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323B1 -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323B1
KR101177323B1 KR1020100064170A KR20100064170A KR101177323B1 KR 101177323 B1 KR101177323 B1 KR 101177323B1 KR 1020100064170 A KR1020100064170 A KR 1020100064170A KR 20100064170 A KR20100064170 A KR 20100064170A KR 101177323 B1 KR101177323 B1 KR 10117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ortional control
heating
room
valu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3525A (ko
Inventor
장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0006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3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3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G05D23/193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 G05D23/193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ensing the temperaure in different places in thermal relationship with one or more spac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와 난방가동여부에 따라 설정되거나,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와 난방여부와 관계없이 임의의 제어값으로 설정된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각 방의 온도차(설정온도-환수온도)에 따라 보정하여 보정비례제어값으로 비례제어구동기를 보정제어함으로써 각 방의 온열환경상태에 따라서 비례제어구동기에 의한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보다 정확히 제어하는 동시에 각 방에 최적의 난방유량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정된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에 의해 난방밸브의 개도량이 제어되면서 난방이 시작되면 설정온도와 환수온도로부터 각 방의 온도차△t와 최소온도차△tmin를 구하고, 보정값ω을 보정율ρ×(각 방의 온도차△t - △tmin)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한 후, 상기 각 방의 비례제어값에 상기 각 방의 보정값ω을 반영한 보정비례제어값을 산출하여 상기 비례제어구동기에 의한 난방밸브의 개도량제어를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HEATING CONTROL METHOD MAKING USE OF PROPORTIONAL CONTROL DRIVER}
본 발명은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와, 각 방의 온도차(설정온도-환수온도)에 따른 보정비례제어값을 산출하여 비례제어구동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돌난방제어시스템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방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면서 조절할 수 있는 실내온도조절부(10)와, 실내온도조절부로부터의 신호가 밸브제어기에 전달되면 비례제어구동기에 전달하는 밸브제어부(20)와, 밸브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비례제어구동기에서 난방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온수분베기의 공급유량을 조절하는 비례제어분배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온돌난방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종래의 난방제어방법은 현재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현재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난방을 중지하거나, 설정된 일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난방의 작동과 중지를 반복적으로 실시하거나, 이러한 두가지 방식을 조합하여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난방제어방법은 실내온도의 급격한 변화와 불필요한 난방열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특히, 설정온도와 실내온도의 온도차에 따라 난방시간을 제어하는 난방제어방법의 경우, 실내온도의 측정시 실내바닥온도가 아닌 실내공기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이때, 보일러에 의해 난방이 되면 실내바닥이 데워지면서 바닥면에 축열이 서서히 실내공기를 데우게 되고, 어느정도 난방시간이 경과되어야 실내공기가 올라가게 되므로 실내바닥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훨씬 높게 난방되어야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결국,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하여 보일러의 난방을 정지하여도 실내바닥의 축열에 의해 실내공기를 계속적으로 데우게 되므로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과열상태를 이루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특허 제371896호에는 온도센서에 의한 실내온도(T1)의 측정주기인 온도측정주기를 설정한 후, 실내온도(T1)≥설정온도(T0)이면 상기 온도측정주기동안 보일러난방을 종료하고, 실내온도(T1) 〈 설정온도(T0)이면 그 온도차(ΔT)의 크기에 따라 설정된 난방시간동안 보일러난방을 하되, 난방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온도측정주기중 남은 시간동안 보일러난방을 중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측정주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온도측정주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은 온수분배기의 난방밸브의 개폐에 따른 난방수의 유량변화와,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온도차(ΔT)의 크기에 따라 난방시간이 결정되기 때문에 난방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난방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불필요하게 늘어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최근에 와서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와 난방가동여부에 따라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여 각 방의 난방유량공급을 조절하는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화된 기술은 소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종래 난방제어방법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와 난방가동여부에 따라 