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872B1 - 싱글케이블의 컨트롤 배선 수 감소가 가능한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 - Google Patents

싱글케이블의 컨트롤 배선 수 감소가 가능한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872B1
KR101177872B1 KR1020110019581A KR20110019581A KR101177872B1 KR 101177872 B1 KR101177872 B1 KR 101177872B1 KR 1020110019581 A KR1020110019581 A KR 1020110019581A KR 20110019581 A KR20110019581 A KR 20110019581A KR 101177872 B1 KR101177872 B1 KR 101177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welding
control
control circui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옥
Original Assignee
정상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옥 filed Critical 정상옥
Priority to KR1020110019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Arrangements or circuits for arc welding with pulsed current or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제어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용접기측 제어 회로를 구비한 용접기, 및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컨트롤 배선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피더를 구비한 용접 장치에 있어서, 용접기측 제어 회로는 컨트롤 배선을 통해 와이어 피더 내의 피더측 제어 회로와 연결되고, 컨트롤 배선은 (i)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전달하는 심선, (ii) 용접 전압 조정 신호 수신용 심선, (iii) 0V 커먼 심선, (iv) 출력신호 수신용 심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피더측 제어 회로 간을 연결하며, 피더측 제어 회로는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사용하여 송급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회로와, 토오치 스위치, 인칭 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용접 전압 볼륨, 용접 전류 볼륨에 연결되는 피더 시퀀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장치를 제공하며, 이에 의해 싱글케이블에 내장된 컨트롤 배선의 수를 줄여 사용되는 싱글 케이블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종래의 싱글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는 컨트롤 배선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싱글케이블의 고장율을 낮추어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보수비용 및 보수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싱글케이블의 교체수명을 길게하여 싱글케이블 교체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원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싱글케이블의 컨트롤 배선 수 감소가 가능한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Welding machine and wire feeder diminishing the number of used control lines in a single cable}
본 발명은 용접기와 와이어 피더를 구비하는 용접 장치 및 상기 용접 장치에 적용되는 와이어 피더에 관한 것으로서, 용접기와 와이어 피더를 연결하는 싱글케이블 내의 컨트롤 배선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인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에 관한 것이다.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shield gas metal arc welding)은 보호가스로 용접분위기를 형성하여 용접효율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피복아아크 용접으로 불가능한 재질의 용접을 가능하게 하는 용접방법이다.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에는 또한 TIG(Tungsten Inert Gas) 용접법등 비(非)용극(溶極)식 용접법과, MIG(Metal Inert Gas)나 탄산가스(CO2) 또는 MAG(Metal Active Gas) 용접법등 소모성 전극을 사용하는 용극식 용접법이 있다. 용극식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에 있어서는 와이어 피더를 제공하여 소모성 전극 내지 용접봉인 금속제 와이어(wire)의 연속공급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용극식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의 일종인 탄산가스 아아크 용접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소모성 용접봉인 와이어와 용접하고자 하는 모재 사이에 전기적 아아크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아아크와 용융지 보호를 위하여 토오치 선단에 형성된 가스노즐을 통해 순수한 CO2 가스를 분출시켜 용접부 주위의 공기를 밀어내어 차단함으로써, 용접금속의 산화 및 질화를 방지하여 양호한 용접부를 형성시키는 용접방법이며, 부분별로 나누어진 철판을 지상에서 각 개별로 용접과 조립으로 제작되는 여러 개의 동체가 도크(Dock)로 운반되어져, 설계상의 위치대로 놓고 이들 간의 맞대어진 수직 또는 수평선을 따라 다시 용접조립을 실시하는, 즉 수없이 많은 용접과정이 수행되어지는 대형 선박제조분야에서 많이 사용된다.
소모성 전극 내지 용접봉인 와이어가 사용되는 용극식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기(10), 와이어 피더(20), 토오치(30)로 구성되며, 용접기(10)와 와이어 피더(20)는 싱글케이블(15)로 연결되어 있고, 와이어 피더(20)와 토오치(30)는 토오치 케이블(25)로 연결되어 있다.
