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944B1 -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 Google Patents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944B1
KR101176944B1 KR1020110010013A KR20110010013A KR101176944B1 KR 101176944 B1 KR101176944 B1 KR 101176944B1 KR 1020110010013 A KR1020110010013 A KR 1020110010013A KR 20110010013 A KR20110010013 A KR 20110010013A KR 101176944 B1 KR101176944 B1 KR 101176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corice
food
bark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1470A (ko
Inventor
성정석
이광근
고건
김현석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1009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보존제를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들은 항균, 항산화 및 항암효능이 있어, 인체에 무해한 천연 식품 보존제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Natural Food Preservatives Containing Licorice Extract, Paeonia Suffruticosa Andrew Extract and Coptis Japonica Makino Ex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초, 목단피 및 황련을 용매추출, 감압농축 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체에 무해한 천연 식품 보존제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달로 인한 경제적 여유가 증가되면서 식품은 양적으로 증대되고, 질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이에 따라 편리한 식품에 대한 요구가 더욱 커졌다. 이러한 상황에 편승하여 신선편의 채소 식품류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식품 첨가제의 사용을 동반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신선편의 채소 식품류를 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부분 염소계 화학방부제를 사용하고 있다. 장기간 이러한 화학방부제를 사용시 그 독성과 자극성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기능성이 풍부한 천연 식품 보존제의 발명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천연물로 조성된 제제는 인체에 독성 및 자극성이 적고 그 작용이 일반적으로 온화하고 지속적이며, 생 분해성이 높고 환경 친화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천연 식품 보존제는 경제성이 낮거나 좁은 항균 스펙트럼 또는 물성에 의한 사용범위의 제한성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에 무해한 천연물 유래의 천연 식품 보존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보존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식품 보존제를 식품 제조 공정시 원료와 함께 배합하는 단계 또는 식품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보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보존제는 인체에 무해한 낮은 농도에서 탁월한 감균력을 지닌다. 따라서 염소계 화학방부제가 가지고 있던 독성 및 자극성으로 인한 문제점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각 추출물에 대한 항균 실험 결과 사진이다(A. E. coli에 대한 추출물 항균성, B. B. cereus에 대한 추출물 항균성, C. S. aureus에 대한 추출물 항균성).
도 2는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게 나온 조건별 추출물(감초 10, 목단피 3, 황련 15)을 1:2:7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a. DPPH 분석, b. MTT 분석).
도 3은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게 나온 조건별 추출물(감초 10, 목단피 3, 황련 15)을 1:2:7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세포독성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게 나온 조건별 추출물(감초 10, 목단피 3, 황련 15)을 1:2:7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항암 효과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a. 자궁경부암 세포, b. 간암세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보존제를 제공한다.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이며,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 L.), 만주감초(Glycyrrhiza uralensis F.)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주출경(走出莖)을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통증완화 및 해열/해독 작용이 뛰어난 효능 때문에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재이다. 목단피는 작약과 모란의 뿌리껍질로 만든 약재로서 진정작용, 항염증 효과 및 항균작용 등이 보고된바 있다. 또한 황련은 재식 5~6년 된 황련 및 왜황련의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약재로서, 진정작용, 소염작용 및 항균작용 등이 보고된바 있다.