설정되거나,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와 난방여부와 관계없이 임의의 제어값으로 설정된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각 방의 온도차(설정온도-환수온도)에 따라 보정하여 보정비례제어값으로 비례제어구동기를 보정제어함으로써 각 방의 온열환경상태에 따라서 비례제어구동기에 의한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보다 정확히 제어하는 동시에 각 방에 최적의 난방유량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난방배관길이(m)/10(m)의 산출식으로부터 각 방에 대한 난방배관길이의 입력값을 구하고, 각 방 난방배관길이의 입력값×(각 방 난방배관길이의 입력값÷난방배관길이의 최대입력값)의 관계식으로부터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산출하며, 100×(각 방의 비례제어값÷난방배관길이의 최대입력값)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난방밸브의 개도량(%)에 의해 제어되면서 난방이 시작되면 설정온도와 환수온도로부터 각 방의 온도차△t와 최소온도차△tmin를 구하고, 보정값ω을 보정율ρ×(각 방의 온도차△t - △tmin)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한 후, 각 방의 비례제어값+각 방의 보정값ω의 관계식으로부터 보정비례제어값을 산출한 다음, 상기 비례제어값 대신 보정비례제어값을 대입한 100×(각 방의 보정비례제어값÷난방배관길이의 최대입력값)의 관계식으로부터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재산출하여 비례제어구동기의 제어값을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매분마다 측정되는 각 방의 환수온도를 이용하여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보정함으로써 비례제어구동기에 의한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보다 정확히 제어할 수 있고, 이로부터 불필요한 과다난방이나 과소난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1은 일반적인 온돌난방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각 방의 실내온도가 설정되면 실내온도조절부(10)를 통해 밸브제어부(20)의 밸브제어기에 전달되고, 밸브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비례제어분배부(30)의 비례제어구동기가 구동되면서 난방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여 각 방에 공급되는 공급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비례제어구동기에는 각 방별로 비례제어값이 입력되고, 상기 비례제어값은 각 방의 난방배관길에 따라 최소 0에서 최대 10까지의 값으로 설정되면서 난방밸브의 개도량(0% ~ 100%)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비례제어값이 0이면 비례제어구동기는 난방밸브를 완전히 닫도록 제어하게 되고, 비례제어값이 10이면 비례제어구동기는 난방밸브를 완전히 열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하기의 표1은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에 따른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설정하는 실시예이다.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에 따른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
구분 거실 방1 방2 방3 비고
난방배관길이(m) 100 80 60 40
난방배관길이의 입력값 10 8 6 4 배관길이10m당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
10×10/10
=10
8×8/10
=6.4
6×6/10
=3.6
4×4/10
=1.6
제어되는 난방밸브의 개도량(%) 100×10/10
=100
100×6.4/10
=64
100×3.6/10
=36
100×1.6/10
=16
상기 표1은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에 따른 입력값을 설정한 후, 가장 긴 난방배관길이를 갖는 거실을 기준으로 입력값을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비례제어구동기를 제어하는 비례제어값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설정된 비례제어값에 따라 100×(각 방의 비례제어값÷난방배관길이의 최대입력값)의 관계식으로부터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산출하면 비례제어구동기에서 난방밸브를 제어하여 그 개도량(%)에 따라 각 방의 공급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거실의 난방중지시 각 방에 대한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
구분 거실 방1 방2 방3 비고
비례제어값 10 6.4 3.6 1.6
입력비례제어값 0 10 10×6/8
=7.5
10×4/8
=5
변경비례제어값 0 10
7.5×7.5/10
=5.6
5×5/10
=2.5
제어되는 난방밸브의 개도량(%) 0 100 100×5.6/10
=56
100×2.5/10
=25
상기 표2는 거실에 대한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이 "0"으로 설정되면서 난방밸브의 개도량 "0%"로 제어되어 거실의 난방이 중지되면 방1 내지 방3에 대한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변경비례제어값에 의해 비례제어구동기가 제어되면서 난방밸브의 개도량도 변경된다.
한편,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에 따라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설정하여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각 방을 난방하게 되는데, 난방중 각 방의 온열환경상태에 따라 그 환수온도가 각 방마다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방의 환수온도를 매분마다 측정한 후, 5분 간격으로 평균값을 산출하여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보정하는 데이터로 활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측정된 각 방의 환수온도를 통해 각 방의 온열환경상태를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에 반영함으로써 각 방에 최적의 난방을 구현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하기 표3은 각 방의 설정온도와 환수온도로부터 온도차△t를 구하고, 이 온도차가 반영된 보정식을 통해 비례제어구동기의 보정비례제어값을 산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각 방의 설정온도와 환수온도에 따른 온도차 및 보정비례제어값
구분 거실 방1 방2 방3 비고
설정온도(℃) 40 44 36 42 ω=보정율ρ×(각방의 △t-△tmin)
※보정율ρ= 0.5,
△tmin= 4℃
보정비례제어값=비례제어값+보정값(ω)
환수온도(℃) 36 36 32 36
온도차△t(℃) 4 8 4 6
비례제어값 10 6.4 3.6 1.6
보정값(ω) 0.5×(4-4)=0 0.5×(8-4)=2 0.5×(4-4)=0 0.5×(6-4)=1
보정비례제어값 10 8.4 3.6 2.6
상기 표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는 각 방의 환수온도를 매분마다 측정한 후, 5분 간격으로 평균값을 산출하게 되고, 각 방의 설정온도와 환수온도를 대비하여 각 방의 온도차△t를 구하였다.
