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904B1 - 유체 처리 장치 및 유체 처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처리 장치 및 유체 처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904B1
KR101178904B1 KR1020067023870A KR20067023870A KR101178904B1 KR 101178904 B1 KR101178904 B1 KR 101178904B1 KR 1020067023870 A KR1020067023870 A KR 1020067023870A KR 20067023870 A KR20067023870 A KR 20067023870A KR 101178904 B1 KR101178904 B1 KR 10117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assembly
fluid treatment
support
conn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1203A (ko
Inventor
데츠야 호시노
히사유키 가타오카
Original Assignee
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2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2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 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유체 처리 장치(10) 및 유체 처리 장치 작동 방법은 유체 처리 조립체(11) 및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를 향해 그리고/또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를 향하여 유체를 배향하는 매니폴드 조립체(1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처리 장치 및 유체 처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Fluid treatment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operating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본 발명은 유체 처리 장치 및 유체 처리 장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또는 방법은 유체 처리 조립체 및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로 및/또는 유체 처리 조립체로부터 유체를 배향하는 매니폴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체는 기체, 액체, 또는 기체, 액체 및/또는 고체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는 다양한 방법으로 유체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특징에 의하면, 유체 처리 장치는 유체 처리 조립체, 매니폴드 조립체, 중공의 커플러(coupler), 및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는 입구 연결부 또는 출구 연결부 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는, 유체 처리 조립체, 매니폴드 조립체, 커플러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되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 및 매니폴드 조립체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제2 위치에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 및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밀봉시켜 연결하여 유체는 연결부들 사이에서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유체 처리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제 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제 1 위치에서, 커플러는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와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밀봉되게 연결하지 않는다. 제 2 위치로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플러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와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들을 밀봉되게 연결하여 연결부들 간에 유체가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많은 장점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들은 저렴하면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결부들을 밀봉되게 연결하여, 상기 연결부들은 요구되는 공차가 작게되고, 유체 처리 조립체 및 매니폴드 조립체의 단가를 낮추도록 제조된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연결부들을 밀봉되게 연결하기 때문에, 결합되거나 오결합(mismatch)된 연결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연결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유체 처리 조립체가 하나의 매니폴드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반대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유체 처리 조립체는 유체 처리 조립체, 지지부, 매니폴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 및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는 서로 연결되거나 분리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유체 처리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와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를 분리하고 그 다음에 지지부로부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분리된 연결부는 세정 과정을 포함하는 다양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지지부에 재부착하는 과정 및 재부착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와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유체 처리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를 분리하고, 그 다음에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지지부에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부착하고,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와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다른 실시예의 장치 및 방법도 다양한 장점을 구비한다 .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들은 효율적이면서 가변적이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의 물질이 연결부의 채널 내부에 정착(settle)하여 수집(collection)될 때 플러깅(plug)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탈착되며, 필요하다면, 검사를 받거나 세척되거나 교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은 가동 휴지 기간을 감소시키며, 유체 처리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출력을 증대시킨다.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연결부를 구비한 유체 처리 조립체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와 대응될 수 없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지지부로부터 분리하고, 대응될 수 있는 연결부를 상기 지지부에 재부착함으로써, 하나의 매니폴드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유체 처리 조립체는 유체 처리 조립체, 매니폴드 조립체, 및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대향 단부를 구비한다. 제 1 연결부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단부에 연결되며, 제 2 연결부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2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 및 매니폴드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와 협력하도록 배치되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제 1 위치에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연결부 및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는 서로 밀봉 형식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2 연결부와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는 서로 밀봉 형식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제 2 위치에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 및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들은 서로 밀봉형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와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들은 서로 밀봉형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연결부들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들 사이에서 유체가 유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유체 처리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제 1 위치에서, 유체 처리 조립체의 일측 단부에서의 제 1 연결부와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는 서로 밀봉형식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반대측 단부에서의 제 2 연결부와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는 서로 밀봉형식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제 2 위치로 액투에이터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유체 처리 조립체와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들을 밀봉형식으로 연결하고,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와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들을 밀봉형식으로 연결하여 제1 연결부들 간에 그리고 제 2 연결부들간에 유체가 유동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을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장점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장점은 보다 효율적이다. 새로운 유체 처리 조립체는 매우 신속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 2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간단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양단부에서의 연결부들은 예를 들어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것은 가동 휴지 시간을 감소시켜서 출력을 증대시킨다.
도 1a, 1b, 및 1c는 각각 유체 처리 조립체가 없는 유체 처리 장치의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2a, 2b, 및 2c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들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의 단면에 대한 정면도, 측면도, 평 면도이다.
도 3a, 3b, 및 3c는 서로 밀봉되게 연결된 유체 처리 조립체 및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들을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의 단면에 대한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4a 및 4b 는 한 쌍의 연결부 및 대응 지지부에 대한 단면의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a 및 5b 는 한 쌍의 커플러 및 대응 지지부의 단면에 대한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 6b, 및 6c는 커플러 및 연결부의 단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7a, 7b, 및 7c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로부터 분리된 매니폴드 조립체를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의 단면에 대한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8a, 8b, 및 8c는 서로 연결된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와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구비한 유체 처리 장치의 단면에 대한 정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9는 나란하게 연결된 한 쌍의 유체 처리 장치의 단면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특징을 구현하는 유체 처리 장치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유체 처리 장치(10)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는 도 1-3에 도시된다. 도시된 유체 처리 장치(10)는 일반적으로 유체 처리 조립체(11), 매니폴드 조립체(12), 중공의 커플러(13) 및 액튜에이터 조립체(14)를 구비한다.
