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171B1 -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및 이를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 Google Patents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및 이를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171B1
KR101178171B1 KR1020070122821A KR20070122821A KR101178171B1 KR 101178171 B1 KR101178171 B1 KR 101178171B1 KR 1020070122821 A KR1020070122821 A KR 1020070122821A KR 20070122821 A KR20070122821 A KR 20070122821A KR 101178171 B1 KR101178171 B1 KR 10117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ing solution
nozzle
solution
solidification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5934A (ko
Inventor
현욱섭
이영미
권오준
이성원
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7012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1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5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6Distributing spinning solution or melt to spinnin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용액이 유입되기 위한 방사용액 유입공이 형성된 방사용액 유입판; 상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방사용액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방사용액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에 수용된 방사용액의 누수를 방지하는 수밀 스페이서; 및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수밀 스페이서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공간에 수용된 방사용액을 상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중단될 경우에는 상기 방사용액에 포함된 용매가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를 통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사노즐이 완전하게 잠길 수 있을 정도로 고화방지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 공급되고,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재개될 경우에는 상기 고화방지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을 제공한다.
전기방사, 고화방지용액, 다방(多方) 유니온, 가역펌프, 노즐, 방사용액

Description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및 이를 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Nozzle block for preventing nozzles from getting blocked and polluted and Bottom-up electrospinning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방사법에 의한 나노섬유 제조공정이 잠시 중단되었을 시 방사용액을 토출하는 노즐이 고분자물질의 고화현상에 의해 막히거나 공기 중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블록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즐블록을 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름이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1나노미터=10억 분의 1m)에 불과한 나노섬유는 종이보다 훨씬 얇고 가벼운데다 땀은 쉽게 배출하고, 박테리아와 같은 외부 물질은 침투가 안 돼 꿈의 섬유로 불린다. 이러한 나노섬유로 구성된 웹은 다공성을 갖는 분리막형 소재로서 각종 필터류, 상처치료용 드레싱, 인공지지체 등 다양한 분야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고, 점차 그 활용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이와 같이 나노 섬유가 사용되는 분야가 점차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나노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중 가장 대표적 인 것이 전기방사법이다. 전기방사(Electrospinning)법은 고분자 용액을 하전상태에서 방사하여 미세 직경의 섬유를 제조하는 기술로서, 최근에는 나노미터급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어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 전기방사법은 통상적으로 전기방사장치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전기방사장치는 컬렉터가 분사노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향식 전기방사장치와. 컬렉터가 분사노즐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 하향식 전기 방사 장치에 의하면 높은 전압이 걸려있는 노즐로 방사액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부여되는 전기력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가 점차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562006호에는 종래의 상향식 전기방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상기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는 방사용액을 보관하는 방사용액 주탱크(1), 방사용액의 정량 공급을 위한 계량펌프(2), 방사용액을 토출하는 다수개의 노즐이 배열된 노즐블록(4), 상기 노즐블록(4)에 설치된 노즐(5), 상기 노즐블록(4)으로부터 방사되는 섬유들(6)을 집적하는 컬렉터(7) 및 노즐블록(4)과 컬렉터(7) 간에 전압을 걸어주기 위한 전압발생장치(9)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5)의 출구는 상부 방향 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컬렉터(7)는 노즐블록(4)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노즐블록(4)은 노즐(5)이 배열된 노즐플레이트(4e), 노즐(5)을 감싸고 있는 노즐외경홀(4b), 노즐외경홀(4b)과 연결되며 노즐플레이트(4e) 직상단에 위치하는 방사용액 임시공급판(4d), 노즐플레이트(4e) 직하단에 위치하는 방사용액 주공급판(4f)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외경홀(4b)은 노즐(5) 출구에서 모두 섬유화되지 못하고 흘러넘치는 방사용액을 회수할 목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노즐외경홀(4b)이 회수한 방사용액은 상기 임시공급판(4d)으로 수집된다. 상기 임시공급판(4d)으로 수집된 방사용액은 방사용액 배출장치(12)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기 주탱크(1)로 이송된다. 상기 주공급판(4f)은 방사블록(4)으로 유입되는 방사용액을 저장한 후 노즐(5)로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한다.