이에 따라 감초, 목단피, 황련을 이용하여 항균, 항산화 및 항암 효능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실용적으로 이용할 다양한 기술 개발이 되어 왔으나, 이를 천연식품보존제로 개발하기 위한 발명 및 시도는 부족한 실정이다. 천연식품 보존제 개발에는 안전성, 효율성에 관한 문제 등이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천연물의 항균, 항산화 및 항암 효능을 연구하던 중 인체에 무해한 낮은 농도에서 탁월한 감균력을 지닌 감초, 목단피 및 황련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각각의 추출조건에 따른 효과를 직접적으로 평가하였으며, 혼합 추출물이 단일 추출물에 비해 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감초, 목단피 및 황련 추출물들은 항균 활성이 우수하다. 이를 포함한 식품 보존제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로는 Escherichia coli(E.coli), Bacillus cereus(B.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살모넬라 티피(Salmonella typhi), 살모넬라 갈리나리움(Salmonella gallinarium),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 비브리오 콜레라(Vibrio cholerae), Listeria(식중독균), Staphylococcus epidermidis, Salmonella enteritidis(식중독균), Pseudomonas aruginosa(식중독균)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을 적절한 비율로 조합한 혼합추출물 형태로 사용할 경우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더욱 우수한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의 중량비는 각 추출물의 농도가 동일하게 맞춰진 경우 1~2 : 1~2 : 3~8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는 유해 병원성 미생물 생육억제 및 사멸효과가 있고 식품을 무처리군에 비해 오래 유지하거나 보존하는 활성을 갖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식품의 갈변방지제, 산화방지제, 미생물 생장 억제제, 살균제, 향신료, 조미제, 방부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가 적용될 수 있는 식품의 구체적인 예로는 야채, 과일,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야채와 과일의 혼합쥬스, 칩류, 면류, 축산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유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식품 보존제는 상기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0.001 내지 30.0중량%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식품 보존 효과가 거의 없으며, 30.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여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는 상기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식품 위생목적의 다른 첨가물, 예컨대 젖산 등의 유기산이나 미생물생육 억제물질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는 식품 보존 필요성에 맞게 편리하고 적합한 방법으로 액상, 고상, 파우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제제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감초와 목단피 및 황련 각각과 용매를 혼합하여 5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200분 동안 감초, 목단피 및 황련을 가열 추출하는 단계;
각각을 여과한 후 20내지 80℃ 에서 60 내지 200분 동안 감압 농축하는 단계;
이를 동결건조 하는 단계; 및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를 동일하게 하고, 이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보존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하는 감초, 목단피 및 황련은 생으로 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을 분쇄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가열 추출 단계의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6개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및 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는 알코올, 물 또는 이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추출 효율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추출 대상물질의 중량 대비 1 내지 20배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감초 추출물 제조시에는 상기 용매로 40 내지 60vol%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목단피 추출물 제조시에는 상기 용매로 80 내지 100vol%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고, 55 내지 65℃에서 100분 내지 150분 동안 가열 추출하는 것이 좋다.
또한 황련 추출물 제조시에는 상기 용매로 40 내지 60vol% 알코올 수용액을 사용하고, 65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150분 동안 가열 추출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알코올은 에탄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감압 농축 단계의 온도는 40 내지 60℃이고, 시간은 60 내지 100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동결 건조 단계의 온도는 -70 내지 -30℃이고, 건조 기간은 1일 내지 3일 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추출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식품 보존제를 식품 제조 공정시 원료와 함께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보존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 식품 보존제를 식품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보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품 보존제에 식품을 담그거나, 담근 후 휘젓거나, 보존제를 뿌리거나, 직접 혼합함으로써 이를 식품에 고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각각의 추출물 제조
건조된 감초, 목단피, 황련 각각 50g에 70%에탄올(30% 3차 증류수) 500ml를 가한 후, 180분 동안 80 내지 85℃에서 가열추출 하였다. 이 에탄올 추출물을 여과시킨 후, Rotary vacuum evaporator(RE-111, Buchi Co., Zurich, Switzerland)를 사용하여 40 내지 45℃에서 60 내지 95분 동안 감압농축 하였고, 최종적으로 농축된 추출물을 동결건조기 (Ilshin Lab Co., Seoul, Korea)을 사용하여 -50℃에서 48시간 동결건조하여 건조된 감초, 목단피, 황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의 농도는 각각 감초 137㎍/㎕, 목단피 144㎍/㎕, 황련 129㎍/㎕ 로 나타났는데, 이를 각각 최종 농도가 100㎍/㎕이 되도록 맞추어 이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추출 조건 별 추출물 제조
항균 및 다른 기능(항산화, 항암) 효과가 우수한 추출조건 확립을 위하여 용매(물 100%, 에탄올 100%, 물50%/에탄올50%), 온도(60℃, 70℃, 80℃), 추출시간(1, 2, 3시간) 별로 3가지 범주를 설정하여 중심 합성 계획법에 따라 15가지 감초, 목단피, 황련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전반적인 추출물 제조과정은 실시예1과 동일하다. 각각의 조건은 다음 표 1과 같다.