유체 처리 조립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화되며 정형적이거나 비정형적인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유체 처리 조립체(11)는 하우징(20)을 통하여 유동하는 유체를 처리하도록 하우징(20)에 영구적으로 또는 제거가능하게 위치된 유체 처리 매체(21) 및 하우징(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연결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20)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를 통하여 유체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연결부(23) 및 입구 연결부(22)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 및 출구 연결부(22, 23)는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대향 단부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입구 및 출구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 상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상기 연결부들은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의 일단부에 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체 처리 조립체의 예를 WO01/95993호에 개시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본원에 완전하게 편입된다. 상기 입구 및 출구 연결부에 추가하여, 유체 처리 조립체는 다른 연결부, 예를 들어 다른 출구 연결부(미도시) 또는 벤트 연결부(24) 또는 드레인 연결부(25)를 포함한다.
유체 처리 조립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유체를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는 유체로부터 하나 이상의 물질을 분리하는 분리 공정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분리 공정은 입자 여과 과정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소정의 크기의 입자는 상기 유체 처리 매체에 의해 유체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유체 처리 매체는 마이크로 여과, 울트라 여과, 또는 나노 여과 매체와 같은 적절한 다공성의 여과 매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분리 공정은 화학적 분리 공정을 포함하여, 여기서 분자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이온 또는 하전되거나 하전되지 않은 화학 성분은 상기 유체 처리 매체에 의해 유체로부터 배출되거나 유체로 농축된다. 상기 유체 처리 매체는 예를 들어 이온 또는 화학성분을 물리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발견하는 적절한 포획 매체 또는 적절한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 피막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는 원하는 유체 유동 모드를 위하여 구체화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는 막힌 유동 모드(dead end flow mode)로 구현되는데, 여기서, 상기 유체 처리 매체(23)는 상기 하우징(20)을 통하여 유체 유동 경로를 가로질러 위치된다. 상기 입구 연결부(21)로 배향된 유체는 상기 출구 연결부(22)로 유체 처리 매체(23)을 통하여 유체 유동 경로를 따라 통과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는 교차 유동 모드로 구체화되는데,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입구 연결부 및 제1 및 제 2 출구 연결부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유체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유체 유동 경로는 상기 유체 처리 매체를 따라 수직하게 상기 입구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 1 출구 연결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유동 경로는 상기 유체 처리 매체를 통하여 제 1 유동 경로로부터 제 2 출구 연결부로 연장된다. 상기 입구 연결부로 배향된 유체는 제 1 유동 경로를 따라 통과한다. 유체의 일부, 즉 여과된 것과 투과된 것은 상기 유체 처리 매체를 통하여 제 2 유체 유동 경로를 따라 제 2 출구 연결부로 통과하게 된다. 나머지 유체, 즉 잔류된 것 또는 농축된 것은 상기 제 1 유체 유동 경로를 따라 제 1 출구 연결부로 계속 진행하게 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모든 연결부 또는 일부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1)는 4개의 연결부, 즉 공급 연결부(30), 여과 연결부(31), 벤트 연결부(32) 및 드레인 연결부(33)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각각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입구 연결부(22), 출구 연결부(23), 벤트 연결부(24) 및 드레인 연결부(2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적절한 연결부를 구비한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를 정렬하는 캐리지(carriage)에 지지된다. 상기 캐리지는 다양한 형상으로 되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에 대하여 고정되거나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캐리지(26)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에 부착되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단부 인근에 위치된 대향 플레이트(27, 28)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registration mechanism)로 인하여 유체 처리 장치(11)의 연결부(22, 25)들은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30-33)에 정렬된다. 상기 표시 장치는 다양한 구조로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연결부(22-25)들이 배치되는 절개부(29)를 포함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를 향하여 및/또는 유체 처리 조립체로부터 유체를 배향하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 및 나머지 유체 시스템(미도시) 간의 경계로서 작용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들어, 매니폴드 조립체는 정형적인 형상 또는 비정형적인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일 수 있으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내측 유체 채널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하우징(34)은 브라켓(35)을 포함하며, 외측 유체 도관(36)은 상기 연결부(30, 31, 32, 33)에 연결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 및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는 다양한 구성으로 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들은 중공의 형상으로 되며, 본체(40)를 통하여 연장되는 유체 채널(41)을 구비한 길다란 형상의 본체(40)와, 상기 본체(40)의 일단부에서 노즐(42)를 수용하는 리셉터클(43) 또는 노즐(42)을 포함한다. 다양한 유형의 노즐 및 리셉터클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며 그중 일부는 WO 01/95993 A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 본체(40)의 대향 단부는 쓰레드된 커플링 또는 스웨이지록 커플링과 같은 커플링(44)을 포함하며, 이러한 커플링은 유체 도관(미도시)에 연결가능하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 및 하우징은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 및 하우징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가 모두 일단부에 있다면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일단부에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30-33) 및 하우징(34)은 양단부에서 상기 연결부(22-25)를 수용하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양단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34)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양단부를 지나서 연장되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각 단부에서의 대응 연결부(22-25)와 상기 매니폴드 연결부(30-33)를 정렬시킨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하우징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일부 또는 전부의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영구적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하우징에 반영구적으로 장착되는데, 즉 이러한 연결부의 제거는 상당한 노력 및/또는 특수한 공구를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에서, 일부 또는 전부의 연결부들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즉 상기 연결부의 제거는 상당히 용이하며 스크류 드라이버 또는 렌치와 같은 일반적인 공구를 사용하는 것을 수반할 뿐이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에 직접 탈착 가능하게되는데, 즉 상기 연결부의 제거는 그러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능하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되어, 연결부들은 탈착되거나 직접 탈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는 다수의 스냅 결합 장치에 장착된다. 상기 스냅 결합 장치의 일례는 도 1-4에 도시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하우징(34)은 상기 브라켓(35)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지지부(50)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브라켓(35)의 베이스에 고정되며 그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지지부(50)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53), 예를 들어 C-형상의 절개부가 형성된 외측 모서리(52)를 구비한다. 각각의 C-형상의 절개부(53)는 상가 절개부를 차지하도록 의도된 연결부의 본체(4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절개부(53)는 상기 절개부(53)의 직경보다 다소 작은 외측 모서리(52)의 개구(54)를 제공하는, 180도 이상을 가로지른다. 선택적으로, 상기 절개부는 180도 이하를 가로지르지만, 상기 연결부는 스냅 결합 장치 없이 절개부에 장착된다.
