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410B1 - Tool for playing education - Google Patents

Tool for playing edu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410B1
KR101176410B1 KR1020090048116A KR20090048116A KR101176410B1 KR 101176410 B1 KR101176410 B1 KR 101176410B1 KR 1020090048116 A KR1020090048116 A KR 1020090048116A KR 20090048116 A KR20090048116 A KR 20090048116A KR 101176410 B1 KR101176410 B1 KR 101176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shape
character
sided
pup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1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29518A (en
Inventor
신은정
Original Assignee
(주)애즐커뮤니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즐커뮤니케이션 filed Critical (주)애즐커뮤니케이션
Priority to KR1020090048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410B1/en
Publication of KR20100129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5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4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2Double-faced do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 교육 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다양한 모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인형의 앞모습과 뒷모습의 형상이 서로 다른 캐릭터 연출 형상을 갖도록 양면 입체로 구성된 놀이 교육 도구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educational tool, and in particular, the play educational tool composed of two-sid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so that the front and back shapes of the dolls have different character directing shapes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in various forms in the production of situation dramas such as storytelling or puppet theater. Initiate.

이러한 본 발명은 하나의 인형만으로도 이야기의 전개 과정에 따라 필요한 다양한 표현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적용시 아이들의 집중과 호기심을 향상시키고, 내용을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용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variety of expressions necessar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with only one doll, and also improve the concentration and curiosity of children when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situation dramas such as storytelling or puppet theater, and can deliver the contents easily and quickly. It provides an effect that makes it work.

또한, 본 발명은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따라 필요한 인형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비되어야 하는 인형의 개수를 줄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number of doll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ion of a situation play such as a fairy tale or a puppet theate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to reduce the number of dolls to be provided through this.

인형, 캐릭터, 구연동화, 인형극, 양면 입체, 구체관절 Puppet, Character, Storytelling, Puppet show, Double-sided solid, Sphere

Description

놀이 교육 도구{Tool for playing education}Play education tool {Tool for playing education}

본 발명은 놀이 교육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면 입체로 구성되는 인형의 앞모습과 뒷모습의 각각에 서로 다른 희노애락을 표현하는 얼굴 형상과 몸짓 표현을 형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하나의 인형만으로 다양한 모습이 표현되고 활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놀이 교육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al tool for play, and more particularly, a situation play such as a fairy tale or a puppet show by providing a face shape and a gesture expression representing different rare emotions in each of the front and back of a doll composed of double-sided solids. It is about a play educational tool that enables various figures to be expressed and utilized with just one doll in the direction of.

일반적으로 인형(人形, doll)은 흙, 나무, 종이, 헝겊이나 고무, 셀룰로이드, 비닐 등으로 만든 사람 형상의 완구 또는 장식품으로부터 동물의 모습을 형상화한 완구에 이르기까지 그 형태와 모습은 다양하다.In general, dolls vary in form and shape, ranging from human-like toys or ornaments made of earth, wood, paper, cloth or rubber, celluloid, and vinyl to toys that shape animals.

이러한 인형 완구는 하나의 몸체에 하나의 얼굴만이 고정되게 형상화된 것이 일반적이다.Such doll toys are generally shaped such that only one face is fixed to one body.

특히, 어린이들을 위한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는 등장인물에 따른 다양한 캐릭터 모습을 갖는 복수의 인형이 사용되고 있으며, 어린이들은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에 등장하는 인형의 움직임과 전달되는 이야기를 통해 내용을 이해하게 된다.In particular, plural puppets having various character sha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s are used for the production of contextual dramas such as storytelling or puppetry for children. You will understand.

이때, 상기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에 사용되는 인형들은 이야기의 줄거리에 맞는 자신의 고정된 캐릭터 연출 형상만을 표현하고 있을 뿐, 이야기가 전개되는 과정에서 변화될 수 있는 얼굴 형상이나 몸짓 표현 연출을 다양하게 제공하지 못함에 따라 생동감 있는 전달에 제약을 받게 된다.At this time, the dolls used in the fairy tale or puppet show only express their fixed character direction shape that fits the storyline, and variously provide a facial shape or gesture expression direction that can be changed in the course of the story. Failure to do so is limited by lively delivery.