 추출조건 추출용매 추출온도 추출시간
1 물 100% 60℃ 2 시간
2 물 100% 80℃ 2 시간
3 에탄올 100% 60℃ 2 시간
4 에탄올 100% 80℃ 2 시간
5 물 100% 70℃ 1 시간
6 물 100% 70℃ 3 시간
7 에탄올 100% 70℃ 1 시간
8 에탄올 100% 70℃ 3 시간
9 물 50% + 에탄올 50% 60℃ 1 시간
10 물 50% + 에탄올 50% 60℃ 3 시간
11 물 50% + 에탄올 50% 80℃ 1 시간
12 물 50% + 에탄올 50% 80℃ 3 시간
13 물 50% + 에탄올 50% 70℃ 2 시간
14 물 50% + 에탄올 50% 70℃ 2 시간
15 물 50% + 에탄올 50% 70℃ 2 시간
이하 각각의 조건으로 추출된 조건별 추출물에 각각의 조건이 지칭하는 상기 번호를 부여하여 기재한다.
[실험예]
< 실험예 1> 항균 효과 실험
항균 실험은 종이 디스크(paper disc)를 이용한 한천 확산(agar diffusion)으로 측정하였다. 사용한 균주 및 대상균을 증식시키 위한 액체배지는 식품보존제의 억가측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였으며 표 2와 같다. 특히 Escherichia coli(E.coli)는 대표적인 채소류 오염 지표균이며, Bacillus cereus(B. cereus)와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는 대표적인 채소류 식품 병원성 지표균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간주하고 있다.
구분 시험균주 배지 배양시간 온도
그람양성세균 Bacillus cereus Trypticase Soy Broth 18 시간 37℃
Staphylococcus aureus 16 시간
그람음성세균 Escherichia coli 15 시간
배양접시에 Paper disc diffusion assay 전용 고체배지인 Mueller Hinton Ⅱ Agar 15~20㎖를 부어 굳힌 후,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시료액을 배지에 올려 놓은 Paper disc(지름: 6mm)에 20㎕를 흡수시킨 다음 검정균 배양조건에 따라 일정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형성된 생육 저지환 직경을 측정하는 방법을 통해 항균력을 알아보았다. 실시예 1의 각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도 1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조건별 추출물에 대한 결과를 표 3 내지 5에 기재하였다. 카나마이신(1.5㎍/㎕)은 대조군으로 사용되었다.