상기 절개부(53)에서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30-33)의 본체(40)는 사기 절개부(53)의 직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부분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그루브(60)는 상기 연결부 본체(40)의 외측 주변부에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60)의 폭은 상기 절개부(53)에서 지지부(50)의 두께에 대응되며, 상기 그루브(60)의 깊이는 적절한 직경을 제공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연결부 본체의 주변부는 적절한 직경을 제공하며, 이격되어 나란한 플랜지들은 상기 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그들 사이에 그루브를 형성한다. 상기 플랜지들 간의 거리는 상기 절개부(53)에서의 지지부의 두께에 대응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1)의 연결부(30-33)을 상기 지지부(50)에 부착하는 것,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30-33)를 직접 부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30-33)는 상기 연결부(30-33)의 그루브(60)에 지지부(50)의 모서리를 구비한 C-형상의 절개부(53)로 간단하게 슬라이딩된다. 상기 연결부(30-33)는 상기 지지부(50)의 외측 모서리(52)에서 상기 개구(54)보다 다소 큰 그루브(60)의 외경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30-33)는 보다 폭이 좁은 개구(54)를 통하여 슬라이딩하거나 이러한 폭이 좁은 연결부(54)에 의해 측면에 배치되어 유지될 때 일정 위치로 "스냅" 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30-33)의 그루브(60)에 지지부(50)의 모서리가 수용되며, 상기 연결부(30-33)는 상기 지지부(50)에 대하여 일정 위치에 축방향으로 체결된다 상기 연결부(30-33)가 상기 절개부(53)에서 일정 위치로 스냅되기 전 또는 그 후에, 유체 도관(미도시)은 상기 커플링(44)을 구비한 연결부(30-33)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50)로부터 연결부(30-33)를 분리하는 것, 예를 들어 상기 연결 부(30-33)를 직접 탈착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30-33)는 지지부(50)의 외측 모서리(52)에서의 개구(54)를 통하여 측방향으로 예를 들어 손을 이용하여 강제된다. 상기 연결부(30-33)가 상기 절개부(53)으로부터 제거되기 전 또는 그 후에, 유체 도관(미도시)은 연결부(30-33)의 단부에서의 커플링(44)으로부터 분리된다.
중공의 커플러(13)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및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정렬된 연결부들 사이에 유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는 상기 커플러 및 정렬된 연결부를 밀봉형식으로 연결하거나 분리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플러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체화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플러는 중공의 길다란 본체를 구비한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다란 본체는 일반적인 원통형 슬리브(61)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61)는 상기 슬리브(61)의 대향하는 테이퍼진 단부(63)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똑바른 보어(62)를 구비한다. 상기 보어(62)의 내경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 및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정렬된 연결부(22-25, 30-33)들의 본체의 외경에 대응된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 연결부(22-25, 30-33)들의 각각의 쌍의 본체는 상기 슬리브(61)의 보어(62)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에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상기 슬리브(61) 및 하나 또는 2개의 연결부 본체(40)는 상기 정렬된 연결부들의 쌍을 연결하고 분리하도록 상기 본체(40)의 외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커플러(13)와 상대적으로 동축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밀봉 링(64)은 상기 슬리브(61)를 슬리브(61)의 보어(62) 내의 임의의 연결부에 밀봉시키기 위하여 슬리브(61) 및 연결부의 본체(40) 사이에 배치된다. 다양한 유형의 노즐과 리셉터클을 구비한 다양한 연결부가 동일한 커플러에 의해 수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모든 연결부 본체의 외경이 상기 커플러의 내경에 대응되는 경우 그러하다.
