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114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114B1
KR101176114B1 KR1020100114620A KR20100114620A KR101176114B1 KR 101176114 B1 KR101176114 B1 KR 101176114B1 KR 1020100114620 A KR1020100114620 A KR 1020100114620A KR 20100114620 A KR20100114620 A KR 20100114620A KR 101176114 B1 KR101176114 B1 KR 10117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indoor
low noise
unit
illumina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4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379A (ko
Inventor
정재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4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1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3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in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9Control issues
    • F25B2313/0294Control issues related to the outdoor fan, e.g. controll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조도값 및 실외 조도값을 바탕으로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실내기 저소음 모드,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 실외기 저소음 모드,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 및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인 경우 실외 조도값 및 실내 조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 및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조도값 및 실외 조도값을 바탕으로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시키는 일련의 냉매사이클을 거치면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실내 공간을 냉방 및/또는 난방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냉매사이클을 일 방향으로만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방용 공기조화기와, 냉매사이클을 양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실내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는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통상적인 공기조화기와,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멀티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는 그 설치장소 또는 시간대에 따라 저소음으로 운전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적절하게 저소음으로 운전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은 실내기 저소음 모드,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 실외기 저소음 모드,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 및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인 경우 실외 조도값 및 실내 조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 및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 실내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에 구비되어 실외 조도값을 측정하는 실외 조도기;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어 실내 조도값을 측정하는 실내 조도기; 및 실내기 저소음 모드,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 실외기 저소음 모드,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 및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인 경우 상기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 조도값을 측정하여 실외기 및/또는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저소음 운전을 위한 다양한 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취향에 맞게 저소음 운전을 수행하는 장점도 있다.
셋째, 장소에 따라 저소음 운전이 필요한 경우 항시 저소음 모드로 설정하고 시간대에 따라 저소음 운전이 필요한 경우 자동 저소음 모드로 설정하여 장소 및 시간대에 따라 저소음 운전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실외기(110)는 냉매를 압축하며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한다. 실외기(110)는 실내기(120)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된다. 실외기(110)는 외부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 또는 난방 운전 모드로 동작된다. 실외기(110)는 외부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소음이 적게 발생되는 저소음 운전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외기(11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112)와, 액체 냉매와 기체 냉매를 분리하는 기액분리기(113)와, 냉매와 실외 공기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114)와, 실외 열교환기(114)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외 열교환기(114)로 실외 공기를 유동하여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실외팬(115)과, 냉매를 팽창하는 실외 팽창밸브(116)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절환밸브(11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열교환기(114)는 난방 운전시 증발기로 작용하고, 냉방 운전시 응축기로 작용한다.
실외기(110)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10)에는 실외 조도값을 측정하는 실외 조도센서(119)가 구비된다. 실외 조도센서(119)에서 측정된 실외 조도값에 따라 실외기(110)의 저소음 운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실내기(120)는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실내 공기를 공조한다. 실내기(120)는 실외기(110)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된다. 실내기(120)는 외부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 또는 난방 운전 모드로 동작된다. 실내기(120)는 외부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소음이 적게 발생되는 저소음 운전을 할 수 있다.
실내기(120)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124)와, 실내 열교환기(124)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내 열교환기(124)로 실내 공기를 유동하여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실내팬(125)과,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 팽창밸브(12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24)는 난방 운전시 응축기로 작용하고, 냉방 운전시 증발기로 작용한다.
또한, 실내기(120)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미도시)와, 열교환된 실내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구(미도시), 토출구(미도시)를 여닫고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풍향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20)에는 실내 조도값을 측정하는 실내 조도센서(129)가 구비된다. 실내 조도센서(129)에서 측정된 실내 조도값에 따라 실내기(120)의 저소음 운전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압축기(112)에서 압축된 냉매는 절환밸브(111)를 거쳐 실외 열교환기(1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응축된다. 이때 실외팬(115)이 작동되어 실외 공기를 유동하여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킨다. 실외 열교환기(114)에서 응축된 냉매는 실내 팽창밸브(126)에서 팽창되고 실내 열교환기(124)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된다. 이때 실내팬(125)이 작동되어 실내 공기를 유동하여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킨다. 실내 공기는 증발되는 냉매에 열을 빼앗기게 되어 차가워지게 된다. 실내 열교환기(124)에서 증발된 냉매는 기액분리기(113)를 거쳐 압축기(112)로 유입되어 다시 압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압축기(112)에서 압축된 냉매는 절환밸브(111)를 거쳐 실내 열교환기(124)에서 실내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응축된다. 이때 실내팬(125)이 작동되어 실내 공기를 유동하여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킨다. 실내 공기는 응축되는 냉매에서 열을 빼앗아 뜨거워지게 된다. 실내 열교환기(124)에서 응축된 냉매는 실외 팽창밸브(116)에서 팽창되고 실외 열교환기(114)에서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하여 증발된다. 이때 실외팬(115)이 작동되어 실외 공기를 유동하여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킨다. 실외 열교환기(114)에서 증발된 냉매는 기액분리기(113)를 거쳐 압축기(112)로 유입되어 다시 압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제어부(130)는 입출력부(121)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 또는 자체 프로그램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절환밸브(111), 압축기(112), 실외팬(115), 실내팬(125), 실외 팽창밸브(116), 및 실내 팽창밸브(126)을 조절하여 난방 모드 또는 냉방 모드로 운전하거나, 실내 공기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조절하고, 실내기(120)에서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풍속 및/또는 풍향을 조절한다.
