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546B1 -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546B1
KR101176546B1 KR1020060078761A KR20060078761A KR101176546B1 KR 101176546 B1 KR101176546 B1 KR 101176546B1 KR 1020060078761 A KR1020060078761 A KR 1020060078761A KR 20060078761 A KR20060078761 A KR 20060078761A KR 101176546 B1 KR101176546 B1 KR 101176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unit
shape
hel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6839A (ko
Inventor
타카오 시마모리
미로루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644,787 priority Critical patent/US7403173B2/en
Publication of KR20070066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at the feed, e.g.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50Feeding or matching arrangements for broad-band or multi-band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기 등에 설치 가능한 소형이면서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개시된 안테나 장치는, 일단에 안테나 제1 단자를 가지고, 굴곡 패턴 및 만곡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제1 엘리먼트와, 일단이 상기 제1 엘리먼트의 타단에 도통 접속되고, 타단에 안테나 제2 단자를 가지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 제1 단자 및 상기 안테나 제2 단자를 통해서 상기 안테나부를 여진하는 급전부;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급전부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상기 급전부와 접속시키는 전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회로에 의한 전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급전부에 의한 급전시에 상기 안테나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Antenna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의 R. F. A. N.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의 R. F. A. N.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의 R. F. A. N.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5는 정합 조정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정합 조정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정합 조정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전환 회로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도 8a는 헬리컬 엘리먼트가 오프로 된 상태, 도 8b는 헬리컬 엘리먼트가 온으로 된 상태, 도 8c는 두 엘리먼트가 오프로 된 상태이고,
도 9는 안테나가 설치된 노트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0은 정합 조정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1 구체예의 정재파비(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2는 안테나가 설치된 노트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3은 제2 구체예의 정재파비(VSWR)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헬리컬 형상 엘리먼트를 포함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 내는 모식도이고,
도 15a 및 도 15b는 헬리컬 형상 엘리먼트를 포함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6a 및 도 16b는 헬리컬 형상 엘리먼트를 포함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7a 및 도 17b는 헬리컬 형상 엘리먼트를 포함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8a 및 도 18b는 미안다 형상 엘리먼트를 포함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9a 및 도 19b는 미안다 형상 엘리먼트를 포함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0a 및 도 20b는 미안다 형상 엘리먼트를 포함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1a 및 도 21b는 미안다 형상 엘리먼트를 포함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22a 및 도 22b는 미안다 형상 엘리먼트를 포함한 안테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제1 엘리먼트, 12...제2 엘리먼트
14...제1 입출력 단자, 16...제2 입출력 단자
18...RFAN, 20...제어 회로
22...전환 회로, 24...정합 조정 회로
26...급전부
본 발명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기 등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소형이면서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이나 휴대 단말기기 등에서 TV 신호 등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소형 안테나가 필요하다. 이 경우, 안테나의 성능을 확보하면서 소형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헬리컬, 미안다(meander) 등과 같은 절곡 형상을 갖는 안테나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헬리컬 안테나 또는 모노폴 안테나는 소형화에 따라 협대역이 되면서 정합이 어려워진다.
휴대 단말기기에 사용하는 헬리컬 안테나의 기술이 유럽공개특허 EP1,176,663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 예에서는 헬리컬 안테나 엘리먼트의 중간부 또는 선단부에 단자가 설치된다. 