이와 같이 종래의 인형에서 제약되는 표현 연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각 상황의 이야기 전개에 맞는 얼굴 형상이나 몸짓 표현이 연출된 동일 캐릭터 인형을 여러개 구비해야만 하며, 이 경우 많은 인형을 필요로함에 따른 추가 구입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As such,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xpressing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dolls, the same character dolls having face shapes or gesture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in each situation should be provide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urchase cost is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인형의 앞모습과 뒷모습에 서로 다른 희노애락이 표현된 얼굴 형상과 몸짓 표현의 연출이 가능한 양면 입체를 갖는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double-sided three-dimensional that is capable of directing the face shape and gesture expression that is expressed in the different noble joy in the front and back of one doll It is to provide a doll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character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인형만으로 이야기의 전개 과정에 따라 필요한 표현 연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적용될 수 있는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ll with a plurality of characters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the situation drama such as storytelling or puppet theater as the necessary expression of th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story development process with only one doll. ha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시 아이들의 집중을 향상시키고, 상황극의 내용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해주는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ll in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implemented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of children in the production of contextual dramas such as storytelling or puppet theater, and to effectively deliver the contents of the contextual drama.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다양한 모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인형의 앞모습과 뒷모습의 형상이 서로 다른 캐릭터 연출 형상을 갖도록 양면 입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교육 도구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back shape of the doll has a two-sid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so that the shape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doll to have a different character directing shape so as to be used in a variety of forms for the production of situation dramas, such as a fairy tale or a puppet theater. Discuss play education tool to assu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형은 사람 형상의 인형뿐만 아니라,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의 이야기 연출시 의인화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각종 동물 형상의 인형과, 해와 달과 나무와 바람과 구름과 바위 등과 같은 자연 형상의 인형을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doll is not only a human-shaped doll, but also a variety of animal-like dolls that may be the subjects of personification when directing stories of a fairy tale or puppet show, and natural shapes such as the sun, moon, trees, wind, clouds, and rocks. Includes more dolls.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형은 지점토와 찰흙 및 고무찰흙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oll may be composed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clay and clay and rubber clay.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형은 상기 양면 입체 중 일면으로는 희노애락의 다양한 모습으로부터 선택된 제1 캐릭터 연출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양면 입체 중 다른 일면으로는 상기 일면에 선택된 제1 캐릭터 연출 형상을 제외한 다른 희노애락의 다양한 모습으로부터 선택된 제2 캐릭터 연출 형상이 형성된다.Preferably, the doll is formed on the one side of the double-sided three-dimensional surface of the first character is selected from a variety of appearances of the rare arc, the other side of the double-sided three-dimensional surface of the other rare exclusion other than the first character directing shape selected on the surface A second character direction shape selected from the various aspects of is formed.

여기서, 상기 제1 캐릭터 연출 형상과 제2 캐릭터 연출 형상은, 서로 다른 희노애락을 표현하는 얼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character direction shape and the 2nd character direction shape are a face shape which expresses a different rare joy.

또한, 상기 제1 캐릭터 연출 형상과 제2 캐릭터 연출 형상은, 서로 다른 희노애락을 표현하는 얼굴 형상을 포함한 팔과 다리의 표현 연출이 다른 몸짓 표현 연출을 더 포함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rst character direction shape and the second character direction shape further include a gesture expression dire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pression direction of the arms and legs including the face shapes representing different rare emotions.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형의 형상이 팔이나 다리를 갖는 사람 혹은 동물인 경우, 상기 팔이나 다리의 위치 혹은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움직임을 가할 수 있는 구체관절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shape of the doll is a person or an animal having an arm or a leg, it may be configured as a spherical joint that can be moved to change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arm or le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놀이 교육 도구에 의하면, 하나의 인형만으로도 이야기의 전개 과정에 따라 필요한 다양한 표현 연출이 가능하며, 또한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적용시 아이들의 집중과 호기심을 향상시키고, 내용을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용효과를 제공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lay education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doll can be used to produce various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tory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hildren's concentration and curiosity when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situation dramas such as storytelling or puppet theat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nt and to deliver content quickly and easily.