입출력부(121)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고 공기조화기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것으로서 실내기(120) 또는 실외기(110)에 구비되거나 리모트콘트롤러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실내기(120) 및/또는 실외기(110)를 저소음 운전한다. 실내기(120)는 실내팬(125) 및 냉매 유동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므로 제어부(130)는 실내팬(125), 압축기(112) 및 실내 팽창밸브(12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한다. 제어부(130)는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실내팬(125)의 회전수를 줄여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기(110)는 실외팬(115) 및 냉매 유동에 의하여 소음이 발생하므로 제어부(130)는 실외팬(115), 압축기(112) 및 실외 팽창밸브(11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실외기(110)를 저소음 운전한다. 제어부(130)는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실외팬(115)의 회전수를 줄여 저소음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30)는, 실내기 저소음 모드,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 실외기 저소음 모드,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 및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제어한다.
실내기 저소음 모드는 실내기(120)를 항시 저소음 운전하는 모드로서 실내기(120)가 설치된 장소가 정숙이 요구되는 곳일 경우 사용된다.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실내기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30)는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한다.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는 시간대에 따라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하는 모드로서 실내기(120)가 설치된 장소가 시간대에 따라 정숙이 요구되는 곳일 경우 사용된다.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실내기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실외 조도센서(119)는 실외 조도값을 측정하고, 실내 조도센서(129)는 실내 조도값을 측정한다.
제어부(130)는 실외 조도센서(119)에서 실외 조도값을 전달받고 실내 조도센서(129)에서 실내 조도값을 전달받아,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실외 기준값은 정숙이 요구되는 시간대의 실외에서 최고 조도값으로서 지역별, 계절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외 기준값은 실외기(110) 설치장소에서 초저녁 또는 새벽 시간대의 조도값으로서 실외 조도값이 이보다 낮은 경우 밤 시간대를 의미한다.
실내 기준값은 정숙이 요구되는 시간대의 실내에서 최고 조도값으로서 장소별, 계절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기준값은 실내기(120)에서 저녁 시간대의 점등된 상태의 조도값으로서 실내 조도값이 이보다 낮은 경우 밤 시간대의 소등된 상태를 의미한다.
실내기(120)의 저소음 운전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실내 조도값뿐만 아니라 실외 조도값을 함께 판단하는 것은 실외 조도값이 낮은 밤 시간대라도 실내 조도값이 높다면 사용자가 활동 중인 점등된 상태여서 저소음 운전이 필요없기 때문이다.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상기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한다.
실외기 저소음 모드는 실외기(110)를 항시 저소음 운전하는 모드로서 실외기(110)가 설치된 장소가 정숙이 요구되는 곳일 경우 사용된다.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실외기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30)는 실외기(110)를 저소음 운전한다.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는 시간대에 따라 실외기(110)를 저소음 운전하는 모드로서 실외기(110)가 설치된 장소가 시간대에 따라 정숙이 요구되는 곳일 경우 사용된다.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실외기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실외 조도센서(119)는 실외 조도값을 측정한다.
제어부(130)는 실외 조도센서(119)에서 실외 조도값을 전달받아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실외기(110)를 저소음 운전한다.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는 시간대에 따라 실외기(110) 및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하는 모드로서 실외기(110) 및 실내기(120)가 설치된 장소가 시간대에 따라 정숙이 요구되는 곳일 경우 사용된다.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실외 조도센서(119)는 실외 조도값을 측정하고, 실내 조도센서(129)는 실내 조도값을 측정한다.
제어부(130)는 실외 조도센서(119)에서 실외 조도값을 전달받고 실내 조도센서(129)에서 실내 조도값을 전달받아,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상기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실외기(110) 및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제어부(130)는 실내기 저소음 모드인지 판단한다(S211).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실내기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실내기 저소음 모드로 설정되며, 제어부(130)는 실내기 저소음 모드시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한다(S212). 제어부(130)는 실내팬(125), 압축기(112) 및 실내 팽창밸브(12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한다. 제어부(130)는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실내팬(125)의 회전수를 줄여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기 저소음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30)는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인지 판단한다(S213).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로 설정되며, 제어부(130)는 실외 조도센서(119)에서 측정한 실외 조도값을 전달받고 실내 조도센서(129)에서 측정한 실내 조도값을 전달받아,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214).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상기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한다(S215).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하거나(S212),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가 아니거나(S213)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크거나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큰 경우(S214) 제어부(130)는 실외기 저소음 모드인지 판단한다(S216).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실외기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실외기 저소음 모드로 설정되며, 제어부(130)는 실외기(110)를 저소음 운전한다(S217).
