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656B1 -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656B1
KR101177656B1 KR1020110096587A KR20110096587A KR101177656B1 KR 101177656 B1 KR101177656 B1 KR 101177656B1 KR 1020110096587 A KR1020110096587 A KR 1020110096587A KR 20110096587 A KR20110096587 A KR 20110096587A KR 101177656 B1 KR101177656 B1 KR 101177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olide
lactide
caprolactone
polymer
pre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교창
송승호
백두현
지민호
최송연
박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1009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656B1/ko
Priority to PCT/KR2012/006079 priority patent/WO20130428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7/00Materials for surgical sutures or for ligaturing blood vessels ; Materials for prostheses or catheters
    • A61L17/06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 A61L17/10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7/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glycolic acid or lac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64Surgical staples, i.e. penetrating the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 방법은,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를 중합반응기에 투입하여 50 ~ 190℃의 온도에서 5 ~ 7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켜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되, 상기 ε-카프로락톤은 1회에 투입하고, 상기 글리콜라이드는 10 ~ 15분할하여 분할 투입하며, 상기 락타이드는 2 ~ 5 분할하여 분할투입하는 예비중합체 제조단계와; 상기 중합반응기에 글리콜라이드를 추가로 투입한 후 200 ~ 220℃의 온도에0.5 ~ 1.5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켜 최종중합체를 제조하는 최종중합체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Biodegradable polymer for suture and mak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분해 속도가 빠른 천연 고분자 재료인 장선(腸線, catgut)을 대체할 수 있으면서 기존의 Poly(glycolide-co-ε-caprolactone)에 비해 빠른 분해 속도를 갖는,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체분해성 봉합사는 천연 흡수성 봉합사와 합성 흡수성 봉합사로 분류할 수 있다.
천연 흡수성 봉합사는 양의 창자로부터 얻어지는 장선(腸線, catgut)이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장선은 분해 속도가 너무 빨라 이를 지연시키기 위해 크롬 처리를 한 크로믹 캣것(chromic catgut)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이종의 단백질로 이루어진 섬유이기 때문에 생체조직과의 반응이 강하고 감염률이 높은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굵기의 불균일성이 있어 가공성 또한 합성섬유에 비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그 사용량이 점점 감소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장선(catgut)을 대체하고 있는 봉합사에는 폴리글리콜라이드(PGA, Poly(glycolide))를 기반으로 한 봉합사 등이 있다.
1970년대 초반 미국 'American Cyanamid'사는 플리글리콜라이드를 사용하여 세계 최초로 상품명 'Dexon'으로 합성 흡수성 봉합사를 상품화하였으며, 1987년부터 일본의 '메디칼서플라이'사가 상품명 'Medifit'을 출시한 바 있으며, 한국의 경우 삼양사가 KIST와의 공동연구로 상품명 'Trisorb'를 2000년부터 상업화하였고 수출도 하고 있다.
그러나, 폴리글리콜라이드는 모노필라멘트로 제조시 높은 강도와 빠른 분해속도를 가진 반면, 강성이 너무 높고 뻣뻣하여 봉합과 매듭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글리콜라이드는 높은 유연성을 갖는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고분자와 블렌딩 또는 공중합하여 글리콜라이드와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인 PGCL(Poly(glycolide-co-ε-caprolactone))을 제조하는 기술이 연구되었으며, 관련 특허로 미국 등록특허 4,700,704호(특허문헌 1)의 7페이지 청구항2항에는 글리콜라이드와 ε-카프로락톤 랜덤공중합체의 제조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배향성이 낮아 봉합사로의 제조가 극히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미국 등록특허공보 4,045,418호(특허문헌 2)에는 락타이드, ε-카프로락톤, 글리콜라이드의 삼원공중합체 제조 기술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 기술에서의 락타이드 함량이 최소 60% 이상인 바, 이 경우 분해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의료 분야에서의 용도에 제한이 발생하게 된다.