또한, 본 발명은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따라 필요한 인형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구비되어야 하는 인형의 개수를 줄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용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number of doll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production of a situation play such as a fairy tale or a puppet theate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to reduce the number of dolls to be provided through thi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and the definition is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reduc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 교육 도구의 일례로서 사람 형상의 인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의 일례로서 의인화된 쥐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례의 도면으로서, 구름과 산과 해와 바람의 형상을 의인화한 도면을 나타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의 또 다른 일례로서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소품을 나타낸다.1 and 2 are diagrams illustrating a human-shaped doll as an example of a play education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 and 4 are dolls in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embod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oll in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doll in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odied, and a prop of a situation drama such as a fairy tale or a puppet theater.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100)은,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다양한 모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인형의 앞모습과 뒷모습의 형상이 서로 다른 캐릭터 연출 형상을 갖도록 양면 입체(101)로 구성된다.As shown, the doll 100 is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charact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of the front and rear shape of the doll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order to be utilized in a variety of appearances in the production of situation dramas such as oral fairy tale or puppet theater It consists of a double-sided three-dimensional (101) to have a shape.

이때, 상기 인형(100)은 사람 형상의 인형뿐만 아니라,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의 이야기 연출시 의인화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각종 동물 형상의 인형과, 해와 달과 나무와 바람과 구름과 바위 등과 같은 자연 형상의 인형을 더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doll 100 is not only a human-shaped doll, but also a variety of animal-shaped dolls that can be an object of humanization when directing stories of a fairy tale or puppet show, and the nature of the sun, moon, trees, wind, clouds, rocks, etc. It further includes a doll of the shape.

도 1 및 도 2에서는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으로서, 사람 형상의 인형을 일례로 나타내고, 도 3 및 도 4에서는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의 일종으로 의인화된 쥐 형상의 인형을 나타낸다.1 and 2 illustrate a doll in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implemented, and an example of a human-shaped doll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and FIGS. 3 and 4 illustrate a rat-shaped doll personified as a kind of doll in which a plurality of characters are implemented.

또한, 도 5 내지 도 8에서는 구름과 산과 해와 바람의 형상을 의인화한 인형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9에서는 상황극의 연출에 필요한 소품을 나타낸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소품은 황금으로서, 이야기의 극 전개에 따라 분리되거나 부착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5 to 8 show an example of a doll personified by the shapes of clouds, mountains, sun and wind, and FIG. 9 shows prop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a situation play. Here, the prop shown in FIG. 9 is gold,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ted or attach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이와 같은 인형(100)들은 지점토와 찰흙 및 고무찰흙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Such dolls 100 may be composed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clay and clay and rubber clay.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형(100)은 상기 양면 입체(101) 중 일면으로는 희노애락의 다양한 모습으로부터 선택된 제1 캐릭터 연출 형상(102)이 형성되고, 상기 양면 입체(101) 중 다른 일면으로는 상기 일면에 선택된 제1 캐릭터 연출 형 상(102)을 제외한 다른 희노애락의 다양한 모습으로부터 선택된 제2 캐릭터 연출 형상(103)이 형성된다.As shown, the doll 100 is formed on the one side of the double-sided three-dimensional 101, the first character directing shape 102 selected from the various aspects of the rare love, and the other side of the double-sided three-dimensional (101) A second character direction shape 103 selected from various aspects of the other rare love other than the first character direction shape 102 selected on the one surface is formed.

즉,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도면들 중, (a)부분과 (b)의 부분은 양면 입체(101)의 일면인 제1 캐릭터 연출 형상(102)과 타면인 제2 캐릭터 연출 형상(103)을 하나의 인형(100)에 앞면과 뒷면으로 분리하여 각각 나타낸다.That is, in the drawings illustrated in FIGS. 1 to 8, the parts (a) and (b) are the first character direction shape 102 which is one side of the double-sided solid body 101 and the second character direction shape which is the other side ( 103 is represented by separating the front and back to one doll 10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1 캐릭터 연출 형상(102)과 제2 캐릭터 연출 형상(103)은 서로 다른 희노애락을 표현하는 얼굴 형상만으로 표현이 가능하다.Here, the first character direction shape 102 and the second character direction shape 103 can be expressed only in the face shape to express the different rare joy.