싱글케이블(15) 내에는 CO2 와 같은 보호가스가 통과되는 가스관과, 용접기(10) 내의 용접 전원부에서 인출된 용접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과, 용접기(10) 내의 제어 전원부 후단에서 인출되는 각종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컨트롤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 배선은 서로 다른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수 개의 심선으로 구성된다. 토오치 케이블(25) 내에는 상기 싱글케이블(15)의 내부 구조에 더하여 와이어 피더(20)의 스풀(21)에 롤 형태로 설치된 와이어(미도시)의 공급을 위한 통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보호가스가 통과되는 가스관이 와이어 공급 통로로 사용된다. 싱글케이블(15)이나 토오치 케이블(25)의 구조는 일의적이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용접 장치의 일례에 의한 전원선 및 컨트롤 배선의 구성을 보인 간략 회로도인데, 3상 전원(40)이 마그네틱 스위치(MS; Magnetic Switch)(50)를 거쳐 용접 전원부(60)로 공급되고 용접 전원부(60)에서 인출된 전원은 SCR 출력 제어 정류기(70)에서 처리되어 용접 출력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3상 전원(40)은 용접 전원부(60)로 공급되는 것과 별도로 제어 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 전원부(80)를 거치게 되는데, 제어 전원부(80)에서는 3상 제어 교류 전원, MS 제어 교류 전원, 단상 제어 교류 전원을 출력한다.
용접기 내부에는 복수개의 제어 기판으로 구성되는 용접기측 제어 회로가 존재하며, 상기 용접기측 제어 회로는 상기 3상 제어 교류 전원, MS 제어 교류 전원, 단상 교류 제어 전원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SCR 출력 제어 정류기(70) 제어를 위한 SCR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싱글케이블(15) 내의 컨트롤 배선(15a)을 통해 각종 신호를 주고 받는다.
종래의 일반적인 싱글케이블(15)은 용접기(10)에서 와이어 피더(20)로 연결되는 컨트롤 배선(15a)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10개 내외의 심선을 갖도록 구성된다. 심선 중 몇 개는 여유분으로서 만약의 사고로 인해 사용중인 심선 중 일부가 끊어진 경우 전체 싱글케이블(15)을 교체하지 않고 끊어지지 않은 심선으로 끊어진 심선을 대체하여 사용하도록 준비된 것이다.
도 2에서 A로 표기된 심선은 용접기(10)의 출력 전압 즉 용접 전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B로 표기된 심선은 와이어의 공급 속도와 관련되는 용접 전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C로 표기된 심선은 DC 기준 전압(예를 들면, +15V DC)을 전달하는 심선이고, E로 표기된 심선은 보호가스의 개폐를 담당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심선이며, F로 표기된 심선은 토오치 스위치에 연결되는 심선이며, G로 표기된 심선은 용접 작업 없이 와이어 피더(20)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의 전후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인칭(inching) 스위치를 조작 가능하게 하는 심선이고, H로 표기된 심선은 전압 전류 조절 볼륨과 솔레노이드 밸브, 토치, 인칭의 0V 커먼 심선이고, I로 표기된 심선은 용접 작업 시에 와이어 피더(20)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를 이동시키도록 송급 모터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심선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싱글 케이블 내, 10개 내외의 심선을 갖는 컨트롤 배선 중에서 A, B, C, E, F, G, H, I 의 총 8개의 심선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이들이 용접기 내의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연결되어 제어 신호의 입출력 라인으로 기능하였다.
용접기(10) 내부에 설치된 종래의 용접기측 제어 회로의 일례가 도 2에 블럭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예에서는 용접기측 제어 회로가 제 1 제어 기판(90)과 제 2 제어 기판(1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전원부(80)에서 나온 3상 제어 교류 전원과 MS 제어 교류 전원이 제 1 제어 기판(90)에 공급되며, 제어 전원부(80)에서 나온 단상 제어 교류 전원이 제 2 제어 기판(100)에 공급된다.