그 단자에는 길이가 다른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나, 인덕터 및 캐패시터에 의해 구성된 필터가 스위치를 이용하여 접속되는 회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 개시예에서는 회로가 복잡해지고, 또 공진 주파수의 미세 조정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또 다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기 등에 설치 가능한 소형이면서 공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태양에 의하면, 일단에 안테나 제1 단자를 가지고, 굴곡 패턴 및 만곡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제1 엘리먼트와, 일단이 상기 제1 엘리먼트의 타단에 도통 접속되고, 타단에 안테나 제2 단자를 가지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 제1 단자 및 상기 안테나 제2 단자를 통해서 상기 안테나부를 여진하는 급전부;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급전부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상기 급전부와 접속시키는 전환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회로에 의한 전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급전부에 의한 급전시에 상기 안테나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전환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정합 조정 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환 회로는 상기 제1 엘리먼트 또는 상기 제2 엘리먼트를 상기 급전부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 엘리먼트 또는 상기 제2 엘리먼트를 상기 정합 조정 회로와 접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태양에 의하면, 일단에 안테나 제1 단자를 가지고, 굴곡 패턴 및 만곡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제1 엘리먼트와, 일단이 상기 제1 엘리먼트의 타단에 도통 접속되고, 타단에 안테나 제2 단자를 가지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 제1 단자 또는 상기 안테나 제2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정합 조정 회로; 상기 정합 조정 회로와 접속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안테나 제1 단자 또는 상기 안테나 제2 단자를 통해서 상기 안테나부를 여진하는 급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제1 및 제2 엘리먼트(10)(12)를 포함하는 안테나부(8)와 상기 안테나부(8)를 여진하는 급전부(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엘리먼트(10)의 일단부와, 제2 엘리먼트(12)의 일단부가 천정부(13)에서 도통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 엘리먼트(12)는 제1 엘리먼트(10)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상기 제1 엘리먼트(10)는 굴곡 패턴 및 만곡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하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엘리먼트(10)는 헬리컬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엘리먼트(12)는 직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엘리먼트(10)는 타단부에 안테나 제1 단자를 가지고, 제2 엘리먼트(12) 는 타단부에 안테나 제2 단자를 가지며, 상기 안테나 제1 단자 및 안테나 제2 단자는 각각 RFAN(Resonant Frequency Adjustable Network:공진 주파수 조정 회로망, 이하 RFAN이라고 함)(18)의 제1 입출력단자(14)와 제2 입출력 단자(16)에 접속되어 있다. RFAN(18)은 3개 이상의 고주파 신호용 입출력 단자와 1개 이상의 제어 신호용 입출력 단자를 가지고 있다. 급전부(26)는 안테나부(8)를 여진하고, 제어 회로(20)는 RFAN(18)을 제어한다.
도 2는 RFAN(18)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본 도면에서 RFAN(18)은 전환 회로(22)(switching circuit)를 포함한다. 전환 회로(22)는 제1 입출력 단자(14) 및 제2 입출력 단자(16)의 급전부(26)와의 접속을 전환한다. 전환 회로(22)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RFAN(18)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RFAN(18)은 정합 조정 회로(24)를 포함하고 있다. 도 3a에서는, 제어 회로(20)에 의해 제어된 정합 조정 회로(24)는 제1 입출력 단자(14)에 접속되고, 급전부(26)는 제2 입출력 단자(16)에 접속되어 있다. 또 도 3b에서는, 제어 회로(20)에 의해 제어된 정합 조정 회로(24)는 제2 입출력 단자(16)에 접속되고, 급전부(26)는 제1 입출력 단자(14)에 접속되어 있다.
도 4는 RFAN(18)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RFAN(18)은 정합 조정 회로(24) 및 전환 회로(22)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 회로(20)는 정합 조정 회로(24) 및 전환 회로(22)를 제어한다. 도 5a 내지 도 5c, 도 6 및 도 7은 정합 조정 회로(24)의 예들을 나타낸다. 도 5a는 정합 조정 회로가 인덕터로, 도 5b는 인 덕터와 캐패시터에 의한 병렬 회로로, 도 5c는 스위치로 각각 구성된 예를 보여 준다. 도 6은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가 직렬 접속되고, 가변 캐패시터(C2)가 이와 병렬 접속되며, 또한 캐패시터(C3)가 접속됨과 동시에 인덕터(L2)를 통해서 Vcc로 접속되어 가변 캐패시터(C2)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예들 중에서 정합 조정 회로(24)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안테나부(8)의 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가 저감되어, 신호의 고감도 송신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에 예시된 복수개의 회로 중에서 스위치에 의해 선택하여 공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하지만, 정합 조정 회로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전환 회로(22)의 접속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a는 직선 엘리먼트측을 오프로 하고, 헬리컬 엘리먼트측을 온으로 하여 급전부(26)와 접속하는 구성이다. 도 8b는 직선 엘리먼트측을 온으로 하고, 헬리컬 엘리먼트측을 오프로 하여 급전부(26)와 접속하는 구성이다. 또 도 8c는 헬리컬 엘리먼트측과 직선 엘리먼트측을 함께 급전부(26)와 접속한 구성이다. 접속 상태에 의해 정재파비(VSWR) 등이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 환경에 대응하여 전환 회로의 접속 상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제1 구체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제1 시뮬레이션시 안테나 장치 형상을 나타내며, 제1 엘리먼트(10)를 헬리컬 형상으로 하고, 제2 엘리먼트(12)를 직선 형상으로 한 안테나부(8)를 노트 북 형상을 모방한 판 상부에 설치하고 있다. 헬리컬 형상을 한 제1 엘리먼트(10)는 급전부(26)에, 직선 형상을 한 제2 엘리먼트(12)는 정합 조정 회로(24)에 접속되어 있다. 도 10은 정합 조정 회로(24)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안테나부(8)의 정재파비(VSWR) 특성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구체예에서, 도 10에서의 스위치가 온으로 된 경우(스위치가 온으로 된 경우란 어느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까?) 의 공진 주파수를 f1로 하고, 이에 대응하는 파장을 λ1로 하면, 도 9에서 예를 들면 헬리컬의 직경은 약 0.008λ1, 헬리컬의 피치는 약 0.014λ1, 헬리컬 턴의 수는 5.73으로 할 수 있다. 또 안테나부의 길이 방향은 약 0.08λ1로 할 수 있다. 판(30)의 액정 표시부에 해당하는 크기는 예를 들면 약 0.17λ1×0.23λ1의 사이즈가 되고, 키보드부에 해당하는 크기는 약 0.16λ1×0.23λ1의 사이즈가 된다.