앞서 설명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에 의하면 상기 방사용액 배출장치(12)가 상기 임시공급판(4d)에 수집된 방사용액만을 회수할 뿐 상기 주공급판(4f)에 수용된 방사용액은 회수하지 못한다. 따라서, 나노섬유 제조공정이 잠시 중단될 경우, 상기 노즐(5)은 그 내부에 여전히 잔류 방사용액을 포함한 상태로 공기 중에 노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첫째, 상기 방사용액에 포함된 용매가 증발하여 상기 용매에 용해되어 있던 고분자 물질이 상기 노즐(5) 내부에서 고화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5)이 막히게 되고, 둘째, 공기 중의 이물질에 의해 상기 노즐(5)이 오염되게 된다. 이와 같이 노즐(5)이 막히거나 오염될 경우, 상기 노즐(5)을 교체하여야 하므로 연속적인 재생 공정이 불가능하게 되고, 노즐(5)의 교체에 많은 노동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나노 섬유 제조 공정이 중간에 잠시 중단되더라도 노즐이 막히거나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블럭 및 이를 장착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사용액이 유입되기 위한 방사용액 유입공이 형성된 방사용액 유입판; 상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방사용액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방사용액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에 수용된 방사용액의 누수를 방지하는 수밀 스페이서; 및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수밀 스페이서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공간에 수용된 방사용액을 상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중단될 경우에는 상기 방사용액에 포함된 용매가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를 통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사노즐이 완전하게 잠길 수 있을 정도로 고화방지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 공급되고,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재개될 경우에는 상기 고화방지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를 형성하는 네 측면은 전기적 절연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와 하전된 상태로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방사용액 간의 전기적 상호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화방지용액의 공급 및 회수는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화방지용액 유입공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화방지용액 유입공은 배관에 의해 상기 고화방지용액을 저장하는 고화방지용액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 상에는 상기 고화방지용액을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가역펌프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화방지용액은 상기 방사용액에 포함된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방사용액 내에 포함된 용매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고화되었을 수도 있는 고분자 물질을 상기 고화방지용액이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분사노즐이 막히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중단될 경우, 상기 방사용액은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회수된다. 상기 방사용액을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회수함으로써 상기 고분자 물질이 상기 분사노즐 내부에서 고화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블록은 상기 방사용액 유입공으로부터 연장된 절연호스와 상기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방사용액 저장탱크로부터 연장된 절연호스를 연결 하는 다방(多方) 유니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사용액의 분사에 필요한 고전압은 상기 다방(多方) 유니온과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 사이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2개의 전극 중 하나를 노즐블록의 외부에 위치하는 다방 유니온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극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노즐블록을 구비하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노 섬유 제조 공정이 중간에 잠시 중단되더라도 노즐이 막히거나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첫째, 나노 섬유 제조 공정이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고, 둘째, 노즐의 교체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비용을 종래에 비해 매우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블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노즐블록이 장착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즐블록(100)은 방사용액 유입판(110)과, 수밀 스페이서(130)와,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110)에는 방사용액 저장탱크(210)(도 3 참조)에 저장 된 방사용액이 유입되기 위한 방사용액 유입공(112)이 형성된다. 도 2에는 상기 방사용액 유입공(112)의 개수가 2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보다 적게 또는 많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방사용액 유입공(112)은 절연호스(114)와 연결되고, 상기 절연호스(114)는 전기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 다방(多方) 유니온(116)(도 2 및 도 3에는 3방 유니온으로 도시됨)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다방(多方) 유니온(116)은 상기 방사용액 저장탱크(210)로부터 연장된 절연호스(118)와도 연결된다. 한편,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110)의 세 측부에는 볼트 체결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는 상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110)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는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110) 및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와 함께 상기 방사용액 유입공(112)으로 유입된 방사용액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공간(132)을 형성한다.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는 상기 공간(132)에 수용된 방사용액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등의 수밀기능이 매우 양호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의 세 측부에는 상기 볼트 체결공(120)과 위치적으로 대응되는 볼트 체결공(134)이 형성된다.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는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의 상면에 부착되어, 고화방지용액 저장탱크(169)로부터 공급된 고화방지용액을 수용한다.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방사용액이 분사노즐(102)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중단될 경우에는 상기 방사용액에 포함된 용매가 증발하여 상기 용매에 용해되어 있던 고분자 물질이 상기 분사노즐(102) 내부에서 고화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고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102)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중단될 경우에는 상기 분사노즐(102)이 고화방지용액에 완전하게 잠길 수 있을 정도로 고화방지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로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102)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재개될 경우에는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102)로부터 원활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상기 고화방지용액은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로부터 회수된다. 