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254B1 -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254B1
KR101014254B1 KR1020080111049A KR20080111049A KR101014254B1 KR 101014254 B1 KR101014254 B1 KR 101014254B1 KR 1020080111049 A KR1020080111049 A KR 1020080111049A KR 20080111049 A KR20080111049 A KR 20080111049A KR 101014254 B1 KR101014254 B1 KR 101014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wire
connector
power line
wire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154A (ko
Inventor
백문준
김희수
이경래
김영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80111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2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7Means for transporting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130)의 일측에 형성된 커넥터 접속부(131)에 탈부착이 가능한 통신장치 즉, 제 2통신부(120)가 제공된다. 상기 제 2통신부(120)는 전력선 케이블(110)의 일단이 연결되는 제 1커넥터(126)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131)와 연결되는 제 2커넥터(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커넥터(126)는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의 통신선(112)이 연결되는 통신단자와,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의 제어선(114)이 연결되는 제어단자와,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의 접지선(114)이 연결되는 접지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 2커넥터(128)는 상기 커넥터 접속부(131)와 동일한 접속단자로 구비된다. 그래서 제 2통신부(120)는 용접기 본체(100)와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 상호간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제 2통신부(120)는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의 통신선(112) 또는 제어선(114)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전원 및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또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138)가 용접기 본체(100)에 의해 직접 구동되게 제어하는 제어부(12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개별 제어방식을 사용하던 기존 와이어 송급장치를 전력선 통신방식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용접기, 전력선 통신, 와이어 송급장치, 커넥터 접속부, 외장형 통신장치

Description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Communication apparatus attached to wire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와 결합하는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소모식 용접봉과 용접하고자 하는 모재 사이에 전기적 아크를 발생시키는 동시에 용접토치 선단에 형성된 가스노즐을 통해 순수한 이산화탄소가스를 분출시켜 용접부 주위의 공기를 밀어내어 차단함으로써 용접금속의 산화 및 질화를 방지하여 양호한 용접부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그와 같은 종래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설치 상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보면,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는 용접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용접기 본체(1), 용접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2) 및 용접하고자 하는 모 재(4)에 대해 용접을 직접 수행하는 용접 토치(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는 용접용 케이블을 길게 연장하면 장비를 이동시키지 않고서도 지상으로부터 높은 곳의 구조물이나 건축물 또는 선박건조 장소 등의 작업장에서 용접 작업이 가능하여 그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기 본체(1)와 떨어진 장소에서 용접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와이어 송급장치(2)에서 용접을 위해 전압 및 전류 등의 볼륨 값을 조정하거나 스위치 온/오프 조작을 하게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용접기 본체(1)와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 사이에는 전원선과는 별도로 각종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선이 반드시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제어선은 상기 용접기 본체(1)와 와이어 송급장치(2)를 연결한 케이블(5)에 내장되게 된다. 상기 제어신호에는 용접의 시작과 종료를 알리는 신호인 토치스위치신호, 와이어 송급장치(2)에 구비된 와이어 송급모터의 구동을 위한 인칭스위칭신호, 용접출력전압을 조정하는 전압조정볼륨신호, 용접 또는 인칭시 모터의 송급속도를 지시하는 전류조정볼륨신호, 와이어 송급장치(2)와 연결된 용접 토치(3)로 이산화탄소 가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가스의 개폐를 조절하는 가스밸브신호, 와이어 송급모터를 회전시켜 와이어가 송급되도록 하는 송급모터 신호 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케이블(5)에 내장된 제어선은 이들 각각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여러 가닥의 제어선이 필요하다. 보통 6 에서 18 가닥의 제어선이 연결되고 있다.
그와 같은 상기 제어선들을 이용하여 상기 용접기 본체(1)와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2) 상호간은 제어신호 및 전원이 공급되고, 이에 용접토치(3)가 용접을 하 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용접기 본체(1)와 와이어 송급장치(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가닥의 제어선이 내장된 케이블(5)로 연결되어 있어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 동작이 수행되었다. 이 경우 제어선의 배선수가 많아 상기 케이블(5)의 제조단가가 높아지게 되고, 또 여러 가닥의 제어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충격에 의한 단선 및 합선의 발생 확률이 높고, 상기 단선 및 합선이 발생하는 경우 이의 고장 지점을 찾아내기가 어려워서 빠른 수리가 되지 못하였다.