대상시료 생육저지환
E. coli
(ATCC 25922)
B. cereus
(ATCC 14579)
S. aureus
(ATCC 25923)
카나마이신(1.5 ㎍/㎕) 18.3 ± 0.76 20.1 ± 0.59 19.9 ± 0.72
감초추출물(실시예 1) 8.05 ± 1.09 13.3 ± 0.24 15.1 ± 0.19
조건별 감초추출물 1 -- -- 10.2 ± 0.62
조건별 감초추출물 2 -- 9.09 ± 0.36 10.3 ± 0.39
조건별 감초추출물 3 -- 11.4 ± 0.24 12.3 ± 0.43
조건별 감초추출물 4 -- 10.7 ± 0.26 12.2 ± 0.16
조건별 감초추출물 5 -- -- 10.0 ± 0.31
조건별 감초추출물 6 -- 9.16 ± 0.31 10.7 ± 0.21
조건별 감초추출물 7 -- 11.3 ± 0.22 11.6 ± 0.22
조건별 감초추출물 8 -- 10.8 ± 0.49 12.2 ± 0.31
조건별 감초추출물 9 -- 13.5 ± 0.37 13.9 ± 0.48
조건별 감초추출물 10 -- 14.1 ± 0.42 14.3 ± 0.79
조건별 감초추출물 11 -- 12.8 ± 0.57 13.5 ± 0.30
조건별 감초추출물 12 -- 12.8 ± 0.25 14.3 ± 0.22
조건별 감초추출물 13 -- 13.2 ± 0.26 14.0 ± 0.30
조건별 감초추출물 14 -- 11.0 ± 0.50 14.1 ± 0.27
조건별 감초추출물 15 -- 13.8 ± 0.05 14.1 ± 0.36
대상시료 생육저지환
E. coli
(ATCC 25922)
B. cereus
(ATCC 14579)
S. aureus
(ATCC 25923)
카나마이신(1.5 ㎍/㎕) 24.54 ± 0.74 17.6 ± 0.84 20.4 ± 0.69
목단피추출물(실시예 1) 7.72 ± 0.36 12.5 ± 0.54 10.5 ± 0.25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1 9.69± 0.45 8.11 ± 0.18 -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2 8.58 ± 0.42 7.50 ± 0.32 -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3 14.1 ± 0.51 10.7 ± 0.10 10.7 ± 0.38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4 10.1 ± 0.31 11.4 ± 0.53 11.2 ± 0.11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5 9.91 ± 0.56 8.87 ± 0.37 9.18 ± 0.50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6 10.4 ± 0.22 8.25 ± 0.37 8.94 ± 0.34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7 10.7 ± 0.34 10.2 ± 0.38 10.4 ± 0.44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8 11.5 ± 0.47 11.0 ± 0.23 11.6 ± 0.24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9 9.55 ± 0.70 11.2 ± 0.59 11.2 ± 1.01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10 10.8 ± 0.61 11.2 ± 0.24 10.9 ± 0.26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11 10.8 ± 0.55 10.6 ± 0.27 11.4 ± 0.30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12 10.5 ± 0.42 11.6 ± 0.21 11.1 ± 0.19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13 11.1 ± 0.62 11.1 ± 0.34 9.70 ± 0.86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14 10.8 ± 0.25 10.8 ± 0.45 10.8 ± 0.67
조건별 목단피추출물 15 11.0 ± 0.25 11.1 ± 0.56 10.2 ± 1.20
대상시료 생육저지환
E. coli
(ATCC 25922)
B. cereus
(ATCC 14579)
S. aureus
(ATCC 25923)
카나마이신(1.5 ㎍/㎕) 23.6 ± 0.75 18.7 ± 1.59 19.5 ± 1.55
황련추출물(실시예 1) 8.31 ± 0.22 10.6 ± 0.50 14.8 ± 0.45
조건별 황련추출물 1 9.47 ± 0.27 15.2 ± 0.50 12.8 ± 0.48