한편으로는, 상기 제1 캐릭터 연출 형상(102)과 제2 캐릭터 연출 형상(103)을 서로 다른 희노애락을 표현하는 얼굴 형상을 포함함은 물론, 팔과 다리(106)의 표현 연출이 다른 몸짓 표현 연출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haracter directing shape 102 and the second character directing shape 103 include facial shapes expressing different rare emotions, as well as gesture expressions different from the expression of the arms and legs 106. May include more rendering.

또한, 상기 인형(100)의 형상이 팔이나 다리를 갖는 사람 혹은 동물인 경우에는 상기 팔이나 다리의 위치 혹은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움직임을 가할 수 있는 구체관절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ape of the doll 100 is a person or an animal having an arm or a leg, the doll 100 may be configured as a spherical joint capable of moving to change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arm or leg.

도 1의 (a)는 사람 형상을 나타낸 인형(100)의 양면 입체(101) 중 제1 캐릭터 연출 형상(102)의 면을 나타내고, 도 1의 (b)는 사람 형상을 나타낸 인형(100)의 양면 입체(101) 중 제2 캐릭터 연출 형상(103)의 면을 나타낸다.FIG. 1A illustrates the surface of the first character directing shape 102 of the double-sided solid body 101 of the doll 100 in the shape of a person, and FIG. 1B illustrates the doll 100 in the shape of a person. The surface of the 2nd character direction shape 103 is shown in the double-sided stereoscopic structure 101 of.

도 2의 (a)와 (b)의 경우에도, 도 1과 마찬가지로 (a)는 사람 형상을 나타낸 인형(100)의 양면 입체(101) 중 제1 캐릭터 연출 형상(102)의 면을 나타내고, (b)는 사람 형상을 나타낸 인형(100)의 양면 입체(101) 중 제2 캐릭터 연출 형상(103)의 면을 나타낸다.Also in the case of (a) and (b) of FIG. 2, similarly to FIG. 1, (a) shows the surface of the first character direction shape 102 of the double-sided solid body 101 of the doll 100 showing the human shape, (b) shows the surface of the 2nd character directing shape 103 among the double-sided solid-state 101 of the doll 100 which showed the human shape.

여기서,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인형(100)들은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등장하는 인형들로서, 각기 캐릭터의 역할에 맞는 독특한 표현과 몸짓을 형상화하고 있다.Here, the dolls 100 shown in Figs. 1 and 2 are dolls that appear in the production of situation dramas such as storytelling or puppet theater, and shape unique expressions and gestures corresponding to the role of each character.

도 3의 (a)는 쥐의 형상을 나타낸 인형(100)의 양면 입체(101) 중 제1 캐릭터 연출 형상(102)의 면을 나타내고, 도 3의 (b)는 쥐의 형상을 나타낸 인형(100)의 양면 입체(101) 중 제2 캐릭터 연출 형상(103)의 면을 나타낸다.3 (a) shows the surface of the first character directing shape 102 of the double-sided three-dimensional (101) of the doll 100 showing the shape of the rat, Figure 3 (b) shows the doll ( The surface of the 2nd character direction shape 103 is shown in the double-sided solid body 101 of 100. As shown in FIG.

도 4의 (a)는 쥐의 형상을 나타내는 또 다른 일례의 인형(100)으로서, 양면 입체(101) 중 제1 캐릭터 연출 형상(102)의 면을 나타내고, 도 4의 (b)는 도 4의 (a)의 또 다른 면, 즉 제2 캐릭터 연출 형상(103)의 면을 나타낸다.FIG. 4A is another example of the doll 100 showing the shape of a rat, showing the surface of the first character direction shape 102 in the double-sided solid body 101, and FIG. 4B is FIG. The other side of (a), ie, the side of the second character direction shape 103, is shown.

즉, 사람이나 동물 형상의 인형(100)들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입체(101)의 앞모습과 뒷모습의 형상이 극의 연출에 맞는 캐릭터의 특성에 맞게 독특한 표정과 몸짓을 보여주고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S. 1 to 4, the dolls 100 having a human or animal shape have unique facial expressions and gestures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in front and rear shapes of the double-sided three-dimensional body 101. Is showing.