다양한 구성의 커플러와 연결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 6a-6c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13)의 길다란 본체는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본체(40)를 구비한 정렬된 연결부들의 쌍을 수용하는 각 단부에 다양한 내경을 가진 채널을 구비한다. 상기 커플러(13) 및 하나 또는 2개의 연결부 본체(40)는 정렬된 연결부 쌍을 연결하고 분리하도록 본체(40)의 외측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기 커플러(13)와 동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도 6b 및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러(13)는 정렬된 연결부의 쌍의 본체(40)의 외측보다는 내측에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커플러(13)는 도 6b에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에서 동일한 외경을 가지거나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질 수 있다 . 상기 커플러(13) 및 하나 또는 2개의 연결부 본체(40)는 정렬된 연결부 쌍을 연결하고 분리하도록 본체(40)의 내측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커플러(13)에 동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화되며 상기 유체 초리 조립체 및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연결하고 분리하는 커플러, 및/또는 매니폴드 조립체, 유체 처리 조립체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결부 단독, 또는 연결부와 커플러는 이동 범위의 전부 또는 그 일부에서 실질적으로 동축방향으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 및 상기 캐리지는, 예를 들 어, 상기 연결부가 고정되어 있지만 커플러는 이동하거나 커플러는 고정되어 있지만 연결부는 이동하거나, 유체 처리 조립체와 매니폴드 조립체 중 하나 또는 그 둘다의 커플러와 연결부가 이동하거나, 커플러가 제거되어 유체 처리 조립체 및 매니폴드 조립체 중 하나 또는 둘다의 연결부가 이동하게 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운동을 위하여 다양한 액투에이터 조립체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각 위치 사이에서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서 운동이 행해지는 스크류 장치와 같은 구조로 된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는 운동을 일으키는 제 1 및 제 2 각 위치 사이에서 레버가 회전하는 캠 장치와 같은 구조로 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는 운동을 일으키도록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핸들이 선형적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장치와 같은 구조로 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는 연결부(22-25, 30-33) 및/또는 커플러(13)의 선택의 동축방향 운동을 행하도록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핸들(70)이 회동하는 회동 장치와 같은 구조로 될 수도 있다. 상기 회동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화될 수 있는데, 그 일례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핸들(70)에 추가하여,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의 회동 장치는 한이 핸들(70)에 연결된 링크(72) 및 하나 이상의 회동 핀(71)을 포함한다. 상기 링크는 예를 들어 유체 처리 조립체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연결부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양단부에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의 슬라이딩 플레이트(73)를 상기 레버(70)에 연결하는 링크(72)의 일례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링크(72)는 상기 핸들(70)의 회동 운동에 응답하여 커플러(13) 및/또는 연결부(22-25. 30-33)의 축에 일반적으로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73)를 선형 운동시키도록 다수의 레일(82) 및/또는 핀(812) 및 링크(80)를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 및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22-25, 30-33)는 고정되어있지만,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연결부(22-25, 30-33)들 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플레이트(73)과 같은 액튜에이터 조립체(14)에 장착된다. 상기 커플러(13)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에 영구적으로, 반영구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또는 직접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13)는 스냅 결합 장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73)에 탈착 가능하게, 예를 들어 직접적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30-33)들이 지지부(50)에 장착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슬라이딩 플레이트(73)에 장착된다. 각각의 슬라이딩 플레이트(73)는 상기 플레이트의 외측 모서리(84)의 절개부, 예를 들어 C-형상의 절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의 절개부(83), 상기 지지부(50)의 절개부(53), 상기 단부 플레이트(27, 28)의 절개부(29)는 상기 커플러(13) 및 연결부(22-25, 30-3)들을 동축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의 절개부(83)는 180도 이상에 걸쳐 있어서, 상기 절개부(83)의 내경보다 작은 외측 모서리(84)에 개구(85)를 형성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 74)의 절개부(83) 및 상기 지지부(50)의 절개부(53)는 상기 연결부(30-33) 및 대응 커플러(13)를 동축방향으로 정렬시키도록 배치된다. 유사하게,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플레이트(73)의 외측 모서리(84)에서의 개구(85)의 크기보다는 작지만 상기 절개부(83)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는 슬리브(61)의 외측 주변부에 그루브(90)를 구비한다. 상기 그루브(90)의 폭은 상기 플레이트(73)의 모서리의 두께에 대응된다.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 74)와 체결되거나 해제되도록 스냅 결합되며, 동일하게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912)의 연결부(30-33)는 상기 지지부(50)와 연결되거나 해제되도록 스냅 결합된다. 일단 상기 커플러(13)가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의 절개부(83)에서 맞물리면,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에 축방향으로 체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체 처리 장치는 다양한 작동 모드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작동모드에서, 유체 처리 조립체(11)는 도 2a 및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드 조립체(12)의 대응 연결부(30-33)와 정렬되는 연결부(22-25)를 구비한 캐리지(26)에 배치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30-33)는 상기 지지부(50)에 배치되며,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30-33)의 본체(40)를 따라서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에 배치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조립체(14)는 상기 제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70)은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예를 들어, 도 2b의 올라간 위치에서 도 3b의 내려간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의 제 1 위치에서,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유 체 처리 조립체(11)의 연결부(22-25) 및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30-3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예를 들어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 연결부(22-25)로부터 분리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의 제 1 위치에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일단부에서의 연결부(22, 24)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대응 연결부(30, 32)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유체 처리 장치(11)의 타단부에서의 연결부(23, 25)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대응 연결부(31, 33)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 및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22-25, 30-33)들을 밀봉형식으로 연결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대향 단부들에서의 연결부(22-25)들은 거의 동시에 또는 직후에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대응 연결부(30-33)에 밀봉형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70)이 상기 회동 핀(71)에 대하여 제 2 위치로 회동하면, 상기 링크(72)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단부를 향하여 선형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는 상기 슬리브(61)들이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30-33)의 본체(40)를 다라 슬라이딩하도록 강제하지만, 상기 지지부(50)는 일정 위치에 상기 연결부(30-33)를 유지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단부를 향하여 계속 이동하면, 각각의 슬리브(61) 중 일단부는 각각이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30-33)의 본체(40)를 슬라이딩 시키며, 대응하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 연결부(22-25)의 본체(40)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리브(61)의 테이퍼진 단부(63)는 상기 슬리브(61)의 보어(62)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 연결부(22-25)를 삽입하는 것을 촉진한다. 일단 상기 핸들(70)이 상기 제 2 위칭 도달하면, 각각의 슬리브(61)는 정렬된 연결부(22-25, 30-33)의 밀봉 링(64) 및 본체 (40) 양자를 연결하여,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서로 선후의 관계로 모든 정렬된 연결부(22-25, 30-33)를 밀봉형식으로 연결하게 된다.