제 2 제어 기판(100)은 싱글 케이블의 컨트롤 배선(15a)을 통해 와이어 피더(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컨트롤 배선에는 용접 전압(A), 용접 전류(B), DC 기준전압(C), 솔레노이드 밸브(E), 토오치 스위치(F), 인칭 스위치(G), 커먼(H), 송급 모터(I)에 연결되는 8개의 심선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제 1 제어 기판(90)은 제 2 제어 기판(100)과 연결되어 있는데, 제 1 제어 기판은, (i) DC 기준 전압 라인을 통해 제 2 제어 기판으로 DC 기준 전압을 공급하고, (ii) 0V 커먼 라인을 통해 0V 커먼 전압을 공유하며, (iii) 싱글 케이블(15) 내 컨트롤 배선(15a) 중 F 심선을 통한 토오치 스위치 조작 신호에 관련된 신호를 SCR 온오프 신호 라인 및 마그네틱 스위치 온오프 신호 라인을 통해 받아서 용접을 위한 출력 전압을 온오프하고 마그네틱 스위치(50)를 온오프 하며, (iv) 싱글 케이블(15) 내 컨트롤 배선(15a) 중 A 심선을 통한 용접 전압 조절 신호에 관련된 신호를 출력 전압 조정 신호 라인을 통해 받아서 SCR 트리거 회로(110)를 거쳐 SCR 출력 제어 정류기(70)를 제어하여 용접 전압을 조절한다.
단상 제어 교류 전원은 AC 30V로 제 2 제어 기판(100)으로 공급되고 제 2 제어 기판(100) 내의 AC-DC 변환회로를 통해 직류로 변환되어, 그 중 DC +30V는 제 2 제어 기판(100) 내의 시퀀스 제어 회로로 공급되어 릴레이 작동을 위해 사용되고(시퀀스 제어 회로가 릴레이 대신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마이콤의 사양에 따라 5~15V로 변환되어 공급됨), 그 중 DC -30V는 제 2 제어 기판(100) 내의 송급모터 구동 회로로 공급되어 심선 I를 통해서 와이어 피더(20) 내의 송급모터로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용접 장치는 싱글케이블(15) 내에 8개 혹은 그 이상의 심선을 컨트롤 배선(15a)으로 구비하였던 바, 싱글케이블(15)의 원가가 상승하고, 싱글케이블(15) 내의 컨트롤 배선(15a)으로 사용된 심선의 단선으로 인한 잦은 고장이 있어 이를 보수하기 위한 비용과 시간의 투입이 과다하며, 컨트롤 배선(15a)으로 사용되는 심선의 갯수가 많아 싱글케이블(15)의 교체 수명이 짧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용접 장치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싱글케이블에 내장된 컨트롤 배선의 수를 줄여 싱글 케이블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종래의 싱글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는 컨트롤 배선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써 싱글케이블의 고장율을 낮추어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보수비용 및 보수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싱글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 싱글케이블의 교체수명을 길게하여 싱글케이블 교체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원가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어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용접기측 제어 회로를 구비한 용접기, 상기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컨트롤 배선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피더를 구비한 용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측 제어 회로는 상기 컨트롤 배선을 통해 상기 와이어 피더 내의 피더측 제어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 배선은 (i)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전달하는 심선, (ii) 용접 전압 조정 신호 수신용 심선, (iii) 0V 커먼 심선, (iv) 출력신호 수신용 심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피더측 제어 회로 간을 연결하며,
상기 피더측 제어 회로는 상기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사용하여 송급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회로와, 토오치 스위치, 인칭 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용접 전압 볼륨, 용접 전류 볼륨에 연결되는 피더 시퀀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송급 모터가 상기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구동회로와 상기 송급 모터가 양(+)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컨트롤 배선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피더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배선은 (i)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전달하는 심선, (ii) 용접 전압 조정 신호 수신용 심선, (iii) 0V 커먼 심선, (iv) 출력신호 수신용 심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피더측 제어 회로 간을 연결하며,
상기 피더측 제어 회로는 상기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사용하여 송급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회로와, 토오치 스위치, 인칭 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용접 전압 볼륨, 용접 전류 볼륨에 연결되는 피더 시퀀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피더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송급 모터가 상기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구동회로와 상기 송급 모터가 양(+)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피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는 싱글케이블에 내장된 컨트롤 배선의 수를 종래의 8 개에서 4 개까지로 줄여 싱글 케이블의 구조를 단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싱글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되는 컨트롤 배선의 수가 획기적으로 줄어서 싱글케이블의 고장율이 낮아지는 바, 작업 생산성이 향상되고 보수비용 및 보수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싱글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컨트롤 배선 중 단선된 심선을 다른 심선으로 대체하게 되는데, 사용되지 않는 심선이 충분하여 싱글케이블의 교체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바, 싱글케이블 교체로 인한 생산성 저하와 원가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비롯한 일반적인 용접 장치의 외관 구성을 보인 것이다.