또한, 상기 인형(100)들은 통상의 인형에서 구분되는 바와 같이, 머리(104)와 몸체(105)와 팔/다리(106)로 구분되며, 상황극의 연출시 진행자가 인형(100)을 들고 양면 입체(101)의 면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몸체(105)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손잡이(107)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olls 100 are divided into the head 104, the body 105 and the arm / leg 106, as distinguished from a normal doll, the host holding the doll 100 in the direction of the situation play The handle 107 is inserted into the body 105 to be effectively used to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101) is formed.

도 5 내지 도 8에서도 상기의 도 1 내지 도 4와 마찬가지로 양면 입체(101)의 앞모습과 뒷모습이 캐릭터의 개성에 맞게 표현됨을 알 수 있다.5 to 8, it can be seen that the front and back views of the double-sided solid body 101 are expressed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as in FIGS. 1 to 4.

도 9는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전개에 필요한 황금의 소품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황금 소품은 특별한 표현이나 몸짓의 묘사보다는 극의 전 개에 필요한 기능적인 구성, 즉 착탈 분리되는 기능을 제공한다.9 shows a golden prop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a situation play such as a storytelling or a puppet show. Here, the golden prop provides a functional configura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play, that is, detachable separation function, rather than a description of a special expression or gesture.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복수의 캐릭터가 구현된 인형들은, 특히 전문화된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시, 이야기 전개에 따라 필요한 다양한 표현을 수시로 쉽게 전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이야기를 듣는 아이들의 호김심을 자극하고, 집중도를 높여 이야기의 내용이 쉽게 전달될 수 있돌고 해주게 된다.Dolls embodying a plurality of charac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especially when directing the situation dramas, such as specialized oral fairy tales or puppet theater, can be used to easily switch between various expressions necessar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tory from time to time Stimulate the excitement of the children who listen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story can be easily conveyed.

또한, 가정에서도 이야기 놀이시 쉽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유도하여 집중도를 높여줄 수 있음은 물론, 놀이 교육에도 효과적인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it can be used easily when playing stories at hom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by inducing children's interest, as well as provide an effective advantage in play education.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 교육 도구의 일례로서 사람 형상의 인형을 나타내는 도면,1 and 2 is a view showing a human-shaped doll as an example of a play education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 교육 도구의 일례로서 의인화된 동물 형상의 인형을 나타내는 도면,3 and 4 are diagrams illustrating anthropomorphic animal figurines as an example of a play education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놀이 교육 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례의 도면으로서, 구름과 산과 해와 바람의 형상을 의인화하여 나타낸 도면,5 to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lay educational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 교육 도구의 또 다른 일례로서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소품을 나타낸다.9 is another example of a play educational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prop of a situation play such as a fairy tale or a puppet play.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인형 101 : 양면 입체100: doll 101: double-sided solid

102 : 제1 캐릭터 연출 형상 103 : 제2 캐릭터 연출 형상102: first character direction shape 103: second character direction shape