이하,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체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는 바닥판(160)과 측면판(170)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60)은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 및 방사용액 유입판(110) 보다 소정의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의 상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160)이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의 상면에 부착되었을 경우 상기 바닥판(160)은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 및 방사용액 유입판(110)으로부터 일측으로 부분 돌출된다(도 3 참조). 상기 바닥판(160)에는 분사노즐(102)이 결합되기 위한 노즐 체결공(162)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 체결공(162)은 상기 공간(132)에 수용된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10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공간(132)과 연통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공간(132)의 바운더리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160)의 일측부, 구체적으로 상기 수밀 스페이서(130) 및 방사용액 유입판(110)으로부터 부분 돌출된 부위에는 고화방지용액 유입공(164)이 형성되고, 상기 고화방지용액 유입공(164)은 배관(166)에 의해 상기 고화방지용액을 저장하는 고화방지용액 저장탱크(169)와 연결된다. 상기 배관(166) 상에는 상기 고화방지용액을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로 공급하거나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가역펌프(168)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바닥판(160)의 네 측부에는 볼트 체결공(161)(16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 체결공(161)은 상기 볼트 체결공(120)(134)과 위치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170)은 상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160)에 부착된다. 상기 측면판(170)의 높이(H)는 상기 분사노즐(102)의 길이(L)보다 길게 형성되는데, 이로 인해 고화방지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로 공급되었을 때 상기 분사노즐(102)이 상기 고화방지용액에 완전하게 잠길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면판(170)의 하면에는 볼트 체결홈(172)(174)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 체결홈(172)은 상기 볼트 체결공(120)(134)(161)과 위치적으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볼트 체결홈(174)은 상기 볼트 체결공(163)과 위치적으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170)은 전기적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측면판(170)과, 하전된 상태로 상기 분사노즐(102)로부터 분사되는 방사용액 간의 전기적 상호작용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방사용액 내부에 포함된 용매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는 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사용액에 포함된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방사용액 내에 포함된 용매의 증발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고화되었을 수도 있는 고분자 물질을 상기 고화방지용액이 용해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분사노즐이 막히는 현상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110), 수밀 스페이서(130), 바닥판(160) 및 측면판(170)은 볼트에 의해 결합된다. 이들의 결합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110), 수밀 스페이서(130), 바닥판(160) 및 측면판(170)을 아래부터 순차적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볼트 체결공(120)(134)(161) 및 상기 볼트 체결홈(172)에 볼트를 삽입하고, 상기 볼트 체결공(163) 및 볼트 체결홈(174)에도 볼트를 삽입한다.
앞서서는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를 바닥판(160)과 측면판(170)이 분리된 분리형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를 바닥판(160)과 측면판(170)이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는 노즐블록(100)과, 방사용액 저장탱크(210)와, 가역펌프(212)와, 고전압 인가장치(220)와 컬렉터(230)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블록(100)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노즐블록(10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방사용액 저장탱크(210)는 방사노즐(102)로부터 분사될 방사용액을 저장하고, 절연호스(118)를 통해 상기 다방 유니온(116)과 연결된다. 상기 절연호스(118) 상에는 방사용액을 상기 방사용액 저장탱크(210)로부터 상기 공간(132)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공간(132)에 수용된 방사용액을 부분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가 역펌프(212)가 장착된다.
상기 가역펌프(212)는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102)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중단될 경우 방사용액을 상기 공간(13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회수한다. 방사용액이 부분적으로 회수되면 상기 분사노즐(102) 내부는 비어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방사용액을 상기 공간(13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회수함으로써 방사용액에 용해되어 있던 고분자 물질이 상기 분사노즐(102) 내부에서 고화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다.
상기 컬렉터(230)는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102)로부터 분사될 때 생성되는 나노 섬유를 집적한다. 상기 컬렉터(230)는 상기 노즐블록(100)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기 고전압 인가장치(220)는 전기방사에 필요한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2개의 전극 중 하나는 상기 컬렉터(230)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상기 다방 유니온(116)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고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2개의 전극 중 하나를 노즐블록(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다방 유니온(116)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전극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앞서서는 상기 전극 중 하나를 상기 다방 유니온(116)에 연결하였으나, 대안으로 상기 전극 중 하나를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110) 또는 상기 바닥판(160)에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110) 또는 상기 바닥판(160)은 대전체로 형성된다.
이하, 상기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상향식 전기방사장치가 작동하면 방사용액이 상기 가역펌프(212)에 의해 상기 방사용액 저장탱크(210)로부터 상기 다방 유니온(116)으로 공급된다. 상기 방사용액은 상기 다방 유니온(116)을 통과하면서 하전된 후 상기 공간(132)으로 유입되고, 상기 공간(132)으로 유입된 방사용액은 상기 분사노즐(102)을 통해 분사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나노 섬유는 상기 컬렉터(230)에 집적된다.
한편, 이와 같은 나노 섬유 제조 공정이 도중에 중단되면, 고화방지용액이 가역펌프(168)에 의해 고화방지용액 저장탱크(169)로부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로 공급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방사노즐(102)이 막히거나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화방지용액은 상기 분사노즐(102)이 완전하게 잠길 수 있게 공급되고, 상기 가역펌프(212)에 의해 상기 방사용액이 부분적으로 회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나노 섬유 제조 공정을 재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가역펌프(168)를 이용하여 고화방지용액을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150)로부터 완전하게 회수한 다음 상기 가역펌프(212), 고전압 인가장치(220) 및 컬렉터(230)를 작동시킨다.