도 2는 종래 용접 장치의 일례에 의한 전원선 및 컨트롤 배선의 구성을 보인 간략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용접 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인 간략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용접 장치는 3상 전원(140)이 마그네틱 스위치(MS; Magnetic Switch)(150)를 거쳐 용접 전원부(160)로 공급되고 용접 전원부(160)에서 인출된 전원은 SCR 출력 제어 정류기(170)에서 처리되어 용접 출력으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3상 전원(140)은 용접 전원부(160)로 공급되는 것과 별도로 제어 전원 공급을 위한 제어 전원부(180)를 거치게 되는데, 제어 전원부(180)에서는 3상 제어 교류 전원, MS 제어 교류 전원, 단상 제어 교류 전원을 출력한다.
용접기 내부에는 복수개의 제어 기판으로 구성되는 용접기측 제어 회로가 구비되는데, 상기 용접기측 제어 회로는 상기 3상 제어 교류 전원, MS 제어 교류 전원, 단상 교류 제어 전원을 입력받아 처리하여 SCR 출력 제어 정류기 제어를 위한 SCR 제어 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싱글케이블(15) 내의 컨트롤 배선(15b)을 통해 각종 신호를 주고 받는다.
용접기측 제어 회로는 제 1 제어 기판(190)과 제 2 제어 기판(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전원부(180)에서 나온 3상 제어 교류 전원과 MS 제어 교류 전원이 제 1 제어 기판(190)에 공급되며, 제어 전원부(180)에서 나온 단상 제어 교류 전원이 제 2 제어 기판(200)에 공급된다.
제 2 제어 기판(200)은 싱글 케이블의 컨트롤 배선(15b)을 통해 와이어 피더(20) 내의 피더측 제어 회로(220)와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 배선(15b)은 종래의 일반적인 싱글케이블(15)과 마찬가지로 10개 내외로 하여 5 - 6개의 여유분 심선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한 개수에 맞추어 4 - 5 개의 심선을 갖도록 종래와 달리 제작될 수도 있다. 여유 분 심선이 있는 경우에는 만약의 사고로 인해 사용중인 심선 중 일부가 끊어진 경우 전체 케이블을 교체하지 않고 끊어지지 않은 심선으로 끊어진 심선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1 제어 기판(190)은 전압 제어 회로 및 MS 구동 회로를 포함하여, 전압 제어 회로는 제 2 제어 기판(200)으로 통과되어 온 출력 전압 조정 신호를 받아 SCR 트리거 회로(210)를 통해 SCR 출력 제어 정류기(170)를 조작하여 용접 출력 전압이 조정되도록 하며, MS 구동 회로는 제 2 제어 기판(200)에서 출력된 MS 구동 신호를 받아 마그네틱 스위치(MS)(150)를 구동하게 된다. 또한 제 2 제어 기판(200)에서 제 1 제어 기판(190)으로는 SCR 트리거 온/오프 신호(출력 전압 제어 신호)도 출력된다.