104 : 머리 105 : 몸체104: head 105: body

106 : 팔/다리 107 : 손잡이106: arm / leg 107: handle

Claims (7)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과 같은 상황극의 연출에 다양한 모습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앞모습과 뒷모습의 형상이 서로 다른 캐릭터 연출 형상을 갖도록 양면 입체로 구성된 사람 형상의 인형과; A human-shaped doll composed of double-sided three-dimensional figures such that the front and back shapes have different character directing shapes so that they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for the production of situation dramas such as storytelling or puppet theater;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의 이야기 연출시 앞모습과 뒷모습의 형상이 서로 다른 캐릭터 연출 형상을 갖도록 양면 입체로 구성 동물 형상 또는 자연 형상 인형;Animal or natural figurines composed of two-sided three-dimensional figures so that the front and back shapes have different character directing shapes when the story of the storytelling or puppet show is produced; 으로 구성되며, It consists of 상기 사람 형상, 동물 형상 또는 자연 형상 인형은,The human figure, animal figure or natural figure doll, 상기 양면 입체 중 일면으로는 희노애락의 다양한 모습으로부터 선택된 제1 캐릭터 연출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양면 입체 중 다른 일면으로는 상기 일면에 선택된 제1 캐릭터 연출 형상을 제외한 다른 희노애락의 다양한 모습으로부터 선택된 제2 캐릭터 연출 형상이 형성되며, One side of the double-sided stereoscopic shape is formed with a first character directing shape selected from the various appearance of the rare arc, and the other side of the double-sided stereoscopic surface selected from the various aspects of the other rare-eared entertainment other than the first character directing shape selected on the one side Character directing shape is formed, 상기 제1 캐릭터 연출 형상과 제2 캐릭터 연출 형상은, 서로 다른 희노애락을 표현하는 얼굴 형상을 포함한 팔과 다리의 표현 연출이 다른 몸짓 표현 연출되되, 사람 형상 또는 동물 형상의 인형에 있어서는 양면 입체 중 각 면에는 두 개의 팔 중 적어도 하나의 팔이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양면의 팔의 총 갯수가 3개 또는 4개가 되고, The first character directing shape and the second character directing shap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expression of the gestures of the arms and the legs, including the face shapes representing the different rare emotions. At least one arm of the two arms is formed independently on the face, so that the total number of arms on both sides is three or four, 상기 사람 형상, 동물형상 또는 자연형상의 인형은 하나의 구연동화 혹은 인형극에서 동반하여 사용되고,The human figure, animal figure or natural figure doll is used in conjunction with a single fairy tale or puppet show, 인형에 내삽되어 고정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교육 도구.Play educational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ndle that is inserted into the doll fix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형은,The doll, 지점토와 찰흙 및 고무찰흙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교육 도구.Play educational to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y one selected from clay, clay and rubber cla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인형은, 그 팔이나 다리의 위치 혹은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움직임을 가할 수 있는 구체관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 교육 도구.The doll is a play educational too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pherical joint that can be moved to change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arm or leg.
KR1020090048116A 2009-06-01 2009-06-01 Tool for playing education KR101176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16A KR101176410B1 (en) 2009-06-01 2009-06-01 Tool for playing edu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116A KR101176410B1 (en) 2009-06-01 2009-06-01 Tool for playing educ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284A Division KR20110103381A (en) 2011-08-30 2011-08-30 Doll having bilateral charac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18A KR20100129518A (en) 2010-12-09
KR101176410B1 true KR101176410B1 (en) 2012-08-28

Family

ID=4350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116A KR101176410B1 (en) 2009-06-01 2009-06-01 Tool for playing edu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4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693A (en) 2017-12-06 2019-06-14 이웅현 Assembly type of puppet show playing toy using paper fold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825Y1 (en) * 2006-07-18 2006-12-08 김도경 Ball Jointed Doll which is possible to change the face
JP2007044473A (en) * 2005-08-10 2007-02-22 Naoko Kanai Clay work for emitting light at night with luminous pai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4473A (en) * 2005-08-10 2007-02-22 Naoko Kanai Clay work for emitting light at night with luminous paint
KR200432825Y1 (en) * 2006-07-18 2006-12-08 김도경 Ball Jointed Doll which is possible to change the 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693A (en) 2017-12-06 2019-06-14 이웅현 Assembly type of puppet show playing toy using paper fo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518A (en)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2283A (en) Hand puppet
Alger The art and making of ParaNorman
Purves Stop-motion Animation: Frame by Frame Film-making with Puppets and Models
Sommer et al. Archaeology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A Brief Survey of Ancient Athenian Toys.
KR101258559B1 (en) A set of teaching aid narrative for infants
KR101176410B1 (en) Tool for playing education
US20140349543A1 (en) Containerized hand puppet embodying multiple toy figures
KR20110103381A (en) Doll having bilateral characters
Clements Jake Drake, bully buster
US3861078A (en) Convertible doll having mirror surface concealable by a face portion
US20140273725A1 (en) Stretchable Plush Doll
KR100722959B1 (en) Cake box and method for playing with puppets using the same
KR200420471Y1 (en) Cake box
US6929526B1 (en) Puppet book
Edington Hand puppets and dolls in psychotherapy with children
TWD197880S (en) dinosaur puppet
JP3236480U (en) Finger puppet toys
KR101529815B1 (en) Paper toy book
Ceceri Making Simple Robots
KR100782165B1 (en) Cookie box
JP3123078U (en) Jumping toy
JP3103342U (en) Pose variable monkey stuffed toy
Telotte Animation, Modernism, and the Science Fiction Imagination
Reay Plushies, Dollies, and Action Figurines
CN104722077A (en) Wire-controlled do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