US 4,700,704 (1987.10.20) US 4,145,418 (1977.08.30)
본 발명의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장선을 대체하면서도 기존의 PGCL 공중합체로 제조된 봉합사보다 빠른 분해속도를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제조 방법은,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를 중합반응기에 투입하여 50 ~ 190℃의 온도에서 5 ~ 7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켜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되, 상기 ε-카프로락톤은 1회에 투입하고, 상기 글리콜라이드는 10 ~ 15분할하여 분할 투입하며, 상기 락타이드는 2 ~ 5 분할하여 분할투입하는 예비중합체 제조단계와; 상기 중합반응기에 글리콜라이드를 추가로 투입한 후 200 ~ 220℃의 온도에0.5 ~ 1.5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켜 최종중합체를 제조하는 최종중합체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예비중합체 제조단계에서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는 55 ~ 65 : 30 ~ 20 : 15의 몰비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최종중합체 제조단계에서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는 75 : 15 ~ 18 : 10 ~ 7의 몰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예비중합체 제조단계에서 상기 글리콜라이드는 10 ~ 15분할하여 분할 투입하고, 상기 락타이드는 2 ~ 5분할하여 분할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는 상기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장선을 대체하면서도 기존의 PGCL 공중합체로 제조된 봉합사보다 빠른 분해속도를 갖는 생분해성 고분자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를 중합 반응시킬 때 반응 시간에 따른 각 단량체의 전환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도 1에 따른 공중합체의 전체 전환율에 대한 각 단량체의 상대적 전환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ε-카프로락톤과 락타이드의 조성비에 따른 예비중합체의 평균블록길이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ε-카프로락톤과 락타이드의 조성비에 따른 최종중합체의 평균블록길이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분해시간에 따른 최종중합체의 pH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분해시간에 따른 최종중합체의 무게변화율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분해시간에 따른 형태 변화를 나타낸 그림.
본 발명의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원료 물질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글리콜라이드(Glycolide)는 아래 화학식 1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녹는점이 75℃이며, 몰 질량은 116.07g/mol 이다.
Figure 112011074464922-pat0000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카프로락톤(ε-Caprolactone)은 아래 화학식 2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녹는점은 -1℃이며, 끓는점이 253℃이고, 몰 질량은 114.14 g/mol이다.
Figure 112011074464922-pat0000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락타이드(L-Lactide)는 아래 화학식3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녹는점은 95 ~ 97℃이고, 몰 질량은 144.13g/mol이다.
Figure 112011074464922-pat00003
이하, 본 발명의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제조 방법은 크게 예비중합체 제조단계와 최종중합체 제조단계로 나뉘어 구성된다.
1. 예비중합체 제조단계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를 중합반응기에 투입하여 50 ~ 190℃의 온도에서 5 ~ 7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켜 예비중합체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ε-카프로락톤은 1회에 걸쳐 중합반응기에 투입하고, 상기 글리콜라이드는 10 ~ 15분할하여 중합반응기에 분할 투입하며, 상기 락타이드는 2 ~ 5 분할하여 중합반응기에 분할 투입한다.
이때, 글리콜라이드의 가장 바람직한 분할 횟수는 10 ~ 15분할이 바람직하며, 락타이드의 경우 2 ~ 5분할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예비중합체 제조단계에서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는 55 ~ 65 : 30 ~ 20 : 15의 몰비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화학식 4는 예비중합체 제조시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의 개환반응을 이용한 중합반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74464922-pat00004
(화학식 1에서 X, Y, Z는 1 이상의 정수임)
2. 최종중합체 제조단계
상기 중합반응기에 글리콜라이드를 추가로 투입한 후 200 ~ 220℃의 온도에0.5 ~ 1.5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켜 최종중합체를 제조한다.