일단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 및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22-25, 30-33)가 밀봉형식으로 연결되며, 유체, 예를 들어 기체, 액체 또는 기체와 액체의 혼합물, 및/또는 고체는 연결부(22-25, 30-33)를 통하여 배향된다. 예를 들어, 처리되어질 액체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공급 연결부(30)를 통하여 공급 도관(미도시)를 통하여 배향되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입구 연결부(22)로 배향된다. 상기 드레인 도관(미도시)는 폐쇄되어 어떠한 액체도 상기 드레인 연결부(25, 33)를 통과할 수 없다. 상기 하우징(20)을 충진하는 유체 처리 매체(21)를 통하여 하우징(20)으로 액체가 통과하면, 상기 하우징(20)내의 원래의 기체는 상기 벤트 연결부(24, 32) 및 벤트 도관(미도시)를 통하여 액체 이전에 하우징(20)으로부터 배향되게 된다. 일단 모든 기체가 통기되면, 상기 벤트 도관은 폐쇄되어 어떠한 액체도 벤트 연결부(24, 32)를 통하여 유동할 수 없다. 상기 액체의 유동은 상기 유체 처리부(21)를 통하여 입구 연결부(22)로부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출구 연결부(23)까지의 길이동안 계속되며, 따라서, 여과 연결부(31) 및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여과 도관(미도시)까지 계속된다.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를 제거하면, 상기 고급 라인을 통한 유동은 종료 되며, 드레인 라인은 개방되어, 상기 드레인 연결부(25, 33)를 경유하여 유체 처리 조립체(11)를 비우게 된다. 모든 도관은 폐쇄된다.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 및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22-25, 30-33)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는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핸드 홀드 또는 손가란 안착부(91)는 회동식 핸들(70)을 들어올리는 것을 촉진하도록 상기 브라켓(35)에 고정되어 부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핸들(70)은 상기 회동 핀(71)에 대하여 제1 위치로 회동하게 되며, 상기 링크(72)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단부로부터 선형적으로 이동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는 상기 슬리브(61)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단부로부터 상기 정렬된 연결부(22-25, 30-33)의 본체(40)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강제한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단부로부터 계속 이동되면, 각각의 슬리브(61)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대응하는 연결부(22-25)를 슬라이딩 시킨다. 일단 상기 핸들(70)이 상승된 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슬리브(61)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30-33)의 본체(40)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연결부(22-25)로부터 분리되며, 소비된 유체 처리 조립체(11)는 상기 캐리지(26)로부터 제거된다. 그 다음에 새롭거나 세척된 유체 처리 조립체가 전술한 바와같이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에 실시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플러(13)는 정렬된 연결부(22-25, 30-33)들 간의 어떠한 연결도 없이 상기 유체 처리 조립 체(11) 및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정렬된 연결부(22-25, 30-33)를 밀봉형식으로 연결시킨다. 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실시예들은 정렬된 연결부를 맞물리도록 구조화되어 있지만, 맞물림이 부족한 것은 많은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는 서로 연결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현저하게 낮은 요구 공차로 아무런 복잡성 없이 제조되는데, 예를 들어 누설 방지, 노즐 또는 리셉터클로 제조된다. 이러한 구성은 단가를 낮추고 제품 신뢰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커플러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없이 연결부들을 밀봉형식으로 연결시키기 때문에, 연결부가 노즐 및/또는 리셉터클과 오정렬되더라도, 연결부 본체가 상기 커플러의 내경(또는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또는 내경)을 구비하는 한 다양한 타입의 연결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유체 처리 장치의 다양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로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양단부에서의 연결부(22, 24, 23, 25)들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의 하나의 이동으로써 대응하는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30, 32, 31, 33)에 밀봉형식으로 연결된다. 양단부에서의 상기 연결부들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하나의 운동으로써 유사하게 분리한다. 상기 유체 처리 장치가 이러한 특징 없이 구성되는데 반하여, 양단부에서의 연결 또는 분리된 연결부는 몇가지 장점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소비된 유체 처리 조립체는 매우 신속하게 새로운 유체 처리 조립체 또는 세척된 유체 처리 조립체로 교체된다.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간단히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양단부 에서의 연결부는 상기 대응하는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들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소비된 유체 처리 조립체는 신속하게 제거된다. 유사하게, 새로운 유체 처리 조립체 또는 세척된 유체 처리 조립체가 캐리지에 배치된 후에,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양단부에서의 연결부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를 간단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대응하는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에 신속하게 연결된다. 유체 처리 조립체를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성능은 가동휴지기간을 감소시키고 다라서 시스템 출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도 2 및 3에 도시된 실시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30-33)들은 상기 지지부(5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유사하게, 상기 커플러(13)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유체 처리 조립체가 매니폴드 조립체 및 커플러에 영구적 또는 반영구적으로 장착되지만, 연결부 및/또는 커플러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은 많은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탈착가능하게 연결부 및/또는 커플러를 장착함으로써, 그들은 쉽고 완전하게 세척되거나 재개장되고 재사용될 수 있다. 착색된 유체 및 포토레지스트와 같은 부유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많은 유체는 채널 내에서 안착되어 수집되고 연결부 및 커플러 내에서 갈라져 있으며 그들을 플러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30-33)는 상기 커플링(44)에서의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유체 도관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연결부(30-33) 및/또는 커플러(13)는 탈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손으로 개구(54, 85)를 통하여 상기 절개부(53, 83)로부터 그들을 강제함으로써 상기 지지부(50)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73)로부터 직접 탈착 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연결부(30-33) 및 커플러(13)는 분해되어 세척된다. 