이와 같은 제 1 제어 기판(190)은 종래의 제 1 제어 기판(90) 다르지 않으며, 도면부호는 상이하나 동일한 회로로 구성된다.
한편, 제 2 제어 기판(200)은 시퀀스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 2 제어 기판(200)은 와이어 피더(20) 내에 구비된 피더측 제어 회로(220)와 싱글 케이블 내의 컨트롤 배선(15b)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배선(15b)은 (i)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전달하는 심선, (ii) 용접 전압 조정 신호 수신용 심선, (iii) 0V 커먼 심선, (iv) 출력신호 수신용 심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피더측 제어 회로 간을 연결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4개의 심선만 사용된다.
상기 피더측 제어 회로(220)는 상기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사용하여 송급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회로와, 토오치 스위치, 인칭 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용접 전압 볼륨, 용접 전류 볼륨에 연결되는 피더 시퀀스 회로를 구비한다.
종래에는, 단상 제어 교류 전원이 AC 30V로 제 2 제어 기판(100)으로 공급되고 제 2 제어 기판(100) 내의 AC-DC 변환회로를 통해 직류로 변환되어, DC +30V는 제 2 제어 기판(100) 내의 시퀀스 제어 회로로 공급되어 릴레이 작동을 위해 사용되고, DC -30V는 제 2 제어 기판(100) 내의 모터구동회로로 공급되어 심선 I를 통해서 와이어 피더(20) 내의 송급모터로 공급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피더(20) 내의 피더측 제어 회로(220)에 송급모터를구동하는 모터구동회로를 두고, DC +30V의 DC 기준 전압 자체로 양극성인 모터구동회로를 거쳐 송급 모터로 공급되어 작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송급 모터 및 모터구동회로를 양극성으로 마련하였다.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 피더(20) 내에 시퀀스 제어 회로 및 양극성 모터구동회로를 구비한 피더측 제어 회로(220)를 별도로 구비하며, 용접기 내측 제 2 제어 기판의 구조가 종래와 상이하다.
한편,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 용접기(10)의 제품 출시 단계에서 제 2 제어 기판이 변경된 형태로 출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기존의 용접기(10)를 그대로 사용하면서 기존의 제 2 기판(100)과 제 1 제어 기판(90)의 연결을 제거하고 본 발명의 제 2 제어 기판(200)을 용접기(10)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한 후 본 발명의 제 2 제어 기판(200)과 기존의 제 1 제어 기판(90)을 연결하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서 본 발명에서와 같은 피더측 제어 회로(220)를 구비한 와이어 피더(20)에 맞는 용접기(10)로 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와이어 피더(20)와 용접기 내부 설치용 제 2 제어 기판(200)을 패키지 형태로 판매하여 기존 용접 장치를 본 발명의 용접 장치로 개조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10: 용접기 20: 와이어 피더
15: 싱글 케이블 15a, 15b: 컨트롤 배선
40, 140: 3상 전원 50, 150: 마그네틱 스위치
60, 160: 용접 전원부 70, 170: SCR 출력 제어 정류기
80, 180: 제어 전원부 90, 190: 제 1 제어 기판
100, 200: 제 2 제어 기판 110, 210: SCR 트리거 회로
220: 피더측 제어 회로

Claims (4)

  1. 제어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용접기측 제어 회로를 구비한 용접기, 상기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컨트롤 배선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피더를 구비한 용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기측 제어 회로는 상기 컨트롤 배선을 통해 상기 와이어 피더 내의 피더측 제어 회로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 배선은 (i)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전달하는 심선, (ii) 용접 전압 조정 신호 수신용 심선, (iii) 0V 커먼 심선, (iv) 출력신호 수신용 심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피더측 제어 회로 간을 연결하며,
    상기 피더측 제어 회로는 상기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사용하여 송급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회로와, 토오치 스위치, 인칭 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용접 전압 볼륨, 용접 전류 볼륨에 연결되는 피더 시퀀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급 모터가 상기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구동회로와 상기 송급 모터가 양(+)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 장치.