또 용접기 본체(1)와 와이어 송급장치(2) 상호간의 거리가 길어질수록 제어선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 값이 거리에 따른 저항증가로 인해 왜곡될 수 있고, 따라서 노이즈 발생으로 인해 용접품질이 저하되었다.
또 용접기 본체(1)와 와이어 송급장치(2)를 연결하는 케이블(5)이 고정되어 있어, 용접기 구성을 용접장소로 옮기는데 번거로웠다. 그리고 케이블(5)이 와이어 송급장치(2)와 고정 연결되어 있어, 와이어 송급장치(2)의 통신방식을 변경할 수가 없었다. 즉 종래 개별제어방식을 전력선 통신방식으로 변경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스 용접기에서 전력선 통신을 보다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와이어 송급장치에도 간단한 부착만으로 전력선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용접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에 구비된 커넥터 접속부; 그리고,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는, 용접 동작을 제어하는 용접기 본체와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상호간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된 전력선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송급장치 연결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전력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용접기 본체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에 필요한 전원과 제어신호를 공급하거나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를 상기 용접기 본체가 직접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에서 전달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 연결커넥터는, 상기 전력선 케이블의 통신선이 연결되는 통신단자; 상기 전력선 케이블의 제어선이 연결되는 제어단자; 그리고, 상기 전력선 케이블의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단자;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연결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동일한 접속단자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연결커넥터 및 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에 입력된 볼륨조정값, 스위치값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단자;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에 필요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자; 그리고,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자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용접기 본체와 와이어 송급장치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장치가 와이어 송급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종래의 와이어 송급장치를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전력선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용접기 본체와 원격지 간의 거리에 따른 제어 값의 변동이 없는 전력선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신호의 왜곡과 노이즈 발생이 최대한 방지되기 때문에, 용접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가 부착된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블록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전력선 케이블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를 보면,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는, 용접조건 및 용접기의 작동 상태를 제어하는 용접기 본체(100)가 구비된다.
상기 용접기 본체(100)에는 상기 용접기 본체(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 1제어부(102)와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 송급장치(130)와의 전력선 통신을 위한 제 1통신부(10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1통신부(104)는 상기 용접기 본체(100) 내에 내장되어 있는 통신모듈이다. 또 모터 제어부(106)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 제어부(106)는 용접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모터(138)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138)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통신부(104)에는 상기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전력선 케이블(110)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필요한 전원과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통신선(112)과, 와이어 송급모터(134)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제어선(114)과, 그리고 접지를 위한 접지선(116)으로 이루어진다. 즉 전력선 케이블(110)은 3가닥(3P)의 선만 형성되어 있어 그만큼 배선수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고 도면에서와 같이 각각의 선들은 충분하게 이격되어진다. 전력선 케이블(110)의 중앙에는 이산화탄소가스 공급관(1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의 타단에는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이하 '제 2통신부'라 칭함)(120)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 2통신부(120)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와 탈부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 2통신부(120)는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의 통신선(112) 또는 제어선(114)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필요한 전원 및 제어신호를 공급하거나, 상기 용접기 본체(100)의 모터 제어부(106)가 와이어 송급모터(138)를 직접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2)를 구비한다. 또 상기 제 2통신부(120)에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에서 전달된 각종 입력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부(124)가 구비된다. 이는 입력 신호의 값이 전송 중에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통신부(120)가 연결되는 와이어 송급장치(130)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는 상기 제 2통신부(120)가 커넥터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게 커넥터 접속부(131)가 구비된다. 또 와이어 송급장치(130)는 용접전압 또는 용접전류 값을 조정하기 위한 볼륨 조정부(132) 및 토치스위치 또는 인칭스위치를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값 입력부(134)가 구비된다. 