손상된 부재, 예를 들어, 밀봉 링(64), 슬리브(61), 또는 연결 본체(40)는 교체된다. 상기 연결부(30-33) 및 커플러(13)는 그 다음에 재조립되어 상기 지지부(53)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83)에 재부착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절개부(53, 83)로 손으로 그것들을 강제함으로써 직접 재부착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30-33)는 상기 커플링(44)에서의 유체 도관에 재연결된다. 상기 연결부 및 커플러를 간편하고 신속하며 완전하게 세척하고 교체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가동휴지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유체 처리 장치의 성능을 증대시키고 출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연결부 및/또는 커플러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은 유체 처리 장치의 가변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킨다 . 예를 들어, 다양한 유형의 연결부를 구비한 유체 처리 조립체는 간편하게 분리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 및/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로부터 상응하지 않는 연결부 및/또는 커플러를 직접 분해하고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유체 도관으로부터 연결부를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매니폴드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와 양립할 수 있는 연결부 및/또는 커플러는 재부착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지지부 및/또는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직접 재부착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에 연결되며, 새로운 매니폴드 조립체 또는 커플러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매니폴드 조립체에 대하여 유지되는 재고부품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은 위에서 설명되었으며 도면에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들의 특 징 중 하나 이상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체 처리 장치의 연결부 및 유체 처리 장치의 일단부에서의 매니폴드 조립체, 예를 들어 도 1-3의 하단부는 제거될 수 있으며, 나머지 연결부는 유체 처리 조립체의 일단부, 예를 들어 상단부에 배치된다. 브라켓의 저부, 저부 지지부, 및 저부 슬라이딩 플레이트 및 상기 저부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관련된 링크의 일부는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구성은 다른 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의 하나 이상의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않는 범위내에서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및 슬라이딩 플레이트와 같은 액튜에이터 장치는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가 제 1 위치에 있으며 정렬된 연결부가 서로 분리될 때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상에 커플러가 배치되게 하도록 수정될 수 있다. 제 2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것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단부로부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의 본체상에 커플러를 슬라이딩시키며 정렬된 연결부를 밀봉형식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구성을 가진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예를 들어,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처리 장치(1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유체 처리 장치(10)에 유사하다. (양 실시예에서 유사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번호로 표시되었음). 그러나, 도 7 및 8에 도시된 유체 처리 장치(10)에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는 어떠한 커플러도 없이 정렬된 연결부(22-25, 30-33)들을 연결하 고 분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30-33)들은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의 슬라이딩 플레이트(73)를 포함하여,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에 장착된다. 그 다음에,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73)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30-33)에 대한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30-33)는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에, 예를 들어 슬라이딩 플레이트(73)에 영구적으로, 반영구적으로, 탈착가능하게 또는 직접 탈착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들어,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 연결부(30-33)들은 도 1-3의 연결부(30-33) 및 지지부(50)에서 설명된 것에 유사하게 스냅 결합 장치의 슬라이딩 플레이트(73)에 장착된다.
도 7 및 8에 도시된 상기 유체 처리 장치(10)의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는 정렬된 연결부(22-25, 30-33)를 연결하도록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정렬된 연결부(22-25, 30-33)를 분리하도록 상기 제2 위치와 제1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도 7 및 8에 도시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의 운동은 도 2 및 3에 도시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14)의 운동과 유사하다. 그러나, 도 7 및 8의 유체 처리 장치(10)에서, 정렬된 연결부(22-25, 30-33)들은 유체 처리 조립체(11)의 연결부(22-25)들을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대응 연결부(30-33)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밀봉형식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정렬된 연결부 중 하나에 있는 노즐(42)은 정렬된 연결부의 다른 부분상에 있는 대응 리셉터클(43)에서 연결된다. 정렬된 연결부를 분리하는 것은 연결부들을 분리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유체 처리 장치(10)는 도 9에서 한 쌍의 유체 처리 장치(10)가 나란하게 연 결된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0)에 영구적으로 부착된 연결부(30, 31)를 가지는 매니폴드 조립체(12)를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그러한 쌍은 연속되어 연결된다(미도시). 각각의 유체 처리 장치(10)는 도 1-3에 도시된 유체 처리 장치(10)에 유사하다. (양 실시예에서 유사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번호로 표시됨). 그러나, 도 9에 도시된 각각의 유체 처리 요소(10)에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12)의 연결부(30, 31)중 2개는, 예를 들어 용접부(92)에 의해, 지지부(50)에 영구적으로 장착된다. 도 9의 유체 처리 장치(10)의 작동은, 매니폴드 조립체(12)의 2개의 연결부(30, 31)가 부착되거나 분리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1-3의 유체 처리 장치(10)의 작동과 유사하다.