  3.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컨트롤 배선으로 연결되는 와이어 피더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배선은 (i)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전달하는 심선, (ii) 용접 전압 조정 신호 수신용 심선, (iii) 0V 커먼 심선, (iv) 출력신호 수신용 심선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용접기측 제어 회로와 피더측 제어 회로 간을 연결하며,
    상기 피더측 제어 회로는 상기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사용하여 송급 모터를 구동하는 모터구동회로와, 토오치 스위치, 인칭 스위치, 솔레노이드 밸브, 용접 전압 볼륨, 용접 전류 볼륨에 연결되는 피더 시퀀스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피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급 모터는 상기 양(+)의 피더 공급 전압을 받아 구동되도록 상기 모터구동회로와 상기 송급 모터가 양(+)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피더.
KR1020110019581A 2011-03-04 2011-03-04 싱글케이블의 컨트롤 배선 수 감소가 가능한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 KR101177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81A KR101177872B1 (ko) 2011-03-04 2011-03-04 싱글케이블의 컨트롤 배선 수 감소가 가능한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581A KR101177872B1 (ko) 2011-03-04 2011-03-04 싱글케이블의 컨트롤 배선 수 감소가 가능한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872B1 true KR101177872B1 (ko) 2012-08-28

Family

ID=46887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581A KR101177872B1 (ko) 2011-03-04 2011-03-04 싱글케이블의 컨트롤 배선 수 감소가 가능한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8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65A (ko) 2015-02-05 2016-08-16 이병주 용접기의 제어장치
CN114101858A (zh) * 2021-12-09 2022-03-01 唐山松下产业机器有限公司 焊接系统和焊接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465A (ko) 2015-02-05 2016-08-16 이병주 용접기의 제어장치
CN114101858A (zh) * 2021-12-09 2022-03-01 唐山松下产业机器有限公司 焊接系统和焊接控制方法
CN114101858B (zh) * 2021-12-09 2023-07-18 唐山松下产业机器有限公司 焊接系统和焊接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73169B (zh) 多丝堆焊系统
CA2676560C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blanket gas supply control for an electrical welding apparatus
CN1701889A (zh) 多电弧焊接的系统和方法
CN102958636A (zh) 采用一体式用户界面的焊接设备
EP2969350A1 (en) Voltage sensing wire feeder with weld procedure memories
KR20080015932A (ko) 아크 용접 제어 방법
KR101073745B1 (ko) 용접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665993A (zh) 焊接设备、焊条头和方法
AU2013325412B2 (en) Non-consumable electrode welding system and welding method thereof
KR101177872B1 (ko) 싱글케이블의 컨트롤 배선 수 감소가 가능한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
CN103639605A (zh) 新型Plasma-MIG复合焊送丝机构及控制方法
EP3383572B1 (en) Welding system and method
KR20140024184A (ko) 크레이터 기능 설정이 가능한 와이어 피더
CN101474708B (zh) 用于弧焊电源实现电弧送丝的方法和系统
KR101117337B1 (ko) 다전극 위빙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장치 및 그 용접방법
CN113732446B (zh) 一种电弧空间结构可控的旁路耦合三丝间接电弧焊方法
WO2015122046A1 (ja) 多電極片面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方法、溶接物の製造方法
WO2018163808A1 (ja) アーク溶接方法
KR101014254B1 (ko)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CN205362964U (zh) 一种mig焊接和mag焊接自动切换的弧焊岛系统
CN101952073A (zh) 铝或铝合金的电焊
CN102848054A (zh) 一种单电源双丝交替脉冲燃弧焊接系统及其使用方法
KR101433721B1 (ko) 와이어 송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 용접 장치
KR101665323B1 (ko) 용접기의 제어장치
KR20140046559A (ko) 자동 용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