조건별 황련추출물 2 8.00 ± 0.26 16.7 ± 0.01 13.0 ± 0.27
조건별 황련추출물 3 10.7 ± 0.61 12.9 ± 0.65 13.4 ± 0.34
조건별 황련추출물 4 8.78 ± 0.14 13.2 ± 0.23 11.4 ± 0.17
조건별 황련추출물 5 11.2 ± 0.91 14.3 ± 0.62 14.0 ± 0.58
조건별 황련추출물 6 11.7 ± 0.61 13.9 ± 0.70 12.4 ± 0.49
조건별 황련추출물 7 11.7 ± 0.40 15.1 ± 0.52 13.6 ± 0.30
조건별 황련추출물 8 10.7 ± 1.17 15.6 ± 0.28 14.2 ± 0.49
조건별 황련추출물 9 11.5 ± 0.60 15.5 ± 0.39 13.1 ± 0.29
조건별 황련추출물 10 10.4 ± 0.76 14.3 ± 0.16 14.7 ± 0.45
조건별 황련추출물 11 11.0 ± 0.62 14.2 ± 0.04 15.2 ± 0.46
조건별 황련추출물 12 10.5 ± 0.31 15.4 ± 0.30 12.7 ± 0.50
조건별 황련추출물 13 10.8 ± 1.33 15.3 ± 0.29 13.3 ± 0.47
조건별 황련추출물 14 11.0 ± 0.65 15.8 ± 0.29 13.5 ± 0.13
조건별 황련추출물 15 10.6 ± 0.84 16.5 ± 0.37 13.6 ± 0.56
감초추출물(실시예 1)의 경우 그람음성균인 E. coli에 대해서는 다소 약한 항균력을 보이는 반면, 그람양성균인 B. cereus와 S. aureus에 대해서는 탁월한 항균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건별 감초추출물(실시예 2의 1 내지 15번 조건)의 경우 E. coli에 대해서는 항균성이 없는 반면, B. cereus와 S. aureus에 대해서는 본래 감초추출물(실시예 1)에 버금가거나, 더 우수한 항균성을 보였다.
목단피 추출물(실시예 1)의 경우, 그람음성균인 E. coli 및 그람양성균인 B. cereus와 S. aureus에 대해서 모두 탁월한 항균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건별 목단피 추출물(실시예 2의 1 내지 15번 조건)의 경우 또한 모든 검정균에 대해서 본래 목단피 추출물(실시예 1)에 버금가거나, 더 우수한 항균성을 보였다. 또한, 목단피 조건별 추출물(실시예 2의 1 내지 15번 조건)의 항균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 물 100%로 추출한 목단피의 경우는 에탄올 혼합 및 순수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항균성이 다소 미약함을 알 수 있었다.
황련추출물(실시예 1)의 경우, 그람음성균인 E. coli 및 그람양성균인 B. cereus와 S. aureus에 대해서 모두 탁월한 항균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조건별 황련추출물(실시예 2의 1 내지 15번 조건)의 경우 또한 모든 검정균에 대해서 본래 황련추출물(실시예 1)보다 탁월한 항균성을 보였다.
종합하면, 실시예 2의 조건별 추출물에서 감초는 10번 조건별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목단피는 3번 조건별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황련의 경우 15번 조건별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실시예 1의 추출물에 대해 조성비율 별로 항균 실험을 수행하여, 조성비 별 항균 활성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농도가 동일하게 100㎍/㎕로 맞추어진 세가지 용매추출물을 아래 각각의 조성비로 혼합한 후, 디스크당 20㎕를 로딩하였다.
결과는 표 6과 같다.
추출물 E. coli (ATCC 25922) B. cereus (ATCC 14579) S. aureus (ATCC 25923)
Kanamycin (1.5 ㎍/㎕) 26.40±0.54 21.49±0.33 21.02±0.50
감초 (33.3 ㎍/㎕) + 목단피 (33.3 ㎍/㎕) + 황련 (33.3 ㎍/㎕)
[조성비=1:1:1]
7.94±0.12 9.59±0.50 10.51±0.39
감초 (60 ㎍/㎕) + 목단피 (20 ㎍/㎕) + 황련 (20 ㎍/㎕)
[조성비=3:1:1]
9.97±0.63 9.66±0.25 10.67±0.95
감초 (20 ㎍/㎕) + 목단피 (60 ㎍/㎕) + 황련 (20 ㎍/㎕)
[조성비=1:3:1]
9.15±0.26 8.96±1.03 8.44±0.65
감초 (20 ㎍/㎕) + 목단피 (20 ㎍/㎕) + 황련 (60 ㎍/㎕)
[조성비=1:1:3]
7.94±0.23 11.51±0.27 12.31±0.41