이때, 상기 최종중합체 제조단계에서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는 75 : 15 ~ 18 : 10 ~ 7의 몰비가 되도록 글리콜라이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비중합체 제조단계를 거친 다음 중합반응기에 글리콜라이드가 투입된 후 최종중합체 제조시의 최종 몰비는 상기 몰비가 되는 것이다.
아래 화학식 5는 최종중합 후 제조된 본 발명의 생분해성 고분자의 화학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11074464922-pat00005
(화학식 2에서 X, Y, Z, n, m, p는 1 이상의 정수임)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의 분할 투입한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각 모노머의 반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각 모노머의 조성비를 동일하게 하여 반응기에 투입한 후 20 시간 동안 중합을 시행하여 1 ~ 2 시간 동안 샘플을 채취하여 반응시간에 따른 1H-NMR 분석을 통해 반응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반응 초기에는 미반응 모노머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반응 1시간 이후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의 미반응 모노머는 소량 존재하며, 글리콜라이드 영역의 피크가 가장 많이 성장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ε-카프로락톤의 미반응 함량은 반응시간 10시간 후에도 존재하였다.
이를 통해 모노머 반응성의 순서는 글리콜라이드 > 락타이드 > ε-카프로락톤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1H-NMR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각 단량체의 반응시간에 따른 전환율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이를 토대로 미반응 단량체와 전환이 이루어진 단량체의 상대적인 비율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글리콜라이드 단량체는 ε-카프로락톤과 락타이드 단량체에 비해 반응속도가 매우 빠르며, 반응 초기에 우선적으로 중합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ε-카프로락톤은 반응속도가 가장 느리고 락타이드의 경우 글리콜라이드와 ε-카프로락톤의 중간정도의 반응성을 가진다.
반응 3시간 이후 글리콜라이드 단량체는 중합이 대부분 진행되는 반면 ε-카프로락톤은 약 60%의 전환률을 보이며 14시간이 되어야 대부분의 반응이 종결된다.
한편 락타이드는 3시간 이후 약 90%의 전환률을 보이는데 20시간 반응 후에도 미반응 모노머가 소량 존재하기 때문에 전환률 100%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각 단량체의 반응속도가 서로 차이가 있는 경우 단량체를 한번에 투입할 경우 글리콜라이드는 빠른 속도로 반응하는 반면, ε-카프로락톤의 경우 공중합체 내로 도입되지 못하고 미반응 단량체로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미반응 단량체는 결국 공중합체의 물성을 저하시키고 공정 능력을 떨어뜨리므로 제거될 필요가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미반응 단량체의 함량을 감소키기고 보다 랜덤한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여러 실험 결과에 따라 상기와 같이 단량체를 분할 투입하게 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발명자는 락타이드의 분할 투입 횟수에 따른 예비중합체의 조성 및 화학적 구조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나타내면 아래 표 1과 같다.
락타이드 분할 투입에 따른 예비중합체의 조성 및 점도 분석 결과
LA 분할투입 조성비 평균블록길이 점도
(I.V)
방식 온도(℃) Gp / Cp / Lp / Gm / Cm / Lm L GG L C L LL
1분할 50 55.6/24.7/16.4/ 0.4 / 2.2 / 0.6 2.09 1.12 3.50 0.956
2분할 50/120 55.2/25.5/16.5/ 0.3 / 1.8 / 0.7 2.40 1.14 2.88 1.008
3분할 50/120/190 54.3/28.4/15.5/ 0.3 / 0.9 / 0.6 2.33 1.14 2.59 1.012
(ε-카프로락톤과 락타이드는 2:1의 몰비일 경우, Gp : 글리콜라이드 폴리머, Cp : ε-카프로락톤 폴리머, Lp : 락타이드 폴리머, Gm : 글리콜라이드 모노머, Cm : ε-카프로락톤 모노머, Lm : 락타이드 모노머, LGG : 글리콜라이드 블록 길이, LC : ε-카프로락톤 블록 길이, LLL : 락타이드 블록 길이)
도시된 바와 같이 락타이드를 분할 투입하는 횟수가 증가할 수록 ε-카프로락톤의 미반응 모노머의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락타이드의 블록 길이 또한 더 짧아지고 점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락타이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2 ~ 5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는 최종중합체의 분해시간에 따른 모노머 함량 변화를 살펴볼 때, 분해 최기 즉, 최초 1주간에는 글리콜라이드가 분해되면서 인해 상대적으로 락타이드와 ε-카프로락톤의 상대적 함량이 증가하게 되고, 분해 1 ~ 2주차가 되면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의 함량이 감소하면서 상대적으로 ε-카프로락톤의 함량이 증가하게 된다.