그리고, 각 방의 온도차△t중 가장 작은 온도차△tmin를 정하고,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보정할 보정값ω을 보정율ρ×(각 방의 온도차△t - △tmin)의 관계식으로 산출하게 된다.
이때, 각 방의 보정값ω을 각 방의 비례제어값과 합하여 보정비례제어값을 산출한 후, 이 보정비례제어값을 난방 전에 설정된 비례제어값 대신 반영하여 보정된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산출한 후, 비례제어구동기를 보정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비례제어값 대신 보정비례제어값을 대입한 100×(각 방의 보정비례제어값÷난방배관길이의 최대입력값)의 관계식으로부터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재산출하여 비례제어구동기의 제어값을 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표3에서 방1과 방3은 설정온도와 환수온도의 온도차△t가 상대적으로 커서 그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크게 늘리도록 보정비례제어값이 보정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각 방의 설정온도와 환수온도에 따른 온도차 및 보정비례제어값
구분 거실 방1 방2 방3 비고
비례제어값 10 10 10 10 일률적으로 설정
설정온도(℃) 40 44 36 42 ω=보정율ρ×(각방의 △t-△tmin)
※보정율ρ= 0.5
△tmin= 4℃
보정비례제어값=비례제어입력값×10/최고비례제어입력값
환수온도(℃) 36 36 32 36
온도차△t(℃) 4 8 4 6
보정값(ω) 0.5×(4-
4)=0
0.5×(8-4)=2 0.5×(4-4)=
0
0.5×(6-4)=1
비례제어입력값 10+0=10 10+2=12 10+0=10 11
보정비례제어값 10×10/12=8.33 10 10×10/12=
8.33
11×10/12=9.16
표4는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와 난방여부와 관계없이 각 방에 대한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일률적으로 10으로 설정하여 난방밸브를 제어한 후, 그 비례제어값을 보정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각 방의 환수온도를 매분마다 측정한 후, 5분 간격으로 평균값을 산출하게 되고, 각 방의 설정온도와 환수온도를 대비하여 각 방의 온도차△t를 구하였다.
그리고, 각 방의 온도차△t중 가장 작은 온도차△tmin를 정하고,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보정할 보정값ω을 보정율ρ×(각 방의 온도차△t - △tmin)의 관계식으로 산출하게 된다.
이때, 각 방의 보정값ω을 각 방의 비례제어값과 합하여 비례제어입력값을 산출한 후, 이 비례제어입력값으로부터 보정비례제어값을 산출하여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보정 제어하게 된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는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와 난방여부에 따라 설정되거나, 각 방의 난방배관길이와 난방여부와 관계없이 임의의 제어값으로 설정된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각 방의 온열환경상태에 따른 각 방의 온도차(설정온도-환수온도)를 고려하여 보정한 보정비례제어값으로 비례제어구동기를 보정제어함으로써 비례제어구동기의 보정비례제어값으로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각 방의 온열환경상태에 맞춰서 보다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동시에 각 방에 최적의 난방유량이 공급될 수 있고, 이로부터 각 방에 대한 불필요한 과다난방이나 부족한 난방을 최소화하는 데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상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구성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당연하다.
