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 | |
JP2006218372A (ja) | 膜分離装置 | |
JP2000342936A (ja) | 中空糸膜ろ過装置の膜損傷検知方法及び膜損傷検知装置 | |
JP2008104945A (ja) | 膜リーク検知方法 | |
JP2000342937A (ja) | 中空糸膜ろ過装置の膜損傷検知装置及び膜損傷検知方法 | |
JP5230073B2 (ja) | ろ過膜の膜損傷検知試験方法 | |
JP4816611B2 (ja) | 浸漬型中空糸膜モジュールにおける損傷膜の特定方法 | |
JP2008253888A (ja) | 膜損傷検知方法 | |
KR20090110020A (ko) | 여과막 손상 감지방법 | |
KR20120044079A (ko) | 여과막의 막간차압을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및 방법 | |
JP2007117904A (ja) | 膜ろ過処理装置 | |
KR101023791B1 (ko) | 압전체를 이용한 여과막 손상 감지장치 | |
KR102259093B1 (ko) | 여과막 손상 판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형 여과막 손상 판단 장치 | |
JP4461288B2 (ja) | ろ過膜異常検知方法およびその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