감초 (70 ㎍/㎕) + 목단피 (20 ㎍/㎕) + 황련 (10 ㎍/㎕)
[조성비=7:2:1]
9.78±0.98 10.27±0.24 10.41±0.82
감초 (70 ㎍/㎕) + 목단피 (10 ㎍/㎕) + 황련 (20 ㎍/㎕)
[조성비=7:1:2]
11.32±0.24 10.54±0.71 11.01±0.33
감초 (20 ㎍/㎕) + 목단피 (70 ㎍/㎕) + 황련 (10 ㎍/㎕)
[조성비=2:7:1]
9.66±0.69 8.5±0.87 9.73±0.13
감초 (10 ㎍/㎕) + 목단피 (70 ㎍/㎕) + 황련 (20 ㎍/㎕)
[조성비=1:7:2]
8.61±1.36 8.83±0.99 8.95±0.78
감초 (20 ㎍/㎕) + 목단피 (10 ㎍/㎕) + 황련 (70 ㎍/㎕)
[조성비=2:1:7]
8.85±0.75 12.38±0.28 12.92±0.16
감초 (10 ㎍/㎕) + 목단피 (20 ㎍/㎕) + 황련 (70 ㎍/㎕)
[조성비=1:2:7]
9.35±0.3 13.02±0.66 14.08±0.37
또한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게 나온 조건별 추출물(감초 10, 목단피 3, 황련 15)에 대해 조성비율 별로 항균 실험을 수행하여, 조성비 별 항균 활성을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농도가 동일하게 100㎍/㎕로 맞추어진 세가지 용매추출물을 아래 각각의 조성비로 혼합한 후, 디스크당 20㎕를 로딩하였다.
결과는 표 7과 같다.
추출물 E. coli (ATCC 25922) B. cereus (ATCC 14579) S. aureus (ATCC 25923)
Kanamycin (1.5 ㎍/㎕) 26.95±0.62 20.91±0.42 21.54±0.48
감초 (33.3 ㎍/㎕) + 목단피 (33.3 ㎍/㎕) + 황련 (33.3 ㎍/㎕)
[조성비=1:1:1]
10.18±0.10 10.88±0.47 12.36±0.31
감초 (60 ㎍/㎕) + 목단피 (20 ㎍/㎕) + 황련 (20 ㎍/㎕)
[조성비=3:1:1]
9.95±0.78 10.91±0.53 11.35±0.34
감초 (20 ㎍/㎕) + 목단피 (60 ㎍/㎕) + 황련 (20 ㎍/㎕)
[조성비=1:3:1]
10.05±0.80 9.24±0.32 10.13±0.04
감초 (20 ㎍/㎕) + 목단피 (20 ㎍/㎕) + 황련 (60 ㎍/㎕)
[조성비=1:1:3]
10.47±0.26 13.92±0.54 14.40±0.03
감초 (70 ㎍/㎕) + 목단피 (20 ㎍/㎕) + 황련 (10 ㎍/㎕)
[조성비=7:2:1]
11.01±1.12 11.45±0.63 10.60±0.69
감초 (70 ㎍/㎕) + 목단피 (10 ㎍/㎕) + 황련 (20 ㎍/㎕)
[조성비=7:1:2]
11.00±0.74 10.56±0.32 12.01±0.79
감초 (20 ㎍/㎕) + 목단피 (70 ㎍/㎕) + 황련 (10 ㎍/㎕)
[조성비=2:7:1]
- 9.11±1.17 10.17±0.12
감초 (10 ㎍/㎕) + 목단피 (70 ㎍/㎕) + 황련 (20 ㎍/㎕)
[조성비=1:7:2]
- 9.57±0.94 9.10±0.60
감초 (20 ㎍/㎕) + 목단피 (10 ㎍/㎕) + 황련 (70 ㎍/㎕)
[조성비=2:1:7]
11.00±0.21 13.64±0.27 15.88±0.17
감초 (10 ㎍/㎕) + 목단피 (20 ㎍/㎕) + 황련 (70 ㎍/㎕)
[조성비=1:2:7]
13.61±0.14 13.71±0.30 15.79±0.36
상기 표 6 및 7은 세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단독 추출물보다 모든 검정균에 대해 탁월한 항균력을 가지고, 특히 조성비가 감초 : 목단피 : 황련 = 1:1:3, 2:1:7, 또는 1:2:7 일 때, 항균 활성이 더욱 우수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하의 실험은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게 나온 조건별 추출물(감초 10, 목단피 3, 황련 15)을 1:2:7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 실험예 2> 최소저해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 측정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게 나온 조건별 추출물(감초 10, 목단피 3, 황련 15)을 1:2:7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2배 희석법으로 평가하였다. 시험균이 생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추출물이 함유하고 있는 고유의 색상을 스탠다드로 설정하여 OD 값을 측정하고, 시험균이 생장한 이후의 OD값을 측정하여 차감함으로써 정확한 최소억제농도를 설정하였다 [최종 OD값 - 스탠다드 OD값]. 최종적으로 측정된 OD600 값을 One-way ANOVA (Dunnett법)로 통계 처리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실험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대상시료 최소억제농도 (㎍/ mL )