10: 실내온도조절부 20: 밸브제어부 30: 비례제어분배부

Claims (2)

  1. 난방배관길이(m)/10(m)의 산출식으로부터 각 방에 대한 난방배관길이의 입력값을 구하고, 각 방 난방배관길이의 입력값×(각 방 난방배관길이의 입력값÷난방배관길이의 최대입력값)의 관계식으로부터 비례제어구동기의 비례제어값을 산출하며, 100×(각 방의 비례제어값÷난방배관길이의 최대입력값)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된 난방밸브의 개도량(%)에 의해 제어되면서 난방이 시작되면 설정온도와 환수온도로부터 각 방의 온도차△t와 최소온도차△tmin를 구하고, 보정값ω을 보정율ρ×(각 방의 온도차△t - △tmin)의 관계식으로부터 산출한 후, 각 방의 비례제어값+각 방의 보정값ω의 관계식으로부터 보정비례제어값을 산출한 다음, 상기 비례제어값 대신 보정비례제어값을 대입한 100×(각 방의 보정비례제어값÷난방배관길이의 최대입력값)의 관계식으로부터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재산출하여 비례제어구동기의 제어값을 보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
  2. 삭제
KR1020100064170A 2010-07-05 2010-07-05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 KR101177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170A KR101177323B1 (ko) 2010-07-05 2010-07-05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170A KR101177323B1 (ko) 2010-07-05 2010-07-05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25A KR20120003525A (ko) 2012-01-11
KR101177323B1 true KR101177323B1 (ko) 2012-08-30

Family

ID=45610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170A KR101177323B1 (ko) 2010-07-05 2010-07-05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902B1 (ko) * 2012-12-28 2014-11-03 주식회사 경동원 난방 부하에 따른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난방 제어시스템과 그 온도 제어방법
KR101466901B1 (ko) * 2014-02-28 2014-12-04 주식회사 개운테크노 균일 난방 방법 및 균일 난방 시스템
KR101977313B1 (ko) * 2019-01-07 2019-05-21 (주)에쎈테크 공급수온도 기반 비례 제어 온수 난방 시스템
CN112097306B (zh) * 2020-08-10 2021-09-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温差控制方法、装置、系统及热水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30B1 (ko) 2006-11-30 2007-10-17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난방 시스템의 난방 제어 방법
KR100963146B1 (ko) 2010-02-26 2010-06-15 (주)에쎈테크 정량비례제어 난방수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30B1 (ko) 2006-11-30 2007-10-17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난방 시스템의 난방 제어 방법
KR100963146B1 (ko) 2010-02-26 2010-06-15 (주)에쎈테크 정량비례제어 난방수 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525A (ko)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6850B2 (ja) 暖房装置制御方法
CN106016760B (zh) 自适应变频热泵热水采暖系统节能控制方法
KR101177323B1 (ko) 비례제어구동기를 이용한 난방제어방법
CN106766222B (zh) 热泵热水机的供水温度调节方法及装置
KR101435902B1 (ko) 난방 부하에 따른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난방 제어시스템과 그 온도 제어방법
JP2009213888A5 (ja) 呼吸装置用の加湿機及び呼吸用ガスの加湿フローを患者に送達する呼吸装置
WO2016008431A1 (zh) 一种空调控制方法和装置
KR101045510B1 (ko) 유량 온도 자동 조절 시스템 및 유량 온도 자동 조절방법
CN104729096B (zh) 热泵热水器及其电加热控制方法、装置、系统
JP5416284B2 (ja) マルチ温水器の並列運転の制御方法
ATE412936T1 (de) Heizsystemsteuerung auf der basis der erforderlichen heizleistung
CN108474587B (zh) 供暖热水兼用锅炉及其控制方法
KR100985391B1 (ko) 개별난방 제어 시스템에서 난방 부하 변동에 따른 보일러의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별난방 제어 시스템
CN106091103B (zh) 恒温供水定频热泵热水采暖系统节能控制方法
CN104567156B (zh) 用于调整传热介质的设定值温度的方法
CN104776488B (zh) 一种供热控制系统及其供热控制方法
KR101506548B1 (ko) 보일러의 난방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1233893B1 (ko) 멀티온수기의 병렬운전 제어방법
CN109642752B (zh) 具有非线性室外重置方法的锅炉集成控制件
KR101039440B1 (ko) 난방밸브의 개도량을 이용한 난방제어방법
CN104949192A (zh) 变频热泵热水器地板辐射采暖系统节能的控制方法
TWI408318B (zh) Water heater water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device
KR100993812B1 (ko) 난방밸브의 개폐에 따른 난방시간보정제어방법
US20200003431A1 (en) Pulse Modulate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Control
TW201917333A (zh) 恆溫熱水器及其恆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