도 10에서 (2)는 3.9 마이크로헨리의 인덕터, (3)은 1.2 마이크로헨리의 인덕터와 1.0 피코패러드의 캐패시터의 병렬 접속, (4)는 6.0 및 5.0 피코패러드의 캐패시터의 직렬 접속 회로와 1.0마이크로 헨리의 인덕터와의 병렬 접속를 나타낸다.
도 11에서 (1)의 실선은 도 10에서의 스위치가 온으로 된 경우의 안테나부(8)의 정재파비(VSWR)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의 공진 주파수가 f1이다.
(2)의 파선(굵은 선)은, 도 10에서의 (2)에 접속되었을 때의 안테나부(8)의 정재파비(VSWR)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의 공진 주파수는 약 0.88f1로 낮은 쪽으로 치우쳐 있다.
(3)의 파선(가는 선)은, 도 10에서의 (3)에 접속되었을 때의 안테나부(8)의 정재파비(VSWR)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의 공진 주파수는 약 0.68f1로 더욱 낮은 쪽으로 치우쳐 있다.
(4)의 일점쇄선은 도 10에서의 (4)의 정합 조정 회로(24)를 삽입한 경우에서의 안테나부(8)의 정재파비(VSWR) 특성이다. 중심 주파수가 0.68f1로 더 낮은 쪽으로 치우쳐 있다.
이상과 같이, 정합 조정 회로(24)의 회로를 선택함으로써 안테나부(8)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헬리컬 엘리먼트와 직선 엘리먼트를 접속한 구성에 의해 안테나부(8)의 길이를 약 0.08λ1로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형 안테나 장치를 노트북, PDA(Personal Data Assistant)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기에 설치함으로써 원하는 주파수대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VHF 내지 UHF대의 TV 신호를 쉽게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구체예인 안테나 장치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제2 시뮬레이션시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1 엘리먼트(10)를 헬리컬 형상으로 하고, 제2 엘리먼트(12)를 직선 형상으로 한 안테나부(8)를 노트북 형상을 모방한 판 상부에 설치하고 있다. 안테나부(8)는 도 8a 내지 도 8c와 같은 전환 회로(22)에 접속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안테나부(8)의 정재파비(VSWR) 특성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에서 (a)의 실선은 도 8a에 예시하고 있듯이 헬리컬 형상을 한 제1 엘리먼트(10)측으로 스위치가 온으로 되어 급전부(26)에 접속된 상태의 VSWR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 때의 공진 주파수를 f2라고 한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b)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형상을 한 제1 엘리먼트(10)가 오프로 되어 급전부(26)에 접속된 상태의 정재파비(VSWR)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공진 주파수는 약 0.91f2이다.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c)는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헬리컬 형상을 한 제1 엘리먼트(10) 측과 직선 형상의 제2 엘리먼트(12) 측 모두 스위치가 온으로 되어 급전부(26)에 접속된 상태의 정재파비(VSWR)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의 공진 주파수는 약 1.86f2이다.
이상과 같이 제2 구체예에서도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킬 수 있다. 공진 주파수(f2)에 대응하는 파장을 λ2로 하면, 도 12에서 예를 들면 헬리컬의 직경은 약 0.008λ2, 헬리컬 피치는 약 0.005λ2, 헬리컬 턴의 수는 12.92로 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부의 길이 방향은 약 0.07λ2로 할 수 있다. 판(30)의 액정 표시부에 해당하는 크기는 약 0.16λ2×0.23λ2의 사이즈로 하고, 키보드부에 해당하는 크기는 약 0.15λ2×0.23λ2의 사이즈로 한다.