분해 3주 이후에는 글리콜라이드의 상대적 함량이 다시 증가하게 되고, 락타이드와 ε-카프로락톤의 상대적 함량이 다시 감소하게 된다.
이는, 분해 초기의 글리콜라이드의 함량 감소는 글리콜라이드 비결정영역이 물의 침투가 용이한 관계로 먼저 분해됨에 따른 것으로, 사실상 분해 속도는 글리콜라이드 비결정영역 -> 락타이드 비결정역역 -> ε-카프로락톤 비결정영역 -> 글리콜라이드 결정 영역 순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락타이드는 ε-카프로락톤에 비해 분해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기존의 PGCL 공중합체보다 훨씬 빠른 분해 속도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CGC sequence는 가수분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분해가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CGC sequence의 함량이 적을수록 분해에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ε-카프로락톤이 촉매에 의해 활성화되어 글리콜라이드 유닛을 공격하는 2차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해 CGC sequence가 생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락타이드의 도입으로 인해 ε-카프로락톤의 함량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CGC 에스테르교환반응의 빈도수를 낮춰 기존의 PGCL에 비해 CGC의 함량을 줄였고, 이로 인해 빠른 분해 속도를 보이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1
초자반응기를 준비한 후 초자반응기에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를 투입하였다.
이때,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의 몰비가 55 : 36 : 9가 되도록 하였다.
개시제인 DEG는 아래 화학식 6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녹는점이 -10.45℃이고, 끓는점이 253℃이며, 몰 질량 106.12 g/mol이다.
촉매제인 Stannous octoate는 아래 화학식 7과 같은 구조를 가지며, 몰 질량이 405.1 g/mol이다.
Figure 112011074464922-pat00006
Figure 112011074464922-pat00007
상기 ε-카프로락톤은 최초에 전량을 투입하고, 글리콜라이드는 10분할하여 분할 투입하였으며, 락타이드는 5분할하여 분할 투입하였다.
반응기의 온도 조건은 50 ~ 190℃로 승온하여 유지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예비중합체를 제조한 후 반응기의 온도 조건을 198℃로 유지하면서 글리콜라이드를 추가 투입하여 1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글리콜라이드가 추가 투입됨에 따른 글리콜라이드, 카프록락톤 및 락타이드는 몰비를 기준으로 최종적으로 75 : 20 : 5가 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분자에 대한 실험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예비중합체와 최종중합체의 조성 및 화학적 구조
실시예 1에 따른 제조 방법에서 예비중합체와 최종중합체의 화학적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1H-NMR 분석을 통하여 각 공중합체의 사슬구조 변화를 확인하였다.
예비중합체 및 최종중합체, PGCL의 조성과 평균블록길이
조성 평균블록길이
L GG L C L LL
예비중합체 2.05 1.20 2.40
최종중합체 3.82 1.20 2.42
표 2는 상기 실시예에서 예비중합체와 최종중합체에서 각 단량체의 평균블록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3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진행하되, ε-카프로락톤 : 락타이드 조성 비를 다르게 하여 실험하여 이에 따른 예비중합체의 평균 블록 길이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락타이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예비중합체의 글리콜라이드, 락타이드 평균블록길이가 증가하고, ε-카프로락톤의 블록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락타이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락타이드의 블록길이가 증가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함량이 감소하는 ε-카프로락톤이 촉매에 의해 활성화되어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를 공격하는 확률이 낮아지므로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의 블록길이가 증가하는 것이다.