E. coli (ATCC 25922) B. cereus (ATCC 14579) S. aureus (ATCC 25923)
감초, 목단피, 황련
혼합추출물
< 400 < 400 < 400
혼합추출물의 각 시험균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는 400 μg/mL로 평가되었다.
< 실험예 3> 항산화 효능 실험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게 나온 조건별 추출물(감초 10, 목단피 3, 황련 15)을 1:2:7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DPPH assay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력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도 2a에 나타내었다. 혼합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능력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이드로퍼옥사이드(H2O2)를 이용하여 세포 내 직접적인 산화적 손상을 야기한 후, 혼합추출물의 산화적 손상 회복 능력을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생존률 비교를 통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처리군의 세포생존률이 약 17%인데 비해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전처리 후, 혼합추출물 처리군의 세포생존률은 약 27%로, 약 10%정도 세포생존률이 증가함을 보였다.
< 실험예 4> 세포독성 실험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게 나온 조건별 추출물(감초 10, 목단피 3, 황련 15)을 1:2:7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세포독성효과를 정상세포인 Mouse Embryonic Fibroblast (MEF) cells을 이용한 cell viability assay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상기 혼합추출물은 약간의 독성을 띄지만, 실제 인체의 표면적 (대상시료의 농도/인체 표면적)을 고려할 경우 그 정도가 미약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실험예 5> 항암 효과 실험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가장 활성이 우수하게 나온 조건별 추출물(감초 10, 목단피 3, 황련 15)을 1:2:7로 혼합한 혼합추출물의 항암효능을 2가지 암세포 (HeLa cells: 자궁경부암, HepG2 cells: 간암)를 이용하여 MTT assay로 평가하였다. 자궁경부암 세포에 대한 결과를 도 4a에, 간암세포에 대한 결과를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2 가지 암세포 모두에 대해서 상기 혼합추출물의 항암효능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0.5 mg/mL의 농도에서 자궁경부암 세포에서는 약 40%, 간암세포에서는 약 50% 정도로 암세포 생존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감초, 목단피 및 황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성과 항산화 및 항암효능을 가진 고부가가치 천연식품보존제를 제공하며, 보다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동일 농도의 감초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 목단피 추출물 1 내지 2 중량부 및 황련 추출물 7 내지 8 중량부로 이루어진 식품 보존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식품 보존제 100중량부 대비 상기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0.001 내지 30.0중량부 함유하는 식품 보존제.