또 용접 토치(140)에 이산화탄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밸브(136) 및 용접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모터(138) 등도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륨 조정부(132)와 스위치 값 입력부(134)에 의해 인가된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통신부(120)로 전달하여 용접기 본체(100)와 통신하고, 그 용접기 본체(100)로부터 상기 제 2통신부(120)를 통해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결과값을 전달받아 이를 제어하는 제 3제어부(139)가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138)로부터 용접와이어가 송급되면 용접하고자 하는 모재(150)에 대해 용접을 직접 수행하는 용접 토치(140)가 구비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보면, 제 2통신부(120)는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의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커넥터(이하, '제 1커넥터;라 함)(126)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131)와 연결되는 와이어 송급장치 연결커넥터(이하, '제 2커넥터'라 함)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커넥터(126)에는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의 통신선(112), 제어선(114), 접지선(116)이 각각 연결되도록 통신단자, 제어단자, 접지단자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 2커넥터(128)에는 상기 커넥터 접속부(131)와 동일한 접속단자가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입력된 볼륨조정값, 스위치값을 상기 제 2통신부(120)로 전송하기 위한 단자,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필요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자,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138)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자 등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제 2통신부(120)의 외관 및 골격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의 커넥터 접속부(131)와 접속 가능한 다른 형태로도 얼마든지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가 부착된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설치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보면,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제 2통신부(120)가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2통신부(120)는 착탈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제 2통신부(120)를 기존의 와이어 송 급장치의 커넥터 접속부에 연결만 하면 전력선 통신방식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본 발명에 따른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용접기 본체(100), 제 2통신부(120)가 연결된 와이어 송급장치(130), 용접토치(140)로 구성된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를 작업 현장에서 작업 가능하게 위치시킨다. 만약 와이어 송급장치(130)가 정상 동작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통신부(120)를 그 와이어 송급장치(130)에서 제거하고, 다른 와이어 송급장치의 커넥터 접속부에 상기 제 2통신부(120)를 결합하여 작업을 준비한다. 즉 커넥터 접속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제거 및 부착이 가능하다.
그런 상태에서, 작업자는 와이어 송급장치(130)의 볼륨 조정부(132) 및 스위치 값 입력부(134)를 조작하여 볼륨조정이나 스위치 값을 입력한다. 이는 용접기의 작동 및 정지를 위한 토치스위치 온/오프 조작, 와이어 송급모터(138)의 구동을 위한 인칭 스위치 온/오프 조작, 원활한 용접을 위해 전압값을 조정하는 볼륨 조정,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138)의 송급 속도를 조정하는 전류값 조정을 하는 것이다.
일단,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입력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의 제 3제어부(139)는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제 2통신부(120)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제 2통신부(120)의 A/D 변환부(124)는 상기 입력 신호 중 아날로그 값의 입력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물론 입력 신호가 디지털 값인 경우에는 A/D변환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토치스위치나 인칭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값은 디지털 값이기 때문에 변환 과정이 필요 없고, 상기 볼륨 조정부(132)에 의해 입력된 값인 전압조정값이나 전류조정값 등은 아날로그 값이기 때문에, 이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이는 전력선 통신방식이 디지털 값으로 전송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면 입력 신호의 값은 전송 중에 변경되지 않게되고, 전송거리가 길어도 저항 증가로 인해 왜곡될 염려가 없다.
상기 제 2통신부(120)의 제 2제어부(122)는 전력선 통신방식으로 상기 용접기 본체(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용접기 본체(100)에서 상기 입력신호에 대한 결과값을 수신받는다.
상기 제 2제어부(122)는 상기 용접기 본체(100)에서 수신된 결과값에 따라 제어동작을 상이하게 수행한다. 즉 상기 제 2제어부(122)는 상기 결과값이 상기 전력선 케이블(110)의 통신선(112)를 통해 전송되면, 이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필요한 전원 및 제어신호로 판단하여,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거나,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이에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의 제 3제어부(139)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상기 결과값이 상기 전력선 케이블(100)의 제어선(114)를 통해 전송되면, 이는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138)를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여, 모터 제어신호를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138)로 전달되게 한다. 즉 와이어 송급모터(138)는 상기 용접기 본체(100)의 모터제어부(106)가 직접 제어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제어선(114)는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138)의 구동제어로만 사용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용접기 본체(100)에서 가스공급을 위해 가스밸브(136) 제어신호가 전달되었다면,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130)로 전달되고, 제 3제어부(139)가 상기 가스밸브(136)의 개폐를 조절하여 가스가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와이어 송급장치(130)에 전력선 케이블과 연결되는 통신장치의 탈부착이 간단하기 때문에, 종래 와이어 송급장치의 폐기 또는 개조없이도 전력선 통신방식을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가 부착된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의 전력선 케이블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가 부착된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접기 본체 106 : 모터제어부