본 발명은 설명되고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모든 실시예와 수정례를 포함한다.

Claims (21)

  1. 입구 연결부와 출구 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체 처리 조립체;
    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급 연결부와, 상기 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여과 연결부를 구비하는 매니폴드 조립체; 및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공급 연결부와 여과 연결부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입구 연결부 및 출구 연결부와 각각 분리되는 제 1 위치와,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공급 연결부와 여과 연결부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입구 연결부와 출구 연결부로 각각 밀봉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장치로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공급 연결부와 여과 연결부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부들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입구 연결부와 출구 연결부를 연결하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공급 연결부와 여과 연결부는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연결부들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입구 연결부와 출구 연결부를 분리하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공급 연결부와 여과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축방향으로 체결되며 상기 지지부로부터 또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측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들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부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지지부에 부착될 수 있는, 유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캐리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들에 정렬된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들을 구비한 캐리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연결부와 출구 연결부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대향 단부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양 단부에서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공급 연결부와 여과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또는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단부를 향하거나 유체 처리 조립체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 스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 스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
  7.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연결부들의 상대적인 운동으로써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로부터 매니폴더 조립체의 연결부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와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를 분리하는 단계;
    지지부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측방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제거하는 단계;
    제거된 연결부를 정리하거나 교체하는 단계;
    정리되거나 교체된 연결부를 상기 지지부에 측방으로 부착하고 상기 지지부 상에서 정리되거나 교체된 연결부를 축방향으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정리되거나 제거된 연결부를 상기 지지부에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연결부들의 상대적인 운동으로써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정리되거나 교체된 연결부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에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정리되거나 교체된 연결부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정리되거나 교체된 연결부를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부에 정리되거나 교체된 연결부를 스냅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정리되거나 교체된 연결부를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부의 절개부로 정리되거나 교체된 연결부를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10.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연결부들의 상대적인 운동으로써 제 1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로부터 매니폴더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를 동축방향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제 1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를 분리하는 단계;
    지지부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를 측방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에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장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는 서로 다른 유형의 연결부이며, 상기 제 2 연결부를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지지부에 제 2 연결부를 측방으로 부착하고 상기 지지부의 위치에 제 2 연결부를 축방향으로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에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장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연결부의 상대적인 운동으로써 상기 제 2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구비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동축방향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2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2 연결부에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를 상기 지지부 상으로 측방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지부에 제 2 연결부를 스냅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12.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단부의 제 1 연결부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대향하는 제 2 단부의 제 2 연결부를 구비하는 유체 처리 조립체;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를 가지는 매니폴드 조립체로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정렬되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대향하는 제 2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2 연결부에 정렬되는 매니폴드 조립체; 및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와 함께 작동하도록 정렬되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액튜에이터 조립체로서, 상기 메커니즘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상기 메커니즘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밀봉 교합되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단부를 선형적으로 향하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2 연결부와 밀봉 교합되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선형적으로 향하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동시에 이동시키며, 상기 메커니즘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의 상기 메커니즘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의 밀봉 교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단부로부터 선형적으로 멀어지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2 연결부와의 밀봉 교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대향하는 제 2 단부로부터 선형적으로 멀어지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메커니즘은 제 1 위치 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피봇 회전하는 핸들을 구비한 피봇 회전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양 연결부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양 단부에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측면 플레이트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또는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단부를 향하여 또는 유체 처리 조립체의 단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
  16.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단부에서의 제 1 연결부를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정렬하고,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대향하는 제 2 단부에서의 제 2 연결부를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와 정렬하는 정렬 단계; 및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로서,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밀봉 교합되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단부를 선형적으로 향하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2 연결부와 밀봉 교합되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대향하는 제 2 단부를 선형적으로 향하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의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의 밀봉 교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1 단부로부터 선형적으로 멀어지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1 연결부와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제 2 연결부와의 밀봉 교합이 해제되도록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대향하는 제 2 단부로부터 선형적으로 멀어지는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제 2 연결부를 동시에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계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는 상기 유체 처리 조립체의 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양 연결부를 연결 및 분리시키도록 이동시키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핸들을 피봇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지지부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분리하고 상기 지지부에 정리되거나 새로운 연결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지지부로부터 상기 매니폴드 조립체의 연결부를 분리하고 상기 지지부에 또다른 제 2 연결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처리 장치의 작동 방법.