이상은, 제1 엘리먼트(10)가 헬리컬 형상, 제2 엘리먼트(12)가 직선 형상인 경우를 주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제1 엘리먼트(10) 및 제2 엘리먼트(12) 형상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구체예는 적어도 하나의 엘리먼트가 직선 모양과는 다른 모양을 가지 는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엘리먼트가 헬리컬인 경우, 다른 하나의 엘리먼트는 직선, 헬리컬, 미안다, 지그재그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엘리먼트가 미안다인 경우, 다른 하나의 엘리먼트는 직선, 지그재그 등으로 하거나, 지그재그-직선일 수도 있다. 또한 어느 일부분에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도 14a 내지 도 17b에는, 하나의 엘리먼트(제1 엘리먼트)가 헬리컬이고, 다른 하나의 엘리먼트(제2 엘리먼트)는 형상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 변형예를 도시하였다. 도 14a, 도 15a, 도 16a 및 도 17a는 제2 엘리먼트(12)가 제1 엘리먼트(10)의 중심축 근방에 배치된 예이고, 도 14b, 도 15b, 도 16b 및 도 17b는 제2 엘리먼트(12)가 제1 엘리먼트(10)의 외부에 배치된 예이다.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제2 엘리먼트(12)의 일부분이 미안다 형상으로 되어 있다(파선 부분).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제2 엘리먼트(12)의 일부분이 헬리컬 형상으로 되어 있다(파선 부분). 도 16a 및 도 16b에서는, 제2 엘리먼트(12)의 일부분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어 있다(파선 부분). 도 17a 및 도 17b에서는, 제2 엘리먼트(12)의 일부분의 도체의 폭이나 굵기가 다르다(파선 부분).
도 18a 내지 도 22b는, 하나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제1 엘리먼트(10))가 미안다이고, 다른 하나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제2 엘리먼트(12))는 형상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 변형예의 모식도이다. 미안다는 거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도 18a, 19a, 도 20a, 도 21a, 도 22a는 제2 엘리먼트(12)가 제1 엘리먼트(10)에 겹치도록 하여 배치된 예이고, 도 18b, 도 19b, 도 20b, 도 21b, 도 22b는 제2 엘리먼트(12)와 제1 엘리먼트(10)가 거의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배치된 예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기본 구조로서, 미안다 형태의 제1 엘리먼트(10)와 직선 형태의 제2 엘리먼트(12)로 구성된다. 도 19a 및 도 19b에서는, 제2 엘리먼트(12)의 일부분이 미안다 형상으로 되어 있다(파선 부분). 도 20a 및 도 20b에서는, 제2 엘리먼트(12)의 일부분이 헬리컬 형상으로 되어 있다(파선 부분). 도 21a 및 도 21b에서는, 제2 엘리먼트(12)의 일부분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어 있다(파선 부분). 도 22a 및 도 22b에서는, 제2 엘리먼트(12)의 일부분의 도체 폭이나 굵기가 다르다(파선 부분). 또한, 미안다, 지그재그, 헬리컬 형상의 간격 및 폭(직경)에 관한 변형은 허용된다.
이상의 도 14a 내지 도 22b에서는, 제1 엘리먼트(10)에는 형상이 다른 일부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이것을 포함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 상기의 어떤 구성이라도, 2개의 엘리먼트는 천정부(13)에서 접속되어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공진 주파수를 저하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안테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전기 길이가 다른 엘리먼트를 2개 설치하고, 각각의 단자와 급전부의 접속을 전환 회로에 의해 3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결과, 공진 주파수를 3가지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인덕터 및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정합 조정 회로에 의해 주파수의 튜닝이 가능해진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안테나를 구성하는 엘리먼트, 정합 조정 회로, 전환 회로 등의 구성 엘리먼트에서 사이즈, 형상, 재질, 배치 등의 각종 설계 변경을 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 휴대 단말기기 등에 설치 가능한 소형이면서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환 회로에 의해 공진 주파수를 조절하고, 정합 조정 회로에 의해 주파수의 튜닝을 할 수 있으므로 소형이면서도 주파수 대역을 넓힐 수 있다.