104 : 제 1통신부 110 : 전력선 케이블
112 : 통신선 114 : 접지선
120 : 제 2통신부 126 : 제 1커넥터
128 : 제 2커넥터 130 : 와이어 송급장치
131 : 커넥터 접속부 140 : 용접토치

Claims (5)

  1. 용접 와이어를 송급하는 와이어 송급장치에 구비되는 커넥터 접속부; 그리고,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장치는, 용접 동작을 제어하는 용접기 본체와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상호간이 전력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된 전력선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연결커넥터와,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연결되는 와이어 송급장치 연결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전력선 케이블을 통해 상기 용접기 본체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에 필요한 전원과 제어신호를 공급하거나,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를 상기 용접기 본체가 직접 구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에서 전달된 아날로그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커넥터는,
    상기 전력선 케이블의 통신선이 연결되는 통신단자;
    상기 전력선 케이블의 제어선이 연결되는 제어단자;
    상기 전력선 케이블의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단자;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연결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접속부와 동일한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 연결커넥터 및 커넥터 접속부는,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에 입력된 볼륨조정값, 스위치값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단자;
    상기 와이어 송급장치에 필요한 전원과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자; 그리고,
    상기 와이어 송급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KR1020080111049A 2008-11-10 2008-11-10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KR101014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049A KR101014254B1 (ko) 2008-11-10 2008-11-10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049A KR101014254B1 (ko) 2008-11-10 2008-11-10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154A KR20100052154A (ko) 2010-05-19
KR101014254B1 true KR101014254B1 (ko) 2011-02-16

Family

ID=42277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049A KR101014254B1 (ko) 2008-11-10 2008-11-10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91Y1 (ko) 2017-04-24 2017-12-18 김진수 범용 디지털 와이어 송급장치를 갖춘 co2 용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30Y1 (ko) * 2011-06-13 2012-04-17 한상돌 커넥터
KR102150397B1 (ko) * 2019-03-26 2020-09-01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용접 시스템의 와이어 송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587Y1 (ko) 1997-11-21 2000-06-01 추호석 싱글케이블 어댑터(Single cable adapter)
KR20010076587A (ko) * 2000-01-26 2001-08-16 김순택 저온 동작 특성이 개선된 액정 표시장치
KR100678538B1 (ko) 2005-11-02 2007-02-02 이동수 용접용 케이블을 위한 커플링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587Y1 (ko) 1997-11-21 2000-06-01 추호석 싱글케이블 어댑터(Single cable adapter)
KR20010076587A (ko) * 2000-01-26 2001-08-16 김순택 저온 동작 특성이 개선된 액정 표시장치
KR100678538B1 (ko) 2005-11-02 2007-02-02 이동수 용접용 케이블을 위한 커플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291Y1 (ko) 2017-04-24 2017-12-18 김진수 범용 디지털 와이어 송급장치를 갖춘 co2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154A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3745B1 (ko) 용접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8054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of a welder
EP2483030B1 (en) Welding system with auxiliary powered conduit used for exchanging data
CN101516561B (zh) 用于焊接机的无线远程控制通信的方法和装置
WO2014163826A1 (en) Voltage sensing wire feeder with weld procedure memories
KR101014254B1 (ko)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EP32253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led engine drive welding power supply
KR100830184B1 (ko)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2라인 제어장치
KR101939230B1 (ko) 와이어 송급장치의 컨트롤 박스
KR20140024184A (ko) 크레이터 기능 설정이 가능한 와이어 피더
US202200323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gouge torch activation
KR101177872B1 (ko) 싱글케이블의 컨트롤 배선 수 감소가 가능한 용접 장치 및 와이어 피더
KR101434265B1 (ko) 와이어 송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 용접 장치
KR101665323B1 (ko) 용접기의 제어장치
KR101230270B1 (ko) 개량형 이산화탄소 용접기
KR101433721B1 (ko) 와이어 송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 용접 장치
US20240100618A1 (en) Welding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a dedicated power and communication cable
KR101592219B1 (ko) 전압강하량 자동보정이 가능한 용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압강하량 자동보정방법
US202303986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ld process selection and isolation from a voltage sensing wire feeder
KR102405306B1 (ko) 크레이터 처리가 가능한 용접제어장치
KR102502690B1 (ko) 초기조건 및 크레이터 용접모드를 가지는 용접장치
KR102359381B1 (ko) 크레이터 처리가 가능한 용접제어장치
KR200468809Y1 (ko) 용접장치의 제어선 구조
KR20140043991A (ko) 무선통신기능이 구비된 용접장치
KR200371086Y1 (ko) 전기 용접기의 원격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