  4. 감초와 목단피 및 황련 각각과 용매를 혼합하여 50 내지 90℃에서 30분 내지 200분 동안 감초, 목단피 및 황련을 가열 추출하는 단계;
    각각을 여과한 후 20 내지 80℃ 에서 60 내지 200분 동안 감압 농축하는 단계;
    이를 동결건조 하는 단계; 및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를 동일하게 하고, 이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식품 보존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 가열 추출단계의 용매는 40 내지 60vol% 알코올 수용액인 제1항에 따른 식품 보존제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단피 가열 추출단계의 용매는 80 내지 100vol% 알코올 수용액이고, 온도는 55 내지 65℃, 시간은 100분 내지 150분인 제1항에 따른 식품 보존제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황련 가열 추출단계의 용매는 40 내지 60vol% 알코올 수용액이고, 온도는 65 내지 90℃, 시간은 30분 내지 150분인 제1항에 따른 식품 보존제의 제조방법.
  8. 상기 제1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의한 보존제를 식품 제조 공정시 원료와 함께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보존 방법.
  9. 상기 제1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의한 보존제를 식품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품 보존 방법.
KR1020110010013A 2010-02-05 2011-02-01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KR1011769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805 2010-02-05
KR20100010805 2010-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470A KR20110091470A (ko) 2011-08-11
KR101176944B1 true KR101176944B1 (ko) 2012-08-30

Family

ID=4492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013A KR101176944B1 (ko) 2010-02-05 2011-02-01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9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22907A1 (en) * 2018-07-20 2020-01-23 Max Spielberg Stable formulations for crea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380B1 (ko) * 2012-02-14 2014-01-20 대한민국 목단피 추출물을 첨가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용 사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180B1 (ko) 2006-12-01 2007-11-28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0820009B1 (ko) 2006-10-13 2008-04-07 (주)바이오에프디엔씨 감잎,감초,백년초,및 상백피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피부 진정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09B1 (ko) 2006-10-13 2008-04-07 (주)바이오에프디엔씨 감잎,감초,백년초,및 상백피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피부 진정용 한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80180B1 (ko) 2006-12-01 2007-11-28 (주)바이오에프디엔씨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 한방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22907A1 (en) * 2018-07-20 2020-01-23 Max Spielberg Stable formulations for c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470A (ko)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soschi et al. An overview of natural antimicrobials role in food
Del Campo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rosemary extracts
Chan et a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some fresh and dried Labiatae herbs
CN106035609A (zh) 一种生物源复合猪肉保鲜剂
Medina et al. Effect of antimicrobial compounds from olive products on microorganisms related to health, food and agriculture
Cordery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Plant Extracts and their Applications in Foods-A
KR101715622B1 (ko) 나문재 속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성 조성물
Sahari et al. Effects of plants bioactive compounds on foods microbial spoilage and lipid oxidation
KR101806130B1 (ko) 유산균발효분말과 허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가공용 항균 및 항산화 조성물
Dehghani et al. The effect of adding walnut green husk extract o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ketchup
CN104172431B (zh) 一种用于食品饮料的天然复合防腐剂
KR101176944B1 (ko) 감초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KR102313373B1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LGEN et al. Melissa officinalis: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potential, phenolic profile and enzyme activities
KR101175693B1 (ko) 백작약 추출물, 육계 추출물 및 오배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 보존제
Das et al. Antimicrobial effect of edible plant extract on the growth of some foodborne bacteria including pathogens
KR20190124549A (ko)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식품 보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766798B (zh) 香莓植物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其用于食品保鲜
KR20150044193A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보존제, 이의 제법 및 그 조성물
Zhang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latycarya strobilacea infructescence.
Abou-Zaid et al. The Effect of Arak Stems Extracts on Chemical Characteristics, Bacterial Activ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Beef Sausage Products.
Sharma et al.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different selective MIC extraction of Amla
Mayunzu et al. Evaluation of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f Mondia whytei roots
Dabija et al. Effect of rosemary, clove and oregano oil on the preservation of vacuum-packaged hot smoked trout
Mosilhey et al. Extending Shelf Life of Peeled Shrimp Using Moringa oleifera and Isoflav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