Claims (9)

  1. 일단에 안테나 제1 단자를 가지고, 굴곡 패턴 및 만곡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제1 엘리먼트와, 일단이 상기 제1 엘리먼트의 타단에 도통 접속되고, 타단에 안테나 제2 단자를 가지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 제1 단자 및 상기 안테나 제2 단자를 통해서 상기 안테나부를 여진하는 급전부;
    상기 안테나부 및 상기 급전부 사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엘리먼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상기 급전부와 접속시키는 전환 회로; 및
    상기 전환 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정합 조정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회로는 상기 제1 엘리먼트 또는 상기 제2 엘리먼트를 상기 급전부에 접속시킴과 동시에, 상기 급전부에 접속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상기 제1 엘리먼트 또는 상기 제2 엘리먼트를 상기 정합 조정 회로와 접속시키고, 상기 전환 회로에 의한 전환 동작에 따라서, 상기 급전부에 의한 급전시에 상기 안테나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2. 삭제
  3. 일단에 안테나 제1 단자를 가지고, 굴곡 패턴 및 만곡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제1 엘리먼트와, 일단이 상기 제1 엘리먼트의 타단에 도통 접속되고, 타단에 안테나 제2 단자를 가지는 제2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 제1 단자 또는 상기 안테나 제2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안테나부의 공진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한 정합 조정 회로;
    상기 정합 조정 회로와 접속되지 않은 나머지 상기 안테나 제1 단자 또는 상기 안테나 제2 단자를 통해서 상기 안테나부를 여진하는 급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4.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엘리먼트보다 길이가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5.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리먼트가 제1 엘리먼트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6.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리먼트가 제1 엘리먼트로부터 분리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7.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엘리먼트가 헬리컬, 미안다, 지그재그 형태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8.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리먼트가 서로 형태가 다른 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엘리먼트가 미안다, 직선, 지그재그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장치.
KR1020060078761A 2005-12-22 2006-08-21 안테나 장치 KR101176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44,787 US7403173B2 (en) 2005-12-22 2006-12-22 Antenna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70029 2005-12-22
JP2005370029A JP4782560B2 (ja) 2005-12-22 2005-12-22 アンテ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839A KR20070066839A (ko) 2007-06-27
KR101176546B1 true KR101176546B1 (ko) 2012-08-24

Family

ID=3830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761A KR101176546B1 (ko) 2005-12-22 2006-08-21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782560B2 (ko)
KR (1) KR101176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95B1 (ko) 2015-06-30 2016-06-29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닝 가능한 안테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1218B2 (ja) * 2008-05-19 2012-08-15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軸モードヘリカルアンテナ
KR101297332B1 (ko) * 2012-02-28 2013-08-14 에이트론(주) 다중 공진 안테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9121A (ja) 1999-04-23 2000-02-25 Nec Saitama Ltd 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9205B2 (ja) * 1996-12-10 2002-04-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型アンテナおよび通信機
SE522846C2 (sv) * 2000-06-22 2004-03-09 Ericsson Telefon Ab L M Antenn med spiralformad radiator och återkopplingsledare, samt flerlagerkort och bärbar kommunikationsapparat innefattande en sådan antenn
JPWO2002039544A1 (ja) * 2000-10-31 2004-03-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および携帯機器
GB0030741D0 (en) * 2000-12-16 2001-01-3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tenna arrangement
JP3895737B2 (ja) * 2004-04-09 2007-03-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周波共用アンテナ及び小型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9121A (ja) 1999-04-23 2000-02-25 Nec Saitama Ltd 携帯無線機用アンテ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695B1 (ko) 2015-06-30 2016-06-29 신라대학교 산학협력단 튜닝 가능한 안테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174331A (ja) 2007-07-05
KR20070066839A (ko) 2007-06-27
JP4782560B2 (ja)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0708B2 (en) Loop antenna, surface-mounted antenna and communication equipment having the same
US7274334B2 (en) Stacked multi-resonator antenna
US7564424B2 (en) Antenna having multiple radiating elements
US20050057401A1 (en) Small-size, low-height antenna device capable of easily ensuring predetermined bandwidth
KR20030085000A (ko) 이동 통신 장치
CN1185762C (zh) 用于通信终端装置的多频带天线
JP4756481B2 (ja) アンテナ装置
CN101278437A (zh) 双谐振天线
JP5603020B2 (ja) アンテナ装置
US20050237244A1 (en) Compact RF antenna
KR20050086733A (ko) 복수 대역용 안테나
CN1191633A (zh) 多频带印制单极天线
JP5017461B2 (ja) アンテナ装置とこのアンテナ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WO2004097980A1 (ja) 広帯域平板状アンテナ
US20070139282A1 (en) Antenna and portable wireless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333901A2 (en) Antenna device
KR101176546B1 (ko) 안테나 장치
KR20070065773A (ko) 안테나 및 이를 채용한 휴대무선장치
KR101043994B1 (ko) 유전체 공진기 안테나
KR101063316B1 (ko) 리액티브 소자를 이용한 안테나
US7403173B2 (en) Antenna device
JPH09232854A (ja) 移動無線機用小型平面アンテナ装置
US20050206578A1 (en) Dual band antenna
KR20110096021A (ko) 리액티브 소자를 이용한 안테나
JP4742536B2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