예비중합체 합성이 완료된 후 글리콜라이드를 추가 투입하여 얻은 최종중합체의 단량체 평균블록길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최종중합체의 화학적 구조를 확인해보면 ε-카프로락톤과 락타이드의 함량에 따른 예비중합체와 매우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1단계 반응인 예비중합체 단계에서, 반응초기 결정된 ε-카프로락톤와 락타이드의 평균 블록길이는 전체 반응에 걸쳐 거의 변화가 없지만 활성화 된 카프로일 시퀀스와 락타이딜 시퀀스에 의해 말단 에스테르화반응의 생성물인 -CGC- 또는 -LGL- 시퀀스를 유발하므로 글리콜라이드의 평균블록길이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2단계 반응에서는 글리콜라이드에 의한 동일단량체 성장 반응이 주로 일어나기 때문에 예비중합체 반응 단계에서 결정된 ε-카프로락톤과 락타이드의 평균 블록길이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이다.
이를 통해 최종중합체는 ABA 블록 공중합체 형태로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최종중합체의 화학적 구조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1단계에서 제조된 예비중합체의 화학적 구조라고 할 수 있다.
2. 최종중합체의 분해 거동 실험
상기 실시예1의 최종중합체 시료를 pH 7.4의 phosphate buffer solution(PBS)에 침지한 후 PBS 용액의 pH를 시간에 따라 pH meter(ISTEK)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이때, 비교예로 PGCL을 비교 대상으로 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또한, 분해에 따른 최종중합체의 무게 감소를 분해 전 시료의 무게에서 분해 후 시료의 무게를 뺀 후 분해 전 시료의 무게로 나눈 후 백분율하여 감소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이때, 역시 비교예로 PGCL을 비교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최종중합체는 분해 초기에 일정 강도를 유지하다가 일정 기간 이후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고분자는 PGCL 공중합체와 초기에는 비슷한 분해 거동을 보이나, 일정 기간 이후에는 더 빠른 속도로 분해됨을 알 수 있다.
3. 분해에 따른 형태 변화 실험
도 7은 상기 실시예 1의 최종중합체 시료를 ℃의 온도에서 시간에 따라 분해되는 현상을 FE-SEM으로 관찰한 이미지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면의 표에서 좌측의 PCGL은 상술한 PGCL이며, 오른쪽의 PCGLA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의해 제조된 제품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존 제품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최종중합체의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이 더 빠르게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실시예1의 제품의 분해 거동이 훨씬 빠르게 일어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를 2단계로 나누어 중합 반응시키는 과정과, 글리콜라이드와 락타이드를 각기 다르게 분할하여 투입하는 제조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예비중합체와 최종중합체의 화학적 구조를 살펴보면 락타이드의 평균블록길이와 ε-카프로락톤의 평균블록길이 변화는 거의 없는 채 최종중합체 제조시 첨가된 글리콜라이드로 인해 글리콜라이드의 평균블록길이만 증가된 ABA형의 블록 공중합체가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최종중합체는 기존의 PGCL에 비해 훨씬 빠른 분해 속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제조 방법은 봉합사 제조용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외과 수술에 적용되는 다양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Claims (5)

  1.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를 55 ~ 65 : 30 ~ 20 : 15의 몰비로 중합반응기에 투입하여 50 ~ 190℃의 온도에서 5 ~ 7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켜 예비중합체를 제조하되, 상기 ε-카프로락톤은 1회에 투입하고, 상기 글리콜라이드는 10 ~ 15분할하여 분할 투입하며, 상기 락타이드는 3 분할하여 분할투입하되, 투입 시점이 50℃, 120℃, 19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는 예비중합체 제조단계와;
    글리콜라이드, ε-카프로락톤, 락타이드가 75 : 15 ~ 18 : 10 ~ 7의 몰비가 되도록 상기 중합반응기에 글리콜라이드를 추가로 투입한 후 200 ~ 220℃의 온도에0.5 ~ 1.5 시간 동안 중합 반응시켜 최종중합체를 제조하는 최종중합체 제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봉합사용 고분자에 있어서,
    제 1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화학식이,
    Figure 112012010708508-pat00015