  20. 삭제
  21. 삭제
KR1020067023870A 2004-04-15 2004-04-15 유체 처리 장치 및 유체 처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KR101178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4/011520 WO2005110575A1 (en) 2004-04-15 2004-04-15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operating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203A KR20070021203A (ko) 2007-02-22
KR101178904B1 true KR101178904B1 (ko) 2012-09-03

Family

ID=35394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870A KR101178904B1 (ko) 2004-04-15 2004-04-15 유체 처리 장치 및 유체 처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767083B2 (ko)
EP (1) EP1758666B1 (ko)
JP (1) JP4585568B2 (ko)
KR (1) KR101178904B1 (ko)
WO (1) WO20051105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904B1 (ko) * 2004-04-15 2012-09-03 폴 코포레이션 유체 처리 장치 및 유체 처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US8137255B2 (en) * 2008-12-18 2012-03-20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Centrifugal separator device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US8128548B2 (en) * 2008-12-18 2012-03-06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Centrifugal separator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US8695940B2 (en) * 2009-07-09 2014-04-15 Cummins Filtration Ip, Inc. Mounting interface for a housing of a filtration module
CN103209756B (zh) * 2010-11-19 2016-05-18 3M创新有限公司 过滤系统
DE102011012519A1 (de) 2011-02-25 2012-08-30 Bwt Ag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Wasser
JP6971847B2 (ja) * 2015-02-10 2021-11-24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enkter Haftung 浄水カートリッジ用接続機構
DE102015002990A1 (de) * 2015-03-09 2016-09-29 Donaldson Filtration Deutschland Gmbh Filter und Filtersystem
US20180140974A1 (en) * 2015-05-18 2018-05-24 Roki Techno Co., Ltd. Exchange unit and flow circuit system using same
JP6687609B2 (ja) * 2015-05-18 2020-04-22 株式会社ロキテクノ 交換ユニット取り付けマニホールド
JP6827413B2 (ja) * 2015-05-19 2021-02-10 株式会社ロキテクノ 交換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れ回路システム
WO2020243303A1 (en) * 2019-05-28 2020-12-03 Entegris, Inc. Manifold with movable connectology
DE102020130284A1 (de) * 2020-11-17 2022-05-19 Bwt Holding Gmbh Anschlussbaugruppe für einen Wasserfilt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75424A (en) * 1963-04-23 1967-07-12 English Electric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filters
US3283907A (en) * 1963-08-08 1966-11-08 Bendix Corp Filter with automatic shut-off valve
US3399776A (en) * 1965-09-02 1968-09-03 Robert R. Knuth Detachable snap-on filter for a hydraulic system
US4379053A (en) * 1981-06-12 1983-04-05 Brane Earl P Filter bypass valve assembly
DE3126507A1 (de) * 1981-07-04 1983-01-20 Surculus AG, Vaduz "armatur"
US4529514A (en) * 1983-12-19 1985-07-16 Oil-Rite Corporation Filter assembly with shut off and filter element therefor
JPS60168593U (ja) * 1984-04-17 1985-11-08 岡崎 龍夫 浄水器
US4731183A (en) * 1987-01-27 1988-03-15 Ametek, Inc. Filter with valve-in-head construction
US5108598A (en) * 1990-02-14 1992-04-28 Ultra Flow, Inc. Horizontal motion quick-disconnect filter system with recirculating bypass
JPH0725272Y2 (ja) * 1990-03-02 1995-06-07 株式会社メイスイ 浄水器の取付け装置
US5192427A (en) * 1990-05-24 1993-03-09 Douglas R. Eger Shower filters and accessories
JP3304385B2 (ja) * 1992-03-27 2002-07-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濾過器
JP2594583Y2 (ja) * 1992-04-24 1999-04-26 マルヤス工業株式会社 配管クランプ装置
AU758919B2 (en) 1997-06-26 2003-04-03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Filter device and apparatus for holding the same
DE19925297C1 (de) * 1999-06-02 2000-07-13 Braun Melsungen Ag Kartuschenhalter für eine Dialysemaschine
ITTO990148U1 (it) * 1999-07-30 2001-01-30 Hospal Dasco Spa Unita' di filtrazione per una macchina di dialisi.
US6652749B2 (en) * 2000-03-01 2003-11-25 Mykrolis Corporation Disposable fluid separation device and manifold assembly design with easy change-out feature
EP1286746B1 (en) 2000-05-12 2006-02-15 Pall Corporation Filtration systems
JP4181766B2 (ja) * 2001-11-01 2008-11-19 クリタック株式会社 浄水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4125051B2 (ja) * 2002-06-20 2008-07-23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コネクタ装置のシール構造
KR101178904B1 (ko) * 2004-04-15 2012-09-03 폴 코포레이션 유체 처리 장치 및 유체 처리 장치를 작동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8666A1 (en) 2007-03-07
WO2005110575A1 (en) 2005-11-24
EP1758666A4 (en) 2007-06-20
EP1758666B1 (en) 2020-08-12
US7767083B2 (en) 2010-08-03
JP4585568B2 (ja) 2010-11-24
US20080164220A1 (en) 2008-07-10
KR20070021203A (ko) 2007-02-22
JP2007532303A (ja) 2007-11-15
US20100294709A1 (en) 2010-11-25
US8795524B2 (en) 2014-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5524B2 (en)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operating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KR100225219B1 (ko) 신속-연결 가능 일회용 분리 모듈
KR100632309B1 (ko) 사용 후 버릴 수 있는 유체 분리 장치 및 용이한 교체특성을 갖는 매니폴드 조립체 설계
US7350821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rging a dispensed fluid within a fluid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filter-free connector apparatus
CN1327157C (zh) 分离模块和固定接受器的组合件
JP5296518B2 (ja) 流体処理装置および流体処理装置の動作方法
JP5518144B2 (ja) 流体処理装置および流体処理装置の動作方法
EP1576997B1 (en) Disposable fluid separation device and manifold assembly design with easy change-out feature
US20070102924A1 (en) Separation module
KR100919569B1 (ko) 분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