제어부(130)는 실외팬(115), 압축기(112) 및 실외 팽창밸브(11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실외기(110)를 저소음 운전한다. 제어부(130)는 소음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실외팬(115)의 회전수를 줄여 저소음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기 저소음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30)는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인지 판단한다(S218).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로 설정되며, 제어부(130)는 실외 조도센서(119)에서 측정한 실외 조도값을 전달받아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219).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실외기(110)를 저소음 운전한다(S220).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가 아닌 경우 제어부(130)는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인지 판단한다(S221). 사용자가 입출력부(121)에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를 입력한 경우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로 설정되며, 제어부(130)는 실외 조도센서(119)에서 측정된 실외 조도값을 전달받고 실내 조도센서(129)에서 측정된 실내 조도값을 전달받아,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S222).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상기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실외기(110) 및 실내기(120)를 저소음 운전한다(S223).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0: 실외기 111: 절환밸브
112: 압축기 113: 기액분리기
114: 실외 열교환기 115: 실외팬
116: 실외 팽창밸브 119: 실외 조도센서
120: 실내기 121: 입출력부
124: 실내 열교환기 125: 실내팬
126: 실내 팽창밸브 129: 실내 조도센서
130: 제어부

Claims (13)

  1. 실내기 저소음 모드,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 실외기 저소음 모드,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 및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인 경우 실외 조도값 및 실내 조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 및 실내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조도값은 상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조도센서가 측정하고,
    상기 실내 조도값은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조도센서가 측정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상기 냉매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공기를 유동하는 실내팬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는,
    실외 공기가 상기 냉매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실외 공기를 유동하는 실외팬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외팬이 제어되어 저소음 운전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실내팬의 제어되어 저소음 운전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저소음 모드인 경우 상기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저소음 모드인 경우 상기 실외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인 경우 실외 조도값 및 실내 조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상기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측정된 실내 조도값이 상기 실내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인 경우 실외 조도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실외 조도값이 상기 실외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실외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8. 실외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외기;
    실내 공기와 상기 냉매를 열교환하는 실내기;
    상기 실외기에 구비되어 실외 조도값을 측정하는 실외 조도기;
    상기 실내기에 구비되어 실내 조도값을 측정하는 실내 조도기; 및
    실내기 저소음 모드,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 실외기 저소음 모드,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 및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드로 제어하며, 상기 전체 자동 저소음 모드인 경우 상기 실외 조도값이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실내 조도값이 실내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상기 냉매가 열교환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공기를 유동하는 실내팬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는,
    실외 공기가 상기 냉매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및
    실외 공기를 유동하는 실외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팬을 제어하여 상기 실외기를 저소음 운전하고 상기 실내팬을 제어하여 상기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 저소음 모드인 경우 상기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저소음 모드인 경우 상기 실외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기 자동 저소음 모드인 경우 상기 실외 조도값이 상기 실외 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실내 조도값이 상기 실내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실내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자동 저소음 모드인 경우 상기 실외 조도값이 상기 실외 기준값보다 작을 때 상기 실외기를 저소음 운전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00114620A 2010-11-17 2010-11-1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7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20A KR101176114B1 (ko) 2010-11-17 2010-11-1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4620A KR101176114B1 (ko) 2010-11-17 2010-11-1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379A KR20120053379A (ko) 2012-05-25
KR101176114B1 true KR101176114B1 (ko) 2012-08-22

Family

ID=4626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4620A KR101176114B1 (ko) 2010-11-17 2010-11-17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1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379A (ko) 201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40055B (zh) 一种空调器制热除霜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CN101586866B (zh) 一种提高变频空调出风温度舒适性的控制方法
KR100512280B1 (ko) 냉난방기의 절전 제습 운전방법
US684306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expansion valve of air conditioner
KR100557043B1 (ko) 냉난방기의 건강 제습 운전방법
EP1598606A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CN111780362B (zh)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20040069614A (ko) 냉난방기의 파워 제습 운전방법
JP2006177658A (ja) 空気調和機
KR10064085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410859B2 (ja) 空気調和機
JP2001248937A (ja) ヒートポンプ給湯エアコン
EP1696125A1 (en) Capacity-variable air conditioner
KR101045451B1 (ko) 멀티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6808119B2 (en) Heat pump air 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dditional hea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17611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53421B1 (ko) 에어컨의 응축용량 제어 방법
KR100517600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방법
KR20170138703A (ko)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226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KR0141543B1 (ko) 냉매가열식 냉난방장치
JP3783517B2 (ja) 空気調和装置
KR20200073471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0557758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513305B1 (ko) 냉난방 겸용 인젝션 타입 공기조화기 및 그 공기조화기의 인젝션 모드 절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