앞서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3은 상기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상기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블록을 포함하기만 하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도 1은 종래의 상향식 전기방사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노즐블록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노즐블록이 장착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Claims (8)

  1. 방사용액이 유입되기 위한 방사용액 유입공이 형성된 방사용액 유입판;
    상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방사용액 유입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방사용액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방사용액을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공간에 수용된 방사용액의 누수를 방지하는 수밀 스페이서; 및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기 수밀 스페이서의 상면에 부착되는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공간에 수용된 방사용액을 상부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장착되고,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중단될 경우에는 상기 방사용액에 포함된 용매가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를 통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분사노즐이 완전하게 잠길 수 있을 정도로 고화방지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 공급되고,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재개될 경우에는 상기 고화방지용액이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를 형성하는 네 측면은 전기적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방지용액의 공급 및 회수는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고화방지용액 유입공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방지용액 유입공은 배관에 의해 상기 고화방지용액을 저장하는 고화방지용액 저장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배관 상에는 상기 고화방지용액을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고화방지용액 수용부로부터 회수하기 위한 가역펌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방지용액은 상기 방사용액에 포함된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킬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용액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작업이 중단될 경우, 상기 방사용액은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회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용액 유입공으로부터 연장된 절연호스와 상기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방사용액 저장탱크로부터 연장된 절연호스를 연결하는 다방(多方) 유니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사용액의 분사에 필요한 고전압은 상기 다방(多方) 유니온과 상기 분사노즐의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 사이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노즐블록을 포함하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KR1020070122821A 2007-11-29 2007-11-29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및 이를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KR10117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21A KR101178171B1 (ko) 2007-11-29 2007-11-29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및 이를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821A KR101178171B1 (ko) 2007-11-29 2007-11-29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및 이를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34A KR20090055934A (ko) 2009-06-03
KR101178171B1 true KR101178171B1 (ko) 2012-08-29

Family

ID=40987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821A KR101178171B1 (ko) 2007-11-29 2007-11-29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및 이를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15B1 (ko) 2019-12-05 2020-11-06 박종수 노즐 막힘 방지수단을 구비한 노즐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방사장치
KR20230090156A (ko) 2021-12-14 2023-06-21 박종수 크리닝 수단을 구비한 노즐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방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8508B2 (ja) * 2010-12-06 2015-04-08 トップテック・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TOPTEC Co., Ltd. ナノ繊維製造装置
CN108754635B (zh) * 2017-01-13 2019-11-12 大连民族大学 一种静电纺丝设备和方法
KR102508086B1 (ko) * 2021-12-22 2023-03-10 주식회사 고산테크 내부 기포 제거가 용이한 멀티 니들 헤드와 이를 포함하는 액체 토출 장치 및 멀티 니들 헤드의 내부 기포 제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006B1 (ko) 2004-01-27 2006-03-22 김학용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2006B1 (ko) 2004-01-27 2006-03-22 김학용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6015B1 (ko) 2019-12-05 2020-11-06 박종수 노즐 막힘 방지수단을 구비한 노즐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방사장치
WO2021112394A1 (ko) 2019-12-05 2021-06-10 박종수 노즐 막힘 방지수단을 구비한 노즐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방사장치
KR20230090156A (ko) 2021-12-14 2023-06-21 박종수 크리닝 수단을 구비한 노즐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방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934A (ko)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171B1 (ko) 노즐의 막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노즐블록 및 이를구비한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US20090224437A1 (en) Electrostatic spray apparatus and method of electrostatic spray
KR101060224B1 (ko) 전기 방사용 분사 노즐과 이를 사용한 전기 방사 장치
CA2291411C (en) Filtering material and devic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EP2326402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etfilterelements
KR20010050045A (ko) 제진 장치 및 제진 방법
KR101816733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JP5698508B2 (ja) ナノ繊維製造装置
US20210207291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uniform deposition of polymeric nanofibers on substrate
KR20170051557A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101121091B (zh) 复合式过滤器
KR101951185B1 (ko) 습식 집진 장치의 액체 분사 장치
KR101558213B1 (ko)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KR20190024349A (ko) 정전분무 집진장치
KR20110107077A (ko) 전기방사용 방사노즐팩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995733B1 (ko) 액체분사부와 액체흐름판을 포함하는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KR102162614B1 (ko)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178645B1 (ko) 전기방사용 방사 노즐팩
JP4508105B2 (ja) 静電噴霧装置
KR100635136B1 (ko) 기능성 나노섬유를 이용한 나노섬유 필터 및 나노섬유필터의 제조방법
KR101030824B1 (ko) 전기방사용 절연 노즐팩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0595487B1 (ko) 고분자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2034311A (ja) ノズルヘッド、紡糸方法および紡糸装置
CN104060335A (zh) 气泡静电纺丝装置
KR101856964B1 (ko) 노즐에서 솔루션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상향식 전기방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