    이며, 상기 X, Y, Z, n, m, p는 1 이상의 정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KR1020110096587A 2011-09-23 2011-09-23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 KR101177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587A KR101177656B1 (ko) 2011-09-23 2011-09-23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
PCT/KR2012/006079 WO2013042870A1 (ko) 2011-09-23 2012-07-31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587A KR101177656B1 (ko) 2011-09-23 2011-09-23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656B1 true KR101177656B1 (ko) 2012-08-27

Family

ID=4688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587A KR101177656B1 (ko) 2011-09-23 2011-09-23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7656B1 (ko)
WO (1) WO2013042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32234B (zh) * 2017-03-06 2019-02-15 赛克赛斯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可降解的聚合物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881021B (zh) * 2021-10-20 2023-05-02 广东粤港澳大湾区黄埔材料研究院 三元共聚物、缝合线及其制备方法、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418A (en) * 1975-01-28 1977-08-30 Gulf Oil Corporation Copolymers of D,L-lactide and epsilon caprolactone
US6235869B1 (en) * 1998-10-20 2001-05-2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Absorbable polymers and surgical articles fabricated therefrom
KR20020027887A (ko) * 2000-10-06 2002-04-15 오석송 매듭강력이 우수한 수술용 봉합사
KR100453130B1 (ko) * 2001-11-21 2004-10-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구조적 배열이 일정한 생분해성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또는 락타이드/글리콜라이드)/ε-카프로락톤 멀티블록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28248B1 (ko) * 2010-06-09 2011-04-11 주식회사 메타바이오메드 수술용 봉합사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2870A1 (ko) 2013-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7048A (en) Crystalline copolymers of p-dioxanone and ε-caprolactone
EP0761712B1 (en) Bioabsorbable polymer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7148315B2 (en) Monomer addition techniques to control manufacturing of bioabsorbable copolymers
US20110015737A1 (en) Adhesion-preventing film
US20030191276A1 (en) Polymeric networks
NO160761B (no) Kirurgisk, absorbete for densf remstillig.
CN1701083A (zh) DL-丙交酯-ε-己内酯共聚物
US6048947A (en) Triblock terpolymer, its use for surgical suture material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KR101177656B1 (ko) 봉합사용 생분해성 고분자 및 제조 방법
KR100292385B1 (ko) 랜덤-블록공중합체로형성된모노필라멘트
AU631291B2 (en) Segmented copolymers of epsilon-caprolactone and glycolide
JP4022220B2 (ja) 手術用品用ブロック共重合体
JPH09132638A (ja) 生体吸収性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32318A (ko) 2개 이상의 카르복실산 기를 갖는 모놀 및 다이올 중합 개시제로부터 제조된 폴리락톤 중합체
KR100817905B1 (ko)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5357B1 (ko) 폴리락트산-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JP2020180240A (ja) ハイドロゲルおよびその作製方法
CN113881021B (zh) 三元共聚物、缝合线及其制备方法、应用
CN108659472B (zh) 基于结晶温度调控ppdo力学性能和降解速率的方法
JP2009132769A (ja) 医療用インプラント用ラクチド/ε−カプロラクトン共重合体
CN117487140A (zh) 一种具备线性降解的医用生物高分子材料及其制备与应用
Mohd Sani et al. Effect of Glutamic Acid as Additional monomer in Biodegradable Poly (xylitol sebacate glutamate) Polymer
CN117866183A (zh) 一种可吸收分段共聚物及制备方法、应用和可吸收捆绑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